“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능성구씨(綾城舅氏) - 구굉(具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에 봉해짐.
1577~164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능성군(綾城君)@구순 - 구순(具淳)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구희경(具希璟)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통진 현감(行通津縣監)을 지냄.
1507~155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능성군(綾城君) - 구굉(具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에 봉해짐.
1577~164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능성군(綾城君)@구치관 - 구치관(具致寬)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운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지고, 사후(死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됨. 영의정(領議政)등을 지냄.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능성부령(綾城副令) - 이명윤(李明胤)
조선 전기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로, 능성부령(綾城副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구치관 - 구치관(具致寬)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운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지고, 사후(死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됨. 영의정(領議政)등을 지냄.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 - 구굉(具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에 봉해짐.
1577~164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 - 구사맹(具思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아버지로, 좌찬성(左贊成)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을 거치며 공을 세워 사후(死後)에 호성(扈聖)ㆍ선무(宣武)ㆍ정난(靖難) 등의 원종공신에 책록됨.
1531~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능야(綾野) - 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和順) 능주면(綾州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1632년(인조 10)에 능주(綾州)로 개칭함.
940~16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능양(綾陽) - 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和順) 능주면(綾州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1632년(인조 10)에 능주(綾州)로 개칭함.
940~16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능양(陵陽) - 한구(韓駒)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 소철(蘇轍)의 문인(門人)으로, 강주 지사(江州知事) 등을 역임함. 문장에 뛰어났고 시에 대한 이해가 깊었으며, 저서에 《능양집(陵陽集)》이 있음.
?~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능양군(綾陽君) - 인조(仁祖)
조선 제16대 왕. 재위 1623~1649.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왕위에 올라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을 실시하고, 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을 겪음.
1595~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능양성(綾陽城) - 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和順) 능주면(綾州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1632년(인조 10)에 능주(綾州)로 개칭함.
940~16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능엄^법화(楞嚴^法華) - 능^법(楞^法)
불교 경전인 능엄경(楞嚴經)과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함께 부르는 말. 둘다 한국불교사상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침.
문헌>기타문헌
-
능연(凌烟) - 능연각(凌煙閣)
중국 장안(長安)에 있던 전각 이름. 당(唐) 태종(太宗) 때 두여회(杜如晦)ㆍ위징(魏徵)ㆍ방현령(房玄齡) 등 공신(功臣) 24명의 초상을 걸어두었던 곳으로, 기린각(麒麟閣)과 함께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능연각(凌烟閣) - 능연각(凌煙閣)
중국 장안(長安)에 있던 전각 이름. 당(唐) 태종(太宗) 때 두여회(杜如晦)ㆍ위징(魏徵)ㆍ방현령(房玄齡) 등 공신(功臣) 24명의 초상을 걸어두었던 곳으로, 기린각(麒麟閣)과 함께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능운(凌雲) - 박붕린(朴鵬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한림(翰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능원(綾原) - 구사안(具思顔)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부마. 중종의 셋째 딸 효순공주(孝順公主)를 맞아 능원위(綾原尉)에 봉해졌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공을 세워 위사 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학문을 즐겨 많은 책을 수집하였으며 경사(經史)에 밝았음.
152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능원군(綾原君) - 구사안(具思顔)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부마. 중종의 셋째 딸 효순공주(孝順公主)를 맞아 능원위(綾原尉)에 봉해졌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공을 세워 위사 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학문을 즐겨 많은 책을 수집하였으며 경사(經史)에 밝았음.
152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능원군(綾原君)@능원대군 - 능원대군(綾原大君)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동생. 원종(元宗)의 아들로, 백부인 의안군(義安君) 이성(李珹)에게 출계함. 병자호란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였으며, 곧고 온후한 성품으로 종실의 모범이 됨.
1592~16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능원위(綾原尉) - 구사안(具思顔)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부마. 중종의 셋째 딸 효순공주(孝順公主)를 맞아 능원위(綾原尉)에 봉해졌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공을 세워 위사 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학문을 즐겨 많은 책을 수집하였으며 경사(經史)에 밝았음.
152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능인(能人) - 김전(金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김우신(金友臣)의 아들. 중종 때 《속동문선(續東文選)》을 편찬하고,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능인(能仁)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능인적묵(能仁寂默)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능정후(陵亭侯) - 순유(荀攸)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순욱(荀彧)의 조카. 지모(智謀)와 정략(政略)이 뛰어나 조조(曹操)의 모사(謀士)로서 많은 공을 세우고, 군사(軍師)ㆍ상서령(尙書令)을 지냄.
157~21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능주(綾州) - 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和順) 능주면(綾州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1632년(인조 10)에 능주(綾州)로 개칭함.
940~16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능주구씨(綾州具氏) - 능성구씨(綾城具氏)
고려의 대광검교상장군(大匡檢校上將軍) 구존유(具存裕)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집단>성씨
-
능창군(綾昌君) - 능창대군(綾昌大君)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동생. 원종(元宗)의 아들로, 숙부인 신성군(信城君)에게 출계함. 1615(광해군 7)에 신경희(申景禧) 등이 왕으로 추대하고자 한다는 소명국(蘇鳴國)의 무고로 강화도 교동(喬桐)에 안치(安置)되었다가 17세로 죽음.
1599~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자
-
능창위(綾昌尉) - 구한(具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부마ㆍ문신. 중종의 딸 숙정옹주(淑靜翁主)와 결혼하여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으며, 명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지냄. 35세로 요절함.
1524~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능천(綾川) - 구인후(具仁垕)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무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국왕을 호위한 공으로 어영대장(御營大將)이 되고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됨. 벼슬은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578~16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대불정경(大佛頂經) - 능엄경(楞嚴經)
불교의 대승경전. 10권. 705년 인도의 승려 반랄밀제(般剌蜜帝)에 의해 한역되어 당(唐) 나라에 전래됨. 밀교부에 속해있으나 선정(禪定)을 설하여 선종의 소의경전(所衣經典)이 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 - 능엄경(楞嚴經)
불교의 대승경전. 10권. 705년 인도의 승려 반랄밀제(般剌蜜帝)에 의해 한역되어 당(唐) 나라에 전래됨. 밀교부에 속해있으나 선정(禪定)을 설하여 선종의 소의경전(所衣經典)이 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 능엄경(楞嚴經)
불교의 대승경전. 10권. 705년 인도의 승려 반랄밀제(般剌蜜帝)에 의해 한역되어 당(唐) 나라에 전래됨. 밀교부에 속해있으나 선정(禪定)을 설하여 선종의 소의경전(所衣經典)이 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대붕(大鵬) - 이도남(李圖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적(李迪)의 아들로, 동래 부사(東萊府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관직에서 물러난 후 단성(丹城)으로 낙향하여 노모(老母)를 봉양함.
1496~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대비(大悲)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대비재(大庇齋) - 문익점(文益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원(元) 나라에서 목화씨를 몰래 가져와서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고향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함.
132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대빈(大斌) - 송대빈(宋大斌)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중이던 1593년(조선 선조 26)에 제독(提督) 이여송(李如松) 휘하의 유격장군(遊擊將軍)으로 이천(二千)의 병마(兵馬)를 이끌고 조선에 왔다가 이듬해 정월에 돌아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대빙(待聘) - 김우신(金友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안락당(顔樂堂) 김흔(金訢)의 아버지. 성종의 잠저 시절 사부(師傅)로서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제수받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424~151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대사(大寺) - 연복사(演福寺)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었던 사찰. 공민왕(恭愍王)ㆍ공양왕(恭讓王) 등 여러 왕들이 여러 차례 거둥할 정도의 대찰이었으나 조선의 양란(兩亂)을 거치면서 폐허가 됨. 고려 후기의 승려인 진공(軫公) 등이 주지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대사(大射)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대사강(帶沙江) - 섬진강(蟾津江)
전라도 진안(鎭安)에서 발원하여 동부지역을 남류(南流)하고, 경상도 하동(河東)을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전라도>진안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대사례(大射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대사자왕법보장해국일(大師子王法寶藏海國一) - 혼구(混丘)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일연(一然)의 제자로, 충숙왕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가송잡저(歌頌雜著)》 등을 저술함.
1251~132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종교인>승려
-
대산(大山)@중조산 - 중조산(中條山)
전라도 능성(綾城)에 있는 산 이름. 조광조(趙光祖)가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된 곳으로, 양팽손(梁彭孫)이 이곳에 조광조의 사당을 지어 추모하였으며, 산 아래에 학포당(學圃堂)을 짓고 은거함.
전라도>능성 , 지명>자연지명
-
대산(大山) - 이상정(李象靖)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여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낙향 후 안동(安東)에서 학술을 강론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함.
1711~17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산(對山) - 강해(康海)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림수찬(翰林修撰) 등을 지냈으며, 이몽양(李夢陽) 등과 문학의 복고(復古)를 주창한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특히 산곡(散曲)에 뛰어나 왕구사(王九思)와 함께 대가로 일컬어짐.
1475~154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대산(臺山) - 김매순(金邁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거쳐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 등을 지냈고, 당대의 문장가로 홍석주(洪奭周) 등과 함께 명성이 높아 여한십대가(麗韓十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성리학에 뛰어남.
1776~18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산(臺山)@오대 - 오대산(五臺山)
강원도 강릉(江陵)ㆍ평창(平昌)ㆍ홍천(洪川)에 걸쳐 있는 산. 다섯 봉우리가 둥글게 벌려 섰고, 크고 작은 봉우리가 고루 있어 명칭이 생김.
강원도>홍천ㅣ강원도>평창ㅣ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대산선생문집(大山先生文集) - 대산집(大山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상정(李象靖)의 문집. 조카인 이우(李㙖)에 의해 1802년(순조 2) 52권 27책으로 간행됨.
180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상(大常) - 김광원(金廣元)
고려 후기의 학자.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시에 특히 예(禮)와 사(史)에 밝아 이름을 떨쳤다는 내용이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학자
-
대생(大生) - 민대생(閔大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중립(閔中立)의 아들이며, 장령(掌令) 민효환(閔孝懽)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민효열(閔孝悅)의 아버지로 소윤(小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대석죽(大石竹)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대성(大城) - 청도(淸道)
경상북도 남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청도 , 지명>행정지명
-
대성(大成)@노대성 - 노대성(盧大成)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로, 노형(盧詗)의 아들.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유헌집(游軒集)》에 〈차노경시(次盧景時)〉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대성(大成)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성(大成)@광종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대성(大聖)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대성화정국사(大聖和靜國師) - 원효(元曉)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淨土敎)의 선구자이며, 평생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
617~6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ㅣ경상도>경산 , 인명>종교인>승려
-
대소(大笑) - 조종도(趙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안의(安義)의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대소(大素) - 김조(金肇)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임견미(林堅味)의 일파로 최영(崔瑩)에 의해 참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대소(大蘇)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대소자(大笑子) - 조종도(趙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안의(安義)의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대소헌(大笑軒) - 조종도(趙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안의(安義)의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대소헌문집(大笑軒文集) -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조종도(趙宗道)의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손자 조징성(趙徵聖)ㆍ조징천(趙徵天)과 증손 조숙(趙璹)이 유문을 수집하였으며, 이광정(李光庭)이 교정ㆍ편차하여, 1769년(영조 45) 7세손 조휘진(趙輝晉)이 간행함.
17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소헌선생일고(大笑軒先生逸稿) -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조종도(趙宗道)의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손자 조징성(趙徵聖)ㆍ조징천(趙徵天)과 증손 조숙(趙璹)이 유문을 수집하였으며, 이광정(李光庭)이 교정ㆍ편차하여, 1769년(영조 45) 7세손 조휘진(趙輝晉)이 간행함.
17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소헌집(大笑軒集) -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조종도(趙宗道)의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손자 조징성(趙徵聖)ㆍ조징천(趙徵天)과 증손 조숙(趙璹)이 유문을 수집하였으며, 이광정(李光庭)이 교정ㆍ편차하여, 1769년(영조 45) 7세손 조휘진(趙輝晉)이 간행함.
17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송자(大宋紫)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대수(大受)@박수 - 박수(朴受)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이며,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교유하였음. 역학(易學)에 정통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대수(大受)@민정중 - 민정중(閔鼎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민광훈(閔光勳)의 아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직언(直言)을 잘했는데,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대수(大受)@구용 - 구용(具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의 아들로, 금화 현감(金化縣監)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필(權韠)과 함께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전쟁 중에 겪은 고뇌와 갈등을 담은 작품을 많이 남김.
156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대수(大受)@윤기 - 윤기(尹器)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엄흔(嚴昕)의 《십성당집(十省堂集)》에 그를 방문하고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대수(大受) - 노희(盧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노우명(盧友明)의 아들.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대수(大受)@황대수 - 황대수(黃大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낸 황원(黃瑗)의 아들로, 1564년(명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1534~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대수(大售) - 황선(黃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낸 황예창(黃禮昌)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대수(大壽)@심대수 - 신대수(申大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신세달(申世達)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문신
-
대수(大壽)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대수(大手) - 권벽(權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시문(詩文)이 뛰어나 명(明) 나라에 오가는 외교 문서를 전담하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20~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대수(大樹) - 풍이(馮異)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무신. 즉위하기 전의 광무제를 도와 왕랑(王郞)을 격파하고 하북(河北)을 평정하였으며, 성품이 겸손하여 여러 장수들이 서로 공을 논할 때면 늘 나무 밑으로 피해 있었으므로 ‘대수장군(大樹將軍)’이라고 일컬어짐.
?~3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대수(大樹)@최력 - 최력(崔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평소에 《근사록(近思錄)》ㆍ《성리대전(性理大全)》을 읽고,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함.
1522~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대수(大樹)@임억령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대수(大脩) - 유대수(兪大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진사(進士) 유함(兪涵)의 아들.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내섬시 정(內贍寺正)ㆍ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1546~15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대수(大遂) - 강대수(姜大遂)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1612년(광해군 4)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승지(右承旨)ㆍ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646년(인조 24)에 영국공신(寧國功臣)에 녹훈되고, 합천(陜川)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91~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수(帶水) - 한강(漢江)
태백산맥(太白山脈)에서 발원하여 강원도ㆍ충청북도ㆍ경기도ㆍ서울을 동서로 흘러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하류 지역은 고대부터 문화 발달의 터전이었고, 삼국시대에는 쟁패의 요지였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교통로로서의 중요성이 커짐.
서울 , 지명>자연지명
-
대수장군(大樹將軍) - 풍이(馮異)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무신. 즉위하기 전의 광무제를 도와 왕랑(王郞)을 격파하고 하북(河北)을 평정하였으며, 성품이 겸손하여 여러 장수들이 서로 공을 논할 때면 늘 나무 밑으로 피해 있었으므로 ‘대수장군(大樹將軍)’이라고 일컬어짐.
?~3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대수장군(大樹將軍)@장언량 - 장언량(張彦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덕(豊德). 정국 일등공신(靖國一等功臣) 하원군(河源君) 장정(張珽)의 아들로,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음.
1491~15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대숙(大叔) - 공숙단(共叔段)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 장공(莊公)의 동생. 어머니 무강(武姜)과 내통하여 반역을 꾀했으나, 장공이 이들의 계획을 알고 공숙단의 군대를 격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대숙(大叔)@윤원개 - 윤원개(尹元凱)
고려 후기의 문신. 안축(安軸)이 준 시(詩)가 《근재집(謹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대숙(大叔)@김광원 - 김광원(金廣元)
고려 후기의 학자.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시에 특히 예(禮)와 사(史)에 밝아 이름을 떨쳤다는 내용이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학자
-
대숙(大叔)@서선 - 서선(徐選)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원(徐遠)의 아들이며, 원천석(元天錫)의 문인. 1415년(태종 15) 서얼의 차별대우를 진언했으며,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감. 우부대언(右副代言)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 등을 지냄.
1367~14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대숙(大叔)@김명순 - 김명순(金明淳)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좌의정(左議政) 김홍근(金弘根)ㆍ영의정(領議政) 김흥근(金興根)의 아버지. 1801년(순조 1) 별시(別試) 갑과(甲科)에 급제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7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대숙대(大叔帶) - 왕자대(王子帶)
중국 주(周) 나라의 왕자. 양왕(襄王)의 숙부로, 양왕이 즉위하자 북적(北狄)을 이용해 찬탈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진(晉) 문공(文公)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대숙도리(大叔闍梨) - 일공(一公)
고려 중기의 승려. 무인정권기(武人政權期)의 대표적 결사(結社)인 화엄종의 반룡사(盤龍社)를 개설했으며, 이인로(李仁老)와 교유하며 많은 시를 주고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종교인>승려
-
대순(大淳) - 한대순(韓大淳)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한악(韓渥)의 아들이며 한천(韓蕆)의 아버지. 충정왕 때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ㆍ지도첨의(知都僉議) 등을 지냈으나, 공민왕이 즉위하자 기장 감무(機張監務)로 좌천됨.
?~135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대순(大順) - 설공달(薛公達)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한유(韓愈)에게 인정을 받고 맹교(孟郊)와 교유하였으며, 국자 조교(國子助教)를 지냄. 죽은 후 한유가 묘지(墓誌)를 지음.
?~80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대술(大述) - 채승선(蔡承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강(平康). 대사헌(大司憲) 채침(蔡忱)의 아들. 이른 나이에 시험에서 여러 번 수석을 했지만 과거를 포기하고 시주(詩酒)로 여생을 즐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대승(大升)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승(大升)@경대승 - 경대승(慶大升)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1179년(명종 9) 무신정권기의 집권 무신인 정중부(鄭仲夫)․송유인(宋有仁) 등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했으며, 사적 무력집단인 도방(都房)을 두어 정권유지의 바탕을 마련함.
1154~118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대승(戴勝)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대시(大時) - 호대시(胡大時)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굉(胡宏)의 아들이며, 장식(張栻)의 사위이자 제자로, 장식이 죽은 뒤 진부량(陳傅良)에게 수학하고, 주희(朱熹)와 교유하였으며, 《호남답문(湖南答問)》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