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대신(大伸) - 이대신(李大伸)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기성(杞城).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ㆍ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냄. 이제신(李濟臣)의 《청강집(淸江集)》에 묘지명이 전함.
1510~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대씨(戴氏) - 대성(戴聖)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 숙부 대덕(戴德)이 엮은 《대대례(大戴禮)》 85편을 간추려 《소대례(小戴禮)》 49편을 편찬함. 이 《소대례》가 곧 오늘날 전해지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아(大雅) - 여대아(余大雅)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부지런히 학문을 연구하여 인정을 받았으며, 저서에 《주자어록(朱子語錄)》 1권이 있으나 일실(佚失)되어 전하지 않음.
1138~11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아군자(大雅君子) - 우홍(牛弘)
중국 수(隋) 나라의 문신. 검약함과 학문이 독실한 것으로 유명하며, 동생이 소를 죽였는데 표정하나 바꾸지 않고 포를 만들라고 하여 아내의 입을 막았다는 이야기가 《소학(小學)》에 전함.
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대안(戴安) - 대규(戴逵)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ㆍ학자.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謝安)ㆍ사현(謝玄)ㆍ왕순(王珣)ㆍ왕휘지(王徽之) 등에게 존경을 받음.
?~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대암(大菴)@박성 - 박성(朴惺)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의사(義士). 본관은 밀양(密陽). 박사눌(朴思訥)의 아들이고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 때는 김성일(金誠一)의 참모로, 정유재란 때는 이원익(李元翼)의 참모로 크게 활약함.
1549~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암(大菴) - 김승택(金承澤)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상락후(上洛侯) 김방경(金方慶)의 손자.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한 공로로 이등공신에 봉해지고, 공민왕 때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치사(致仕)함.
?~135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대야(大倻)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대야(大冶) - 최영견(崔永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훈련원참봉(訓鍊院參奉)을 지낸 최곤(崔崑)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대야성(大耶城)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대야주(大耶州)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대양(對陽)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대양군(大陽君) - 정덕성(丁德盛)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군국사(軍國事)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압해도(押海島)에 유배(流配)되어 우리나라 정씨(丁氏)의 시조가 됨.
중국>당 , 중국ㅣ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대언(臺彦) - 김대언(金臺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부마. 충선왕의 비 순비허씨(順妃許氏)의 전실 소생인 영복옹주(永福翁主)와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인척
-
대언사(代言司) - 승정원(承政院)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 승선원(承宣院)ㆍ비서감(秘書監)ㆍ비서원(秘書院)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대여(大汝) - 탁의상(卓義尙)
조선 전기의 문신.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둘째 아들로, 숙부인 탁철수(卓哲守)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음보(蔭補)로 현감(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대여산(岱輿山) - 대여(岱輿)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산 이름. 발해(渤海)의 동쪽에 있다는 오도(五島) 중의 하나. 표류하여 다녀서 정처가 없다고 함.
고대 ,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대역(大易)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대연(大淵) - 길대연(吉大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증손으로, 참봉(參奉)을 지냄.
1483~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대연황제(大燕皇帝)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대영(大榮) - 이대영(李大榮)
고려 후기의 무신. 영천이씨(永川李氏)의 중시조(中始祖)로, 신호위 대장군(神虎衛大將軍)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대완(大宛) - 대완국(大宛國)
고대 중앙아시아에 있던 나라 이름. 아라비아의 중국식 이름으로, 명마(名馬)가 산출되었다고 함.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중앙아시아로 진출하기 위해 이광리(李廣利)를 파견하여 이곳으로 원정을 단행함.
고대 , 기타지역 , 시간>국명
-
대완(大阮)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대왕(代王)@유여의 - 유여의(劉如意)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넷째 아들. 척부인(戚夫人)의 소생으로, 고조가 태자 유영(劉盈)를 폐하고 그를 세우려 하였으나 여후(呂后)와 대신들의 반대로 무산되었으며, 고조가 죽은 후 여후에게 독살당함.
B.C.201~B.C.19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대왕(代王)@효왕 - 효왕(孝王)@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아들. 289년(무제 10)에 오왕(吳王)에 봉해지고, 셋째 아들 민제(愍帝)가 즉위하여 태보(太保)에 추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대왕(代王)@도무제 - 도무제(道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초대 황제. 재위 386~409. 중국적 국가 체제를 채용하고 한인(漢人) 명사를 임용하는 등 북위(北魏)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나, 아들 탁발소(拓跋紹)에게 살해됨.
371~4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대왕(代王)@문제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대왕(代王)@소성제 - 소성제(昭成帝)@남북조(북위)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추존왕. 전진(前秦)의 부견(苻堅)과의 싸움에서 패하여 도망쳐 떠돌다가 아들인 탁발식군(拓拔寔君)에게 피살됨.
320~37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대왕(代王) - 공제(恭帝)@수
중국 수(隋)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617~618. 양제(煬帝)의 손자.
605~619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대요(大曜) - 홍언승(洪彦昇)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맏아들로, 1495년(연산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현감(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대요(大耀) - 홍성(洪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홍섬(洪暹)의 《인재집(忍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대용(大容)@오수홍 - 오수홍(吳守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창(高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오충학(吳沖鶴)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대용(大容) - 이굉(李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조카이자 문인(門人)으로, 찰방(察訪)을 지내고, 시문(詩文)에 능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대용(大容)@최유해 - 최유해(崔有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1624년(인조 2) 안변 부사(安邊府使) 시절 명(明) 나라의 모문룡(毛文龍)에게 군량을 공급함.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頌德碑)가 세워지고,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
1587~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대용(大容)@홍대용 - 홍대용(洪大容)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북학파(北學派) 실학자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朴趾源)ㆍ박제가(朴齊家) 등과 교유하고, 지전설(地轉說)을 주장하는 등 조선 후기 과학사상의 발전에 공헌함.
1731~178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용(大容)@곽한 - 곽한(郭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대용(大容)@구곤원 - 구곤원(具坤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낸 구변(具忭)의 아들로 1570년(선조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했고, 장흥고 봉사(長興庫奉事)를 지냈으며, 윤근수(尹根壽) 등과 교유함.
155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대용(大容)@박대용 - 박대용(朴大容)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한성부 참군(漢城府參軍)을 지낸 박영석(朴永錫)의 아들. 1561년(명종 1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송암집(松巖集)》에 권호문(權好文)의 시가 실려 있음.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대용(大用)@이역 - 이역(李櫟)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넷째 아들이고, 이즙(李楫)ㆍ이백(李柏)ㆍ이건(李楗)의 아우이며 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대용(大用) - 신상(申鏛)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함.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
1480~153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대용(大用)@윤행 - 윤행(尹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효정(尹孝貞)의 아들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대용(大用)@이숙량 - 이숙량(李叔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성리학(性理學) 연구에 전념함.
1519~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대용재(大勇齋) - 철종(哲宗)@조선
조선 제25대 국왕. 재위 1849~1863. 정조(正祖)의 동생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의 셋째 아들. 헌종(憲宗)의 뒤를 이어 즉위함.
1831~186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대우(大愚)@김대우 - 김대우(金大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충무위 사직(忠武衛司直) 김효준(金孝俊)의 아들이며, 감찰(監察) 김경생(金景生)의 아버지로,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대우(大愚) - 여조검(呂祖儉)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 간신 한탁주(韓侂冑)가 조여우(趙汝愚)를 역적으로 무고하자 이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소주(韶州)로 귀양감.
?~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대우(大禹)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대웅(大雄)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대원(大原)@호대원 - 호대원(胡大原)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인(胡寅)의 아들이며, 호굉(胡宏)의 조카로, 호굉의 학설을 계승하여 주희(朱熹)ㆍ장식(張栻)과 논쟁하였으며, 《백봉문답(伯逢問答)》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원(大原)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대원(大原)@송대원 - 송대원(宋大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중국 당(唐) 나라에서 호부 상서(戶部尙書)를 지낸 송주은(宋柱殷)의 후예로,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짐. 은진송씨(恩津宋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대원(大圓) - 영우(靈祐)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승려. 위앙종(潙仰宗)의 창시자. 항주(杭州) 용흥사(龍興寺)에서 수계를 받고, 백장 회해(百丈懷海)의 입실제자가 되어 불법을 전수받음.
771~85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대원(大源) - 유도(柳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진동(柳辰仝)의 아들로, 1560년(명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 등을 지냄.
1520~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대원(大源)@홍대원 - 홍대원(洪大源)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직장(直長) 홍의인(洪義人)의 아들이며 수백재(守白齋) 홍주익(洪柱翼)의 아버지로, 한성부 주부(漢城府主簿)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대원(大源)@유운 - 유운(柳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정조(正祖) 때 도사(都事) 등을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버지로, 황간 현감(黃澗縣監) 등을 지내고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으며, 풍창군(豊昌君)에 습봉(襲封)됨.
1701~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대원난약(大原蘭若) - 대원사(大原寺)
백제 무령왕(武寧王) 때 전라도 보성(寶城) 천봉산(天鳳山)에 건립한 사찰. 송광사(松廣寺)의 말사. 503년(무령왕 3) 아도(阿道)가 ‘죽원사(竹原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고, 통일신라 때 오교구산(五敎九山) 중 열반종(涅槃宗)의 8대 가람 중 하나였으며, 고려 때 대원사(大原寺)로 개칭함.
503 한국>백제 , 전라도>보성 , 유적>건물>사찰
-
대원선사(大圓禪師) - 영우(靈祐)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승려. 위앙종(潙仰宗)의 창시자. 항주(杭州) 용흥사(龍興寺)에서 수계를 받고, 백장 회해(百丈懷海)의 입실제자가 되어 불법을 전수받음.
771~85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대월국(大越國) - 대월(大越)
베트남의 3대 왕조(王朝) 가운데 첫 번째 왕조. 1010년 이온공(李蘊公)이 하노이(河內)에 도읍하여 세웠으며 아들인 태종(太宗)이 국호를 대월(大越)이라 함. 최초의 안정된 베트남 왕조로 근대 베트남 왕조의 특징이 이 시기에 형성됨.
기타지역 , 시간>국명
-
대위(大▼(由/己)) - 이대위(李大▼(由/己))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1570년(선조 3) 생원시에 입격하여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을 지냈으나, 이후 더 이상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주력함. 남원(南原)의 영천서원(寧川書院)에 배향됨.
1540~160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유(大有)@기대유 - 기대유(奇大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기효간(奇孝諫)ㆍ기효근(奇孝謹)의 아버지.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사촌이며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진용교위(進勇校尉)에 올랐고 고흥군(高興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무신
-
대유(大有)@경연 - 경연(慶延)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효행으로 천거되어 이산 현감(尼山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대유(大有)@극부 - 극부(克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승려. 《충암집(冲庵集)》에 김정(金淨)이 써준 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대유(大有)@김대유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대유(大有)@송우 - 송우(宋佑)
조선 전기의 유학. 심언광(沈彥光)의 《어촌집(漁村集)》에 그에 대한 이별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대유(大有)@연부 - 연부(年富)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대유(大有)@이연 - 이연(李延)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사재 주부(司宰主簿) 등을 지냈으며, 지극한 효성에 대한 일화가 남효온(南孝溫)의 《추강냉화(秋江冷話)》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대유(大有)@임대유 - 임대유(任大有)
조선 후기의 유학.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에 대해 평가한 내용이 《죽천집(竹川集)》에 보임.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대유(大柔) - 김구(金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광산(光山). 글씨에 뛰어나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ㆍ양사언(楊士彦)ㆍ한호(韓濩)와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힘.
1488~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유(大猷)@사마유 - 사마유(司馬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무제(武帝)의 동생. 아버지 사마소(司馬昭)가 차남 사마유(司馬攸)를 세자로 삼으려고 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에 장자 사마염(司馬炎)을 세자로 삼음. 사공(司空) 등의 벼슬을 지냄.
248~2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대유(大猷)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유(大猷)@강사필 - 강사필(姜士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조욱(趙昱)의 문인으로, 충청 감사(忠淸監司)ㆍ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대유(大維) - 배대유(裵大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수비함.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공을 세웠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적극 참여함.
156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대유(大裕) - 백광홍(白光弘)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 평안도 평사(平安道評事)로 있을 때 가사(歌辭) 〈관서별곡(關西別曲)〉을 지었으며, 김인후(金麟厚)ㆍ이이(李珥)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22~15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대유(大遺) - 차희윤(車熙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ㆍ평안 도사(平安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대윤(大潤) - 김대윤(金大潤)
고려 후기의 문신ㆍ은자. 고려 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의정신(節義精神)으로 관직을 버리고 자연에 은거하며 출사(出仕)하지 않은 팔은(八隱) 중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대은(大隱) - 변안열(邊安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래 중국 심양(瀋陽)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원주(原州)로 본관을 하사받았으며,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 격퇴에 공을 세움.
?~1390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무신
-
대은(戴隱) - 대규(戴逵)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ㆍ학자.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謝安)ㆍ사현(謝玄)ㆍ왕순(王珣)ㆍ왕휘지(王徽之) 등에게 존경을 받음.
?~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대음광(大飮光) - 가섭(迦葉)
고대 인도의 승려. 석가(釋迦)의 십대(十大) 제자 중 한 사람. 본래 바라문으로, 석가가 성도(成道)한 지 3년쯤 뒤에 귀의하여 부처의 심인(心印)을 전해 받은 사람.
고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대응(大凝) - 권대응(權大凝)
조선 전기의 문신. 훈도(訓導)를 지냈고 권문해(權文海)와 교유하였으며 《초간집(草澗集)》에 만사(輓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대의왕(大醫王) - 약사불(藥師佛)
열두 가지 대원(大願)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病苦)에서 구하고, 무명(無名)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대의왕불(大醫王佛) - 약사불(藥師佛)
열두 가지 대원(大願)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病苦)에서 구하고, 무명(無名)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대이(大而)@하응림 - 하응림(河應臨)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내고, 문장이 뛰어나 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렸으며, 서(書)ㆍ화(畫)에도 능했음.
153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대이(大而) - 김석홍(金錫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화를 입은 기묘당인(己卯黨人) 중의 한 명.
1493~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대이(大而)@조광익 - 조광익(曹光益)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연보(朱子年譜)〉에 보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이(大而)@김옹 - 김옹(金顒)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전력(展力) 김삼산(金三山)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대이아(大耳兒)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대익(大翼) - 상붕남(尙鵬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범허정(泛虛亭) 상진(尙震)의 아들로, 강계 부사(江界府使)를 지낸 이제신(李濟臣)의 장인.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열중하였지만 32세의 나이로 죽음. 시서(詩書)에 능했음.
1511~154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문신
-
대인(大人) - 정대인(鄭大人)
중국 명(明) 효종(孝宗) 때의 문신. 안찰제조 학교부사(按察提調學校副使)를 지냄. 《표해록(漂海錄)》의 저자 최보(崔溥)가 항주(杭州)에서 만난 인물.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대일(大逸) - 유대일(兪大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좌의정(左議政) 유홍(兪泓)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냄. 그의 시문집인 《용은집(慵隱集)》이 《송당집(松塘集)》에 실려 있음.
1572~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대임(大任) - 성식(成軾)
조선 전기의 유학.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집(玉峯集)》에 〈성대임가유별(成大任家留別)〉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대임(大任)@박대임 - 박대임(朴大任)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한성부 참군(漢城府參軍)을 지낸 박영석(朴永錫)의 아들. 1552년(명종 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찰방(察訪)을 지냄. 《송암집(松巖集)》에 권호문(權好文)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대임(大任)@금축 - 금축(琴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손자. 1531년(중종 26)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1540년(중종 35) 권벌(權橃)에 의해 일사(逸士)로 천거되어 제릉 참봉(齊陵參奉)에 임명됨.
1496~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대임(大任)@정두 - 정두(鄭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진사 정언보(鄭彦輔)의 아들이며,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의 아버지로,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지냄.
1508~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대자운광성굉명대사(大慈雲匡聖宏明大師) - 문언(文偃)
중국 당(唐) 말~오대(五代)의 선승(禪僧). 운문종(雲門宗)의 시조(始祖).
864~949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대장(大丈) - 김자유(金子由)
고려 후기의 유학.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고,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를 위해 지은 시가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대장(臺長)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대장(隊仗) - 경학대장(經學隊仗)
통일신라시대의 학자ㆍ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이 지었다는 책. 경학(經學)의 원리와 그 실용책(實用策)을 종목별로 열거함. 3권 1책. 활자본(活字本).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대재(大哉) - 하맹보(河孟寶)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노진(盧禛)의 문인(門人)으로, 노진을 애도하며 지은 제문(祭文)이 《옥계집(玉溪集)》에 실려 있으며, 함양(咸陽)의 구천서원(龜川書院)에 배향됨.
1531~15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대저(大邸)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대적선사(大寂禪師) - 도일(道一)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남악 회양(南岳懷讓)의 법을 이어 종풍(宗風)을 일시에 융성시키고, 후일 임제종(臨濟宗)으로 발전함. 일상생활 속에서 선(禪)을 실천하는, '평생심시도(平生心是道)'를 주창함.
709~788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대전(大典) -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 세조(世祖)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成宗)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성종 15)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敎旨)ㆍ조례(條例)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 6권 4책. 인본(印本).
1485 한국>조선전기 , 법제>법률ㅣ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