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덕수(德粹) - 등린(滕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에게 수학했으며, 관직은 조봉대부(朝奉大夫)에 이름. 저서에는 《계재유고(溪齋類稿)》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덕수부원군(德水府院君)@장운익 - 장운익(張雲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우의정(右議政) 장유(張維)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하고,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가 되어 명(明) 나라 제독 마귀(麻貴)를 영접한 공이 있어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61~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덕수부원군(德水府院君) - 이윤온(李允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소(李劭)의 아들이며, 낙안백(樂安伯) 이천선(李千善)의 아버지로, 민부 전서(民部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나라에 공을 세워 선충경절공신(宣忠勁節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덕순(德純) - 유영길(柳永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참봉(參奉) 유의(柳儀)의 아들이며,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의 형으로, 시문(詩文)에 능하였으며, 예조 참판(禮曹參判)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538~16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덕순령(德純令) - 이경충(李鏡忠)
조선 후기의 종친. 오위장(五衛將) 이선(李選)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덕숭(德崇) - 이덕숭(李德崇)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낸 이신효(李愼孝)의 아들로, 1462년(세조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관찰사(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덕승(德升) - 유덕승(劉德升)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서예가. 종요(鍾繇)와 호소(胡昭)의 스승으로, 행서체(行書体)의 대가로 일컬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덕시(德施) - 소통(蕭統)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태자ㆍ문인. 제1대 황제인 무제(武帝)의 맏아들로,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조예가 깊고 특히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을 모아 《문선(文選)》을 편찬함.
501~53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덕신(德臣) - 권덕신(權德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란(權鸞)의 아들로, 아들인 선무공신(宣武功臣) 권응수(權應銖)의 공으로 인해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능라군(綾羅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신녕 , 인명>문사>유학
-
덕신령(德新令) - 이경례(李鏡禮)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동원(東園) 김귀영(金貴榮)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덕심(德深) - 원자(袁滋)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유벽(劉辟)과 오원제(吳元濟)의 반란 때 평정에 실패하여 좌천되었다가 호남 관찰사(湖南觀察使) 등을 지냈으며, 성품이 너그럽고 글씨에 뛰어났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덕악(德岳) - 덕유산(德裕山)
전라북도 무주(茂朱)ㆍ장수(長水)와 경상남도 거창(居昌)ㆍ함양(咸陽)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전라도>무주ㅣ경상도>거창 , 지명>자연지명
-
덕양(德陽)@기준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덕양(德陽) - 고양(高陽)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에 고봉(高峯)과 덕양(德陽)의 이름을 따서 고양(高陽)이라 부름.
경기도>고양 , 지명>행정지명
-
덕양군(德陽君)@기원 - 기원(奇轅)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권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황후(奇皇后)의 오빠로 횡포와 사치를 일삼다가 조일신(趙日新) 일당에게 살해됨.
?~13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덕양자(德陽子)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덕양정(德陽正) - 이우량(李友諒)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손자. 본관은 전주(全州).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형 이우직(李友直)과 함께 연좌되어 죽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덕양집(德陽集) - 덕양유고(德陽遺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기준(奇遵)의 문집. 아들 기대항(奇大恒)이 영월 군수(寧越郡守)로 부임한 저자의 문생(門生) 박충원(朴忠元)에게 부탁하여 1544년(중종 39) 서문을 짓고 유포시킴.
154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문헌>서명
-
덕양후(德陽侯) - 왕서(王恕)
고려 제20대 신종(神宗)의 아들. 제21대 희종(熙宗)의 아우이며, 공양왕(恭讓王)의 6대조. 희종이 폐위될 때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교동현(喬洞縣)으로 쫒겨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동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덕언(德言) - 이덕언(李德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ㆍ함흥 판관(咸興判官) 등을 지냄.
1571~163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덕여(德輿)@권덕여 - 권덕여(權德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권박(權博)의 아들이며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으로, 부제학(副提學)과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이이(李珥)의 처벌에 동조하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좌천됨.
151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덕여(德輿)@이극감 - 이극감(李克堪)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신숙주(申叔舟)와 함께 《국조보감(國朝寶鑑)》ㆍ《북정록(北征錄)》 등을 편찬함.
1427~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덕여(德輿) - 무제(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420~422. 동진(東晉)의 공제(恭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송 나라를 건국함.
363~4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덕여(德輿)@이휘재 - 이휘재(李彙載)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경산 현령(慶山 縣令)으로 있으면서 문회재(文會齋)를 창건하여 문풍(文風)을 진작시키고,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많은 공을 세움.
1795~18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덕연(德淵) - 이덕연(李德淵)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이종준(李宗準)의 아들이며 이윤검(李胤儉)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벼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문인
-
덕연(德演) - 홍덕연(洪德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이평(洪以平)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밀하였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3~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덕열(德悅) - 이덕열(李德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준경(李浚慶)의 아들로, 이유경(李有慶)에게 출계(出系)함. 승지(承旨)를 지냈으며, 저서로 임진왜란 중에 작성한 《양호당일기(養浩堂日記)》가 있음.
1534~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덕영(德英) - 적인걸(狄仁傑)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이씨(李氏)를 제거하고 무씨(武氏)의 종묘(宗廟)를 세우자 중종(中宗)을 받들어 당실(唐室)을 회복함.
607~70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덕온(德溫) - 설선(薛瑄)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주학파(程朱學派)의 이학(理學)을 계승하였으며, 이부우시랑(吏部右侍郞) 겸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함. 저서에 《설문청집(薛文淸集)》이 있음.
1389~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덕온(德溫)@이경 - 이경(李璥)@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만영(李萬榮)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병사함.
1538~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덕옹(德翁)@박덕옹 - 박덕옹(朴德翁)
조선 전기의 유학. 문장공(文莊公) 신응시(辛應時)와 교유했는데, 괴산(槐山)에서 만나 주고받은 시가 《백록유고(白麓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덕옹(德翁)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덕옹(德翁)@박인로 - 박인로(朴仁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ㆍ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무공을 세우고 수문장(守門將) 등을 지냄. 가사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정철(鄭澈)ㆍ윤선도(尹善道)와 함께 조선의 3대 시가인(詩歌人)으로 불림.
1561~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덕옹(德翁)@상득용 - 상득용(尙得容)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목천(木川). 장단(長湍) 출신. 영의정 상진(尙震)의 후손이며, 상동기(尙東耆)의 아들로, 화량진 첨사(花梁鎭僉使) 등을 지냄. 병서와 경사(經史)에 밝고, 천문ㆍ주수(籌數)에 능하였으며, 저서로 《성루합편(星漏合編)》등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무신
-
덕옹(德顒)@정덕옹 - 정덕옹(鄭德顒)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박여량(朴汝樑)ㆍ박경실(朴景實) 등과 절친하게 지냈으며, 그 내용이 정인홍(鄭仁弘)의 《내암집(來庵集)》〈제박지평여량문(祭朴持平汝樑文)〉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덕옹(德顒) - 현덕옹(玄德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무랑(宣務郞)을 지낸 현기(玄琦)의 아들이자, 영천 군수(永川郡守) 현덕량(玄德良)의 동생으로, 보은 현감(報恩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덕완군(德完君) - 철종(哲宗)@조선
조선 제25대 국왕. 재위 1849~1863. 정조(正祖)의 동생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의 셋째 아들. 헌종(憲宗)의 뒤를 이어 즉위함.
1831~186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덕왕(德王) - 덕종(德宗)@고려
고려 제9대 왕. 재위 1031~1034. 천리장성(千里長城)을 쌓았고, 현종(顯宗)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함.
1016~103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덕요(德曜) - 맹광(孟光)
중국 후한(後漢) 때의 열녀(烈女). 양홍(梁鴻)의 아내로,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 치마를 입는 등 검소하였으며, 남편을 지성으로 섬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
-
덕요(德耀) - 윤황(尹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윤창세(尹昌世)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내고, 정묘호란(丁卯胡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함.
1571~163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덕용(德勇) - 조임도(趙任道)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문묘 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는 정인홍(鄭仁弘)을 규탄함.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천거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냄.
1585~16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
-
덕용(德容)@유함 - 유함(兪涵)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기계(杞溪). 호조 판서(戶曹判書) 유강(兪絳)의 아들로, 유진(兪縝)에게 출계(出系)하였으며, 1552년(명종 7)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덕용(德容) - 김범(金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내고, 만년에 주자학에 전심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512~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
-
덕용(德容)@주인궤 - 주인궤(朱仁軌)
중국 당(唐) 나라의 효자. 벼슬을 사양하고 부모를 봉양하고 살면서 자식들에게는 일생 동안 남에게 밭두둑을 양보해도 1묘(畝)의 밭도 손실되는 것이 아니라고 훈계하였음. 주희(朱熹)의 〈무원다원주씨세보서(婺源茶院朱氏世譜序)〉에 의하면 금릉 주씨(金陵朱氏)의 시조라고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덕용(德用)@나덕용 - 나덕용(羅德用)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금성(錦城).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나무춘(羅茂春)의 아버지로 장악원 정(掌樂院正)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덕용(德用) - 심명세(沈命世)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청운군(靑雲君)에 봉해졌으며,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호종함.
1587~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덕우(德佑) - 민순량(閔純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봉선전 참봉(奉先殿參奉) 민구(閔球)의 아들이며, 병조 참판(兵曹參判) 민준(閔濬)의 아버지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개령 현감(開寧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덕우(德優)@기대유 - 기대유(奇大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기효간(奇孝諫)ㆍ기효근(奇孝謹)의 아버지.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사촌이며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진용교위(進勇校尉)에 올랐고 고흥군(高興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무신
-
덕우(德優) - 신영희(辛永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산(靈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직산(稷山)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함.
1442~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덕우(德祐) - 공종(恭宗)
중국 송(宋) 나라 제16대 황제. 재위 1274~1276. 몽고(蒙古)의 침략 때 항복하고 잡혀감.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덕우제(德祐帝) - 공종(恭宗)
중국 송(宋) 나라 제16대 황제. 재위 1274~1276. 몽고(蒙古)의 침략 때 항복하고 잡혀감.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덕원(德元) - 나덕원(羅德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義兵)을 모집하여 명(明) 나라 제독(提督) 마귀(麻貴)를 도와 왜적을 격퇴함. 벼슬은 함안 현감(咸安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덕원(德原) - 영해(寧海)
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서쪽으로 진보(眞寶),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平海)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에 속함.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덕원(德源)@문승수 - 문승수(文承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개령(開寧). 문세욱(文世郁)의 아들로, 1573년(선조 6) 식년시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152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덕원(德源)@이수인 - 이수인(李守仁)@이옥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옥천군(玉泉君) 이옥(李沃)의 아들로, 봉림수(鳳林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덕원(德遠)@정천령 - 정천령(鄭千齡)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권은(權殷)ㆍ박수춘(朴壽椿)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덕원(德遠) - 장준(張浚)
중국 송(宋) 나라의 무신. 남헌(南軒) 장식(張栻)의 아버지로, 고종(高宗) 때 선무사(宣撫使)로 나라의 회복에 뜻을 두고 금(金) 나라의 세력을 막다가 진회(秦檜)에 의해 폄적(貶謫)됨.
1097~11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덕원(德遠)@정인홍 - 정인홍(鄭仁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조식(曺植)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大北)을 영도하여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참형됨.
153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덕원군(德原君)@기대승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덕원군(德原君) - 김창(金敞)
고려 후기의 문신.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이종사촌으로, 덕원군(德原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덕원부수(德源副守) - 이팽복(李彭福)
조선 전기의 종실. 영성수(寧城守) 이경생(李敬生)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덕유(德孺) - 이연종(李衍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가리((加利). 이승휴(李承休)의 아들로, 감찰대부(監察大夫) 등을 역임하였으며, 부친의 문집인 《동안거사집(動安居士集)》을 초간(初刊)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덕유(德裕)@김기후 - 김기후(金基厚)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천(順天). 김윤안(金允安)의 아들로, 숙부(叔父)인 김윤문(金允文)에게 출계(出系)함. 1627년(인조 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82~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덕유(德裕)@임덕유 - 임덕유(任德裕)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서하부원군(西河府院君) 임자송(任子松)의 아들.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내고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연천 , 인명>관인>문신
-
덕유(德裕)@권덕유 - 권덕유(權德裕)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주 목사(公州牧使)를 지낸 권박(權博)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권극례(權克禮)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덕유(德裕)@조덕유 - 조덕유(趙德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조선 개국공신인 조준(趙浚)과 조견(趙狷)의 아버지로, 판도판서(版圖判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덕유(德裕)@이덕유 - 이덕유(李德裕)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아버지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파와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 폐불(廢佛)을 단행함.
787~84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덕유(德裕) - 손영제(孫英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많은 사재를 희사하여 도산서원(陶山書院) 건립에 크게 이바지함. 저서로 《추천집(鄒川集)》이 있음.
1521~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덕윤(德潤)@나덕윤 - 나덕윤(羅德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광해군 즉위 후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ㆍ감찰(監察) 등을 지냄.
155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덕윤(德潤)@이덕윤 - 이덕윤(李德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좌찬성(左贊成) 이파(李坡)의 아들이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이청(李淸)의 아버지. 상서원 부직장(尙瑞院副直長) 등을 지냈으며, 병조 참판 겸 동지의금부사(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덕윤(德潤) - 손부(孫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손순효(孫舜孝)의 아들이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손주(孫澍)의 아우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덕윤(德潤)@권덕윤 - 권덕윤(權德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종형(從兄)으로 단양 훈도(丹陽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덕윤(德潤)@홍덕윤 - 홍덕윤(洪德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홍이평(洪以平)의 아들이며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홍인경(洪仁慶)의 아버지로,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덕윤(德胤)@오수채 - 오수채(吳守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창(高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오충학(吳沖鶴)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덕윤(德胤)@강덕윤 - 강덕윤(姜德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형 강종윤(姜宗胤)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錄勳)됨.
15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덕윤(德胤) - 최복남(崔福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성균진사(成均進士)를 지낸 최언린(崔彥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45~160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덕은(德恩) - 은진(恩津)
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강경산(江景山)․황화산(皇華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음.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충청도>은진 , 지명>행정지명
-
덕은(德殷) - 은진(恩津)
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강경산(江景山)․황화산(皇華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음.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충청도>은진 , 지명>행정지명
-
덕은군(德恩君) - 송기수(宋麒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정미사화(丁未士禍)로 사사(賜死)된 송인수(宋麟壽)의 종제(從弟). 명종(明宗) 때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덕은도정(德恩都正) - 이납(李蒳)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자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덕은송씨(德恩宋氏) - 은진송씨(恩津宋氏)
고려 때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진 송대원(宋大原)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집단>성씨
-
덕은송씨(德殷宋氏) - 은진송씨(恩津宋氏)
고려 때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진 송대원(宋大原)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집단>성씨
-
덕은임씨(德恩林氏) - 은진임씨(恩津林氏)
중국 당(唐) 나라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 동래(東來)한 임팔급(林八及)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말 태상박사(太常博士)를 지낸 임성근(林成槿)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집단>성씨
-
덕응(德應) - 이덕응(李德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윤임(尹任)의 사위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안세우(安世愚) 등의 무고를 받아 이휘(李煇)ㆍ이염(李爓)과 함께 효수(梟首)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덕이(德彛) - 봉륜(封倫)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원래 수(隋)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당에 귀화함. 태종(太宗)이 치세(治世)의 방법을 묻자 시무(時務)에 입각한 형법설(刑法說)을 주장함.
568~627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덕이(德而) - 박창윤(朴昌潤)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무신. 본관은 태안(泰安). 황해도 수군절도사(黃海道水軍節度使) 등을 지냄.
1658~172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덕익(德益) - 이덕익(李德益)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이우(李瑀)ㆍ구사민(具思閔)ㆍ노국형(盧國亨)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덕인(德寅) - 익종(翼宗)
조선 제23대 순조(純祖)의 세자. 1827년(순조 27) 순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하였으나 4년 만에 죽음. 아들 헌종(憲宗)이 즉위 후 익종으로 추존함.
1809~18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덕일(德馹) - 방덕일(房德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방처인(房處仁)과 방득인(房得仁)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덕장(德璋)@김덕장 - 김덕장(金德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구사맹(具思孟)ㆍ이이(李珥)ㆍ이우(李瑀) 등과 교유하여, 《팔곡집(八谷集)》ㆍ《율곡전서(栗谷全書)》ㆍ《옥산시고(玉山詩稿)》에 시(詩)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덕장(德璋) - 공규(公珪)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포(金浦). 공자유(公子由)의 아들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 등을 역임하였고,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덕장(德璋)@윤환 - 윤환(尹瓛)
조선 중중(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와 고산(孤山)을 유람할 때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덕장(德璋)@박찬 - 박찬(朴璨)@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역임함.
1470~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덕재(德哉)@이의현 - 이의현(李宜顯)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으로,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의 아들. 정미환국(丁未換局) 때 파직되었으나 이인좌(李麟佐)의 무신란(戊申亂) 때 다시 기용되어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냄. 노론(老論)의 영수로 추대되고, 저서로 《도곡집(陶谷集)》이 있음.
166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덕재(德哉) - 남유용(南有容)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남용익(南龍翼)의 증손.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양관(兩館) 대제학(大提學)과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냈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음.
1698~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덕재(德載)@김초 - 김초(金軺)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도(珍島). 충무위 사용(忠武衛司勇)을 지낸 김천손(金千孫)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덕재(德載)@서후 - 서후(徐厚)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학문이 뛰어나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사유(師儒)에 뽑히기도 하였으나 조광조를 비판하여 사림(士林)의 원망을 받음. 군무(軍務)에 큰 관심을 기울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덕재(德載) - 이후원(李厚遠)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둔촌(遁村) 이집(李集)의 10대손으로, 이집(李集)의 문집 《둔촌잡영(遁村雜詠)》을 개간했음. 문집으로 《시천집(詩川集)》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덕재(德齋) - 신천(辛蕆)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안향(安珦)의 문인으로 스승을 문묘(文廟)에 종사하게 하였으며, 지공거(知貢擧)를 거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3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덕전(德全) - 오세재(吳世才)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고창(高敞). 해좌칠현(海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와 서예에 능함. 명종 때 과거에 급제했으나 관로에는 오르지 못함.
113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