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당감(唐鑑)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역사가인 범조우(范祖禹)가 찬한 역사서. 당(唐) 나라 고조(高祖)부터 소종(昭宗)ㆍ선종(宣宗)까지의 역사의 대강을 적고 논평을 가함. 12권이었으나 여조겸(呂祖謙)이 주를 달고 24권으로 나눔.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당개(唐介)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명신(名臣).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서 재상 문언박(文彦博)을 탄핵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당경(唐庚)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시인. 시문(時文)에 능하여 당시 ‘소동파(小東坡)’로 불렸으며, 저서로 《당자서문록(唐子西文錄)》 등이 있음.
1071~11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당고(唐皐)
조선 중종(中宗) 때 명(明) 나라에서 온 사신(使臣). 1521년(중종 16) 명 나라의 신황제등극반조정사(新皇帝登極頒詔正使)로 다녀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당고지화(黨錮之禍)
중국 후한의 환제(桓帝)~영제(靈帝) 때 환관들의 무고로 이응(李膺)ㆍ진번(陳蕃) 등의 학자와 수많은 태학생(太學生)들을 금고(禁錮)에 처하여 벼슬길을 막아 버린 사건. 이후 환관이 실권을 장악함.
166~167 중국>후한 , 중국 , 사건>사화
-
당도(唐都)
중국 전한 무제(武帝) 때의 학자. 사마천(司馬遷)의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에게 천문학을 가르쳤으며, B.C.104년 사마담 등과 함께 역법(曆法)을 개혁하여 태초력(太初曆)을 만듦.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당병(唐秉)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秦) 말의 혼란을 피하여 은거하였다가 신선이 되었다는 상산사호(商山四皓) 중의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국 당(唐) 나라의 한유(韓愈)ㆍ유종원(柳宗元), 송(宋) 나라의 구양수(歐陽脩)ㆍ소순(蘇洵)ㆍ소식(蘇軾)ㆍ소철(蘇轍)ㆍ증공(曾鞏)ㆍ왕안석(王安石) 등 질박(質朴)한 선진(先秦)ㆍ양한(兩漢)의 고문(古文)을 지향한 8명의 산문작가의 총칭.
중국>송ㅣ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당양서(唐良瑞)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송(宋) 나라의 학자 김이상(金履祥)이 지은 염락풍아(濂洛風雅)를 편차(編次)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당인(唐寅)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화가ㆍ문인. 주신(周臣)의 제자로, 남종화(南宗畵)와 북종화(北宗畵)를 융합하여 이후 오파(吳派)의 문인화풍(文人畵風)에 영향을 주고, 문장에도 뛰어나 《당인집(唐寅集)》을 남김.
1470~1523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당인집(唐寅集)
중국 명(明) 나라의 화가ㆍ문인인 당인(唐寅)의 문집. 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당재기(唐載記)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문신인 매요신(梅堯臣)이 지은 책. 26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당주서원(溏洲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건립한 서원. 현종(顯宗) 때 사액(賜額)되고, 노진(盧禛)ㆍ정희보(鄭希輔)를 배향함.
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당진(唐津)
충청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郡) 이름. 백제의 벌수지현(伐首只縣)으로, 신라 때 당진현으로 고쳐 해성군(槥城郡)의 속현으로 삼았으며 조선 태종(太宗) 때부터 현감을 둠.
한국>신라 , 충청도>당진 , 지명>행정지명
-
대^소(大^小)
《대학(大學)》과 《소학(小學)》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대가야(大伽倻)
육가야(六伽倻) 가운데 현재의 경상북도 고령(高靈) 지역에 있던 부족국가. 562년 신라의 침입으로 멸망함.
42~562 한국>가야 , 경상도>고령 , 시간>국명
-
대각서원(大覺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건립한 서원. 하항(河沆)ㆍ손천우(孫天佑)ㆍ김대명(金大鳴)ㆍ하응도(河應圖)ㆍ이수(李壽)ㆍ유종지(柳宗智)ㆍ하수일(河受一)을 배향함. 1869년(고종 6)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됨.
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대계서원(大溪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전라도 보성(寶城)에 건립한 서원. 1704년(숙종 30)에 사액되었으며, 안방준(安邦俊)을 배향함.
165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대고산(大孤山)
중국 강서성(江西省) 구강현(九江縣) 동남쪽의 팽려호(彭蠡湖)에 있는 산 이름. 소고산(小孤山)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으며 산세가 신발을 닮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대곡길계(大谷吉繼)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그곳 병력이 적은 것을 염려해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59~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대곡집(大谷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성운(成運)의 문집. 1596년(선조 29) 문인이자 처질(妻姪)인 김가기(金可幾)가 시집(詩集)을 수집하여 간행하려 하였으나 이루지 못하고, 1603년(선조 36) 아들 김덕민(金德民)이 충청도 관찰사 유근(柳根)의 협조로 3권 1책으로 간행함.
160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관대(大觀臺)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사천(泗川) 구암리(龜巖里) 만죽산(萬竹山)에 건립한 대(臺) 이름. 이정(李楨)이 그 아래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많은 제자들과 함께 학문을 강론함. 본래 이름은 정관대(靜觀臺)였으나 이황(李滉)이 고쳐 불렀다고 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유적>건물>사제
-
대관령(大關嶺)
강원도 강릉(江陵)과 평창(平昌)의 경계에 있는 고개 이름. 영동(嶺東)과 영서(嶺西)를 잇는 관문 역할을 함.
강원도>평창ㅣ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대구(大丘)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 경상도 감영(監營)이 설치되어 영남지방의 중심지가 됨. 1780년(정조 4) 이후로 공자(孔子)의 이름을 피휘(避諱)하여 대구(大邱)로 쓰기 시작함.
경상도>대구 , 지명>행정지명
-
대구화상(大矩和尙)
통일신라 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승려. 888년(진성여왕 2)에 왕명으로 각간(角干) 위홍(魏弘)과 함께 향가를 수집하여 《삼대목(三大目)》을 편수함.
한국>통일신라 , 인명>종교인>승려
-
대규(戴逵)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ㆍ학자.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謝安)ㆍ사현(謝玄)ㆍ왕순(王珣)ㆍ왕휘지(王徽之) 등에게 존경을 받음.
?~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대내의륭(大內義隆)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무장. 서부(西部) 제일의 영주로 막강한 세력가였으나 가신(家臣)인 도정현(陶睛賢)의 배신으로 죽음.
1507~1551 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대당개원례(大唐開元禮)
중국 당(唐) 나라의 예제(禮制)를 규정한 책. 150권. 현종(玄宗)의 개원(開元) 연간에 소숭(蕭嵩) 등이 황제의 명을 받아, 태종(太宗) 때의 《정관례(貞觀禮)》와 고종(高宗) 때의 《현경례(顯慶禮)》를 절충하여 당대의 오례(五禮) 제도를 완비시킴.
712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대당중흥송(大唐中興頌)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원결(元結)이 안녹산(安祿山)의 난(亂)이 진압된 뒤 숙종(肅宗)의 공덕(功德)을 송축하며 지은 글. 호남성(湖南省) 기양(祁陽)의 오계(浯溪) 암벽 위에 새겨져 있음.
761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대대례(大戴禮)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인 대덕(戴德)이 편찬한 예서(禮書). 유향(劉向)이 엮은 《예기(禮記)》 214편을 간추려 85편으로 축약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대덕(戴德)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 박사(博士)를 지냈으며, 유향(劉向)이 엮은 《예기(禮記)》 214편을 줄여 《대대례(大戴禮)》 85편을 저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동강(大同江)
평안남도 낭림산맥(狼林山脈) 서쪽에서 발원, 남서류(南西流)하여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대동법(大同法)
조선 선조(宣祖) 때부터 공물(貢物)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납세 제도. 1608년(선조 41) 이원익(李元翼)의 건의로 경기(京畿)에서 먼저 실시되었고, 이후 점차 확대 실시되다가 1708년(숙종 34) 함경도와 평안도 이외의 전국에서 실시됨.
1608~189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대동야승(大東野乘)
조선 개국 초부터 인조(仁祖) 때까지 역사 관계의 만록(漫錄)ㆍ야사(野史)ㆍ일기ㆍ전기ㆍ수필ㆍ설화 등을 총집한 책. 총 72권 72책. 편자 미상.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문해(權文海)가 원(元) 나라 음유우(陰幼遇)의 《운부군옥(韻府群玉)》을 모방해 편찬한 백과사전. 단군(檀君)부터 선조까지 지리(地理)ㆍ역사(歷史)ㆍ인물(人物)ㆍ문학(文學)ㆍ산물(産物) 등을 운별(韻別)로 배열하였으며, 1836년(헌종 2)에 완간됨. 목판 20권 20책.
183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려(大呂)
중국 주(周) 나라 종묘(宗廟)에 설치한 종(鍾). 구정(九鼎)과 함께 천하의 보기(寶器)로 여겨지며, 천자(天子)의 존위(尊位)를 상징함.
중국>주 , 중국 , 물품>기타용품>의례용품
-
대루원기(待漏院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왕우칭(王禹偁)이 지은 기문(記文). 대루원(待漏院)의 벽에 재상이 힘써야 할 일을 써서 붙인 글로, 신하에게 귀감이 되는 글로 전해져 옴.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대릉하(大凌河)
중국 요녕성(遼寧省) 북쪽의 노노아호산(努魯兒虎山)과 남쪽의 흑산(黑山)에서 발원하여 서부의 강줄기를 합쳐 요동만(遼東灣)으로 흘러드는 강.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대마도(對馬島)
일본 장기현(長崎縣)에 속한 섬 이름. 한국과 일본의 중계지(中繼地) 역할을 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 수군의 근거지였음.
일본 , 지명>자연지명
-
대마도정벌(對馬島征伐)
왜구(倭寇)의 소굴인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한 일. 좁게는 1419년(세종 1) 6월 이종무(李從茂)의 정벌을 말하나, 넓게는 고려 말 창왕(昌王) 때와 조선 초 태조(太祖) 때의 정벌까지도 포함하여 이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사건>전쟁
-
대명률(大明律)
중국 명(明) 나라의 기본 법전.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이 직접 감독하여 1367년 제정하였으며, 당률(唐律)ㆍ송률(宋律)ㆍ전제(田制)를 계승하여 6률(六律)이라는 새로운 격식을 창조함. 주석서로 《율해변의(律解辯擬)》ㆍ《율조소의(律條疏議)》ㆍ《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등이 있음.
1367 중국>명 , 중국 , 법제>법률
-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중국 명(明) 나라 때 이현(李賢)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90권. 《환우통지(寰宇通志)》를 요약하여 만듦.
1461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대명회전(大明會典)
중국 명(明) 나라 때 서박(徐薄)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法制)를 집대성한 행정법전(行政法典). 전 180권.
15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대목왕후(大穆王后)
고려 제4대 왕인 광종(光宗)의 비(妃). 태조 왕건(王建)의 셋째 딸로, 956년(광종 7) 광종이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을 실시하려 할 때 실시를 중지할 것을 건의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ㅣ인명>왕실>왕비
-
대무신왕(大武神王)
고구려의 제3대 왕. 재위 18~44. 유리왕(瑠璃王)의 셋째 아들. 동부여(東扶餘)를 공격하여 대소왕(帶素王)를 죽이고 고구려에 병합하였고, 국토를 살수(薩水) 이북까지 확대하였으며, 왕자 호동(好童)을 시켜 낙랑군(樂浪郡)을 정벌하는 등 많은 나라를 공략하여 무공을 세움.
4~44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대보단(大報壇)@가평
경기도 가평군 조종암(朝宗巖)에 있는 제단(祭壇). 창덕궁(昌德宮) 금원(禁苑) 내의 대보단에서 유래되었으며, 명(明) 나라가 임진왜란 당시에 원병을 보내준 우의에 대한 보답으로 세움.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가평 , 유적>건물>사당
-
대보단(大報壇)@서울
조선 후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원군(援軍)을 보낸 명(明) 나라 신종(神宗)의 은의(恩義)를 기리기 위해 1704년(숙종 30) 창덕궁(昌德宮) 금원(禁苑) 옆에 설치한 제단(祭壇). 명 나라 태조(太祖)ㆍ신종ㆍ의종(毅宗)을 제사지냄.
17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유적>건물>사당
-
대복고(戴復古)
중국 송(宋) 효종(孝宗)~이종(理宗) 때의 시인. 강호파(江湖派)의 대표적 시인으로서 유명하며, 한때 대시인(大詩人) 육유(陸游)에게서 시를 배움.
116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대봉서원(大峯書院)
조선 헌종(憲宗) 때 경상도 영덕(盈德)에 건립한 서원. 1835년(헌종 1)에 충현사(忠賢祠)라는 이름으로 세웠으나 1847년(헌종 13) 대봉서원으로 개칭함. 권자신(權自愼)을 배향함.
18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덕 , 유적>건물>서원,향교
-
대봉집(大峰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양희지(楊熙止)의 문집. 10대손 양락(楊濼)이 1787년(정조 11)에 4권 2책으로 간행함.
178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불승(戴不勝)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송 나라 왕을 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 설거주(薛居州)라는 선사(善士)를 왕에게 천거함. 설거주 한 사람의 힘으로는 왕을 선(善)으로 인도하기 어렵다는 내용이 《맹자(孟子)》 등문공 하(滕文公下)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대사헌(大司憲)
고려~조선시대 사헌부(司憲府)의 장관. 정사(政事)를 논하고 백관(百官)을 감찰하여 기강을 진작하는 등의 업무를 맡았으며, 집의(執義)ㆍ장령(掌令)ㆍ지평(持平)ㆍ감찰(監察) 등의 관원을 감독하고 통솔함.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대산실기(大山實記)
조선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치명(柳致明)이 지은 책. 병호시비(屛虎是非) 때에 호론(虎論)을 대변하는 책이었는데, 병호 간의 보합을 꾀하던 흥선대원군에 의해 병론(屛論)을 대변하는 《여강지(廬江誌)》와 함께 관정에서 파판(破板)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산집(大山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상정(李象靖)의 문집. 조카인 이우(李㙖)에 의해 1802년(순조 2) 52권 27책으로 간행됨.
180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선원(大仙院)
일본 경도(京都)의 선종(禪宗) 사원인 대덕사(大德寺) 경내에 있는 수도원. 15세기 후반 모래와 돌만으로 바다의 경치를 나타낸 ‘평정고산수(平庭故山水)’ 정원 등이 조성됨. 김성일(金誠一)의 연보에 이곳을 방문한 기록이 있음.
일본 , 유적>건물>사찰
-
대성(戴聖)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 숙부 대덕(戴德)이 엮은 《대대례(大戴禮)》 85편을 간추려 《소대례(小戴禮)》 49편을 편찬함. 이 《소대례》가 곧 오늘날 전해지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성전(大成殿)
문묘(文廟)의 정전(正殿)에 해당하는, 공자(孔子)의 위패(位牌)를 모시는 전각(殿閣). 공자를 중앙에 모시고 안자(顔子)ㆍ증자(曾子)ㆍ자사(子思)ㆍ맹자(孟子) 등 네 성인(聖人)을 좌우에 모셔 합사(合祀)함.
유적>건물>사당
-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조종도(趙宗道)의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손자 조징성(趙徵聖)ㆍ조징천(趙徵天)과 증손 조숙(趙璹)이 유문을 수집하였으며, 이광정(李光庭)이 교정ㆍ편차하여, 1769년(영조 45) 7세손 조휘진(趙輝晉)이 간행함.
17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
중국 송(宋) 나라의 진팽년(陳彭年)ㆍ구옹(邱雍) 등이 황명으로 편찬한 운서(韻書). 수대(隋代) 육법언(陸法言)이 지은 《절운(切韻)》을 증보한 것으로, 206운(韻)으로 분류함. 5권.
1011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신라 때의 고승인 원효(元曉)가 대승불교의 개론서인 인도 마명(馬鳴)의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주석한 책. 2권 1책.
한국>신라 , 문헌>서명
-
대승폭포(大勝瀑布)
강원도 인제군(麟蹄郡) 북면(北面)에 있는 폭포 이름. 금강산(金剛山)의 구룡폭포(九龍瀑布), 개성(開城)의 박연폭포(朴淵瀑布)와 함께 우리나라 3대 폭포로 일컬어짐. 맞은편 반석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양사언(楊士彦)의 ‘구천은하(九天銀河)’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음.
강원도>인제 , 지명>자연지명
-
대여(岱輿)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산 이름. 발해(渤海)의 동쪽에 있다는 오도(五島) 중의 하나. 표류하여 다녀서 정처가 없다고 함.
고대 ,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대완국(大宛國)
고대 중앙아시아에 있던 나라 이름. 아라비아의 중국식 이름으로, 명마(名馬)가 산출되었다고 함.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중앙아시아로 진출하기 위해 이광리(李廣利)를 파견하여 이곳으로 원정을 단행함.
고대 , 기타지역 , 시간>국명
-
대왕암(大王巖)
경상북도 경주시(慶州市) 양북면(陽北面) 앞바다에 있는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의 수중릉.
681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능묘
-
대왕포(大王浦)
충청남도 부여(扶餘)의 금강(錦江)가에 있던 포구(浦口) 이름. 백제 무왕(武王)의 유람지로 전해짐.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대우집(大愚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여조검(呂祖儉)의 문집. 1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대원사(大原寺)
백제 무령왕(武寧王) 때 전라도 보성(寶城) 천봉산(天鳳山)에 건립한 사찰. 송광사(松廣寺)의 말사. 503년(무령왕 3) 아도(阿道)가 ‘죽원사(竹原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고, 통일신라 때 오교구산(五敎九山) 중 열반종(涅槃宗)의 8대 가람 중 하나였으며, 고려 때 대원사(大原寺)로 개칭함.
503 한국>백제 , 전라도>보성 , 유적>건물>사찰
-
대월(大越)
베트남의 3대 왕조(王朝) 가운데 첫 번째 왕조. 1010년 이온공(李蘊公)이 하노이(河內)에 도읍하여 세웠으며 아들인 태종(太宗)이 국호를 대월(大越)이라 함. 최초의 안정된 베트남 왕조로 근대 베트남 왕조의 특징이 이 시기에 형성됨.
기타지역 , 시간>국명
-
대유(大有)
고려 우왕(禑王) 때 일본에서 온 승려(僧侶). 일본에 사신으로 갔던 정몽주(鄭夢周)를 따라 들어옴.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대유학수(大儒學粹)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위시량(魏時亮)의 저서. 9권. 주돈이(周敦頤)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ㆍ주희(朱熹)ㆍ육구연(陸九淵)ㆍ설선(薛瑄)ㆍ진헌장(陳獻章)ㆍ왕수인(王守仁) 등 아홉 학자의 말을 각각 권별(卷別)로 엮음.
1588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대윤(大尹)
조선 인종(仁宗) 때에 세도정치를 하던 외척 윤임(尹任) 일파를 지칭하는 말. 경원대군(慶元大君)의 세자 책봉 문제를 둘러싸고 윤원형(尹元衡)의 소윤(小尹) 일파와 치열한 암투를 벌이다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모두 축출됨.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핵심어
-
대은병산(大隱屛山)
중국 무이산(武夷山)의 만정봉(幔亭峯)에 위치한 산 이름. 주희(朱熹)가 명명한 무이구곡(武夷九曲) 중의 하나로, 조선시대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해주(海州)에 은거하며 이곳에서 이름을 따와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지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대장(大章)
중국 고대 우(禹) 임금 때의 인물. 걸음이 빨라서 우 임금이 그에게 동극(東極)에서 서극(西極)까지 걸음 수를 헤아리게 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대장각(大藏閣)
경기도 여주(驪州) 신륵사(神勒寺)에 있었던 건물 이름. 고려 우왕(禑王) 때 이숭인(李崇仁)이 2층 형태로 건립하고, 이색(李穡)과 혜근(惠勤)의 제자들이 발원해 만든 대장경(大藏經)을 봉안하였음.
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누정
-
대전속록(大典續錄)
조선시대 기본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 반포 이후 성종(成宗) 22년(1491)까지의 새로운 수교(受敎)와 법규(法規)를 수집하여 편찬한 법전. 6권 1책. 목판본.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대전통편(大典通編)
조선 정조(正祖) 때 김치인(金致仁) 등이 왕명으로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원전(原典)으로 하여 편찬한 법전. 《경국대전》과 《속대전(續大典)》 이후의 수교(受敎)를 대전 체재에 따라 통편(通編)함. 6권 5책.
178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대전회통(大典會通)
조선 고종(高宗) 때 편찬한 조선시대 마지막 법전. 6권 5책. 목판본. 1865년(고종 2) 왕명에 따라 조두순(趙斗淳)ㆍ김병학(金炳學) 등이 편찬함.
186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
조선 중종(中宗) 때 윤은보(尹殷輔) 등이 왕명으로 편찬한 법전. 《대전속록(大典續錄)》 이후 1542년(중종 37)에 이르는 수교(受敎)들을 대전 체재에 따라 편찬하여 1543년(중종 38)에 간행함. 6권 1책.
154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대제(大帝)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222~252. 형 손책(孫策)의 뒤를 이어 강동(江東)을 차지하고, 유비(劉備)와 동맹하여 조조(曹操)를 적벽(赤壁)에서 무찌름.
182~25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대종(代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762~779. 안사(安史)의 난(亂) 때 공을 세웠으나, 당 나라는 대종 때부터 점차 쇠망의 길로 접어듦.
726~77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대종(戴宗)
고려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 제6대 왕인 성종(成宗)의 생부. 성종이 즉위하여 추존함.
?~96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대주(代州)
중국 산서성(山西省) 동북부에 위치하는 고을 이름. 지세가 험하여 중국 고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군사 요새 중의 하나였으며, 이목(李牧)ㆍ설인귀(薛仁貴)ㆍ곽자의(郭子儀)ㆍ양업(楊業) 등의 역대 명장들이 이곳의 수장을 지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대주도금(大主刀金)
후백제(後百濟)의 시조인 견훤(甄萱)의 누이.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종친
-
대주용부(大酒容賦)
중국 남북조시대 서량(西涼)의 초대 왕인 양무소왕(涼武昭王)이 지은 부(賦). 병난이 빈번히 일어나 시속이 시끄러워 지은 것으로, 이로써 확 트인 감회를 드러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대지도론(大智度論)
인도의 승려ㆍ학자인 용수(龍樹)가 저술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백과사전적 저작으로, 용수의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은 없고,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한역본(漢譯本) 100권만이 전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대초왕문(對楚王問)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인 송옥(宋玉)이 지은 산문. 송옥과 양왕(襄王)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으며, 너무 고고한 삶을 사는 송옥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비유를 통해 변호하는 것이 주요 내용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대풍가(大風歌)
중국 한(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이 경포(黥布)를 토벌하고 고향인 패군(沛郡)에 들렀을 때, 난세에 천하를 평정하고 금의환향한 감회를 읊은 노래.
B.C.196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대학강의(大學講義)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약용(丁若鏞)이 《대학(大學)》을 강의한 내용을 기록한 책. 필사본. 1책. 1789년(정조 13) 문과에 장원하여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뽑힌 정약용이 왕명으로 창덕궁(昌德宮) 희정당(熙政堂)에서 《대학》을 강론하고 문신들의 질의에 응답한 내용을 기록함.
17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대학동자문(大學童子問)
조선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치명(柳致明)이 지은 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학석소(大學釋疏)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이 지은 《대학(大學)》의 주석서(註釋書).
157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대학연의(大學衍義)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덕수(眞德秀)가 지은 《대학(大學)》의 해설서. 6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마다 고현(古賢)의 언행을 인용하고 이에 고증(考證)을 첨가하여 논설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구준(丘濬)이 《대학연의(大學衍義)》를 보충하여 지은 경서(經書). 진덕수(眞德秀)의 《대학연의(大學衍義)》에서 밝히지 않은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에 대한 설명에 중점을 둠. 160권.
148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대학연의집략(大學衍義輯略)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이석형(李石亨) 등이 중국 송(宋) 나라 진덕수(眞德秀)의 《대학연의(大學衍義)》와 조선 전기의 신숙주(申叔舟) 등이 편집한 《고려사(高麗史)》에서 정치에 귀감이 될 만한 내용들을 뽑아 엮은 책. 21권 10책.
14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대학장구(大學章句)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대학(大學)》의 내용을 경(經) 1장(章), 전(傳) 10장으로 구별하여 주석(註釋)한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이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를 보완하여 만든 책. 목판본. 1책. 《대학장구》의 경(經)과 전(傳)에 편장(編章)의 서차(序次)를 바꾸고 새롭게 해석한 책으로, 1794년(정조 18)경 간행되었으며, 정조(正祖)의 어제서(御製序)와 노수신(盧守愼)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9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학중용해(大學中庸解)
중국 남송(南宋) 때의 학자인 채원정(蔡元鼎)이 지은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에 대한 주석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대학집주(大學集註)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대학(大學)》을 집주(集註)한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대학혹문(大學或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대학(大學)》의 각 장을 문답식으로 논변(論辯)한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