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성화(文聖和)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 문승조(文承祖)의 아들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세걸(文世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실린 〈도문사호(悼文士豪)〉라는 시(詩)의 원주에서 “탐라(耽羅)의 뛰어난 인물인데 요절했다”고 기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문사>유학
-
문세욱(文世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령(開寧). 현감(縣監) 문승수(文承洙)와 학유(學諭) 문승사(文承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개령 , 인명>문사>유학
-
문소왕(文昭王)
중국 오대십국 초(楚) 나라의 왕. 재위 932~947.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속명(文續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손관(文孫貫)의 아들이며, 문경동(文敬仝)의 아버지로, 전연사 직장(典涓司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수(文殊)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제불(諸佛)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왼쪽에 위치하며, 오른쪽의 보현(普賢)과 함께 석가를 양쪽에서 보필하는 협시보살(脇侍菩薩)로 일컬어짐.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문숭질(文崇質)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손무(文孫武)의 아들이자, 문걸(文傑)의 아버지. 부위(副尉)를 지냈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문승수(文承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개령(開寧). 문세욱(文世郁)의 아들로, 1573년(선조 6) 식년시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152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문승조(文承祖)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내의시랑(內議侍郞)을 지낸 문주백(文周伯)의 아들로, 대사마(大司馬)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암서원(文巖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봉화(奉化)에 건립된 서원. 1694년(숙종 20) 사액되었으며, 이황(李滉)ㆍ조목(趙穆)을 배향함.
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문언(文偃)
중국 당(唐) 말~오대(五代)의 선승(禪僧). 운문종(雲門宗)의 시조(始祖).
864~949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문언박(文彦博)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50년간 장상(將相)으로 있으면서 명성을 떨치고 서법(書法)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임.
1006~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옹(文翁)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 촉군(蜀郡)의 태수(太守)가 되어 촉민(蜀民)을 교화시키고 최초로 국립 학교를 창설함.
B.C.156~B.C.10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옹방(文翁坊)
중국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 남쪽에 있는 문묘가(文廟街)의 옛 이름. 동진(東晉)의 환온(桓溫)이 촉(蜀)을 칠 때 이 거리 어귀에 전한(前漢)의 문신인 문옹(文翁)을 기념하는 패루(牌樓)를 세운 데서 붙여진 이름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문옹사(文翁祠)
중국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에 있는 문옹(文翁)의 사당.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으로 촉군 태수(蜀郡太守)가 되어 교육 사업에 큰 공을 이룬 문옹을 기리기 위하여 백성들이 건립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문왕(文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89~B.C.675. 무왕(武王)의 아들로, 즉위 후 영(郢)으로 천도하고, 여러 나라를 정벌하여 영토를 확장하는 등 부국강병을 이룸. 화씨벽(和氏璧)의 진가를 인정한 고사로도 유명함.
?~B.C.67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원영화(文苑英華)
중국 송(宋) 나라 때 편찬된 시문선집(詩文選集). 천 권. 송사대서(宋四大書)의 하나로, 982년에 이방(李昉) 등이 칙명으로 편찬하여 987년에 완성하였는데, 남조(南朝)의 양(梁)으로부터 당(唐)까지의 시문 1만 9102편을 모아 수록함.
98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문위세(文緯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임계영(任啓英)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용담 현령(龍潭縣令)이 되었고, 정유재란 때에도 왜적을 무찌른 공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에 제수됨.
1534~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문유지(文有智)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조부로, 부사과(副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문유필(文惟弼)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덕병(德柄) 문극겸(文克謙)의 아들로, 추밀원사(樞密院使)ㆍ판삼사사(判三司事) 등을 지냄.
?~122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의(文義)
충청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쪽은 회인(懷仁), 남쪽은 회덕(懷德), 북쪽은 청주(淸州)와 접해 있으며, 송인수(宋麟壽) 등을 배향한 노봉서원(魯峯書院)이 있음. 현재는 충청북도 청주시(淸州市)에 속함.
충청도>문의 , 지명>행정지명
-
문익(文翼)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종 때 재상을 지낸 문공유(文公裕)ㆍ문공인(文公仁)의 아버지이며, 명종 때의 명재상 문극겸(文克謙)의 조부. 요(遼) 나라에 가서 원자(元子)의 책명(冊命)을 받아왔고, 배불(排佛)를 주장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익명(文益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이며,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형.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1558년(명종 13) 생진 양시(生進兩試)에 입격함.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문익세(文益世)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幼學). 백광훈(白光勳)과 함께 노수신(盧守愼)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문익점(文益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원(元) 나라에서 목화씨를 몰래 가져와서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고향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함.
132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문익주(文益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효렴(孝廉)으로 이후백(李後白)의 천거를 받아 낭천 현감(狼川縣監)ㆍ태인 현감(泰仁縣監)을 지냈으며, 청렴한 목민관으로 칭송받았음.
1535~160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문익형(文益亨)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이며,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형.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1552년(명종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문인걸(文仁傑)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장간공(章簡公) 문성화(文聖和)의 아들. 국자감 사업(國子監司業)ㆍ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며, 조정이 권신들에게 좌지우지되자 사직하고 가솔을 거느리고 지리산에 은거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인위(文仁渭)
고려 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정(文証)의 아들로, 김치양(金致陽)의 무리가 숙청될 때 강조(康兆)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하였으며,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등을 지냄.
?~1019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자수(文自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유궁(儒宮)ㆍ민고(民庫)ㆍ향약(鄕約) 등 고을의 규범을 만들어 현(縣)의 본보기가 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장궤범(文章軌範)
중국 송(宋) 나라 학자인 사방득(謝枋得)이 편찬한 산문선집(散文選集). 7권. 한(漢) 나라에서 송 나라까지의 명문장 69편을 뽑아 분석과 해설을 붙여 편집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문장창(文章昶)
고려 덕종(德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경간공(敬簡公) 문효제(文孝悌)의 아들로, 태위(太尉)ㆍ판리병부사(判吏兵部事)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문재자(文在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증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 심연(沈演)을 따라 의병을 일으켰고, 공을 세워 조정에서 선전관(宣傳官)으로 추천받았지만 나아가지 않음.
1602~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문정(文挺)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서북면 대장군(西北面大將軍行) 문지원(文智遠)의 아들로, 대도독(大都督)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문정(文正)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오산군(烏山君) 문장창(文章昶)의 아들. 수충 찬화공신(輸忠贊化功臣)에 책록되었고, 선종(宣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정(文証)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순평부원군(順平府院君) 문유필(文惟弼)의 아들로, 검교추밀원사(檢校樞密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정공유고(文貞公遺稿)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이자 부원군인 민유중(閔維重)의 유고집(遺稿集). 10권 10책. 필사본. 정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초본(草本)으로, 상소(上疏)ㆍ계사(啓辭)ㆍ헌의(獻議) 등의 공거문(公車文)과 서간(書簡)이 대부분임.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문제(文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추존 황제. 사마의(司馬懿)의 둘째 아들로 위(魏) 나라에서 대장군(大將軍) 등을 지내면서 촉한(蜀漢)을 멸망시켜 진왕(晉王)이 됨. 아들 사마염(司馬炎)이 원제(元帝)의 선양을 받아 진 나라를 세우고 황제로 추존함.
215~26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제(文帝)@남북조(북위)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추존 황제. 신원제(神元帝)의 아들로, 태자로 있을 때 중원의 문물을 배우고 귀국하였으나 누명으로 죽고, 그의 아들인 탁발의이(拓拔猗㐌)가 부족을 통일하여 환제(桓帝)가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제(文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 무제(武帝)의 아버지. 서위(西魏)의 재상으로 정권을 잡아 이호(李虎)ㆍ양충(楊忠) 등과 함께 8주국(八柱國)으로 불렸으며, 부병(府兵) 제도 등 관제와 법률을 정비하여 북주의 기초를 닦음. 후에 태조 문황제(太祖文皇帝)로 추존됨.
505~5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국왕
-
문제(文帝)@수
중국 수(隋)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81~604. 북주(北周) 정제(靜帝)에게서 왕위를 선양(禪讓) 받아 수 나라를 세우고 남조(南朝)의 진(陳)을 평정하여 남북조를 통일함.
541~604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제(文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220~226. 후한(後漢) 헌제(獻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위(魏)를 세움.
187~226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제(文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송(宋)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424~453. 귀족을 중용하고 문치(文治)를 위주로 하여 원가(元嘉)의 치세(治世)를 주도함.
407~45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제(文帝)@남북조(서위)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의 제1대 황제. 재위 535~551. 북위(北魏) 효문제(孝文帝)의 손자로, 선비족(鮮卑族)인 우문태(宇文泰)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 대통(大统) 연호를 사용함.
507~55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종(文宗)@조선
조선 제5대 왕. 재위 1450~1452.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
1414~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문종(文宗)@고려
고려 제11대 왕. 재위 1046~1083. 각종 법률 제정으로 내치(內治)를 다지고 국방ㆍ외교에도 힘썼으며, 유학을 장려하고 송(宋) 나라 문화를 수입하여 문화의 황금기를 이룸.
1019~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문종(文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13대 황제. 재위 1329~1332. 북방 영주파(領主派)가 추대한 태정제(泰定帝)가 죽자 연철목아(燕鐵木兒) 등 궁정관료파의 옹립으로 황제에 오름.
1304~1332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종(文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4대 황제. 재위 826~840. 형인 경종(敬宗)을 죽인 환관(宦官)들에 의해 옹립된 후 환관들의 횡포에 군권(君權)을 농단(壟斷)당함.
809~84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종(文種)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월왕(越王) 구천(句踐)의 대부(大夫).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 나라를 평정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문종실록(文宗實錄)
조선 제5대 문종(文宗) 연간의 역사 기록. 총 13권이었으나 제11권이 산일(散逸)되어 현재 12권만 전하며, 정인지(鄭麟趾)ㆍ정창손(鄭昌孫) 등이 편찬을 담당하여 1455년(단종 3)에 완성함.
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문주백(文周伯)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정간공(靖簡公) 문천강(文天降)의 아들로, 내의시랑(內議侍郞)ㆍ대사마(大司馬)ㆍ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주왕(文周王)
백제 제22대 왕. 재위 475~477. 개로왕(蓋鹵王)의 아들이며, 삼근왕(三斤王)의 아버지. 즉위 후 웅진(熊津)으로 천도하고 국방에 힘썼으나 실패하였으며, 병관좌평(兵官佐平) 해구(解仇)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그의 하수인에게 살해됨.
?~477 한국>백제 , 충청도>공주 , 인명>왕실>국왕
-
문중달(文仲達)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평서개국군(平西開國君) 문정(文挺)의 아들로, 이부 상서(吏部尙書)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지원(文智遠)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양간공(讓簡公) 문인걸(文仁傑)의 아들로, 서북면 대장군(西北面大將軍行)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문천(文川)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함경도>문천 , 지명>행정지명
-
문천강(文天降)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영평개국남(永平開國男) 문탁(文倬)의 아들로, 문하시중 찬성사(門下侍中贊成事)ㆍ태사(太師)ㆍ태부(太傅)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충사(文忠祠)
조선 순종(純宗) 때 충청도 영동(永同)에 건립된 사당. 한말(韓末)의 유학자이자 우국지사인 송병선(宋秉璿)ㆍ송병순(宋秉珣) 형제를 배향한 곳으로, 1966년에 지금의 대전광역시 동구(東區) 용운동(龍雲洞)으로 이전함.
1908 한국>근대 , 충청도>영동 , 유적>건물>사당
-
문탁(文倬)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문다성(文多省)의 아들로, 문하시랑 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ㆍ태사(太師)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태수(文泰洙)
한말(韓末)의 의병장. 본관은 창원(昌原). 1907년 정미조약(丁未條約) 체결 뒤 무주(茂朱)에서 의거하여 덕유산(德裕山)을 주요 무대로 영남ㆍ호남ㆍ호서 일대에서 활약하다 체포되어 숨짐.
1880~1913 한국>근대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문표집(文標集)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인 노조(盧肇)의 저서. 3권. 노조는 정사(政事)를 하는 여가에 저술 활동도 왕성하게 하여 《문표집》을 비롯한 많은 저술을 남김.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문할(文劼)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1563~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문헌서원(文憲書院)
황해도 해주(海州)에 있는 서원. 조선 명종(明宗) 때 주세붕(周世鵬)이 건립하고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최충(崔冲)을 배향함.
154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문헌서원(文獻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한산(韓山)에 건립한 서원.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어 광해군(光海君) 때 이색(李穡)의 구택(舊宅) 터에 옮겨 복원하고 사액하였으며, 이곡(李穀)ㆍ이색(李穡)ㆍ이종학(李種學)ㆍ이개(李塏)ㆍ이자(李耔)를 배향함.
15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문헌통고(文獻通考)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인 마단림(馬端臨)의 문물과 제도에 관한 저서. 348권. 상고시대로부터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까지의 문물제도의 연혁을 기술함.
1319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문협(文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1568년(선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5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문호영(文虎英)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증손으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낸 문홍달(文弘達)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홍규(文弘逵)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손자이며, 성광(醒狂) 문할(文劼)의 아들.
1582~16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문홍달(文弘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집의(執義)을 지낸 문려(文勵)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냄.
1572~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문홍운(文弘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성광(醒狂) 문할(文劼)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1612년(광해군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77~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유학
-
문화(文化)
황해도 삼천(三泉), 신천(信川) 서부, 안악(安岳) 남부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단군(檀君)의 전설이 깃들어 있으며 구월산(九月山)이 있는 곳으로 유명함.
황해도>문화 , 지명>행정지명
-
문화대훈(文華大訓)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 왕헌(王獻)ㆍ양수진(楊守陳)ㆍ예악(倪岳) 등이 칙명을 받들어 역대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을 모아 편찬한 책. 28권.
148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문화유씨(文化柳氏)
고려 태조(太祖) 때 익찬벽상공신(翊贊壁上功臣)에 서훈된 유차달(柳車達)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집단>성씨
-
문회서원(文會書院)
조선 전기에 황해도 배천(白川)에 건립한 서원. 1568년(선조 1)에 사액되었으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ㆍ조헌(趙憲)ㆍ박세채(朴世采)ㆍ안당(安瑭)ㆍ신응시(辛應時)ㆍ오억령(吳億齡)ㆍ김덕함(金德諴) 등을 배향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문효세자(文孝世子)
조선 제22대 정조(正祖)의 첫째 아들. 어머니는 의빈성씨(宜嬪成氏). 세 살 때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다섯 살의 나이로 요절함.
1782~178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문효제(文孝悌)
고려 목종(穆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문극유(文克裕)의 아들.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냈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후(文侯)@춘추전국(채)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의 제후. 재위 B.C.611~B.C.592. 장후(莊侯)의 아들이며, 경공(景公)의 아버지.
?~B.C.59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후(文侯)@춘추전국(魏)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제후. 재위 B.C.445~B.C.396. 무후(武侯)의 아버지로, B.C.403년에 주(周) 나라로부터 제후에 책봉됨. 단간목(段干木)ㆍ악양(樂羊) 등의 인재를 적소에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룩함.
?~B.C.39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희개(文希凱)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과 친분이 두터웠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공을 세웠음. 고창 현감(高敞縣監) 등을 지냈고, 사직 후 부춘정(富春亭)에서 만년을 보냄.
1550~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물계서원(勿溪書院)@안동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1661년(현종 2)에 창건하였으며, 김방경(金方慶)ㆍ김응조(金應祖)ㆍ김구용(金九容)ㆍ김양진(金揚震)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예천군(醴泉郡)에 속함.
16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물계서원(勿溪書院)@창녕
조선 영조(英祖) 때 경상도 창녕(昌寧)에 건립된 서원. 1712년(숙종 38) 성송국(成松國)의 사당을 세운 것이 시초로, 1729년(영조 5)에 서원으로 바꾸었으며, 성삼문(成三問)을 비롯한 창녕성씨(昌寧成氏) 중 역대 인물 21인을 배향함.
17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물암집(勿巖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륭(金隆)의 시문집(詩文集). 목판본. 5권 3책. 1774년(영조 50)에 작자의 후손인 김상건(金尙建)ㆍ김세완(金世椀) 등이 유문(遺文)을 수집, 편차하고, 이상정(李象靖)의 교정을 거쳐 간행함.
177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미강서원(湄江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마전(麻田)에 건립된 서원. 1693년(숙종 19)에 사액되었으며, 허목(許穆)을 배향함. 지금의 경기도 연천군(漣川郡)에 속함.
1691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마전 , 유적>건물>서원,향교
-
미불(米芾)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 등과 친교가 있었고, 미점법(米點法)이라는 독자적인 점묘법(點描法)을 창시함.
1051~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미성(尾星)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여섯째 별자리의 별들. 기성(箕星)과 함께 동쪽에 자리함.
자연물>천체
-
미암일기(眉巖日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희춘(柳希春)의 친필 일기. 필사본. 본래 14책이었으나 11책만이 현존함. 1567년(선조 즉위) 10월 1일부터 1577년(선조 10) 5월 13일까지 약 10년간의 일기로, 조선시대 개인의 일기 중 가장 방대하며 《선조실록(宣祖實錄)》을 편찬할 때 사료로 이용됨.
1567~157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미암집(眉巖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희춘(柳希春)의 문집. 21권 10책. 1850년(철종 1) 9대손 유경심(柳慶深)이 수집한 시문(詩文)과 《미암일기(眉巖日記)》를 기정진(奇正鎭)이 산정(刪定)ㆍ교정(校訂)하고, 1869년(고종 6) 사손(祀孫) 유정식(柳廷植)이 초간함.
18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문헌>서명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미원서원(迷源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양근(楊根)에 건립한 서원.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김육(金堉)ㆍ남언경(南彦經)ㆍ이제신(李濟臣)ㆍ김창흡(金昌翕) 등을 배향함. 지금의 경기도 가평군(加平郡)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미월(眉月)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한수(韓脩)ㆍ원천석(元天錫)ㆍ권근(權近) 등과 시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미자(微子)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의 서형(庶兄). 주(周) 나라 성왕(成王)이 무경(武庚)의 난을 평정한 뒤 송(宋) 나라에 봉하고 은(殷) 나라의 제사를 맡김. 기자(箕子)ㆍ비간(比干)과 함께 은 나라의 3인(仁)으로 일컬어짐.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미자하(彌子瑕)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영공(靈公)이 총애한 미남(美男)의 신하로, 충신 사추가 죽어서도 시체로서 간하여 이에 감동한 위군(衛君)이 미자하를 물리쳤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미초율령(未草栗嶺)
전라남도 순천(順天) 북쪽에 있는 고개 이름. 지형이 험한 요새지(要塞地).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
-
미호서원(美湖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회덕(懷德)에 건립한 서원. 1721년(경종 1)에 사액되었으며, 송규렴(宋奎濂)을 배향함. 현재 대전광역시 대덕구(大德區) 미호동(美湖洞)에 속함.
17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유적>건물>서원,향교
-
민^절(閩^浙)
중국 복건성(福建省)에 있는 민강(閩江)과 절강성(浙江省)에 있는 절강(浙江)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민강(閩江)
중국 복건성(福建省)에 있는 강 이름. 복건성 선하령산맥(仙霞嶺山脈)을 발원지로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