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규(珪) - 왕규(王珪)@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ㆍ종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 홍지(洪智)의 장인이며 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홍경손(洪敬孫)의 외조부. 고려의 왕족으로서 중대광(重大匡)에 오르고, 수연대군(壽延大君)으로 불림.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규(珪)@이규 - 이규(李珪)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이며, 함라수(咸羅守) 이효원(李孝元)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규(珪)@윤규 - 윤규(尹珪)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윤승례(尹承禮)의 아들로, 태종 때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불충을 질타하는 상소를 올리고, 경승부 윤(敬承府尹) 등을 지냄.
1365~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규(珪)@공규 - 공규(公珪)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포(金浦). 공자유(公子由)의 아들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 등을 역임하였고,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珪)@한규 - 한규(韓珪)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중군절제사(中軍節制使) 등을 역임함.
?~141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규(珪)@당 - 왕규(王珪)@당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왕승변(王僧辯)의 손자로, 고조(高祖) 때 태자중사인(太子中舍人)이 되어 이건성(李建成)을 보필하였으나, 이건성이 피살된 후 태종(太宗)이 즉위하자 재기용되어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571~63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규(葵) - 박규(朴葵)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의정(左議政) 박은(朴訔)의 아들이며, 홍주 판관(洪州判官) 박병균(朴秉鈞)의 아버지로,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냄.
?~14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규(虯) - 김규(金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위사(宣慰使)로 동래(東萊)에 있을 때 윤원형(尹元衡) 등의 무고로 체포되어 경원(慶源)에 8년간 유배된 뒤 풀려나 경상도 암행어사(慶尙道暗行御史)를 지냄.
1522~156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규(規)@유규 - 유규(柳規)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익대공신(翊戴功臣) 유자광(柳子光)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1~14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규(規) - 왕규(王規)
고려 태조(太祖)~혜종(惠宗) 때의 문신. 태조 왕건(王建)을 받들어 대광(大匡)에 이르고, 두 딸을 태조의 비로 들인 왕실의 외척으로서 막강한 정치권력을 장악함. 외손자를 왕위에 앉히고자 모반을 꾀하다가 혜종에게 죽임을 당함.
?~94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규(規)@곽규 - 곽규(郭規)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득하(郭得賀)의 아들로, 1474년(성종 5)에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포산군(苞山君) 곽부(郭郛)의 현손(玄孫)으로 창녕 현감(昌寧縣監) 등을 역임함.
1445~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규(規)@배규 - 배규(裵規)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장이 탁월하여 관서(關西)의 공자(孔子)라 일컬어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규(規)@안규 - 안규(安規)
고려 후기의 문신.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稿)》에 충숙왕(忠肅王) 복위(復位) 5년에 채홍철(蔡洪哲)과 함께 과거 시험을 관장한 기록이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규(赳) - 곽규(郭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성(司成) 곽지번(郭之藩)의 아들로, 1555년(명종 10)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지(承旨) 등을 지냄.
152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규(跬) - 권규(權跬)
조선 태종(太宗명)~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의 삼녀 경안공주(慶安公主)와 결혼하여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짐.
1393~14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규(逵)@권규 - 권규(權逵)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사직공(司直公) 권시득(權時得)의 아들이며, 권문현(權文顯)ㆍ권문임(權文任)ㆍ권문언(權文彦)ㆍ권문저(權文著)의 아버지. 청향당(淸香堂) 이원(李源)과 교유함.
1496~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규(逵) - 이규(李逵)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경(李庚)의 아들로, 시와 글씨에 능하고, 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투옥되었다가 이듬해에 풀려나 고향에서 죽음.
1454~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규^문(奎^文) - 문^규(文^奎)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이라는 의미의 문성(文星)과 역시 문운(文運)을 맡은 별인 규성(奎星)을 함께 부르는 말. 전하여 문단에서 명성을 날린 문인(文人)을 일컬음.
자연물>기타자연물
-
규^벽(奎^璧) - 규^벽(奎^壁)
문장(文章)을 주관하는 규성(奎星)과 문서(文書)를 주관하는 벽성(壁星)을 함께 부르는 말.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들로, 문필(文筆)에 비유됨.
사상>술어>관용어
-
규렴(奎濂) - 송규렴(宋奎濂)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인. 학문이 뛰어나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 등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지고, 전서(篆書)ㆍ주서(籒書)에 능함.
1630~17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규로(圭老)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보(奎報)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규보(奎甫)@박종문 - 박종문(朴宗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경주 판관(慶州判官)을 지낸 박적(朴勣)의 아들.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과 교유함.
1512~15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규보(奎甫) - 박한(朴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흥(義興). 박준(朴峻)의 아들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규보(奎甫)@박형문 - 박형문(朴衡文)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제함(朴悌諴)의 아들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만년에 낙향하여 후진을 양성함.
14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규복(圭復) - 유용근(柳庸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유빈(柳濱)의 아들.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지목되어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진원(珍原)에 유배됨.
1485~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규봉(圭峯)@구봉령 - 구봉령(具鳳齡)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
152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규봉(圭峯) - 동월(董越)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조선 성종(成宗) 때 우리나라에 사신으로 왔다가 돌아가서 조선의 풍토(風土)를 부(賦)로 읊은 《조선부(朝鮮賦)》를 지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규부(赳夫)@박겸무 - 박겸무(朴兼武)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수안 군수(遂安郡守) 박준산(朴峻山)의 아들로,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규부(赳夫) - 박한(朴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흥(義興). 박준(朴峻)의 아들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규송(奎宋) - 송(宋)
중국의 통일 왕조. 조광윤(趙光胤)이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국가. 개봉(開封)에 도읍했던 북송(北宋) 시대와 정강(靖康)의 변(變) 때 임안(臨安)으로 천도한 이후의 남송(南宋) 시대로 구분됨.
960~1277 중국>송 , 중국 , 시간>국명
-
규수(奎宿) - 규성(奎星)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열다섯째 별자리에 있는 별. 굴곡이 문자 획과 비슷해 문운(文運)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이것이 밝으면 천하가 태평하다고 전함.
자연물>천체
-
규숙(圭叔) - 왕사기(王士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사천 안찰부사(四川按察副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어왜서로감군(欽差禦倭西路監軍)으로 참전하여 유정(劉綎)ㆍ진린(陳璘) 등을 지휘하면서 활약함.
1551~161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규암(圭庵)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암(圭菴)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암상공(圭菴相公)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암선생문집(圭菴先生文集) - 규암집(圭菴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송인수(宋麟壽)의 시문집. 13대손 송태헌(宋台憲)등이 유고를 모아 정정(訂正)하고 송병선(宋秉璿)이 편집 정리하여 4권 2책으로 간행함.
1907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규암송자(圭菴宋子)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양(葵陽) - 정규양(鄭葵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오천(烏川). 이현일(李玄逸)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경사(經史)와 정치 등에 두루 통달함. 학행으로 천거되어 현릉 참봉(顯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667~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규어(嬀圉) - 문공(文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제후. 재위 B.C.754~B.C.745. 평공(平公)의 아들이며, 환공(桓公)과 여왕(厲王)의 아버지로, 평공을 계승하여 진 나라의 제후가 됨.
?~B.C.7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규옹(圭翁)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용(圭容) - 안규용(安圭容)
한말의 성리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송병선(宋秉璿)ㆍ송병순(宋秉珣)의 문인으로, 죽곡정사(竹谷精舍)를 짓고 강학하면서 성리서(性理書)를 집필하였으며, 박광전(朴光前)의 《죽천집(竹川集)》 삼간(三刊) 때 발문(跋文)을 지음.
1873~1959 한국>근대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
-
규은봉(圭隱峯) - 이중안(李仲安)
조선 전기의 유학. 유방선(柳方善)의 《태재집(泰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규인(珪仁) - 한규인(韓珪仁)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안변(安邊). 한경(韓卿)의 아버지로, 손녀인 신의왕후(神懿王后)가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로 책봉되자 익조공신(翊祚功臣)에 추록되고,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규일(葵日) - 육가교(陸可敎)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있는 《조천록(朝天錄)》에 그가 쓴 서문이 실려 있음.
154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규장각일기(奎章閣日記)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시대에 승정원(承政院)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文書)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소실되어 1623년(인조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문헌>서명
-
규재(圭齋) - 구양현(歐陽玄)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내고, 《경세대전(經世大典)》ㆍ《사조실록(四朝實錄)》을 편찬하였으며, 《요사(遼史)》ㆍ《금사(金史)》ㆍ《송사(宋史)》의 찬수 총재관(撰修總裁官)을 맡음.
1273~135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규저구(嬀杵臼) - 선공(宣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왕. 재위 B.C.692~B.C.648. 환공(桓公)의 아들이자 장공(莊公)의 아우이며 목공(穆公)의 아버지. 총희(寵姬)가 낳은 아들 관(款)을 왕으로 세우기 위해 태자(太子)인 어구(禦寇)를 죽임.
?~B.C.64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규정(葵亭) - 강은(姜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노후에는 김안국(金安國)과 학문을 강론하며 여생을 보냄.
1487~155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규정(葵亭)@조위 - 조위(曺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이 준 사초(史草)를 실록(實錄)에 기록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54~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규창(奎昌) - 송규창(宋奎昌)
조선 후기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규포(嬀鮑) - 환공(桓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제후. 재임 중에 내란으로 인해 태자 면(太子免)과 함께 피살되어 그 동생인 진타(陳佗)가 국왕에 오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규해(規解) - 백록동규해(白鹿洞規解)
조선 전기의 학자 박영(朴英)이 중국 송(宋) 나라 주희(朱熹)가 세운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에 대하여 자세하게 풀이한 글.
151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규헌(揆軒) - 곽승화(郭承華)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점필재(佔畢齋)의 문하에서 유학하였고, 청개(淸介)한 인품으로 사우(士友)들의 추앙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유학
-
규헌(葵軒) - 권주(權鑄)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손자이며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 지신사(知申事)ㆍ밀직 제학(密直提學) 등을 지냄.
?~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균(勻) - 권균(權勻)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균(勻)@조선전기 - 이균(李勻)@조선전기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철성(鐵城). 청도 군수(淸道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균(勻)@김의정의사위 - 이균(李勻)@김의정의사위
조선 전기의 문신. 잠암(潛庵) 김의정(金義貞)의 둘째 사위로, 여강군(驪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균(囷) - 박균(朴囷)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원(珍原). 참봉을 지낸 박계후(朴繼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균(均)@원균 - 원균(元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과 합세하여 옥포(玉浦) 등지에서 연승함. 이순신을 대신하여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었으나, 정유재란 때 칠천량(漆川梁) 해전에서 대패하고 전사함.
1540~159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균(均)@황균 - 황균(黃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회덕(懷德). 북부 참봉(北部參奉)을 지낸 황윤희(黃允熙)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홍섬(洪暹)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균(均) - 이균(李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선장(李善長)의 아버지로, 1477년(성종 8)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45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균(均)@정균 - 정균(鄭均)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봉화(奉化).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정운경(鄭云敬)의 아버지로,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무신
-
균(均)@최균 - 최균(崔均)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전주최씨(全州崔氏) 일파(一派)의 시조. 내시 낭중(內侍郞中) 등을 지내고,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진압하던 중 적장에게 살해됨. 아들 최보순(崔甫淳) 등의 현달로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됨.
?~117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균(稛) - 김균(金稛)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조선 개국공신의 한 사람으로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짐.
134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균(筠) - 허균(許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유성룡(柳成龍)ㆍ이달(李達)의 문인. 이이첨(李爾瞻)과 결탁하여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였으며, 반란을 계획하다 탄로되어 참수형을 당함. 명문장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인 《홍길동전(洪吉童傳)》을 씀.
1569~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균(鈞)@김온의아버지 - 김균(金鈞)@김온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지평(持平)을 지낸 김온(金韞)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균(鈞)@조선 - 권균(權鈞)@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91년(성종 2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록됨.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균(鈞)@김성휘의아버지 - 김균(金鈞)@김성휘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낸 김성휘(金成輝)의 아버지로, 병절교위(秉節校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균(鈞) - 서균(徐鈞)
고려 성종(成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희(徐熙)의 증손(曾孫)으로,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등을 역임함.
1060~113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균(鈞)@고려 - 권균(權鈞)@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이자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권홍(權弘)의 아버지로, 전공판서(典工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균(鈞)@고려조균 - 조균(趙鈞)@고려
고려 말의 유학. 김수(金隨)의 형인 김규(金糾)의 외손(外孫)이며 이색(李穡)이 지어 준 시(詩)가 《목은시고(牧隱詩稿)》에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균(鈞)@조선조균 - 조균(趙鈞)@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주(楊州). 1522년(중종 1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균구(筠舅)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균로(筠老) - 김기보(金箕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갔으며, 품성이 충간(忠簡)하고 문장이 뛰어남.
1531~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균리(筠里) - 송희경(宋希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회례사(回禮使)가 되어 일본(日本)을 왕래함.
1376~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균재(筠齋) - 박흥생(朴興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냈으나, 친상(親喪)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균정(均亭) - 강회백(姜淮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을 탄핵하다가 유배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된 뒤 동북면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를 지냄.
1357~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균천(勻天)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균천(鈞天)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균천악(鈞天樂)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균천주악(鈞天奏樂)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균헌(筠軒) - 김영돈(金永暾)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의 손자로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됨.
1285~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균헌(筠軒)@이문량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귤강광(橘康光) - 귤강광(橘康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명으로 일본국 왕사(日本國王使)가 되어 1587년(조선 선조 20) 조선으로 와서 일본 국내사정의 변화를 설명하고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귤로(橘老)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귤로(橘老)@윤구 - 윤구(尹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귤로(橘虜) - 귤강광(橘康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명으로 일본국 왕사(日本國王使)가 되어 1587년(조선 선조 20) 조선으로 와서 일본 국내사정의 변화를 설명하고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귤림원(橘林院) - 귤림서원(橘林書院)
조선시대 제주(濟州)에 건립한 서원. 선조(宣祖) 때 제주 판관 조인준(趙仁俊)이 김정(金淨)을 추모하여 충암묘(冲菴廟)를 건립하고, 숙종(肅宗) 때 귤림서원(橘林書院)으로 사액됨. 김정ㆍ정온(鄭蘊)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귤수(橘叟) - 윤구(尹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귤실(橘室) - 차천로(車天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한시(漢詩)에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최립(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 불림.
1556~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귤옥(橘屋) - 윤광계(尹光啓)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으로, 윤화중(尹和中)의 아들이고, 조헌(趙憲)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귤옥집(橘屋集)》이 있음.
15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귤옥졸고(橘屋拙稿) - 귤옥집(橘屋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윤광계(尹光啓)의 시문집. 1676(숙종 29) 증손인 윤승후(尹承厚)ㆍ윤천후(尹天厚) 형제가 김수항(金壽恒)에게 부탁하여 유고를 산정, 편집했던 것을 윤정은(尹正殷)이 간행함.
1829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귤왜(橘倭) - 귤지정(橘智正)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덕천가강(德川家康)의 명으로 국서를 가지고 와 조선과 국교를 요청함.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귤우(橘宇) - 신변(申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동생 신철(申哲)이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
1470~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귤우정(橘宇亭) - 신변(申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동생 신철(申哲)이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
1470~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귤정(橘井) - 소탐(蘇耽)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선인(仙人). 인효(仁孝)로 널리 알려졌으며 득도하여 승천하기 전에 모친에게 미래에 닥칠 전염병에 대한 비방(秘方)을 알려 주어 백성을 구제하게 했다는 전설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귤정(橘亭) - 윤구(尹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귤천(橘泉) - 진득(陳得)
중국 명(明) 나라의 역승(驛丞). 산해관(山海關) 천안역(遷安驛)의 역승(驛丞)을 지냄.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그에게 준 시가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극(▼(亻+克)) - 문극(文▼(亻+克))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다성(文多省)의 아들로,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