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도덕진경지귀(道德眞經指歸) - 노자지귀(老子指歸)
중국 전한(前漢) 말기의 학자인 엄준(嚴遵)이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을 주해(註解)한 철학서. 《경전석문(經典釋文)》 등에는 14권으로 되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도동곡구장(道東曲九章) - 도동곡(道東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형식의 한글가사. 유교의 내력과 학자 회헌(晦軒) 안향(安珦)의 덕을 찬양하며 읊었는데, 주세붕(周世鵬)의 시문집(詩文集)인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전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문헌>작품명
-
도동서원(道東書院) - 구계서원(龜溪書院)@안동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고려 말의 학자인 우탁(禹倬)이 강학하던 선성(宣城)의 원우(院宇)를 옮겨 중창(重創)한 뒤 우탁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경산시(慶山市)의 영남대학교(嶺南大學校) 구내로 옮겨짐.
16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라산(兜羅山) - 도라산(都羅山)
경기도 파주(坡州)에 있는 산 이름. 임진강 하구 넓은 들 가운데 있어 옛날부터 군사적 요충지로 꼽힘.
경기도>파주 , 지명>자연지명
-
도령(陶令)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도령(陶嶺) - 도산(陶山)
경상도 안동(安東)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도로(陶老)@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로(陶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도로신(道路神) - 누조(嫘祖)
중국 고대 황제 헌원씨(黃帝軒轅氏)의 원비(元妃). 소호(少昊)의 어머니이며, 서릉씨(西陵氏)의 딸로, 양잠(養蠶)을 발명함. 황제를 도와 천하를 다스렸으며, 황제와 천하를 순시하던 중에 병으로 죽음. 시호를 ‘조신(祖神)’으로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도리황후(桃李皇后)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도림(道林) - 지둔(支遁)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지형산(支硎山)ㆍ여항산(餘杭山)에 은거하여 수도(修道)하다가 애제(哀帝)로부터 부름을 받고 금중(禁中)에서 불법(佛法)을 강론함. 시에 능하여 《지둔집(支遁集)》이라는 시집을 남김.
314~3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립(道立) - 등수안(鄧守安)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도사. 나부산(羅浮山)에 거처했고, 소식(蘇軾)이 등수안(鄧守安)을 평소 존중하여 서로 깊은 우애를 나눔.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도명(道明)@세조 - 세조(世祖)@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후연(後燕)의 제1대 황제. 재위 384~396.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皝)의 아들로, 전진(前秦)의 부견(苻堅)에게 망명하여 세력을 키운 후 칭제(稱帝)하여 화북(華北) 동부를 평정함.
326~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도명(道明)@제갈회 - 제갈회(諸葛恢)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조정에서 재상인 왕도(王導)와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 국내외에서 공을 세워 여러 번 시중(侍中)에 오름.
265~32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도모(都慕)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도모(都牟)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도무(道武) - 강진(康津)
전라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청자의 주요 생산지였으며,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19년간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잘 알려짐.
전라도>강진 , 지명>행정지명
-
도무왕(悼武王) - 여택(呂澤)
중국 한(漢) 고조(高祖)의 외척. 황후인 여후(呂后)의 오빠로 유방(劉邦)을 도와 많은 공을 세움.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도문강(圖門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도문강(徒門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도문수(徒門水)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도문하(徒門河)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도미(荼蘼) - 옥매(玉梅)
장미과(薔薇科)의 낙엽관목(落葉灌木).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로, 흰 꽃이 피며 정원수(庭園樹)로 많이 심음.
자연물>식물
-
도민(道敏) - 탁도민(卓道敏)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인 탁지엽(卓之葉)의 맏아들로, 선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도민(道民) - 효무제(孝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453~464. 아버지 문제(文帝)를 시해하고 제위에 앉은 형을 죽이고 즉위함.
430~4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도반(屠蟠) - 신도반(申屠蟠)
중국 후한(後漢) 말의 학자ㆍ은자. 당고(黨錮)의 화를 피해 산 속에 들어가 살면서 대장군 하진(何進)과 동탁(董卓) 등의 초빙을 물리치고 절조(節操)를 지키며 여생을 마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도백(徒白)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도보(道甫) - 이광사(李匡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全州)로, 이긍익(李肯翊)의 아버지. 정제두(鄭齊斗)의 문인으로,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유배지에서 죽음. 서예에 뛰어나 원교체(圓嶠體)를 확립하고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침.
1705~177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도보(道輔) - 공도보(孔道輔)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공자의 45대손. 좌정언(左正言)ㆍ권어사중승(權御史中丞) 등을 지냈으며, 맹자의 무덤을 방문하고 그 서남쪽에 맹자묘(孟子廟)를 세움.
985~103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도부(道夫) - 박시용(朴時庸)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박흥생(朴興生)의 조부(祖父)로,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지냈으며, 운문관 대제학(右文館大提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도부(都府)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도부(陶賦)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도사행(陶士行) - 도간(陶侃)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장군. 도잠(陶潛)의 증조부. 명제(明帝) 때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으로 왕돈(王敦)의 반란ㆍ소준(蘇峻)의 변란을 평정해 많은 공을 세우고, 벼슬이 시중태위(侍中太尉)에 이름.
257~33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도산(道山) - 수도산(修道山)
경상북도 김천(金泉)과 경상남도 거창(居昌)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숙종(肅宗)의 비(妃)인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원당(願堂)인 청암사(靑巖寺)가 있음.
경상도>금산 , 지명>자연지명
-
도산(闍山) - 도굴산(闍崛山)
경상북도 의령(宜寧)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도산(陶山)@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산(陶山)@육전 - 육전(陸佃)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에게 수학하고 상서좌승(尙書左丞) 등을 지냈으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박주지사(亳州知事)로 좌천됨. 예가(禮家)와 명수(名數)의 학설에 밝음.
1042~11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산노인(陶山老人)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산로(陶山老)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산묘원(陶山廟院) - 도산서원(陶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창건한 서원. 1575년(선조 8)에 사액(賜額)되고, 이황(李滉)의 위패를 모셨으며, 영남 유림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함.
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산부자(陶山夫子)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산사우(道山祠宇) - 도산사(道山祠)
조선 효종(孝宗) 때 전라도 능성(綾城)에 건립된 사당. 안방준(安邦俊)을 배향함.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유적>건물>사당
-
도산상(陶山相) - 이중량(李仲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효행(孝行)과 학행(學行)이 뛰어났으며,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善政)을 베풂.
150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도산선생문집(陶山先生文集)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도산언행통록(陶山言行通錄) -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
조선 숙종(肅宗) 때 권두경(權斗經)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언행을 수록하여 편찬한 책. 6권 3책. 1707년(숙종 33)에 8권 4책의 《퇴도선생언행통록(退陶先生言行通錄)》으로 편찬되고, 1732년(영조 8)에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으로 재편되어 간행됨.
170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도산옹(陶山翁)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산원묘(陶山院廟) - 도산서원(陶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창건한 서원. 1575년(선조 8)에 사액(賜額)되고, 이황(李滉)의 위패를 모셨으며, 영남 유림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함.
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산전서(陶山全書)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도상인(道上人) - 이암(履菴)
조선 태종(太宗) 때의 승려.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과 교유하였으며,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과 유방선의 《태재집(泰齋集)》에 그에게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도생(道生)@박도생 - 박도생(朴道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울진 현감(蔚珍縣監) 박형간(朴亨幹)의 아들로, 명필(名筆)로 세상에 이름이 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도선(陶仙)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설(圖說) -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조선 전기의 대학자 이황(李滉)이 선조(宣祖)에게 바친 성학십도(聖學十圖) 가운데 여섯 번째 도설(圖說). 심(心)ㆍ성(性)ㆍ정(情)의 성리학적 개념을 도식(圖式)으로 표현함.
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도성(道盛) - 김륭(金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함창(咸昌).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격문을 돌려 기병할 것을 호소함.
154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도성(道盛)@이세장 - 이세장(李世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목(李穆)의 아들. 명종 때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수관(編修官)을 겸하였고, 호조 참의(戶曹參義)ㆍ호분위 대호군(虎賁衛大護軍) 등을 지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97~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도수(陶叟)@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수(陶叟)@이의현 - 이의현(李宜顯)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으로,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의 아들. 정미환국(丁未換局) 때 파직되었으나 이인좌(李麟佐)의 무신란(戊申亂) 때 다시 기용되어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냄. 노론(老論)의 영수로 추대되고, 저서로 《도곡집(陶谷集)》이 있음.
166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도수(陶叟) - 이숭인(李崇仁)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 이색(李穡)에게 수학하고 정몽주(鄭夢周)ㆍ정도전(鄭道傳) 등과 교유하였으나, 조선 개국에 앞서 정도전의 심복인 황거정(黃巨正)에 의해 피살됨.
134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수(陶峀) - 도산(陶山)
경상도 안동(安東)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도승(道升) - 철종(哲宗)@조선
조선 제25대 국왕. 재위 1849~1863. 정조(正祖)의 동생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의 셋째 아들. 헌종(憲宗)의 뒤를 이어 즉위함.
1831~186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도승(道昇) - 관도승(管道昇)
중국 원(元) 나라의 화가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의 부인으로, 특히 묵죽(墨竹)에 뛰어남.
1262~1319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도실(道實) - 순창(淳昌)
전라북도의 남부 노령산맥(蘆嶺山脈)의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구암사(龜巖寺)와 강천사(剛泉寺) 등의 사찰이 있음.
전라도>순창 , 지명>행정지명
-
도아(屠兒) - 주해(朱亥)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나라의 백정. 신릉군(信陵君)이 진(秦) 나라의 공격을 받은 조(趙) 나라를 구원하러 갔을 때, 따라가서 위 나라의 대장 진비(晉鄙)를 철퇴로 때려죽이고 조 나라를 구원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백정
-
도악(陶岳) - 도산(陶山)
경상도 안동(安東)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도안부정(道安副正) - 이철(李轍)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손자이며,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도안정(道安正) - 이철(李轍)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손자이며,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도암(桃巖) - 오수영(吳守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글씨를 잘 써 금보(琴輔)ㆍ이숙량(李叔樑) 등과 함께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림.
1521~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도암(道菴) - 남금(南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태종(太宗)이 양녕대군(讓寧大君)을 광주에 안치(安置)할 때 판목사(判牧事)로 삼았으며,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도암(陶庵) - 이재(李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우봉(牛峯).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노론(老論)의 중심인물로 활약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용인(龍仁)의 한천(寒泉)에 거주하며 학자를 양성하고 《사례편람(四禮便覽)》 등을 저술함.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암(陶菴) - 이재(李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우봉(牛峯).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노론(老論)의 중심인물로 활약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용인(龍仁)의 한천(寒泉)에 거주하며 학자를 양성하고 《사례편람(四禮便覽)》 등을 저술함.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암(韜庵) - 오희길(吳希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ㆍ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김인후(金麟厚)ㆍ정여립(鄭汝立)의 문인으로, 정여립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었으나 절교한 것이 드러나 풀려남. 임진왜란 때 태조(太祖)의 어진(御眞) 등을 보전한 공로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저서로《도동연원록(道東淵源錄)》이 있음.
1556~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도암선생집(陶菴先生集) - 도암집(陶菴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재(李縡)의 시문집. 1803년(순조 3) 용인(龍仁)의 한천서원(寒泉書院)에서 손자 이채(李采)가 활자로 간행함.
180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문헌>서명
-
도야(陶爺) - 도양성(陶良性)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감생(監生)으로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을 수행하고, 이어 영평부 통판(永平府通判)으로 군문(軍門) 형개(邢玠)를 수행하여 두 차례 조선에 건너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도언(道彦) - 김종덕(金宗德)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했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며 《성학입문(聖學入門)》 등 많은 저술을 남김.
1724~17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여(道輿) - 양권(羊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도사. 양침(羊忱)의 아들로, 모산(茅山)에 거처하면서 도(道)를 터득함. 구의산(九嶷山)의 선녀가 그에게 신선술(神仙術)과 환약(丸藥) 등을 주고 갔다는 일화가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도연명(陶淵明)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도연사(道淵祠) - 도연서원(道淵書院)@고성
경상남도 고성(固城) 마암면(馬岩面)에 있는 서원. 조선 숙종(肅宗) 때 창건되었으며, 허기(許麒)ㆍ허천수(許千壽)를 배향함.
16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열(度烈) - 홍경주(洪景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의 후궁인 희빈홍씨(熙嬪洪氏)의 아버지로, 중종반정(中宗反正)과 이과(李顆)의 난 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사림 세력을 제거함.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도온(道韞) - 사도온(謝道韞)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여류 시인. 사혁(謝奕)의 딸이자, 사안(謝安)의 조카딸이며, 왕희지(王羲之)의 며느리.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났으며, 눈 내리는 풍경을 버들개지가 바람에 날리는 광경으로 표현한 일로 유명함.
349~4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도올(檮杌) - 곤(鯀)
중국 전설상의 인물. 하(夏) 나라 시조(始祖)인 우(禹) 임금의 아버지로, 홍수를 다스리다가 실패하고 우산(羽山)으로 추방당했다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도옹(賭翁) - 이훈(李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사위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토평대장(討平大將)으로 난을 평정함.
1429~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도옹(陶翁)@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옹(陶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도옹(陶翁)@이숭인 - 이숭인(李崇仁)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 이색(李穡)에게 수학하고 정몽주(鄭夢周)ㆍ정도전(鄭道傳) 등과 교유하였으나, 조선 개국에 앞서 정도전의 심복인 황거정(黃巨正)에 의해 피살됨.
134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왕(度王) - 도조(度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조부. 익조(翼祖) 이행리(李行里)의 아들로, 몽고 이름은 발안첩목아(孛顔帖木兒). 비는 원나라의 천호(千戶) 벼슬을 받은 박한보(朴閑甫)의 딸 경순왕후(敬順王后). 1394년(태조 3) 4대조를 추존할 때 도왕(渡王)이라 하였다가 2년 후 도조(度祖)로 격상됨.
?~1342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덕원 , 인명>왕실>국왕
-
도원(悼園) - 여태자(戾太子)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태자. 모친은 위황후(衛皇后). 무제로부터 소외당하고 외숙인 위청(衛靑)이 죽자 권신 강충(江充)이 무고하여 거병(擧兵)하였다가 실패하여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도원(挑園)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도원(桃園) - 유형(兪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유세건(兪世建)의 아들로, 양주 목사(楊州牧使)ㆍ청풍 군수(淸風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82~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元) - 방온(龐蘊)
중국 당(唐) 무종(武宗)~선종(宣宗) 때의 승려. 황벽(黃蘗) 희운선사(希運禪師)에게 불법, 특히 선도(禪道)를 닦아 깨달음을 얻음.
?~808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원(道原)@홍서주 - 홍서주(洪敍疇)
조선 중중(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좌찬성(左贊成) 홍숙(洪淑)의 아들로, 복성군(福城君)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김안로(金安老)가 사사된 뒤 풀려나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냄.
149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原) - 유서(劉恕)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자치통감(資治通鑑)》찬수(撰修)에 참여하여 삼국(三國)에서 남북조(南北朝)까지를 기술하고, 《자치통감외기(資治通鑑外紀)》를 저술함.
1032~107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도원(道原)@정약용 - 정약용(程若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성리자훈강의(性理字訓講義)》ㆍ《태극홍범도설(太極洪範圖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도원(道園) - 우집(虞集)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ㆍ학자. 당시(唐詩)를 연구 계승하여,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게혜사(揭傒斯)와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로,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게혜사와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만권당(萬卷堂)에 초치(招致)되어 이제현(李齊賢) 등과 교류함.
1272~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도원(道源)@송규렴 - 송규렴(宋奎濂)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인. 학문이 뛰어나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 등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지고, 전서(篆書)ㆍ주서(籒書)에 능함.
1630~17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유도원 - 유도원(柳道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존심(存心)ㆍ함양(涵養)의 실천적 수행으로 위기지학(爲己之學)에 전념함. 주석학(註釋學)에 밝아 많은 저술을 남기고 후진 양성에 힘씀.
1721~179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도원(道源)@심관 - 심관(沈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세조(世祖)~성종(成宗) 때 활동한 심준(沈濬)의 형으로, 이조(吏曹)와 호조(戶曹)의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 - 김용(金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으며, 《선조실록(宣祖實錄)》 수찬(修撰)에 참여함.
1557~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박세희 - 박세희(朴世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강계(江界)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4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손수 - 손수(孫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장(文章)과 기우(氣宇)가 뛰어났으며,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채준 - 채준(蔡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낸 채년(蔡年)의 아들로, 양성 현감(陽城縣監)을 지냄.
1476~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김세렴 - 김세렴(金世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군수 김극건(金克鍵)의 아들로,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는 자를 탄핵하다가 유배됨.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재기용되어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내며 《근사록(近思錄)》ㆍ《소학(小學)》등을 간행함.
1593~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