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동고집(東皐集)@이준경 - 동고유고(東皐遺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준경(李浚慶)의 시문집(詩文集). 14권 7책. 활자본. 시(詩)ㆍ상소(上疏)ㆍ서간(書簡)이 주종을 이루며, 허목(許穆)의 발문(跋文)이 있음.
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충청도>청주 , 문헌>서명
-
동곡(桐谷) - 이조(李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내다가 귀향한 후 더 이상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정진함. 저서로 《동곡실기(桐谷實記)》 등이 있으며, 성주(星州)의 안산서원(安山書院)에 배향됨.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공(董公) - 동진(董晉)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상서좌승(尙書左丞)ㆍ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하였고, 태부(太傅)에 추증됨. 한유(韓愈)가 시호(諡號)를 청하기 위해 행장(行狀)을 지음.
724~7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곽산인(東郭散人) - 김수흥(金壽興)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장기(長鬐)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저서에 《퇴우당집(退憂堂集)》 5책이 있음.
162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장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곽선생(東郭先生) - 안황부(安黃夫)
조선 전기의 문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약포(藥圃) 이해수(李海壽)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동곽아(東郭牙) - 포숙아(鮑叔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 관중(管仲)의 절친한 친구로, 제 나라 환공(桓公)에게 관중을 천거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동관(冬冠)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동관(同官) - 동천(銅川)
중국 섬서성(陝西省) 황토고원(黃土高原)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낙양(洛陽)에서 장안(長安)으로 들어가는 교통의 요지.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동관(東關) - 강원도(江原道)
한반도의 중부지방 동쪽에 위치한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강원도 , 지명>행정지명
-
동관(東館) - 동평관(東平館)
조선시대에 일본 사신(使臣)이 조선에 왔을 때 그들을 접대하고 머물게 했던 객관(客館). 현재의 서울 인사동(仁寺洞) 자리에 위치했음.
서울 , 유적>건물>관사
-
동관현(銅官縣) - 동천(銅川)
중국 섬서성(陝西省) 황토고원(黃土高原)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낙양(洛陽)에서 장안(長安)으로 들어가는 교통의 요지.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동교처사(東郊處士) - 남맹하(南孟夏)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통례(通禮)를 지낸 남경춘(南慶春)의 아들로, 송인(宋寅)ㆍ박민헌(朴民獻)ㆍ김사원(金士元)과 친교(親交)함.
1523~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동국기(東國記) - 응제시주(應製詩註)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권람(權攬)의 저서. 1권 1책. 목판본. 할아버지 권근(權近)이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의 명으로 지은 〈응제시(應製詩)〉와 명 태조가 권근에게 하사한 〈어제시(御製詩)〉에 주석을 붙임.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국유선록(東國儒先錄) - 국조유선록(國朝儒先錄)
조선 전기의 문신인 유희춘(柳希春)이 선조(宣祖)의 명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의 행적을 모아 엮은 책. 5권 4책. 필사본(筆寫本).
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국이상국문집(東國李相國文集) -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규보(李奎報)의 시문집. 목판본. 1241년(고종 28) 아들 이함(李涵)이 초고를 수집 편차하여 총 53권 14책으로 초간(初刊)함.
1241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국이상국전집(東國李相國集全集) -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규보(李奎報)의 시문집. 목판본. 1241년(고종 28) 아들 이함(李涵)이 초고를 수집 편차하여 총 53권 14책으로 초간(初刊)함.
1241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국창려(東國昌黎) - 김일손(金馹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실록(實錄)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64~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국통지(東國通志) - 유감동국통지(類鑑東國通志)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학자인 박주종(朴周鍾)의 저서. 필사본. 24권 17책. 기전체(紀傳體)의 형식으로 단군이래 순조(純祖) 때까지의 역사를 기록함.
186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규(洞規) - 온계동규(溫溪洞規)
조선 명종(明宗)~헌종(憲宗) 때까지 유지된 경상도 안동(安東) 온계동(溫溪洞)의 동규(洞規)의 내용을 기록한 책. 필사본. 1책. 이황(李滉)이 수정하여 유명해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규(洞規)@백록동규 - 백록동규(白鹿洞規)
중국 송(宋) 나라 때 남강군(南康軍)에 있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 주희(朱熹)가 황폐해진 서원을 복구하고 학문을 강론하며 정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기타의례
-
동낭중(董郞中) - 동일원(董一元)
중국 명(明) 나라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대군을 이끌고 조선에 파병되었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배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동노(東魯) - 노(魯)
중국 주(周) 나라 때에 봉해진 제후국. 주왕(周王)이 주 나라 건국공신(建國功臣)인 주공(周公)의 큰 아들 백금(伯禽)을 제후로 봉하자, 지금의 산동(山東)에 수도를 세우고 국호를 노(魯)라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주 , 중국 , 시간>국명
-
동노옹(東魯翁)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동노왕(東魯王)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동당시(東堂試) - 문과(文科)
조선시대에 문관(文官)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3년에 한 번씩 실시한 식년시(式年試)는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3단계를 거쳐 33명을 급제자로 선발하고, 이 외에 증광시(增廣試)ㆍ별시(別試)ㆍ정시(庭試)ㆍ알성시(謁聖試)ㆍ춘당대시(春塘大試) 등의 비정규시가 있음.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동대(東臺) - 최선문(崔善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창신교위(彰信校尉) 최자강(崔自江)의 아들로,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14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동대문(東大門) - 숭인문(崇仁門)
고려의 수도인 개경(開京)의 동문(東門). 이 문밖에서 군대를 검열하기도 하고, 1174년(명종 4)에는 승려들이 이의방(李義方)을 죽이기 위해 이 문을 불태우려 하기도 함.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시설>성,진,책
-
동대문(東大門)@흥인지문 - 흥인지문(興仁之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동쪽 성문. 서울 종로구(鍾路區)에 소재.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동도(東島)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동도(東都)@경주 - 경주(慶州)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진한(辰韓)의 중심지이자 신라(新羅) 천년의 고도(古都).
경상도>경주 , 지명>행정지명
-
동도(東都) - 낙읍(洛邑)
중국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의 서쪽 지역에 있던 고대 서주(西周)의 수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동도(東都)@낙양 - 낙양(洛陽)
중국 하남성(河南省) 서부의 낙수(洛水)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 주(周)ㆍ후한(後漢)ㆍ삼국(三國) 등의 고도(古都)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동두(童頭) - 김진양(金震陽)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하여 유배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동두란(佟豆蘭) - 이지란(李之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 아라불화(阿羅不花)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고려에 귀화함.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31~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북청ㅣ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동두자(童頭子) - 김진양(金震陽)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하여 유배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동락(東洛) - 경주(慶州)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진한(辰韓)의 중심지이자 신라(新羅) 천년의 고도(古都).
경상도>경주 , 지명>행정지명
-
동락(東洛)@홍호 - 홍호(洪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덕록(洪德祿)의 아들.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냄. 문신이면서도 용병에 관한 지식이 많아 국책에 반영시키려고 노력함.
1586~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동락(東洛) - 낙양(洛陽)
중국 하남성(河南省) 서부의 낙수(洛水)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 주(周)ㆍ후한(後漢)ㆍ삼국(三國) 등의 고도(古都)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동래(東萊)@여조겸 - 여조겸(呂祖謙)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주희(朱熹)와 함께 북송(北宋)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근사록(近思錄)》을 찬함.
113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래군(東萊君) - 정난종(鄭蘭宗)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훈구 세력의 중진으로,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쓰고, 특히 조맹부체(趙孟頫體)에 뛰어났음.
1433~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동래문집(東萊文集) - 동래집(東萊集)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여조겸(呂祖謙)의 문집. 4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래박의(東萊博義) - 동래좌씨박의(東萊左氏博議)
중국 남송(南宋) 때의 학자인 여조겸(呂祖謙)이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대하여 논평하고 주석(註釋)한 책. 과거문(科擧文)에 사용되어 문과 시험의 규범이 됨. 25권.
116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래여씨(東萊呂氏) - 여조겸(呂祖謙)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주희(朱熹)와 함께 북송(北宋)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근사록(近思錄)》을 찬함.
113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략(東略) - 동국사략(東國史略)
조선 태종(太宗) 때 권근(權近) 등이 왕명에 따라 단군조선(檀君朝鮮)에서 삼국시대(三國時代)까지의 역사를 강목체(綱目體)로 기술한 관찬사서(官撰史書). 8권. 활자본.
140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량(東亮) - 박동량(朴東亮)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유훈을 받든 유교칠신(遺敎七臣)의 한 사람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보호함. 중국어에 능통하여 대중외교에도 기여함.
156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동로(峒老) - 이의건(李義健)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1564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이항복(李恒福)의 추천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이 되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명현(名賢)들과 교유함. 저서로 《동은집(峒隱集)》이 있고, 광주(廣州) 수곡서원(秀谷書院)ㆍ영평(永平) 옥병서원(玉屛書院)에 배향됨.
1533~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문인
-
동로(東老)@윤동로 - 윤동로(尹東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 시절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정유재란 때 재기용되었으나 이원익(李元翼)의 탄핵을 받음. 후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0~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로(東老) - 심동로(沈東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명은 한(漢)으로 삼척심씨(三陟沈氏)의 비조(鼻祖).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냈으며, 공민왕이 동로(東老)라는 이름을 하사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동로하(東潞河) - 백하(白河)
중국 북부, 하북성(河北省)을 흐르는 강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동릉(東陵) - 소평(邵平)
중국 진(秦) 나라의 제후. 진 나라의 몰락한 귀족 출신으로 한(漢) 나라의 승상인 소하(蕭何)와 친교가 깊었지만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생활을 즐김.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동릉관원수(東陵灌園叟) - 소평(邵平)
중국 진(秦) 나라의 제후. 진 나라의 몰락한 귀족 출신으로 한(漢) 나라의 승상인 소하(蕭何)와 친교가 깊었지만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생활을 즐김.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동릉자(東陵子) - 소평(邵平)
중국 진(秦) 나라의 제후. 진 나라의 몰락한 귀족 출신으로 한(漢) 나라의 승상인 소하(蕭何)와 친교가 깊었지만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생활을 즐김.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동릉후(東陵侯) - 소평(邵平)
중국 진(秦) 나라의 제후. 진 나라의 몰락한 귀족 출신으로 한(漢) 나라의 승상인 소하(蕭何)와 친교가 깊었지만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생활을 즐김.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동리(東籬) - 김윤안(金允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이며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해(金澥) 휘하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60~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동리(東里)@정수민 - 정수민(鄭秀民)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하동(河東). 정여창(鄭汝昌)의 증손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일실된 정여창의 유고를 모아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를 간행하고, 저서에 《춘수당집(春睡堂集》등이 있음.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
-
동리(東里)@정사룡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리(東里)@윤옥 - 윤옥(尹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사익(尹思翼)의 아들이며 순회세자(順懷世子)의 장인으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511~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동리(東里)@공손교 - 공손교(公孫僑)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재상. 정(鄭) 목공(穆公)의 손자로, 춘추전국시대 제일의 외교가로 꼽힘. 예법(禮法)으로 안을 다스리고 구설(口舌)로 밖을 제어하므로, 당시 강국인 진(晉)과 초(楚)의 침략을 받지 않았음.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동리(東里)@이달 - 이달(李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과 어울리며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일컬어짐.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傳記)인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음.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
-
동리(東里)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리(東里)@양우 - 양우(楊寓)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화개전 대학사(華盖殿大學士) 등을 지내며 양부(楊溥)ㆍ양영(楊榮)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삼양(三楊)’으로 일컬어짐.
1365~144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리산인(東籬散人) - 김정후(金靜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인재(認齋) 김현도(金玄度)의 아들이며, 최립(崔岦)의 문인(門人). 문장에 능하여 송도인(松都人)의 문사가 되었으며, 옹진 군수(甕津郡守) 재직 중 고위층의 비위를 건드려 파직당함.
1576~164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동리옹(東籬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동리옹(東里翁)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림(東林)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동림공(東林公) - 혜원(慧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結社)인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한 뒤 산문(山門)을 나서지 않고 도중(徒衆)과 정토 수행(淨土修行)에 전념하였으며,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
334~41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동맥(東貊)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동명(東明)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명(東明)@도동명 - 도동명(陶東明)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문학(文學)과 효행(孝行)으로 남대 장령(南臺掌令)이 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되자 두문동(杜門洞)으로 들어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동명(東溟)@김세렴 - 김세렴(金世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군수 김극건(金克鍵)의 아들로,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는 자를 탄핵하다가 유배됨.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재기용되어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내며 《근사록(近思錄)》ㆍ《소학(小學)》등을 간행함.
1593~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동명(東溟) - 정두경(鄭斗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온양(溫陽). 이항복(李恒福)의 문인으로,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내고 대제학(大提學)에 추증됨.
1597~167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동명왕(東明王)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동몽(東蒙) - 몽산(蒙山)@산동성
중국 산동성(山東省) 평읍현(平邑縣)에 있는 산.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효자 노래자(老來子)가 난세를 피하여 은거한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동몽재(童蒙齋) - 역락재(亦樂齋)
경상도 안동(安東)에 위치한 도산서원(陶山書院) 안에 있는 건물 이름. 정사성(鄭士誠)의 아버지인 정두(鄭枓)가 아들을 이황(李滉)에게 제자로 맡길 때 지어준 것으로 전함.
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동무(東茂) - 양동무(楊東茂)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무신. 당악군(唐岳君) 양포(楊浦)의 아버지로, 1270년(원종 11) 진도(珍島)에 웅거한 삼별초(三別抄)를 토평할 때 참전하여 포위된 김방경(金方慶)을 구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중화 , 인명>관인>무신
-
동문(同聞) - 장동문(章同聞)
중국 명(明) 나라의 은자. 조선 태종(太宗) 때 사신으로 온 통정시 승(通政寺丞) 장근(章謹)의 숙부로, 채석강(采石江) 기슭에 징심암(澄心菴)을 지어 은거함. 장근의 청으로 하륜(河崙)ㆍ권근(權近)ㆍ변계량(卞季良) 등이 시(詩)와 서(序)를 지어 보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동문(東文) - 동인지문(東人之文)
고려 후기의 학자 최해(崔瀣)가 편찬한 시문집(詩文集). 신라 최치원(崔致遠)으로부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까지 명가(名家)의 작품들을 모아 엮음.
1338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문(東門) - 숭인문(崇仁門)
고려의 수도인 개경(開京)의 동문(東門). 이 문밖에서 군대를 검열하기도 하고, 1174년(명종 4)에는 승려들이 이의방(李義方)을 죽이기 위해 이 문을 불태우려 하기도 함.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시설>성,진,책
-
동문씨(東門氏) - 공자수(公子遂)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장공(莊公)의 서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동문자(東門子) - 동문오(東門吳)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나라 사람. 자식이 죽었는데 슬퍼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동문정(董文靖) - 동괴(董槐)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보광(輔廣)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관직은 승상(丞相)까지 이르렀음.
?~12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문청(董文淸) - 동괴(董槐)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보광(輔廣)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관직은 승상(丞相)까지 이르렀음.
?~12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미(東美) - 권동미(權東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아들. 용궁 현감(龍宮縣監)ㆍ초계 군수(草溪郡守) 등을 지냄.
1525~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동미(東美)@노동미 - 노동미(盧東美)
중국 당(唐) 나라 대종(代宗) 때의 문인. 한회(韓會)ㆍ장정(張正)ㆍ최조(崔造) 등과 친하게 지내며, 함께 당세의 일을 논하면서 모두가 스스로 왕을 보필할 만한 재주라 일렀으므로 ‘사기(四夔)’로 불림. 한유(韓愈)로부터 어질다는 평가를 받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동반관계(東班官階) - 문산계(文散階)
고려와 조선시대 관원(官員)들의 위계 제도(位階制度)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문반(文班)과 무반(武班)에게, 조선시대에는 문반에게 지급한 관계(官階)로, 신분(身分)과 직종(職種) 등에 따라 한품(限品)의 규정이 다름.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동발(東發) - 황진(黃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영종(寧宗)과 이종(理宗) 때의 국사와 실록을 편수하고, 저서에 《고금기요(古今紀要)》ㆍ《일초(日抄)》등이 있음.
1213~128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방고정(東方考亭)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방대보살(東方大菩薩) - 무염(無染)
통일신라 헌덕왕(憲德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승려. 중국에 유학하여 마곡 보철(麻谷寶徹)에게 남종선(南宗禪)을 인가받고, 847년(문성왕 7) 귀국하여 공주(公州) 성주사(聖住寺)에 머물며 성주산문(聖住山門)을 열고 교화함.
801~888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동방문사(東方文士) - 차천로(車天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한시(漢詩)에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최립(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 불림.
1556~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방요순(東方堯舜)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동방일사(東方一士) - 송병선(宋秉璿)
조선 후기~근대의 문인ㆍ순국지사.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이며, 송병순(宋秉珣)의 형. 을사조약(乙巳條約)에 반대하는 운동을 하였고, 국권 피탈에 통분하여 자결함. 저서로 《근사속록(近思續錄)》ㆍ《무계만집(武溪謾輯)》ㆍ《연재집(淵齋集)》 등이 있음.
1836~1905 한국>근대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문인
-
동방일사(東方一士)@이덕무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동백(冬栢) - 동백(冬柏)
차나뭇과의 상록활엽 교목. 겨울에서 봄까지 꽃이 귀한 시기에 피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 열매는 약용(藥用)으로 사용하거나 머릿기름, 등잔기름 등으로 사용함.
자연물>식물
-
동백화(冬柏花) - 동백(冬柏)
차나뭇과의 상록활엽 교목. 겨울에서 봄까지 꽃이 귀한 시기에 피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 열매는 약용(藥用)으로 사용하거나 머릿기름, 등잔기름 등으로 사용함.
자연물>식물
-
동번(東藩)@경주 - 경주(慶州)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진한(辰韓)의 중심지이자 신라(新羅) 천년의 고도(古都).
경상도>경주 , 지명>행정지명
-
동번(東藩) - 강원도(江原道)
한반도의 중부지방 동쪽에 위치한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강원도 , 지명>행정지명
-
동벽(東璧) - 이시진(李時珍)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의원.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저자로, 의업(醫業)에 종사하는 한편, 약물의 기준서(基準書)를 집대성하는 일에 주력함.
1518~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
-
동병(東屛) - 동취병산(東翠屛山)
경상도 안동(安東)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동보(同父) - 진량(陳亮)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 영강(永康) 출신으로, 재기(才氣)가 뛰어나 병법을 담론하길 좋아하고, 일찍이 옛사람이 무력을 사용한 것과 승리하고 패배한 것에 대한 사적을 상고하여 작고론(酌古論)을 저술하기도 함.
1143~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