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한귀(金漢貴)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도(淸道).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김한생(金漢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온양 군수(溫陽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거정(徐居正)의 《사가문집(四佳文集)》에 그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한웅(金漢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제(金濟)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한진(金漢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공신. 흥왕사(興王寺)의 변(變) 때 김용(金鏞)을 토벌하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하고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김해(金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김제신(金悌臣)의 아버지로, 내자시 윤(內資寺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해(金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광주(光州). 김부의(金富儀)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안동(安東) 등지에서 분전하다가 전사함.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었으며 문집《근시재집(近始齋集)》이 있음.
1555~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김해(金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醴安). 영흥 도호부사 (永興都護府使) 김반천(金半千)의 아들.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내던 중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항전하다가 전사함.
1534~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해(金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청도 군수(淸道郡守)를 지낸 김덕붕(金德鵬)의 아버지로, 수성금화사 제검(修城禁火司提檢)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해김씨(金海金氏)
가야의 수로왕(首露王)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가야 , 경상도>김해 , 인명>집단>성씨
-
김해배씨(金海裵氏)
신라 초기의 육촌(六村) 중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의 촌장인 지타(祗沱)를 도시조로 삼고, 고려 개국공신(開國功臣) 배현경(裵玄慶)의 현손인 배원룡(裵元龍)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김해 , 인명>집단>성씨
-
김해허씨(金海許氏)
가야 수로왕(首露王)의 비(妃)인 보주태후(普州太后) 허황옥(許黃玉)의 35세손으로, 고려 때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진 허염(許琰)을 시조로 하는 성씨. 허씨 중에 종통(宗統).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집단>성씨
-
김행(金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국평(金國枰)의 아들이고, 백인걸(白仁傑)ㆍ성수침(成守琛)의 문인(門人). 사도시 정(司䆃寺正)과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글씨와 무예에도 뛰어났음.
1532~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김헌윤(金憲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의 아버지.
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헌창(金憲昌)
신라 헌덕왕(憲德王) 때의 왕족. 무열왕계인 아버지 김주원(金周元)이 내물왕계 귀족들의 반대로 왕위 계승에서 밀려나자 822년 공주(公州)에서 난을 일으켜 국호를 장안(長安), 연호를 경운(慶雲)이라 했다가 관군에 패하여 자살함.
?~822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김혁(金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백겸(金伯謙)의 아버지로, 행 통정대부(行通政大夫) 중화군 지사(中和郡知事)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현(金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도(淸道)로,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낸 김봉상(金鳳祥)의 아버지. 강이습독관(講肄習讀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김현(金鉉)
조선 전기의 유학. 유헌(游軒) 정황(丁熿)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현도(金玄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여정(金汝鼎)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해주 목사(海州牧使) 재직 중 황해도 어사(黃海道御史) 김치(金緻)의 상소로 파직 당하였으나, 모함이었음이 드러나 복직되어 양재 찰방(良才察訪)을 지냄.
15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현성(金玄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두루 능하였으며, 숭인전비문(崇仁殿碑文) 등 서예 유작이 전해짐.
1542~16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김형(金泂)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맹함(金孟諴)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정언(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형(金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응남(金應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김형(金逈)
조선 전기의 은사(隱士). 본관은 광주(光州)로, 칠촌(漆村) 김충남(金忠南)의 아들.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문인(門人)으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났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은자
-
김혜(金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김소석(金召奭)의 아들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문사>유학
-
김혜손(金惠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군수(郡守)를 지냄.
?~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호(金灝)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군기시 정(軍器寺正)을 지낸 김제민(金齊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김호(金鎬)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진산 군수(珍山郡守)를 지낸 김종윤(金宗胤)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와서 별제(瓦署別提)에 보임된 후 지례 현감(知禮縣監) 등을 역임함.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썼고 역서(易筮)에 통달함.
1505~156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호생(金浩生)
조선 전기의 유학. 붓을 만드는 데 종사하면서 많은 유림(儒林)들과 교유하였으며, 신장(申檣)ㆍ신숙주(申叔舟) 부자와 교분을 쌓음. 신숙주의 《보한재집(保閑齋集)》에 그에게 보낸 여러 편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호수(金虎秀)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사위. 양성 현감(陽城縣監)ㆍ용담 현령(龍潭縣令)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혼(金琿)
고려 고종(高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경손(金慶孫)의 아들로, 판삼사사(判三司事) 등을 지냈으며, 추성익대공신(推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짐.
1239~131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홍(金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익견(金益堅)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진주 목사(晉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홍(金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세진(金世震)의 아들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홍근(金弘根)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안동김씨의 세도를 배경으로 진급을 거듭하여 관직이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788~18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홍도(金弘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김로(金魯)의 아들.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으며,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때 윤원형(尹元衡)에 의해 갑산(甲山)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524~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김홍미(金弘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이며, 조식(曺植)과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이조 좌랑(吏曹佐郞) 재직 중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파면됨. 뒤에 복관되어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57~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홍민(金弘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 삼사(三司)를 거쳐 전한(典翰) 등을 역임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상주(尙州)에서 적의 통로를 막아 적군이 통행로를 우회하게 하는 공을 세움.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홍서(金弘緖)
조선 후기의 문신. 시정(寺正)을 지냄. 임진왜란 때 의병에 참가한 형 김홍업(金弘業)에 대한 〈행록(行錄)〉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김홍업(金弘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임진왜란이 일어나 의병을 모집하는 박광전(朴光前)을 찾아간 사실이《죽천집(竹川集)》에 전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김홍우(金弘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효원(金孝元)ㆍ김이원(金履元)의 아버지. 영유 현령(永柔縣令)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증직(贈職)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홍윤(金弘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극핍(金克愊)의 아들.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을 탄핵하다 파직당하기로 함.
1499~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홍익(金弘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성원(金成遠)의 아버지. 병절교위(秉節校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홍진(金鴻鎭)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종 때의 문신 김영한(金寗漢)의 생부.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을 역임함.
한국>근대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홍필(金弘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의성 현령(義城縣令)을 지낸 김영세(金英世)의 아버지.
1467~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김화(金鏵)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상주(尙州). 1460년(세조 6)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상의원 판관(尙衣院判官)ㆍ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지냈음.
1433~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김확(金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유학 김광찬(金光纘)의 아들로, 1603년(선조 36)에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벼슬하지는 않음.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1583~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김환(金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김계흥(金季興)의 아버지로, 학성군(鶴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김황(金貺)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회군공신(回軍功臣)인 밀양 부사(密陽府使) 김온(金穩)의 아버지. 봉상대부(奉常大夫)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김황(金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증손(金曾孫)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김회(金淮)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김효로(金孝盧)의 아버지로 음성현감(陰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회윤(金懷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직손(金直孫)의 아버지.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회조(金懷祖)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문민공(文敏公) 김광철(金光轍)의 아들로, 통헌대부(通憲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효량(金孝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의 장인으로, 위원 군수(渭原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김효례(金孝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풍(淸風).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김길통(金吉通)의 아버지. 좌찬성(左贊成)에 증직(贈職)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문사>유학
-
김효로(金孝盧)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김회(金淮)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54~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김효민(金孝敏)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교감(校勘) 김양전(金良琠)과 형조 판서(刑曹判書) 김양경(金良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김효방(金孝芳)
신라 제37대 왕 선덕왕(宣德王)의 아버지. 본관은 경주(慶州). 내물마립간의 9세손으로, 관등은 해찬(海飡).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김효손(金孝孫)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역임. 삼척 부사(三陟府使) 재임시 죽서루(竹西樓)를 중건함.
1373~14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효우(金孝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예안(禮安). 김미손(金尾孫)의 아들이며,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를 지낸 김흠조(金欽祖)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김효원(金孝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조식(曺植)ㆍ이황(李滉)의 문인. 이조 전랑(吏曹銓郞)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
1542~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효원(金效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장원서 장원(掌苑署掌苑)을 지낸 김만억(金萬億)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정자(正字)를 지내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효인(金孝印)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231년(고종 18) 몽고 침입 때 전중 시어사(殿中侍御史)로서 몽고측의 첩문(牒文)을 인수하는 일을 맡았으며, 관직이 병부 상서(兵部尙書)에 이름.
?~125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후(金珝)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나주 목사(羅州牧使)를 지낸 김윤제(金允悌)의 아버지. 양곡(陽谷) 소세양(蘇世讓)과 교유하였으며,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후(金厚)
고려 후기의 문신. 내부령(內府令)을 지낸 김승용(金承用)의 아들로,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를 지냈고, 상락군(上洛君)에 습봉(襲封)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훈(金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川). 임진왜란 때 순절한 김여물(金汝岉)의 아버지. 성현도 찰방(省峴道察訪)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김훈(金薰)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영유(金永濡)의 아들이자 김세필(金世弼)의 아버지.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등을 지냄.
1437~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훈(金訓)
조선 전기의 문인. 박흥생(朴興生)ㆍ박연(朴堧)ㆍ서호(徐皥) 등과 교유하였으며, 박흥생의 《국당유고(菊堂遺稿)》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문인
-
김훤(金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별초(三別抄)의 잔적(殘賊)을 격퇴하고,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였음.
1234~130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휘손(金徽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양진(金楊震)의 아버지. 진산 군수(珍山郡守)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휴백(金休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성암(省庵) 김효원(金孝元)의 사촌 동생으로, 《성암집(省庵集)》에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김흔(金忻)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무신. 아버지 김방경(金方慶)을 따라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고 대장군이 되었으며, 이후 합단(合丹)을 격파하는 등의 공을 세움.
1251~130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흔(金訢)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림(士林)의 촉망을 받았으며, 율시(律詩)에 능함.
144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흘(金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노직(老職)으로 통정(通政)의 관계(官階)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김흠(金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력부위(展力副尉) 김승석(金承碩)의 아들.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을 맞아 항전도중 순절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됨.
1537~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흠조(金欽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사림파(士林派) 성향의 인물로 김종직(金宗直) 등의 신원을 주청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여러 차례 대간의 탄핵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흥경(金興慶)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두성(金斗星)의 아들. 숙종 때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다가 경종(景宗) 때 신임사화(申壬士禍)에 관련되어 파직되었으나, 영조 등극 후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1677~175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김흥광(金興光)
신라의 왕자. 헌강왕(憲康王) 또는 신무왕(神武王)의 아들이라고 함. 신라의 비운을 예견하여 무주(武州)에 은거하였으며, 광산김씨(光山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김흥근(金興根)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명순(金明淳)의 아들. 《헌종실록(憲宗實錄)》ㆍ《철종실록(哲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796~18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흥우(金興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청풍(淸風). 김육(金堉)의 아버지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1585년(선조 18) 생원ㆍ진사 양시에 합격하여 강릉 참봉(江陵參奉)을 지냄. 문사(文辭)에 능하며 글씨를 잘 썼음.
1564~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김흥조(金興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하였으며, 선전관(宣傳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김희(金禧)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김안로(金安老)의 아들로 효혜공주(孝惠公主)와 혼인함. 작서(灼鼠)의 변(變)을 일으킴.
?~153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왕실>인척
-
김희교(金希敎)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주세붕(周世鵬)의 《무릉잡고(武陵雜稿)》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희년(金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자용(金自鎔)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通禮)를 지냄.
1534~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희련(金希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암(靈岩).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평사(評事) 등을 지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김희삼(金希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우옹(金宇顒)의 아버지.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 등과 교유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김희서(金熙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김명윤(金明胤)의 맏아들로, 1543년(중종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희석(金希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약묵(金若默)의 아버지. 참봉(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김희수(金喜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성중(李誠中)에게 수학하고, 대전별감(大殿別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희수(金希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목사(牧使) 김숙연(金叔演)의 아들로, 권벌(權橃) 등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신원(伸冤)을 청함.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해서(楷書)에 뛰어남.
1475~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희열(金希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김약평(金若枰)의 아들로, 병조ㆍ예조ㆍ호조의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김희우(金希禹)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김광수(金光壽)의 아들로,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김희일(金希逸)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산(商山). 김식(金湜)의 아들로, 찬성사(贊成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희조(金希祖)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였으며, 경성(京城)을 지킨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김희중(金希中)
조선 전기의 무신.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나^이(羅^李)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이동(李侗)과 그의 스승 나종언(羅從彦)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나^조(羅^趙)
중국 후한(後漢)의 서예가인 나휘(羅暉)와 조습(趙襲)을 함께 부르는 말. 서법(書法)의 명가(名家)로 명성을 떨친 두 사람을 말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나대경(羅大經)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학자. 문학비평서(文學批評書)인 《학림옥로(鶴林玉露)》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나덕용(羅德用)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금성(錦城).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나무춘(羅茂春)의 아버지로 장악원 정(掌樂院正)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나덕원(羅德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義兵)을 모집하여 명(明) 나라 제독(提督) 마귀(麻貴)를 도와 왜적을 격퇴함. 벼슬은 함안 현감(咸安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덕윤(羅德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광해군 즉위 후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ㆍ감찰(監察) 등을 지냄.
155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덕준(羅德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해배 후 보은 현감(報恩縣監)을 지냄. 박순(朴淳)ㆍ이이(李珥)와 교유함.
1553~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