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동보(同甫)@이희조 - 이희조(李喜朝)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당파싸움에 여러 차례 휘말렸으나 의리 있고 공정한 자세로 번번히 재임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저서로 《지촌집(芝村集)》이 있음.
1655~172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동보(同甫) - 진량(陳亮)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 영강(永康) 출신으로, 재기(才氣)가 뛰어나 병법을 담론하길 좋아하고, 일찍이 옛사람이 무력을 사용한 것과 승리하고 패배한 것에 대한 사적을 상고하여 작고론(酌古論)을 저술하기도 함.
1143~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보(東輔) - 권동보(權東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權橃)이 귀양가 죽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동봉(東峯)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동봉은자(東峯隱者)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동부(董傅)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부노인(東阜老人) - 진역(陳櫟)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송(宋) 나라가 멸망한 뒤 은거하면서 주희(朱熹)를 종주(宗主)로 삼고 저술에 전념함.
1252~133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부자(董夫子)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빈(洞賓)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동사힐(冬斯肹) - 과천(果川)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동산(峒山) - 공동산(崆峒山)
중국 감숙성(甘肅省) 평량(平凉)에 있는 산 이름. 도교(道敎) 발상지의 하나. 황제(黃帝)가 이곳의 신선인 광성자(廣成子)를 찾아가 도를 물었다는 말이 전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동산(東山)@황우한 - 황우한(黃佑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삼사(三司)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41~160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산(東山) - 사안(謝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재상. 회계(會稽)의 동산(東山)에서 은거할 때 왕희지(王羲之) 등과 교유하고, 뒤늦게 벼슬하여 환온(桓溫)의 휘하에서 활약함. 재상이 되었을 때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이를 격파함.
320~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산(東山)@조방 - 조방(趙汸)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학자. 《춘추(春秋)》에 조예가 깊어 《춘추집전(春秋集傳)》을 저술하고, 역학(易學)과 천문학(天文學)에도 밝아 많은 저서를 남김.
1319~1369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산(東山)@오격 - 오격(吳激)
중국 송(宋)~금(金) 나라의 문신ㆍ서화가. 건주(建州) 사람으로 문명이 높고 서화(書畵)에 능했음.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계림서사(鷄林書事)〉 등의 작품을 남김.
1090~1142 중국>금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산(銅山)@서주 - 서주(徐州)
중국 강소성(江蘇省) 북서부에 있는 도시. 《서경(書經)》 〈우공(禹貢〉에서 열거한 구주(九州)의 하나로, 초(楚) 나라의 항우(項羽)가 도읍했던 곳이며, 군사상ㆍ교통상의 요지(要地)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동산(銅山) - 철산(鐵山)
평안북도 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993년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철산 , 지명>행정지명
-
동산선생(東山先生) - 조방(趙汸)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학자. 《춘추(春秋)》에 조예가 깊어 《춘추집전(春秋集傳)》을 저술하고, 역학(易學)과 천문학(天文學)에도 밝아 많은 저서를 남김.
1319~1369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산수(東山叟) - 최자(崔滋)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복야(右僕射)를 지낸 최민(崔敏)의 아들. 문장이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의 후계자로 추천되고, 수태사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냄.
1188~126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동산후은(東山後隱) - 사대년(謝大年)
중국 명(明) 나라의 효자. 고려 말의 문신인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이 사대년이 양친(養親)을 생각하며 지은 '망운시(望雲詩)'를 소재로 하여 시를 짓기도 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동상(董相)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서(董舒)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선(東善) - 박동선(朴東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사재감 정(司宰監正) 박응천(朴應川)의 아들.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왕손을 호종하여 좌참찬(左參贊)에 오름.
1562~16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동선(東選) - 동문선(東文選)
조선 성종(成宗) 때 서거정(徐居正) 등이 왕명을 받아 신라 때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시문(詩文)을 모아 엮은 시문집. 이후 숙종(肅宗) 때 당시까지의 시문을 추가하여 개편(改編)한 것까지 통틀어 이르기도 함.
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성(東城)@광희문 - 광희문(光熙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흥인지문(興人之門)과 숭례문(崇禮門) 사이에 있던 동남간문(東南間門)으로, 소의문(昭義門)과 함께 시신(屍身)을 성 밖으로 운반하는 통로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동성(東城) - 사천(泗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한려수도(閑麗水道)의 중심 기항지이며, 서부경남(西部慶南)의 관문(關門)임.
경상도>사천 , 지명>행정지명
-
동성군(東城君)@목호룡 - 목호룡(睦虎龍)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지관(地官). 본관은 사천(泗川)으로, 남인(南人)의 서얼(庶孽). 1722년(경종 2) 김일경(金一鏡)의 사주로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키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올랐으나, 1724년 영조가 즉위하면서 김일경과 함께 처형됨.
1684~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술인>지관ㅣ인명>관인>문신
-
동성군(東城君) - 신경인(申景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성군(東城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겸 포도대장(捕盜大將)을 거쳐 어영대장(御營大將)에 특차되어 중앙의 군사권을 장악함.
1590~164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동성군(東城君)@이순 - 이순(李詢)@이호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세 번째 서자인 의창군(義昌君) 이공(李玒)의 손자이며, 사산군(蛇山君) 이호(李灝)의 아들.
1465~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나가아주타나(那伽阿周陀那) - 용수(龍樹)
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 인도 대승불교사상(大乘佛敎思想)의 기초를 확립하고, 공사상(空思想)을 전개하여 중관학파(中觀學派)로 불림. 저서로 《중론(中論)》등이 있음.
150?~250?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나금암(羅錦巖) - 나덕준(羅德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해배 후 보은 현감(報恩縣監)을 지냄. 박순(朴淳)ㆍ이이(李珥)와 교유함.
1553~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대지(羅大之) - 나덕준(羅德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해배 후 보은 현감(報恩縣監)을 지냄. 박순(朴淳)ㆍ이이(李珥)와 교유함.
1553~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도(羅島) - 능라도(綾羅島)
평안도 평양(平壤)의 대동강(大同江) 가운데 있는 섬 이름. 예로부터 자연경관이 수려해 기성팔경(箕城八景)의 하나로 꼽힘.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나도(羅都) - 경주(慶州)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진한(辰韓)의 중심지이자 신라(新羅) 천년의 고도(古都).
경상도>경주 , 지명>행정지명
-
나복(蘿葍)@최산두 - 최산두(崔山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초계최씨(草溪崔氏)의 중시조. 사간(司諫)ㆍ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동복(同福)으로 유배됨. 문장에 뛰어나 유성춘(柳成春)ㆍ윤구(尹衢)와 함께 ‘호남삼걸’로 불림.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나복(蘿葍) - 동복(同福)
전라도 화순(和順)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나복산인(蘿葍山人)@최산두 - 최산두(崔山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초계최씨(草溪崔氏)의 중시조. 사간(司諫)ㆍ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동복(同福)으로 유배됨. 문장에 뛰어나 유성춘(柳成春)ㆍ윤구(尹衢)와 함께 ‘호남삼걸’로 불림.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나복산인(蘿葍山人) - 김도(金濤)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양백연(楊伯淵)의 옥사에 연루되어 효수당함.
?~137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나부(懦夫) - 황수신(黃守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領議政) 황희(黃喜)의 아들. 영의정에 오르고, 세조 등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법화경(法華經)》등 불경의 번역을 주관함.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나사(螺師) - 옥명(玉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승려. 가야산(伽倻山) 내원암(內院庵)에 있던 승려로 취라(吹螺)를 잘 불었고, 김종직(金宗直)ㆍ김일손(金馹孫)ㆍ유호인(兪好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나상인(螺上人) - 옥명(玉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승려. 가야산(伽倻山) 내원암(內院庵)에 있던 승려로 취라(吹螺)를 잘 불었고, 김종직(金宗直)ㆍ김일손(金馹孫)ㆍ유호인(兪好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나성군(羅城君) - 오자치(吳自治)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1467년(세조 13)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영정(影幀)을 하사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나성지(羅誠之) - 나덕윤(羅德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광해군 즉위 후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ㆍ감찰(監察) 등을 지냄.
155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습(羅什) - 구마라습(鳩摩羅什)
인도의 승려. 7세에 출가하여 소승교(小乘敎)와 대승교(大乘敎), 율(律)을 차례로 배운 뒤 출생지인 구자국(龜玆國)에서 포교활동을 함.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등 많은 경전을 번역하고,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로 칭함.
344~413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나승(羅升) - 나흠순(羅欽順)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왕수인(王守仁)이 쓴 《주자만년정론(朱子晩年定論)》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함.
1465~154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나승(螺僧) - 옥명(玉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승려. 가야산(伽倻山) 내원암(內院庵)에 있던 승려로 취라(吹螺)를 잘 불었고, 김종직(金宗直)ㆍ김일손(金馹孫)ㆍ유호인(兪好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나암(懶庵)@보우 - 보우(普雨)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금강산 마하연암(摩訶衍庵)에서 참선(參禪)하고 경학(經學)을 연구했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신임을 얻어 봉은사(奉恩寺) 주지(主持)가 됨. 선교 양종(禪敎兩宗)을 부활시켰으며, 도첩제(度牒制)에 의한 승과(僧科)를 설치함.
1509~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나암(懶庵)@노인 - 노인(盧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노진(盧禛)의 종제(從弟)이며, 민인백(閔仁伯)의 외조부. 《하서집(河西集)》에 〈제노경이나암(題盧敬而懶庵)〉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나암(懶菴) - 우순필(禹舜弼)
조선 전기의 유학. 조욱(趙昱)과 교유하였으며, 조욱이 그에 관해 노래한 시가 《용문집(龍門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나예장(羅豫章) - 나종언(羅從彦)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양시(楊時)에게서 이정(二程)의 학문을 배우고, 이동(李侗)에게 전하여 주희(朱熹)에 이르렀으므로, 양시(楊時)ㆍ이동(李侗)과 함께 '남검삼선생(南劍三先生)'으로 불림.
107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나옹(懶翁)@혜근 - 혜근(惠勤)
고려 충혜왕 복위(忠惠王復位)~우왕(禑王) 때의 승려. 선종(禪宗)의 고승(高僧)으로, 원(元) 나라에 가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가르침을 받고, 처림(處林)에게서 중국 선교(禪敎)의 영향을 받음. 보우(普愚)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움.
1320~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종교인>승려
-
나옹(懶翁)@유운 - 유운(柳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정조(正祖) 때 도사(都事) 등을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버지로, 황간 현감(黃澗縣監) 등을 지내고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으며, 풍창군(豊昌君)에 습봉(襲封)됨.
1701~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나옹(懶翁) - 유성춘(柳成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좌되어 파직됨. 윤구(尹衢)ㆍ최산두(崔山斗) 등과 시주(詩酒)로 교우하며 호남삼걸(湖南三傑)로 불림.
1495~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나옹(瀨翁) - 서지(徐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宗中) 때의 문신. 공조 판서(工曹判書)ㆍ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를 역임하였으며, 김안로(金安老)가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
1468~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나와(懶窩) - 기언정(奇彦鼎)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6대손이며, 덕창군(德昌君) 기정후(奇挺後)의 아들. 대사헌ㆍ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를 중간(重刊)함.
1716~17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나왕(羅王) - 문무왕(文武王)
신라 제30대 왕. 재위 661~681.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과 문명왕후(文明王后)의 맏아들. 나당(羅唐) 연합군을 결성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통일의 대업을 완수함.
?~681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나운자(懶雲子) - 혜침(惠忱)
조선 전기의 승려. 일찍이 산수(山水)를 주유하던 박은(朴誾)을 만나 벗으로 사귀고, 함께 천마산(天磨山)을 유람함. 박은의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나원(羅原) - 오세훈(吳世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우의정(右議政) 오겸(吳謙)의 아버지로, 부사(府使)를 지냄.
1460~151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원군(羅原君) - 오세훈(吳世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우의정(右議政) 오겸(吳謙)의 아버지로, 부사(府使)를 지냄.
1460~151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유지(羅有之) - 나덕윤(羅德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광해군 즉위 후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ㆍ감찰(監察) 등을 지냄.
155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융(懶融) - 법융(法融)@당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이며 우두선(牛頭禪)의 개조(開祖). 19세에 경사(經史)에 통달하고, 《대반야경(大般若經)》을 읽다가 진공(眞空)의 이치를 깨달음.
594~657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나은(懦隱) - 김사(金嗣)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수원(水原). 벼슬하지 않고 안빈수도(安貧守道)하며 후학을 양성함.
1447~15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나은(懶隱)@윤광령 - 윤광령(尹光齡)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비인(庇仁)으로 유배되었으며, 서용된 후 임천 군수(林川郡守)와 부정(副正) 등을 지냄.
1492~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나은(懶隱) - 신복순(申復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 신숙주(申叔舟)의 손자이며,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 신준(申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원종일등공신(原從一等功臣)에 책봉되어 2품직에 오름.
1464~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나은(懶隱)@이동표 - 이동표(李東標)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운익(李雲翼)의 아들로,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화를 당한 박태보(朴泰輔) 등을 신구(伸救)하다가 양양 현감(襄陽縣監)으로 좌천되었으며, 낙향한 후 여러 번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644~17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나이건(羅以健) - 나덕원(羅德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義兵)을 모집하여 명(明) 나라 제독(提督) 마귀(麻貴)를 도와 왜적을 격퇴함. 벼슬은 함안 현감(咸安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일봉(羅一峯) - 나륜(羅倫)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 수찬(翰林修撰)ㆍ남경 공직(南京供職)을 지내고 사퇴한 뒤, 금우산(金牛山)으로 들어가 학문 활동과 저술에 전념함. 의(義)를 중요시했고, 저서로《일봉집(一峯集)》이 있음.
1431~147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나잔자(懶殘子)@김안정 - 김안정(金安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공조 참의를 지낸 김흔(金訢)의 아들로, 도승지와 이조 참판,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함.
1476~153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나재(懶齋)@채수 - 채수(蔡壽)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어 인천군(仁川君)에 봉해지고, 패관소설인 《설공찬전(薛公贊傳)》을 지음.
1449~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나재(懶齋) - 유성춘(柳成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좌되어 파직됨. 윤구(尹衢)ㆍ최산두(崔山斗) 등과 시주(詩酒)로 교우하며 호남삼걸(湖南三傑)로 불림.
1495~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나재(懶齋)@윤광령 - 윤광령(尹光齡)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비인(庇仁)으로 유배되었으며, 서용된 후 임천 군수(林川郡守)와 부정(副正) 등을 지냄.
1492~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나정(懶亭) - 서지(徐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宗中) 때의 문신. 공조 판서(工曹判書)ㆍ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를 역임하였으며, 김안로(金安老)가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
1468~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나정암(羅整庵) - 나흠순(羅欽順)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왕수인(王守仁)이 쓴 《주자만년정론(朱子晩年定論)》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함.
1465~154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나정암(羅整菴) - 나흠순(羅欽順)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왕수인(王守仁)이 쓴 《주자만년정론(朱子晩年定論)》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함.
1465~154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나조(羅祖) -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
신라의 시조. 재위 B.C.57~A.D.4. 양산(楊山) 아래 나정(蘿井)에서 난생(卵生)하여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거서간(居西干)에 올랐으며, 재위 중 전국을 순행하며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
B.C.69~A.D.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나졸(懶拙) - 송상주(宋相周)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5대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나졸노인(懶拙老人)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나주박씨(羅州朴氏) - 반남박씨(潘南朴氏)
고려시대 반남 호장(潘南戶長)을 지낸 박응주(朴應珠)를 시조로 하고, 금천부원군(錦川府院君) 박은(朴訔)을 중시조로 하여 성립한 성씨.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나주 , 인명>집단>성씨
-
나중묵(羅仲默) - 나사선(羅士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진원 현감(晉原縣監)을 지낸 나질(羅晊)의 아들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중부(羅仲孚) - 나사침(羅士忱)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진원 현감(晉原縣監)을 지낸 나질(羅晊)의 아들로, 이성 현감(尼城縣監)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무고(誣告)로 인해 문초(問招)를 받았으나 바로 석방됨.
1525~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중소(羅仲素) - 나종언(羅從彦)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양시(楊時)에게서 이정(二程)의 학문을 배우고, 이동(李侗)에게 전하여 주희(朱熹)에 이르렀으므로, 양시(楊時)ㆍ이동(李侗)과 함께 '남검삼선생(南劍三先生)'으로 불림.
107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나하추(納哈出) - 납합출(納哈出)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무장(武將).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東北面) 쌍성(雙城)을 침입했으나,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 이성계(李成桂)에게 격퇴당함.
?~1388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나한(羅漢) - 아라한(阿羅漢)
불교에서 열반(涅槃) 또는 깨달음에 이른 성자(聖者)를 가리키는 말. 원래는 석가(釋迦)의 가까운 제자 16명을 지칭하였으나 뒤에는 500명까지 늘어났으며, 후대에는 개인적인 깨달음에 만족한 소승(小乘)의 수행자들을 가리키기도 함.
사상>술어>핵심어
-
나합출(納哈出) - 납합출(納哈出)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무장(武將).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東北面) 쌍성(雙城)을 침입했으나,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 이성계(李成桂)에게 격퇴당함.
?~1388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나해(那海)@최안도 - 최안도(崔安道)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 최현(崔玄)의 아들.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들어가 5년간 억류되어 있을 때 성심으로 시종(侍從)하여, 귀국한 후 응양 상호군(鷹揚上護軍)에 오르고 일등공신이 됨.
1293~1340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나해(那海) - 김영돈(金永暾)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의 손자로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됨.
1285~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나해(那海)@이나해 - 이나해(李那海)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됨. 원 나라에서 직서사인(直書舍人)을 지내고, 귀국해서는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지냄.
?~13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나헌(懶軒)@김전 - 김전(金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김우신(金友臣)의 아들. 중종 때 《속동문선(續東文選)》을 편찬하고,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나헌(懶軒)@윤탕로 - 윤탕로(尹湯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윤호(尹壕)의 아들이며, 성종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오빠. 중종 때 정국공신(靖國功臣)과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나헌(懶軒) - 신준(申浚)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면서 언로(言路)의 개방 등 시무십조(時務十條)를 진언하였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나헌(蘿軒)@김극성 - 김극성(金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김맹권(金孟權)의 아들. 세 번이나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 김안로(金安老)의 실각 이후 우의정(右議政)에 오름.
147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나헌(蘿軒) - 박현몽(朴玄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풍천 교수(豐川敎授) 등을 지냈으며, 정극인(丁克仁)의 《불우헌집(不憂軒集)》에 그에게 보내는 시(詩)가 실려 있음.
1442~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나화상(螺化上) - 옥명(玉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승려. 가야산(伽倻山) 내원암(內院庵)에 있던 승려로 취라(吹螺)를 잘 불었고, 김종직(金宗直)ㆍ김일손(金馹孫)ㆍ유호인(兪好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나화상(螺和尙) - 옥명(玉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승려. 가야산(伽倻山) 내원암(內院庵)에 있던 승려로 취라(吹螺)를 잘 불었고, 김종직(金宗直)ㆍ김일손(金馹孫)ㆍ유호인(兪好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나회지(羅晦之) - 나덕현(羅德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유학.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감. 효심이 지극하여 인조 때 정려(旌閭)하고 사옹원 참봉(司甕院參奉)을 추증함.
1565~162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낙(洛) - 성락(成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황(李滉) 문하에서 수학함.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
154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낙(樂) - 김락(金樂)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개국공신. 견훤(甄萱)과의 공산전투(公山戰鬪)에서 신숭겸(申崇謙)과 함께 태조를 구하고 전사함. 〈도이장가(悼二將歌)〉의 주인공.
?~927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낙^노(駱^盧) - 노^낙(盧^駱)
중국 당(唐) 나라 초기의 문인(文人)인 노조린(盧照鄰)과 낙빈왕(駱賓王)을 함께 부르는 말. 시문(詩文)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낙^삭(洛^朔) - 삭^낙(朔^洛)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원우삼당(元祐三黨)에 속하는 삭당(朔黨)과 낙당(洛黨)을 함께 부르는 말. 낙당은 정이(程頤)를 영수로 삼고 삭당은 유지(劉摯) 등을 영수로 삼아 격렬한 정쟁(政爭)을 벌임.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낙^촉^삭(洛^蜀^朔) - 삭^촉^낙(朔^蜀^洛)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수구파(守舊派)인 삭당(朔黨)ㆍ촉당(蜀黨)ㆍ낙당(洛黨)을 함께 부르는 말. 낙당은 정이(程頤), 촉당은 소식(蘇軾), 삭당은 유지(劉摯)를 영수로 삼아 치열한 정쟁(政爭)을 벌임. 원우삼당(元祐三黨)으로 불림.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