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남계(南溪)@김맹 - 김맹(金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감찰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세조(世祖) 때 좌익 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410~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계(南溪)@이보 - 이보(李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주로 외직에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음.
1545~1608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남계(南溪)@금축 - 금축(琴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손자. 1531년(중종 26)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1540년(중종 35) 권벌(權橃)에 의해 일사(逸士)로 천거되어 제릉 참봉(齊陵參奉)에 임명됨.
1496~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남계(南谿) - 허충길(許忠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허백기(許伯琦)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명종(明宗)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의주(義州)로 유배되고, 후에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계(灆溪)@임희무 - 임희무(林希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좌승지ㆍ밀양 군수 등을 지냄. 1552년(명종 7) 강익(姜翼)ㆍ정복현(鄭復顯) 등과 함께 함양(咸陽)에 정여창(鄭汝昌)을 배향한 남계서원(灆溪書院)을 세움.
1527~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남계(灆溪) - 유호인(兪好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시(詩)ㆍ문(文)ㆍ서(書)에 뛰어나 당대 삼절(三絶)로 일컬어지고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음.
1445~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계(藍溪) - 표연말(表沿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하였다는 등의 죄명으로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도중 죽었으며,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가 뒤에 신원됨.
1449~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남계도사(南溪道士) - 경연(慶延)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효행으로 천거되어 이산 현감(尼山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남계부군(藍溪府君) - 표연말(表沿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하였다는 등의 죄명으로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도중 죽었으며,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가 뒤에 신원됨.
1449~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남계서당(南溪書堂) - 남계서원(南溪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군위(軍威)에 건립한 서원. 1620년(광해군 12)에 남계서당(南溪書堂)을 중수하여 서원으로 승격하고, 유성룡(柳成龍)ㆍ이호민(李好閔) 등을 배향함.
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군위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계서원(藍溪書院) - 남계서원(灆溪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건립한 서원. 정여창(鄭汝昌)ㆍ정온(鄭蘊)ㆍ강익(姜翼) 등을 배향함.
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계선생문집(南溪先生文集) - 남계집(南溪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채(朴世采)의 문집. 125권 56책. 양적으로 방대하고 당시의 사회ㆍ정치ㆍ사상 등 광범위한 내용을 포괄하고 있음. 영조(英祖) 때 조현명(趙顯命)에 의해 간행됨.
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남계선생문집(藍溪先生文集) - 남계집(藍溪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표연말(表沿沫)의 문집. 1914년 표석준(表奭峻)ㆍ표인해(表仁海)에 의해 간행됨. 4권 2책.
1914 한국>근대 , 경상도>의령 , 문헌>서명
-
남계선생박문순공문정집(南溪先生朴文純公文正集) - 남계집(南溪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채(朴世采)의 문집. 125권 56책. 양적으로 방대하고 당시의 사회ㆍ정치ㆍ사상 등 광범위한 내용을 포괄하고 있음. 영조(英祖) 때 조현명(趙顯命)에 의해 간행됨.
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남계선생박문순공문집(南溪先生朴文純公文集) - 남계집(南溪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채(朴世采)의 문집. 125권 56책. 양적으로 방대하고 당시의 사회ㆍ정치ㆍ사상 등 광범위한 내용을 포괄하고 있음. 영조(英祖) 때 조현명(趙顯命)에 의해 간행됨.
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남계원(灆溪院) - 남계서원(灆溪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건립한 서원. 정여창(鄭汝昌)ㆍ정온(鄭蘊)ㆍ강익(姜翼) 등을 배향함.
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계정사(南溪精舍) - 남계서원(南溪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군위(軍威)에 건립한 서원. 1620년(광해군 12)에 남계서당(南溪書堂)을 중수하여 서원으로 승격하고, 유성룡(柳成龍)ㆍ이호민(李好閔) 등을 배향함.
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군위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계처사(南溪處士) - 조수만(趙壽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 한 사람인 조려(趙旅)의 손자로, 부친인 조금호(趙金虎)보다 먼저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유학
-
남고(南皐)@덕연서원 - 덕연서원(德淵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칠원(漆原)에 건립한 서원. 1641년(인조 19)에 창건되고 1676년(숙종 2)에 사액되었으며, 주세붕(周世鵬)ㆍ배세적(裵世績)ㆍ배석지(裵錫祉)ㆍ황협(黃悏)ㆍ주박(周博) 등을 배향함.
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고(南皐)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고(南皐)@주세붕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고사(南皐祠) - 덕연서원(德淵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칠원(漆原)에 건립한 서원. 1641년(인조 19)에 창건되고 1676년(숙종 2)에 사액되었으며, 주세붕(周世鵬)ㆍ배세적(裵世績)ㆍ배석지(裵錫祉)ㆍ황협(黃悏)ㆍ주박(周博) 등을 배향함.
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고서원(南皐書院) - 덕연서원(德淵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칠원(漆原)에 건립한 서원. 1641년(인조 19)에 창건되고 1676년(숙종 2)에 사액되었으며, 주세붕(周世鵬)ㆍ배세적(裵世績)ㆍ배석지(裵錫祉)ㆍ황협(黃悏)ㆍ주박(周博) 등을 배향함.
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곡(南谷) - 김의(金嶷)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증손이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된 지평(持平) 김저(金䃴)의 손자.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남곡(南谷)@이후 - 이후(李垕)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중종(中宗)의 아들인 덕양군(德陽君)의 현손(玄孫). 한충(韓忠)의 문집인 《송재집(松齋集)》에 〈삼송정실기(三松亭記實)〉가 실려 있음.
1611~16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남곡(南谷)@이석지 - 이석지(李釋之)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보문각 제학(寶文閣提學) 등을 지내고, 고려 말에 용인(龍仁)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남곡(嵐谷)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남곡선생(南谷先生) - 이석지(李釋之)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보문각 제학(寶文閣提學) 등을 지내고, 고려 말에 용인(龍仁)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남곽(南郭)@박동열 - 박동열(朴東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이항복(李恒福)과 교유했고,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이를 적극 반대했음. 시문(詩文)에 능하였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 및 국조의 고사에 두루 통하였음.
1564~16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곽(南郭)@손순효 - 손순효(孫舜孝)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우찬성(右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식료찬요(食療撰要)》를 간행함.
1427~149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남곽(南郭)@이호민 - 이호민(李好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 적서(嫡庶)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立長論)을 주장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곽(南郭) - 남곽자기(南郭子綦)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은자. 초(楚) 나라 소왕(昭王)의 서제(庶弟).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그의 제자인 안성자유(顔成子游)와 문답한 내용이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남곽로(南郭老) - 박동열(朴東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이항복(李恒福)과 교유했고,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이를 적극 반대했음. 시문(詩文)에 능하였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 및 국조의 고사에 두루 통하였음.
1564~16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곽선생(南郭先生) - 남곽자기(南郭子綦)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은자. 초(楚) 나라 소왕(昭王)의 서제(庶弟).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그의 제자인 안성자유(顔成子游)와 문답한 내용이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남곽자(南郭子) - 남곽자기(南郭子綦)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은자. 초(楚) 나라 소왕(昭王)의 서제(庶弟).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그의 제자인 안성자유(顔成子游)와 문답한 내용이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남궁(南宮)@예부 - 예부(禮部)
신라 진평왕(眞平王) 8년에 설치된 외교(外交)와 의례(儀禮)를 맡아본 관서(官署). 관원으로는 영(令)ㆍ경(卿)ㆍ대사(大舍) 등이 있었으며, 고려 후기까지 존속됨.
5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고려시대ㅣ한국>신라 , 법제>관청
-
남궁(南宮)@예조 - 예조(禮曹)
고려 후기와 조선시대에 걸쳐 존속된 관청으로, 육조(六曹)의 하나. 1389년(공양왕 1) 예부(禮部)를 개칭하여 조선시대에 계승되었으며, 예의(禮儀)ㆍ제향(祭享)ㆍ조회(朝會)ㆍ교빙(交聘)ㆍ학교ㆍ과거(科擧)에 관한 일을 관장함.
1389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관청
-
남궁(南宮) - 미불(米芾)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 등과 친교가 있었고, 미점법(米點法)이라는 독자적인 점묘법(點描法)을 창시함.
1051~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남궁경숙(南宮敬叔) - 남궁괄(南宮括)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조카사위.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許與)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궁도(南宮縚) - 남궁괄(南宮括)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조카사위.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許與)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궁만(南宮萬) - 남궁장만(南宮長萬)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경(卿). 송(宋) 민공(閔公)을 시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남궁배천(南宮白川) - 남궁제(南宮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남궁숙(南宮淑)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사돈으로, 연안 부사(延安府使) 등을 지냄. 성혼이 그에게 보낸 편지가 《우계집(牛溪集)》에 실려 있음.
15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궁생(南宮甥) - 남궁명(南宮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부사(府使)를 지낸 남궁제(南宮悌)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사위. 1591년(선조 2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별좌(別坐)를 지냄.
156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남궁외사(南宮外史)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궁자용(南宮子容) - 남궁괄(南宮括)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조카사위.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許與)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궁적(南宮適) - 남궁괄(南宮括)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조카사위.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許與)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극노인(南極老人) -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
남반구(南半球)의 용골(龍骨)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고대에는 사람의 수명을 맡아보는 별이라 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 별이 나타나면 나라가 편안해지고 군왕이 장수한다고 여겨 제단(祭壇)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냄.
자연물>천체
-
남극성(南極星) -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
남반구(南半球)의 용골(龍骨)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고대에는 사람의 수명을 맡아보는 별이라 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 별이 나타나면 나라가 편안해지고 군왕이 장수한다고 여겨 제단(祭壇)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냄.
자연물>천체
-
남기(南紀) - 조희한(趙希漢)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으로 한주(漢州) 파릉인(巴陵人)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남녕부원군(南寧府院君) - 홍춘경(洪春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홍계정(洪係貞)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김생체(金生體)의 글씨에 능하고, 문장에 뛰어나 중종의 지문(誌文)을 지음.
1497~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능(南能) - 혜능(慧能)@당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6조(第六祖). 신수(神秀)와 함께 홍인(弘忍) 문하의 이대선사(二大禪師)로, 후에 북종선(北宗禪)은 신수의 점수설(漸修說)을, 남종선(南宗禪)은 혜능의 돈오설(頓悟說)을 계승함.
638~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남당(南堂)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당(南塘)@척계광 - 척계광(戚繼光)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연해 지방에 왜구(倭寇)가 기승을 부리자 병사를 모집하고 새로운 진법(陣法)을 마련하여 왜구 격퇴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 《기효신서(紀效新書)》 등을 저술함.
1528~158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남당(南塘) - 엄용순(嚴用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남당(南塘)@진백 - 진백(陳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선비가 공부하고 수양하는 절차를 말한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당(南塘)@한원진 - 한원진(韓元震)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이간(李柬)과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의 논쟁을 벌여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함. 영릉 참봉(寧陵參奉) 등을 지내고, 저서로 《남당집(南塘集)》이 있음.
1682~17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결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당선생문집(南塘先生文集) - 남당집(南塘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한원진(韓元震)의 문집. 원집(原集) 38권 19책과 습유(拾遺) 6권 3책. 목판본. 금산 군수(金山郡守) 김근행(金謹行)이 편차하여 간행함.
17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금산 , 문헌>서명
-
남당진씨(南塘陳氏) - 진백(陳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선비가 공부하고 수양하는 절차를 말한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대문(南大門) - 숭례문(崇禮門)
조선 태조(太祖) 때 세워진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남쪽 성문의 이름. 서울 중구(中區) 남대문로(南大門路) 소재.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남대방소경(南帶方小京) - 남원(南原)
전라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과 영남을 잇는 교통의 요지임.
전라도>남원 , 지명>행정지명
-
남대지(南大池) - 와룡지(臥龍池)
황해도 연안(延安)의 남쪽 3리 지점에 있던 저수지. 당진(唐津)의 합덕지(合德池), 상주(尙州)의 공검지(恭儉池)와 함께 과거 우리나라 삼대지(三大池)로 꼽혔으며, 겨울에 얼음이 갈라지는 모양으로 풍흉(豐凶)을 점쳤다고 함.
황해도>연안 , 지명>자연지명
-
남돈군(南頓君) - 유흠(劉欽)
중국 한(漢) 나라의 종친.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생부(生父)로, 남돈령(南頓令)을 지내고 남돈군(南頓君)에 봉해졌으며, 광무제 즉위 후 그가 살던 거록(鉅鹿)에 사당이 건립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남돈령(南頓令) - 유흠(劉欽)
중국 한(漢) 나라의 종친.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생부(生父)로, 남돈령(南頓令)을 지내고 남돈군(南頓君)에 봉해졌으며, 광무제 즉위 후 그가 살던 거록(鉅鹿)에 사당이 건립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남득(南得) - 김남득(金南得)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고령김씨(高靈金氏)의 시조(始祖).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남로(南老) - 왕초재(汪楚材)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와 오경(吳儆) 등에게 배우면서 기대를 한몸에 받았으며, 석유(碩儒)로 명성을 떨침. 호남 안무사(湖南按撫司)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록(南錄) - 금강록(金剛錄)@남효온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인 남효온(南孝溫)인 금강산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록. 저자의 금강산 기행은 1485년(성종 16)에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남록(南麓) - 유희서(柳熙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좌의정(左議政) 유전(柳㙉)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외교 사무를 담당하고,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를 지냄. 1603년(선조 36) 포천(抱川)에서 화적(火賊)에게 살해되었는데, 임해군(臨海君)이 그의 첩(妾) 때문에 암살하였다고도 함.
1559~160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남루(南樓) - 영남루(嶺南樓)
경상도 밀양(密陽) 내일동(內一洞)에 있는 누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김주(金湊)가 세웠으며,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조선 현종(顯宗) 때 복원됨.
136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누정
-
남매(南買) - 이천(利川)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기 중서부와 강원도ㆍ충청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 논농사로 유명함.
경기도>이천 , 지명>행정지명
-
남맹하(南孟厦) - 남맹하(南孟夏)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통례(通禮)를 지낸 남경춘(南慶春)의 아들로, 송인(宋寅)ㆍ박민헌(朴民獻)ㆍ김사원(金士元)과 친교(親交)함.
1523~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남면(藍面) - 노기(盧杞)
중국 당(唐) 덕종(德宗) 때의 간신. 성격이 음험하여 국정을 담당할 때 권력을 멋대로 휘둘러 많은 사람을 죽임. 평소 싫어하던 안진경(顔眞卿)을 제거할 목적으로, 모반을 일으킨 이희열(李希烈)에게 보내어 화를 당하게 함.
?~78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남명(南冥)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남명(南明) - 왕도곤(汪道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의오 현령(義烏縣令) 때 척계광(戚繼光)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倭寇)를 격파하고, 병부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李攀龍)ㆍ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
1525~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명(南溟) - 왕도곤(汪道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의오 현령(義烏縣令) 때 척계광(戚繼光)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倭寇)를 격파하고, 병부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李攀龍)ㆍ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
1525~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명거사(南冥居士)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남명사우(南冥祠宇) - 덕천서원(德川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건립한 서원. 조식(曺植)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강학하던 곳에 건립함. 1609년(광해군 1)에 사액되었으며, 조식ㆍ최영경(崔永慶)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山淸郡)에 속함.
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명서원(南冥書院) - 덕천서원(德川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건립한 서원. 조식(曺植)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강학하던 곳에 건립함. 1609년(광해군 1)에 사액되었으며, 조식ㆍ최영경(崔永慶)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山淸郡)에 속함.
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명선생집(南冥先生集) - 남명집(南冥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조식(曺植)의 시문집. 3권. 목판본. 1604년(선조 37)에 저자의 문인 정인홍(鄭仁弘)이 유고를 수집하여 편차한 후 합천(陜川)의 해인사(海印寺)에서 초간(初刊)함.
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문헌>서명
-
남명시집(南冥詩集) - 남명집(南冥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조식(曺植)의 시문집. 3권. 목판본. 1604년(선조 37)에 저자의 문인 정인홍(鄭仁弘)이 유고를 수집하여 편차한 후 합천(陜川)의 해인사(海印寺)에서 초간(初刊)함.
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문헌>서명
-
남몽선(南夢仙) - 혜능(慧能)@조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승려. 응철(應哲)에게 수계(受戒)하고 천조(天照)ㆍ호구당(虎丘堂)에게 가르침을 받음. 전국의 명산을 유력(遊歷)하다가 말년에 천축사(天竺寺)로 돌아와 입적함.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홍천ㅣ강원도>강릉 , 인명>종교인>승려
-
남문(南門) - 숭례문(崇禮門)
조선 태조(太祖) 때 세워진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남쪽 성문의 이름. 서울 중구(中區) 남대문로(南大門路) 소재.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남미춘(婪尾春)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남봉(南峯)@김질충 - 김질충(金質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부호군(副護軍) 김경(金鏡)의 아들. 승정원 도승지(承政院都承旨)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봉(南峯) - 김홍도(金弘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김로(金魯)의 아들.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으며,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때 윤원형(尹元衡)에 의해 갑산(甲山)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524~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남봉(南峯)@정지연 - 정지연(鄭芝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정유인(鄭惟仁)의 아들이며, 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 이황(李滉)의 추천으로 왕자사부(王子師傅)가 되고 직제학(直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남봉(南峯)@서목 - 서목(徐穆)
통일신라 말~고려 초의 호족(豪族). 이천(利川) 지방의 호족으로, 왕건(王建)이 남쪽으로 정벌을 하기 위하여 이 지역을 통과할 때 강을 쉽게 건널 수 있도록 도와줌.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경기도>이천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남봉(南峰) - 김치(金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부사(府使) 김시회(金時晦)의 아들로, 상락군(上洛君) 김시민(金時敏)에게 출계함. 인조반정 후 한때 대북(大北)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지냄.
1577~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남산(南山) - 목멱산(木覓山)
서울 남부에 있는 산 이름. 동쪽의 낙산(駱山), 서쪽의 인왕산(仁王山), 북쪽의 백악산(白岳山) 등과 함께 서울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는 산의 하나로, 풍수지리상으로 안산(案山) 겸 주작(朱雀)에 해당되며, 통신 제도에 중요한 구실을 함.
서울 , 지명>자연지명
-
남산(南山)@금오산 - 금오산(金鰲山)@경주
경상도 경주에 있는 산. 남서쪽에 박혁거세 전설이 전해지는 있는 나정(蘿井)이 있고, 신라시대의 각종 문화재가 산재해 있음. 김시습(金時習)이 은거하며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은 곳으로 알려짐.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남산(南算)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서계(南西溪) - 남추(南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남곤(南袞)에 의해 추방된 뒤 영광(靈光)으로 내려가 시작(詩作)으로 여생을 마침.
1499~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문신
-
남석(南石) - 고상안(高尙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개성(開城). 강제(姜霽)의 문인으로,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이덕형(李德馨)ㆍ이순신(李舜臣) 등과의 서사 기록(書事記錄)을 남김. 저서로 《태촌집(泰村集)》 등이 있음.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석노인(南石老人) - 고상안(高尙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개성(開城). 강제(姜霽)의 문인으로,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이덕형(李德馨)ㆍ이순신(李舜臣) 등과의 서사 기록(書事記錄)을 남김. 저서로 《태촌집(泰村集)》 등이 있음.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성군(南城君)@홍서 - 홍서(洪恕)
고려 말~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사범(洪師範)의 아들로, 고려 말에 대호군(大護軍)을 지냄. 조선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전라도 병마도절제사(全羅道兵馬都節制使)로 파견되어 왜구를 소탕함.
?~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남성군(南城君) - 홍석(洪錫)@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문신.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이극견(李克堅)의 장인으로, 남성군(南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남성시(南省試) - 국자감시(國子監試)
고려시대 국자감에서 실시한 예부시(禮部試)의 예비시험. 제술과(製述科)ㆍ명경과(明經科)로 이루어지며, 급제하면 진사(進士)가 되어 예부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짐.
1031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남송(南宋) - 송(宋)@남북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남조(南朝) 최초의 왕조. 동진(東晉) 말기에 유유(劉裕)가 진(晉) 나라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나라로, 8대 60년간 존속.
420~47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남수(柟壽) - 송남수(宋柟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냈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도주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곧 사면되었고, 이후 낙향하여 쌍청당(雙淸堂)을 중수함.
1537~16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남숭산(南嵩山) - 금오산(金烏山)
경상북도 구미(龜尾)ㆍ칠곡(漆谷)ㆍ김천(金泉)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단풍의 명소로 일명 금강(金剛)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경북팔경(慶北八景)의 하나로 꼽힘.
경상도>선산ㅣ경상도>개령 , 지명>자연지명
-
남시백(南施伯) - 남맹하(南孟夏)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통례(通禮)를 지낸 남경춘(南慶春)의 아들로, 송인(宋寅)ㆍ박민헌(朴民獻)ㆍ김사원(金士元)과 친교(親交)함.
1523~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