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남아(南阿) - 성락(成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황(李滉) 문하에서 수학함.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
154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남악(南岳)@윤승길 - 윤승길(尹承吉)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장인.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악(南岳) - 회양(懷讓)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혜안(慧安)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후에 조계산(曹溪山)에 들어가 선종(禪宗) 6조(祖)인 혜능(慧能) 밑에서 수행하고, 반야사(般若寺)에서 30년 동안 교화(敎化)를 펼침.
677~744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남악(南岳)@형산 - 형산(衡山)
중국 호남성(湖南省) 형양(衡陽) 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남악(南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1,265m.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남악(南岳)@오여벌 - 오여벌(吳汝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창(高敞). 오운(吳澐)의 아들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중국역대총론(中國歷代總論)》ㆍ《동국역대기사(東國歷代紀事)》 등이 있음.
157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악(南嶽)@목멱산 - 목멱산(木覓山)
서울 남부에 있는 산 이름. 동쪽의 낙산(駱山), 서쪽의 인왕산(仁王山), 북쪽의 백악산(白岳山) 등과 함께 서울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는 산의 하나로, 풍수지리상으로 안산(案山) 겸 주작(朱雀)에 해당되며, 통신 제도에 중요한 구실을 함.
서울 , 지명>자연지명
-
남악(南嶽) - 김복일(金復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동생. 경주 교수(慶州敎授)ㆍ울산 군수(蔚山郡守)ㆍ창원 부사(昌原府使) 등을 지냈으며, 경주 교수로 있을 때 학생들을 경학으로써 인도하여 도의를 크게 일으킴.
1541~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예천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남악(南嶽)@지리산 - 지리산(智異山)
전라도 남원(南原)ㆍ구례(求禮), 경상도 산청(山淸)ㆍ함양(咸陽)ㆍ하동(河東)에 걸쳐 있는 산.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ㅣ경상도>함양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남악로(南嶽老)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악처사(南嶽處士) - 오익(吳翌)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오봉(五峯) 호굉(胡宏)의 문인(門人). 남헌(南軒) 장식(張栻) 등과 교유하였고, 주희(朱熹)가 그의 행장(行狀)을 지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암(南菴) - 남초암(南草菴)
강원도 금강산(金剛山) 미륵봉(彌勒峯)의 남쪽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암자.
강원도>고성 , 유적>건물>사찰
-
남애(南厓) - 성락(成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황(李滉) 문하에서 수학함.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
154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남애(南崖)@성락 - 성락(成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황(李滉) 문하에서 수학함.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
154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남애(南崖) - 박충간(朴忠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박세훈(朴世勳)의 아들. 재령 군수(載寧郡守)로 있을 때 한준(韓準)ㆍ이축(李軸)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오르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양(南楊) - 양부(楊溥)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무영전 대학사(武英殿大學士) 등을 지내고, 양우(楊寓)ㆍ양영(楊榮)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삼양(三楊)’으로 일컬어짐.
1372~144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남양(南讓) - 남겸(南謙)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재(南在)의 선조로, 위위 주부(衛尉注簿)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양(南陽)@광무제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남양(南陽)@서천 - 서천(舒川)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천군(舒川郡)은 조선시대의 서천ㆍ한산(韓山)ㆍ비인(庇仁)의 세 고을이 합하여 이루어짐.
충청도>서천 , 지명>행정지명
-
남양(南陽)@백분화 - 백비화(白賁華)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포(藍浦)로, 백광신(白光臣)의 아들. 1198년(신종 1)에 춘관시(春官試)에 급제하여, 내시(內侍)로 오래 재직하고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ㆍ경산 부사(京山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남양시집(南陽詩集)》이 있음.
1180~122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관인>문신
-
남양군(南陽君)@홍윤심 - 홍윤심(洪允深)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 홍빈(洪彬)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로부터 집현전 직학사(集賢殿直學士)에 제수되었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되고, 남양군(南陽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남양군(南陽君)@홍융 - 홍융(洪戎)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규(洪奎)의 아들이며, 충숙왕의 처남(妻男)으로,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남양군(南陽君)@홍서 - 홍서(洪恕)
고려 말~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사범(洪師範)의 아들로, 고려 말에 대호군(大護軍)을 지냄. 조선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전라도 병마도절제사(全羅道兵馬都節制使)로 파견되어 왜구를 소탕함.
?~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남양군(南陽君) - 홍규(洪奎)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국구(國舅). 본관은 남양(南陽).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서 귀환하는 원종을 임유무(林惟茂) 등이 배척하자 처단하였으며, 후에 정안공신(安定功臣)에 책록되고, 상의첨의도감사(商議僉議都監事) 등을 지냄.
?~131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남양군(南陽君)@홍달손 - 홍달손(洪達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황보인(皇甫仁)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15~147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남양군(南陽君)@홍길민 - 홍길민(洪吉旼)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보현(洪普賢)의 아들. 정몽주(鄭夢周)의 고신(告身)에 서경(署經)을 거부하다가 파직되었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53~140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양군(南陽君)@홍임 - 홍임(洪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주(洪景舟)ㆍ홍경림(洪景霖)의 아버지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남양군(南陽君)@홍사범 - 홍사범(洪師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문하시중(門下侍中) 홍언박(洪彦博)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명(明) 나라에 사신 갔다 오던 도중 익사함.
?~13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양군(南陽君)@홍경주 - 홍경주(洪景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의 후궁인 희빈홍씨(熙嬪洪氏)의 아버지로, 중종반정(中宗反正)과 이과(李顆)의 난 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사림 세력을 제거함.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남양군(南陽君)@홍주 - 홍주(洪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삼사사(三司使)를 지낸 홍융(洪戎)의 아들로, 삼중대광 첨의상의 삼사좌사(三重大匡僉議商議三司左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남양룡(南陽龍)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홍융 - 홍융(洪戎)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규(洪奎)의 아들이며, 충숙왕의 처남(妻男)으로,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홍달손 - 홍달손(洪達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황보인(皇甫仁)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15~147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 - 홍규(洪奎)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국구(國舅). 본관은 남양(南陽).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서 귀환하는 원종을 임유무(林惟茂) 등이 배척하자 처단하였으며, 후에 정안공신(安定功臣)에 책록되고, 상의첨의도감사(商議僉議都監事) 등을 지냄.
?~131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홍언박 - 홍언박(洪彦博)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과거를 주관하여 이색(李穡)ㆍ박실(朴實) 등을 뽑고, 기철(奇轍) 일파를 숙청하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하는 등 세 차례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흥왕사(興王寺)의 난 때 피살됨.
1309~13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양선생시집(南陽先生詩集) - 남양시집(南陽詩集)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인 백분화(白賁華)의 시집. 2권 1책. 목판본. 아들인 백희심(白希諗)이 편집ㆍ간행함.
1249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남양옹(南陽翁)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양중(南養仲) - 남치형(南致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으로, 공보(公輔) 남신신(南藎臣)의 아들.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동생 남치리(南致利)와 함께 평생 강학(講學)에 힘씀.
1540~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남양홍(南陽洪) - 남양홍씨(南陽洪氏)
중국 당(唐) 나라의 태학사(太學士)로 고구려(高句麗) 때 귀화한 홍천하(洪天河)를 시조로 하는 당홍(唐洪) 집안과, 고려 고종(高宗) 때의 금오위 별장(金吾衛別將) 홍선행(洪先幸)을 시조로 하는 토홍(土洪) 집안을 아울러 일컫는 성씨.
한국>고구려 , 경기도>남양 , 인명>집단>성씨
-
남양후(南陽侯) - 홍언박(洪彦博)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과거를 주관하여 이색(李穡)ㆍ박실(朴實) 등을 뽑고, 기철(奇轍) 일파를 숙청하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하는 등 세 차례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흥왕사(興王寺)의 난 때 피살됨.
1309~13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옹(南翁)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남완(南阮)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용(南容) - 남궁괄(南宮括)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조카사위.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許與)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원(灆院) - 남계서원(灆溪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건립한 서원. 정여창(鄭汝昌)ㆍ정온(鄭蘊)ㆍ강익(姜翼) 등을 배향함.
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원경(南原京) - 남원(南原)
전라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과 영남을 잇는 교통의 요지임.
전라도>남원 , 지명>행정지명
-
남원군(南原君)@황수신 - 황수신(黃守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領議政) 황희(黃喜)의 아들. 영의정에 오르고, 세조 등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법화경(法華經)》등 불경의 번역을 주관함.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원군(南原君) - 양구주(梁九疇)
조선 전기의 문신. 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낸 양성지(梁誠之)의 아버지. 청풍 군사(淸風郡事)를 지냈으며,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남원군(南原君)@양성지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원백(南原伯) - 윤위(尹威)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윤관(尹瓘)의 증손이며, 남원윤씨(南原尹氏)의 시조로, 신종(神宗) 때 남원에서 반란을 일으킨 복기남(卜奇男)을 평정하고 남원백(南原伯)에 봉해졌으며, 서경 유수(西京留守)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남원부원군(南原府院君)@황희 - 황희(黃喜)
고려 우왕(禑王)~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8년간 영의정(領議政)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 예법의 개정, 서얼(庶孼)의 천역(賤役)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世宗)에게 신임을 받고,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
1376~145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남원부원군(南原府院君) - 황수신(黃守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領議政) 황희(黃喜)의 아들. 영의정에 오르고, 세조 등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법화경(法華經)》등 불경의 번역을 주관함.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원좌주(南原座主)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윤(男胤) - 무도양황후(武悼楊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무제(武帝)의 비(妃). 혜제(惠帝)가 등극하여 태후가 되었으나 가후(賈后)에 의해 역모를 꾀했다는 무함을 받고 폐위되어 금용성(金墉城)에 유폐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남응(南應) - 김남응(金南應)
조선 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안동(安東). 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종덕(金宗德)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남인중(南仁仲) - 남응원(南應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영양(英陽).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알려져 선조 때 두 차례 서용(敍用)의 명을 받음. 김성일(金誠一)이 그를 조정에 천거하고 시(詩)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효자
-
남일(南逸) - 박응남(朴應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유조인(柳祖訒)ㆍ성제원(成悌元)ㆍ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높았음.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남자앙(南子昂) - 남경창(南慶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유학 남초(南怊)의 아들.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산 , 인명>문사>유학
-
남장대(南將臺) - 촉석루(矗石樓)
고려 고종(高宗) 때 경상남도 진주(晉州) 본성동(本城洞)에 세워진 누각. 진주의 상징이자 영남의 명승으로, 임진왜란 때 논개(論介)가 순국한 곳으로도 유명함.
124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누정
-
남장산(南障山) - 여산(廬山)@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 북부, 파양호(鄱陽湖) 북서쪽 기슭에 있는 산. 주희(朱熹)가 짓고 강학했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이 있는 곳이며, 불교에 관한 고적(古蹟)이 많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남재(南齋) - 위기(魏驥)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대종(代宗) 때의 문신. 《영락대전(永樂大典)》 편찬에 참여하고, 남경 이부상서(南京吏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저서에 《남재적고(南齋摘稿)》가 있음.
1374~147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남전(藍田) - 여대림(呂大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철종(哲宗) 때 태학박사(太学博士)를 지냄. 육경(六經)에 통달하고, 특히 예기(禮記)에 밝음.
1040~109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전기(藍田記) - 남전현승청벽기(藍田縣丞廳壁記)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가 지은 글. 한유의 박학다재한 벗 최사립(崔斯立)이 남전현(藍田縣)의 승(丞)이 되어 지위만 높고 할 일은 없자 한탄하면서 유유자적하였다는 내용을 담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남전선사(南田禪師) - 부목(夫牧)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복구(復邱)의 문도이자 보우(普愚)의 문도이며, 선현(禪顯)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남전여씨(藍田呂氏) - 여대림(呂大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철종(哲宗) 때 태학박사(太学博士)를 지냄. 육경(六經)에 통달하고, 특히 예기(禮記)에 밝음.
1040~109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전여씨향약(藍田呂氏鄕約) - 여씨향약(呂氏鄕約)
중국 북송(北宋)의 여대충(呂大忠)ㆍ여대방(呂大防)ㆍ여대균(呂大勻)ㆍ여대림(呂大臨) 네 형제가 향촌을 교화ㆍ선도하기 위해 만든 자치적인 규약. 덕업상권(德業相勸)ㆍ과실상규(過失相規)ㆍ예속상교(禮俗相交)ㆍ환난상휼(患難相恤) 등 네 가지 강령으로 하며, 조선 후기에 실시된 향약의 모체가 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향촌의례ㅣ문헌>서명
-
남전후(藍田侯) - 왕탄지(王坦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초(郗超)와 더불어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었다가 효무제(孝武帝) 때 사안(謝安)과 함께 황제를 도와 정무(政務)를 주도하였으며, 중서령(中書令) 등을 역임함. 불교를 신봉하고 형명학(刑名學)을 숭상하였음.
330~37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남정(南亭)@남강원 - 남강원(南江院)
경상남도 합천(陜川)에 속했던 역원(驛院). 남강(南江)의 북쪽 언덕에 있었음.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관사
-
남정(南亭) - 이견기(李堅基)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성절사(聖節使)ㆍ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남정(南正) - 김남정(金南正)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낙안(樂安). 사재경(司宰卿) 김윤경(金允卿)의 아들이며, 낙천군(樂川君) 김수(金隨)의 아버지로, 전객령(典客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남정(嵐亭) - 김시창(金始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 유학ㆍ효자(孝子). 본관은 금산(金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현량과(賢良科)에 피천(被薦)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472~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기타인명>효자
-
남정기(南征記) -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만중(金萬重)이 한글로 지은 고전소설(古典小說). 숙종이 인현왕후(仁顯王后)를 폐출하고 희빈장씨(禧嬪張氏)를 왕비로 책봉한 사건에 대해 숙종을 깨우치기 위해 지음.
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남해 , 문헌>서명
-
남조송(南朝宋) - 송(宋)@남북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남조(南朝) 최초의 왕조. 동진(東晉) 말기에 유유(劉裕)가 진(晉) 나라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나라로, 8대 60년간 존속.
420~47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남조제(南朝齊) - 남제(南齊)
중국 남북조시대 남조(南朝)의 두 번째 왕조. 남조 송(南朝宋)의 장군 소도성(蕭道成)이 순제(順帝)로부터 양위(讓位)를 받아 세웠으며, 7대 24년간 존속.
479~50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남주고사(南州高士) - 서치(徐穉)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고사(高士). 예장 태수(豫章太守) 진번(陳蕃)이 빈객을 접대하는 일이 없었으나, 오직 그를 위해 하나의 의자를 마련하여 그가 오면 내어놓고 떠난 후에 다시 걸어두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97~16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남중(南仲) - 허자(許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원(許瑗)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이기(李芑) 등과 함께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96~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중(南重) - 김남중(金南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손자이며,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사위. 선교랑(宣敎郞)에 올랐고,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이 인정되어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추록(追錄)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중수(南仲綏) - 남연록(南延祿)
조선 후기의 유학.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생으로, 풍악서당(豐岳書堂)을 병산(屛山)으로 이건(移建)할 때 일을 담당함. 유성룡의 《서애집(西厓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남중옥(南仲玉) - 남도진(南道振)
조선 후기의 은사ㆍ학자.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11세손이며,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 남택하(南宅夏)의 아들. 용문산(龍門山)에 은거하여 자연을 완상(玩賞)하며 시조(時調)와 가사(歌辭)를 짓고 평생 저술에 전념함.
1674~17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남지(南池) - 와룡지(臥龍池)
황해도 연안(延安)의 남쪽 3리 지점에 있던 저수지. 당진(唐津)의 합덕지(合德池), 상주(尙州)의 공검지(恭儉池)와 함께 과거 우리나라 삼대지(三大池)로 꼽혔으며, 겨울에 얼음이 갈라지는 모양으로 풍흉(豐凶)을 점쳤다고 함.
황해도>연안 , 지명>자연지명
-
남지탁(南之倬) - 남지탁(南之卓)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남을번(南乙蕃)의 선조.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창(南窓) - 김현성(金玄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두루 능하였으며, 숭인전비문(崇仁殿碑文) 등 서예 유작이 전해짐.
1542~16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남창현공(南昌縣公) - 치음(郗愔)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치초(郗超)의 아버지로, 한때 자부(姊夫)인 왕희지(王羲之)와 함께 황로(黃老)의 학술을 익히기도 함. 회계내사(會稽內史)ㆍ도독 절강 동오군 군사(都督浙江東五郡軍事) 등을 지냄.
313~38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남천(南川) - 권두문(權斗文)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포로가 되었다가 탈출하여 그때의 일을 《호구일록(虎口日錄)》으로 남김.
1543~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남천(南川)@이천 - 이천(利川)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기 중서부와 강원도ㆍ충청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 논농사로 유명함.
경기도>이천 , 지명>행정지명
-
남천(南川)@이집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천(南泉) - 보원(普願)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도일(道一)의 제자이며, 종심(從諗)의 스승. 대혜선사(大慧禪師)에게 출가한 뒤 후에 도일의 제자가 되었으며, 지주(池州)의 남천산(南泉山)에 선원(禪院)을 짓고 30여 년 동안 수행함.
748~835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남천군(南川君) - 이쟁(李崝)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맏아들.
1458~151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남천홍씨(南川洪氏) - 부계홍씨(缶溪洪氏)
고려시대 직장동정(直長同正)을 지낸 홍좌(洪佐)를 시조로 하는 성씨. 시중(侍中)을 지낸 홍난(洪鸞)의 후손이라 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흥 , 인명>집단>성씨
-
남촌(南村)@이거 - 이거(李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으로, 이세순(李世純)의 아들. 허엽(許曄)의 문인으로, 경기 감사(京畿監司) 등을 지냈으며 윤인함(尹仁涵)ㆍ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32~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남촌(南村) - 이공수(李公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익산(益山).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고, 공민왕 복위에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신돈(辛旽)의 시기를 받아 덕수현(德水縣)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308~136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촌(南村)@윤지화 - 윤지화(尹之和)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폐비 윤씨(廢妃尹氏)의 당질(堂姪).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내고, 당시 문장으로 유명한 눌재(訥齋) 박상(朴祥)ㆍ하천(霞川) 고운(高雲) 등과 시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남촌선생(南村先生) - 이공수(李公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익산(益山).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고, 공민왕 복위에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신돈(辛旽)의 시기를 받아 덕수현(德水縣)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308~136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파(南坡)@심열 - 심열(沈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송(靑松). 심예겸(沈禮謙)의 아들로, 숙부 심충겸(沈忠謙)에게 출계(出系)함. 삼사(三司)의 요직을 역임하고, 탁지(度支)에 대한 뛰어난 경륜으로 왕의 총애를 받음.
1569~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남파(南坡)@이양원 - 이양원(李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원부령(利原副令) 이학정(李鶴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明) 나라에 가서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우고, 영의정 등을 지냄.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파(南坡) - 김온교(金溫嶠)
조선 세종(世宗) 때의 학자.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외종숙(外從叔)으로, 홍귀달이 그 문하에서 수학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학자
-
남파거사(南坡居士) - 김온교(金溫嶠)
조선 세종(世宗) 때의 학자.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외종숙(外從叔)으로, 홍귀달이 그 문하에서 수학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학자
-
남팔(南八) - 남제운(南霽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장군. 안녹산(安祿山)의 반군과 맞서 싸우다 패하여 잡힌 후 항복을 거부하고 처형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남평(南平)@연평 - 연평(延平)
중국 복건성(福建省) 중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송(宋) 나라의 학자인 이동(李侗)의 고향으로 이름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남평(南平)@이전수 - 이전수(李專粹)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보한재(保閑齋) 신숙주(申叔舟)와 시(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문사>유학
-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문효제 - 문효제(文孝悌)
고려 목종(穆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문극유(文克裕)의 아들.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냈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 - 문다성(文多省)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되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