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남평군(南平君) - 문경(文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문달한(文達漢)의 아버지.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냈으며, 남평군(南平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포(南浦) - 이청(李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덕윤(李德潤)의 아들로, 1511년(중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냄.
1483~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남풍(南豊) - 증공(曾鞏)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저서에 《금석록(金石錄)》과 시문집 《원풍유고(元豊遺藁)》가 있음.
1019~10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풍(南風) - 남풍가(南風歌)
중국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樂歌).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巡幸)할 때 오현금(五絃琴)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詩)임.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남풍곡(南風曲) - 남풍가(南風歌)
중국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樂歌).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巡幸)할 때 오현금(五絃琴)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詩)임.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남풍선생(南豊先生) - 증공(曾鞏)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저서에 《금석록(金石錄)》과 시문집 《원풍유고(元豊遺藁)》가 있음.
1019~10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한산주(南漢山州)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남항거사(南港居士) - 이후원(李厚源)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책록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사론(斥邪論)을 주장하였으며 효종(孝宗)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을 보필함.
1598~166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해거서간(南解居西干) -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신라의 제2대 왕. 재위 4~24. 박혁거세(朴赫居世)의 맏아들로, 즉위 후 해변에 출몰하는 왜구(倭寇)를 격퇴하고, 기근에 곡식 창고를 열어 백성을 구제하였으며, 석탈해(昔脫解)를 사위로 삼아 후에 정사를 맡김.
?~2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남해군공(南海郡公) - 최여지(崔與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ㆍ우승상(右丞相)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고, 관문전 태학사(關文殿太學士)로 치사(致仕)함. 저서에는 《국파집(菊坡集)》이 있음.
1158~123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해왕(南解王) -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신라의 제2대 왕. 재위 4~24. 박혁거세(朴赫居世)의 맏아들로, 즉위 후 해변에 출몰하는 왜구(倭寇)를 격퇴하고, 기근에 곡식 창고를 열어 백성을 구제하였으며, 석탈해(昔脫解)를 사위로 삼아 후에 정사를 맡김.
?~2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남헌(南軒)@탁도민 - 탁도민(卓道敏)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인 탁지엽(卓之葉)의 맏아들로, 선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남헌(南軒) - 장식(張栻)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張浚)의 음보(蔭補)로 관리가 되었음. 호굉(胡宏)에게 사사하고 성학(聖學)을 공부했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함께 동남(東南)의 3현(三賢)이라 일컬어졌음.
1133~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헌거사(南軒居士)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헌선생문집(南軒先生文集) - 남헌문집(南軒文集)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장식(張栻)의 문집. 효종(孝宗) 순희(淳熙) 연간에 주희(朱熹)가, 장식의 학문이 정립된 이후의 글들을 편집하여 44권으로 만들었으며, 이와는 다른 30권 본도 전함.
118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남헌장로(南軒長老)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헌장씨(南軒張氏) - 장식(張栻)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張浚)의 음보(蔭補)로 관리가 되었음. 호굉(胡宏)에게 사사하고 성학(聖學)을 공부했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함께 동남(東南)의 3현(三賢)이라 일컬어졌음.
1133~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헌집(南軒集) - 남헌문집(南軒文集)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장식(張栻)의 문집. 효종(孝宗) 순희(淳熙) 연간에 주희(朱熹)가, 장식의 학문이 정립된 이후의 글들을 편집하여 44권으로 만들었으며, 이와는 다른 30권 본도 전함.
118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남호(南湖)@변협 - 변협(邊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이이(李珥)로부터 《주역계몽(周易啓蒙)》을 강론받았으며, 천문ㆍ지리ㆍ산수에도 정통했음.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왜구를 격퇴한 공으로 장흥 부사(長興府使)가 되었고, 공조 판서ㆍ포도대장 등을 지냈음.
1528~159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남호(南湖) - 납호(納湖)
중국 호남성(湖南省) 장사(長沙)에 있는 호수 이름. 장식(張栻)이 호수 가에 살면서 학문을 연마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남호독서당(南湖讀書堂) - 독서당(讀書堂)
조선 성종(成宗) 때 국가의 중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세운 전문 독서연구 기구. 1426년(세종 8) 문장이 뛰어난 집현전(集賢殿) 관리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하게 한 사가독서제(賜暇讀書制)로부터 비롯되어, 1492년(성종 23) 서거정(徐居正)의 주청으로 상설국가기구로 설치됨.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남화(南華)@장자 - 장자(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莊周)의 저서. 총 33편. 우화(寓話)를 통한 뛰어난 상상과 표현으로 우주의 본체(本體)와 근원(根源), 물화현상(物化現象)을 설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남화(南華) - 남곤(南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
1471~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화경(南華經) - 장자(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莊周)의 저서. 총 33편. 우화(寓話)를 통한 뛰어난 상상과 표현으로 우주의 본체(本體)와 근원(根源), 물화현상(物化現象)을 설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남화노선(南華老仙)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화선(南華仙)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화진경(南華眞經) - 장자(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莊周)의 저서. 총 33편. 우화(寓話)를 통한 뛰어난 상상과 표현으로 우주의 본체(本體)와 근원(根源), 물화현상(物化現象)을 설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남화진인(南華眞人)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화편(南華篇) - 장자(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莊周)의 저서. 총 33편. 우화(寓話)를 통한 뛰어난 상상과 표현으로 우주의 본체(本體)와 근원(根源), 물화현상(物化現象)을 설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괴몽(槐夢) - 남가일몽(南柯一夢)
중국 당(唐) 나라 순우분(淳于棼)이 나무 아래에서 잠이 들었는데, 꿈 속에 괴안국(槐安國)에 가서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깨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인생의 속절없음을 의미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괴산군(槐山君) - 이지(李漬)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현군(翼峴君) 이곤(李璭)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괴산령(槐山令) - 이만수(李萬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종친(宗親)인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로, 괴산령(槐山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괴산정(槐山正) - 이만수(李萬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종친(宗親)인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로, 괴산령(槐山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괴성(槐城) - 괴산(槐山)
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
충청도>괴산 , 지명>행정지명
-
괴안(槐安)@괴안국 - 괴안국(槐安國)
남가일몽(南柯一夢)의 고사(故事)에서 순우분(淳于棼)이 꿈 속에 다녀왔다는 가상(假想)의 나라 이름.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
-
괴안(槐安) - 괴산(槐山)
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
충청도>괴산 , 지명>행정지명
-
괴안몽(槐安夢) - 남가일몽(南柯一夢)
중국 당(唐) 나라 순우분(淳于棼)이 나무 아래에서 잠이 들었는데, 꿈 속에 괴안국(槐安國)에 가서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깨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인생의 속절없음을 의미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괴애(乖崖)@김극검 - 김극검(金克儉)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성품이 청렴결백하고,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ㆍ《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동중추부사(同中樞府事) 등을 지냄.
1439~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괴애(乖崖)@장영 - 장영(張詠)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익주(益州)ㆍ항주(杭州) 등 지주사(知州事)로 나가 목민관으로 명망이 높았으며, 내직으로 이부 상서(吏部尙書)ㆍ추밀직학사(樞密直學士) 등을 지냈음.
946~101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괴애(乖崖) - 김수온(金守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 세종ㆍ세조(世祖)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 특히 시문에 뛰어나 〈희청부(喜晴賦)〉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
1410~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괴애선생문집(乖崖先生文集) - 괴애집(乖崖集)
중국 송(宋) 나라 문신인 장영(張詠)이 자신의 호인 ‘괴애(乖崖)’를 따서 지은 문집.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괴애자(乖崖子) - 김수온(金守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 세종ㆍ세조(世祖)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 특히 시문에 뛰어나 〈희청부(喜晴賦)〉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
1410~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괴양(槐壤) - 괴산(槐山)
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
충청도>괴산 , 지명>행정지명
-
괴외(蒯聵) - 장공(莊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재위 B.C.480~B.C.478. 무공(武公)의 아들로, 영공(靈公)의 부인을 죽이려다 발각되어 진(晉) 나라로 망명함. 영공의 뒤를 이어 자신의 아들 괴첩(蒯輒)이 출공(出公)으로 즉위하여 그의 귀국을 막았으나, 결국 돌아와 즉위함.
?~B.C.47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괴은(乖隱) - 정구(鄭球)@정유의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무안 현감(務安縣監) 정유의(鄭有義)의 아들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ㆍ사간(司諫)을 지냄.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칭병(稱病)하고 두문불출함.
14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괴정(槐亭)@사인정 - 사인정(四印亭)
전라도 함평(咸平) 월야면(月也面)에 있는 정자. 조선 전기에 정함도(鄭咸道)와 그의 아들 정유(鄭維)ㆍ정면(鄭綿)ㆍ정주(鄭紬) 4부자가 모두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된 것을 기념하여 인끈을 걸었던 데서 붙여진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유적>건물>누정
-
괴정(槐亭)@권담 - 권담(權湛)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전법판서(典法判書) 권호(權鎬)의 아들. 고려 말에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냈고, 조선 개국 후 공주 목사(公州牧使)ㆍ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지냄.
?~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괴정(槐亭)@유문통 - 유문통(柳文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상주 목사(尙州牧使)와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역임했으며, 일본 사신을 맞아 뛰어난 외교술을 발휘했고 시문에도 뛰어났음.
1438~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괴정(槐亭) - 박선(朴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아버지 박경인(朴慶因)과 함께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웠으며, 후에 경조우윤(京兆右尹)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음.
1571~16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괴주(槐州) - 괴산(槐山)
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
충청도>괴산 , 지명>행정지명
-
괴첩(蒯輒) - 출공(出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위 나라 영공(靈公)의 태자인 괴외(蒯聵)의 아들로, 괴외가 죄를 얻어 진(晉) 나라로 망명했을 때 왕으로 즉위하고서 괴외의 귀국을 막았으나, 결국 괴외가 돌아와 장공(莊公)으로 즉위하자 노(魯) 나라로 망명함.
?~B.C.46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괴탄(槐灘) - 괴산(槐山)
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
충청도>괴산 , 지명>행정지명
-
괴통(蒯通) - 괴철(蒯徹)
중국 전한(前漢)의 유세가(遊說家). 권변술(權變術)에 능하여 한신(韓信)도 그의 계략을 써서 제(齊) 나라를 점령하였음. 한신을 달래어 한(漢) 나라로부터 독립할 것을 권하였으나 그 말을 듣지 않은 한신이 죽자 고조(高祖)의 신하가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괵(𥕏) - 이괵(李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임진왜란 때 부제학(副提學)으로서 의주(義州)에 왕을 호종하고,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굉(㙆) - 김굉(金㙆)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이상정(李象靖)의 문인(門人)으로,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냄. 문학에 남달리 뛰어났고 필법이 높아 능히 한 체제를 이룰 만하였음.
1739~18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굉(宏) - 구굉(具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에 봉해짐.
1577~164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굉(宏)@이굉 - 이굉(李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조카이자 문인(門人)으로, 찰방(察訪)을 지내고, 시문(詩文)에 능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굉(浤) - 이굉(李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의 당여로 몰려 관직이 삭탈되었다가 중종반정 뒤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고 안동(安東)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440~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굉(硡)@허굉 - 허굉(許硡)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허침(許琛)의 아들로, 야인(野人)을 정벌할 때에 큰 공을 세웠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냈음.
1471~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굉(硡) - 권굉(權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으로 활약한 권징(權徵)의 아버지로, 사직(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굉(硡)@김굉 - 김굉(金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평양 서윤(平壤庶尹) 김순성(金順誠)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두루 역임함.
1470~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굉(肱) - 이굉(李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형조 낭관(刑曹郎官) 이명(李洺)의 아들.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안동(安東)의 남쪽 낙동강(洛東江) 건너편에 반구정(伴鷗亭)을 짓고 유유자적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굉(鍧) - 이굉(李鍧)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세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굉보(宏父)@한위 - 한위(韓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 한확(韓確)의 손자이며 덕종비(德宗妃)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조카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65~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굉보(宏父) - 서의(徐誼)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냈으며, 지임안부사(知臨安府事)로 있을 때 조여우(趙汝愚)가 정승에서 파직되자 항론(抗論)하여 유임하게 함.
1144~120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굉사(宏師) - 굉상인(宏上人)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상원사(上院寺) 주변에 무주암(無住菴)을 짓고 원천석(元天錫)과 시를 수창(酬唱)하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창 , 인명>종교인>승려
-
굉제(宏濟) - 양부(楊溥)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무영전 대학사(武英殿大學士) 등을 지내고, 양우(楊寓)ㆍ양영(楊榮)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삼양(三楊)’으로 일컬어짐.
1372~144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굉조(閎祖) - 이굉조(李閎祖)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임계 주부(臨桂主簿)ㆍ광서안무사(廣西安撫使)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굉중(宏仲) - 이덕홍(李德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충량(李忠樑)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영춘 현감(永春縣監)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를 따라 성천(成川)까지 호종함.
1541~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굉지(硡之) - 허굉(許硡)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허침(許琛)의 아들로, 야인(野人)을 정벌할 때에 큰 공을 세웠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냈음.
1471~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굉필(宏弼)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교(㝯) - 이교(李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황(李滉)의 조카로,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대흥 현감(大興縣監) 등을 지냄.
1534~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교(僑)@조선 - 정교(鄭僑)@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강계 교수(江界敎授)를 지낸 정이청(鄭以淸)의 아버지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했으나 연산군의 혼정(昏政)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470~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교(僑) - 권교(權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낸 권적(權勣)의 아버지로, 진주 판관(晋州判官)ㆍ양근 군수(楊根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교(僑)@송 - 정교(鄭僑)@송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사학가(史學家) 정초(鄭樵)의 족질(族侄)로, 참지정사(參知政事)ㆍ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132~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교(喬)@고려 - 허교(許喬)@고려
고려 충숙왕(麗忠肅)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시(許時)ㆍ허응(許應) 등 여섯 형제의 아버지로, 개성 윤(開城尹)을 지내고 광록대부(光祿大夫)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교(喬)@조선 - 허교(許喬)@조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문신ㆍ학자인 허목(許穆)의 아버지로, 포천 현감(泡川縣監) 등을 지냄.
1567~16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교(喬) - 이교(李喬)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금오위 중랑장(金吾衛中郞將) 등을 지냄.
11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
-
교(嶠) - 김교(金嶠)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무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1479년(성종 10) 건주야인(建州野人)을 토벌하였으며, 훈련원 판관(訓練院判官)ㆍ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등을 지냄. 동생 6명이 모두 무과에 합격한 무인 집안임.
1428~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교(嶠)@고려 - 이교(李嶠)@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우(李瑀)의 아들이며, 이조년(李兆年)의 사위로, 공민왕 때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어사대부(御史大夫)로서 전선(銓選)을 관장함.
?~136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교(嶠)@조선 - 이교(李嶠)@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성(固城). 청파(靑坡) 이륙(李陸)의 아들이며, 하성군(夏城君) 성수재(成秀才)의 사위.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으며, 아들인 이택(李澤)으로 인해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교(敎) - 교종(敎宗)
불교 종파 가운데 경전(經典)ㆍ석론(釋論) 등의 교학(敎學)을 중시하는 종파를 아우르는 말. 조선시대 억불정책(抑佛政策)으로 1424년(세종 6)에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할 때 화엄(華嚴)ㆍ자은(慈恩)ㆍ중신(中神)ㆍ시흥(始興)의 네 종파를 합하고 교종이라 함.
1424 한국>조선전기 , 사상>이론>교리
-
교^척(蹻^跖) - 척^교(跖^蹻)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도둑인 도척(盜跖)과 초(楚) 나라의 도적인 장교(莊蹻)를 함께 부르는 말. 악인(惡人)의 대표적인 인물들로, 흉악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교남(嶠南) - 경상도(慶尙道)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고려 때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상도 , 지명>행정지명
-
교남주(嶠南州) - 경상도(慶尙道)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고려 때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상도 , 지명>행정지명
-
교년(喬年) - 주송(朱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아버지로, 주희의 어린시절 스승이었음. 금(金) 나라와의 투쟁을 강하게 주장하다가 지방으로 좌천되었으며, 이부랑(吏部郞) 등을 역임하였음.
1097~114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교도(橋島) - 유자도(柚子島)
경상도 거제(巨濟)의 북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2개의 섬이 있으며, 온 섬에 유자나무가 있음. 현재 거제시 신현읍(新縣邑) 교도(橋島)를 말하며,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진을 옮긴 적이 있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교동(喬桐)@연산군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교동(狡童)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교동주(喬桐主)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교동후(膠東侯) - 가복(賈復)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 등우(鄧禹)ㆍ경감(耿弇) 등과 함께 광무제를 보좌하여 후한을 건립하는 데 공훈을 세움. 도호장군(都護將軍)이 되고 교동후(膠東侯)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교릉(橋陵) - 교산(橋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중부현(中部縣) 서북방에 있는 산 이름. 황제(黃帝)를 장사지낸 곳이라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교봉방씨(蛟峯方氏) - 방봉신(方逢辰)
중국 송(宋)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방봉진(方逢振)의 형으로, 《교봉선생문집(蛟峰先生文集)》을 저술함.
1221~12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교사(郊祀) - 교제(郊祭)
중국 주(周) 나라 때부터 천자(天子)가 천지(天地)에 지내는 국가 제사. 동지(冬至)에 남쪽 교외(郊外)로 나가 하늘에 제사지내고, 하지(夏至)에 북쪽 교외로 나가 땅에 제사지냄.
중국>주 , 중국 , 법제>의례>국가의례
-
교산(喬山) - 교산(橋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중부현(中部縣) 서북방에 있는 산 이름. 황제(黃帝)를 장사지낸 곳이라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교산(蛟山) - 허균(許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유성룡(柳成龍)ㆍ이달(李達)의 문인. 이이첨(李爾瞻)과 결탁하여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였으며, 반란을 계획하다 탄로되어 참수형을 당함. 명문장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인 《홍길동전(洪吉童傳)》을 씀.
1569~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교산노부(橋山老夫)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교서감(校書監) - 교서관(校書館)
조선시대 삼관(三館)의 하나로, 태조(太祖) 때 설치되어 경적(經籍)의 인쇄ㆍ반포와 향축(香祝)ㆍ인전(印篆)을 담당하던 관청.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교성군(交城君) - 노공필(盧公弼)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노사신(盧思愼)의 장남. 명(明) 나라에서 중종의 승습(承襲)을 승인 받아 귀국함.
1445~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교수(喬叟) - 박대년(朴大年)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판서를 지낸 박중림(朴仲林)의 아들로, 여러 형제들과 함께 단종(端宗) 복위운동을 하다가 대역죄로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