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구마라기바(拘摩羅耆婆) - 구마라습(鳩摩羅什)
인도의 승려. 7세에 출가하여 소승교(小乘敎)와 대승교(大乘敎), 율(律)을 차례로 배운 뒤 출생지인 구자국(龜玆國)에서 포교활동을 함.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등 많은 경전을 번역하고,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로 칭함.
344~413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구마라시바(鳩摩羅時婆) - 구마라습(鳩摩羅什)
인도의 승려. 7세에 출가하여 소승교(小乘敎)와 대승교(大乘敎), 율(律)을 차례로 배운 뒤 출생지인 구자국(龜玆國)에서 포교활동을 함.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등 많은 경전을 번역하고,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로 칭함.
344~413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구마라즙(鳩摩羅什) - 구마라습(鳩摩羅什)
인도의 승려. 7세에 출가하여 소승교(小乘敎)와 대승교(大乘敎), 율(律)을 차례로 배운 뒤 출생지인 구자국(龜玆國)에서 포교활동을 함.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등 많은 경전을 번역하고,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로 칭함.
344~413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구만(九萬)@남구만 - 남구만(南九萬)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숙종 때 정치운영의 중심에 있으면서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됨. 문집으로 《약천집(藥泉集)》있음.
1629~17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만(九萬) - 고저(高翥)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포기하고 은거하며 시를 지음. 저서로 《국간집(菊澗集)》이 있으나 전하지 않고, 후손 고사기(高士奇)가 유고집 《신천소유고(信天巢遺稿)》를 간행함.
1170~124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구만(九萬)@강구만 - 강구만(姜九萬)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946년(광종 15)에 문과에 급제한 후 서경 유수(西京留守) 등을 지냈으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구맥(瞿麥)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구명(丘明) - 좌구명(左丘明)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태사(太史)를 지냈으며,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국어(國語)》를 저술하였다고 전해짐. 그의 사적(事跡)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이설(異說)이 분분함.
?~B.C.45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구몽(龜蒙) - 몽산(蒙山)@산동성
중국 산동성(山東省) 평읍현(平邑縣)에 있는 산.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효자 노래자(老來子)가 난세를 피하여 은거한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구문단(具文端) - 구봉령(具鳳齡)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
152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문의(具文懿) - 구사맹(具思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아버지로, 좌찬성(左贊成)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을 거치며 공을 세워 사후(死後)에 호성(扈聖)ㆍ선무(宣武)ㆍ정난(靖難) 등의 원종공신에 책록됨.
1531~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구문장(丘文莊)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미(具美) - 무숙왕(武肅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을 건국한 왕. 재위 907~932.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구배헌(灸背軒) - 안방경(安方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안순(安恂)의 아들. 명종(明宗) 때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문정왕후(文定王后)와의 불화로 외직으로 나감.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낸 후 용인(龍仁)에 낙향함.
1513~15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구백담(具栢潭) - 구봉령(具鳳齡)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
152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백응(具伯凝) - 구수복(具壽福)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 후에 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역임함. 김정(金淨)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491~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범(九範) - 소우석(蘇禹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인달(蘇仁達)의 아들이며, 소사식(蘇斯軾)의 아버지.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구범(舅犯) - 호언(狐偃)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대부. 문공(文公)의 외숙으로, 문공이 공자(公子) 시절 여희(驪姬)의 견제를 받아 19년 동안 망명 생활을 할 때 충심으로 그를 보필하여 마침내 임금에 오르게 하였으며. 문공이 패자(覇者)가 되는 데 크게 공헌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구병암(具屛巖) - 구수복(具壽福)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 후에 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역임함. 김정(金淨)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491~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병암(具屛菴) - 구수복(具壽福)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 후에 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역임함. 김정(金淨)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491~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보(懼甫) - 송천희(宋千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경상도 관찰사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역임하였고, 중종 때 하성절사(賀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구보(駒父) - 홍추(洪芻)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인 홍붕(洪朋)과 아우 홍염(洪炎)ㆍ홍우(洪羽) 등과 더불어 사홍(四洪)이라 일컬어짐. 선덕랑(宣德郞)ㆍ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냈으나, 1127년에 사문도(沙門島)로 유배되어 죽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보령(具保寧) - 구필신(具弼臣)
조선 전기의 유학. 송인(宋寅)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유학
-
구봉(九峯)@채침 - 채침(蔡沈)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주희(朱熹)의 제자로, 구봉(九峯)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였으며, 아버지와 스승의 뜻을 받들어 《서경집전(書經集傳)》을 완성함.
1167~123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구봉(九峯)@나무춘 - 나무춘(羅茂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출소(廢黜疏)를 올린 이위경(李偉卿)을 탄핵하다 관직을 삭탈당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구봉(九峯) - 김전(金㙉)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배웠으며, 문학으로 이름이 남.
153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구봉(龜峯)@송익필 - 송익필(宋翼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제하며 성리학과 예학(禮學)에 통달하였고, 문장에 뛰어나 선조대(宣祖代)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렸으며, 김장생(金長生)ㆍ김집(金集)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함.
1534~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구봉(龜峯)@주박 - 주박(周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주세붕(周世鵬)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문장이 뛰어나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칠원(漆原)의 덕연서원(德淵書院) 별사(別祠)에 제향됨.
1524~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구봉(龜峯) - 김수일(金守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학문과 후진교육에 전념하였음.
1528~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구봉(龜峯)@신명인 - 신명인(申命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 정광필(鄭光弼)ㆍ안당(安瑭)ㆍ이장곤(李長坤)ㆍ김정(金淨)ㆍ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기준(奇遵) 등과 함께 팔현(八賢)이라 불림.
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문인
-
구봉(龜峯)@이지번 - 이지번(李之蕃)@이산해의아버지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이며, 이지함(李之菡)의 형. 명종(明宗) 때 김안로(金安老)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丹陽)의 구담(龜潭)에 은거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봉(龜峯)@김영돈 - 김영돈(金永暾)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의 손자로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됨.
1285~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구봉내편(九峯內篇) - 홍범황극내편(洪範皇極內篇)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채침(蔡沈)이 지은 철학서(哲學書). 《주역(周易)》의 음양 이진법(陰陽二進法)에 대비되는 삼재 삼진법(三才三進法)으로 우주(宇宙)와 인사(人事)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구봉산(九峰山) - 속리산(俗離山)
충청도 보은(報恩)ㆍ괴산(槐山), 경상도 상주(尙州)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보은ㅣ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구봉산인(九峯山人) - 강흔수(姜欣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강희맹(姜希孟)의 손자. 1510년(중종 5) 선공감(繕工監)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전라도 영광(靈光)에 은거하여 여생을 보냄.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구봉선생(九峯先生) - 채침(蔡沈)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주희(朱熹)의 제자로, 구봉(九峯)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였으며, 아버지와 스승의 뜻을 받들어 《서경집전(書經集傳)》을 완성함.
1167~123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구봉채씨(九峯蔡氏) - 채침(蔡沈)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주희(朱熹)의 제자로, 구봉(九峯)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였으며, 아버지와 스승의 뜻을 받들어 《서경집전(書經集傳)》을 완성함.
1167~123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구부(丘夫) - 소수림왕(小獸林王)
고구려의 제17대 왕. 재위 371~384. 고국원왕(故國原王)의 아들. 전진(前秦)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고, 불교 수용ㆍ태학(太學) 설립ㆍ율령(律令) 반포 등을 통하여 고대국가 체제를 정비하였으며, 백제의 수곡성(水谷城)을 침공하여 견제함.
?~384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구부(懼夫)@황희 - 황희(黃喜)
고려 우왕(禑王)~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8년간 영의정(領議政)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 예법의 개정, 서얼(庶孼)의 천역(賤役)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世宗)에게 신임을 받고,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
1376~145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구부(懼夫)@윤변 - 윤변(尹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의 무죄를 호소함.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구부(懼夫) - 송천희(宋千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경상도 관찰사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역임하였고, 중종 때 하성절사(賀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구사(九思) - 왕구사(王九思)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칠재자(七才子)’ 중의 한 사람으로, 사곡(詞曲)에 뛰어났으며 이부 낭중(吏部郞中) 등을 지냄.
1468~155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사(龜舍) - 구암정사(龜巖精舍)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구암(龜巖) 이정(李楨)이 경상도 사천(泗川)에 지은 건물 이름. 이정이 낙향하여 후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 동재(東齋)는 거경재(居敬齋), 서재(西齋)는 명의재(明義齋)라 이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유적>건물>사제
-
구사조단국(臼斯鳥旦國) - 김제(金堤)
전라북도 서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김제와 만경평야를 끼고 있는 제1의 곡창지대로 삼한(三韓)시대부터 한국 농경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함.
전라도>김제 , 지명>행정지명
-
구산(龜山)@변벽 - 변벽(卞璧)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변중량(卞仲良)의 5대손으로,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성리학(性理學) 연구에 평생을 바침.
148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문인
-
구산(龜山)@양시 - 양시(楊時)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이정(二程)의 학설을 화중(華中)ㆍ화남(華南)으로 퍼뜨려서, 남송(南宋)의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계승하게 됨.
1053~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구산(龜山) - 의흥(義興)
경상도 북쪽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경상북도 군위군(軍威郡)에 해당함.
경상도>의흥 , 지명>행정지명
-
구산(龜山) - 윤탁(尹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박사겸(朴思謙) 등과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키고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많은 공을 세웠으나, 진주(晉州)에서 김천일(金千鎰) 등과 함께 전사함.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구산객(緱山客) - 왕자교(王子喬)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이름은 진(晉)으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신선(神仙)이 되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구산공자(緱山公子) - 왕자교(王子喬)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이름은 진(晉)으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신선(神仙)이 되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구산백(緱山白) - 왕자교(王子喬)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이름은 진(晉)으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신선(神仙)이 되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구산사(龜山祠) - 구계서원(龜溪書院)@사천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사천에 세운 서원.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구암(龜巖) 이정(李楨)을 기리기 위하여 1606년(선조 39)에 세운 서원. 1676년(숙종 2)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경내에는 김덕함(金德諴)의 기적비(紀蹟碑)가 있음.
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산사(龜山祠)@구산서원 - 구산서원(龜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담양(潭陽)에 건립한 서원. 1704년(숙종 30) 송순(宋純)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함.
17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산서원(龜山書院)@구강서원 - 구강서원(龜江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영천(榮川)에 건립한 서원. 조선 전기의 문신ㆍ천문학자인 김담(金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김륵(金玏) 등을 배향함.
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산선생(緱山先生) - 이유(李籲)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와 정이(程頤)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산양씨(龜山楊氏) - 양시(楊時)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이정(二程)의 학설을 화중(華中)ㆍ화남(華南)으로 퍼뜨려서, 남송(南宋)의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계승하게 됨.
1053~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구산정사(龜山精舍) - 구강서원(龜江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영천(榮川)에 건립한 서원. 조선 전기의 문신ㆍ천문학자인 김담(金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김륵(金玏) 등을 배향함.
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상(九祥) - 변구상(卞九祥)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우부승지(右副承旨) 변중량(卞仲良)의 아들. 시(詩)에 뛰어나 변시마(卞詩魔)로 일컬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구서백(具恕伯) - 구충연(具忠淵)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징(具徵)의 아들로 도사(都事)ㆍ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선(龜仙) - 이지번(李之蕃)@이산해의아버지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이며, 이지함(李之菡)의 형. 명종(明宗) 때 김안로(金安老)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丹陽)의 구담(龜潭)에 은거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성(九成)@김구성 - 김구성(金九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성(開城)으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함께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구성(九成) - 장구성(張九成)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예부 시랑(禮部侍郞)을 지냈으나 진회(秦檜)에게 거슬려 파직당함. 종고(宗杲)의 가르침을 받아 깨우침을 얻고, 종지(宗旨)를 보는 눈이 분명하다는 평을 얻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구성(駒城) - 용인(龍仁)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明堂)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陽智)ㆍ죽산(竹山)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
경기도>용인 , 지명>행정지명
-
구성(龜城)@榮川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구성(龜城)@동복 - 동복(同福)
전라도 화순(和順)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구성(龜城) - 칠원(漆原)
경상남도 함안(咸安)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칠원 , 지명>행정지명
-
구성(龜城) - 의흥(義興)
경상도 북쪽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경상북도 군위군(軍威郡)에 해당함.
경상도>의흥 , 지명>행정지명
-
구성군(駒城君) - 이중인(李中仁)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성계(李成桂)의 역성혁명으로 정국이 혼란해지자 벼슬에서 물러나고, 조선 개국 후에는 머리를 풀고 산속에 들어가 은둔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구성군(龜城君)@이첨 - 이첨(李瞻)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이종린(李宗麟)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世子)를 호종한 공으로 구성군(龜城君)이 됨.
1553~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구성군(龜城君) - 이준(李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둘째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성종(成宗)을 몰아내려 한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아 영해(寧海)에 유배되어 죽음.
1441~14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구성궁명(九成宮銘) - 구성궁예천명(九成宮醴泉銘)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 섬서성(陝西省) 구성궁(九成宮)에 세운 비석. 위징(魏徵)이 짓고 구양순(歐陽詢)이 쓴 것으로, 정원의 단 샘물이 솟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움.
632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구성도정(龜城都正) - 이첨(李瞻)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이종린(李宗麟)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世子)를 호종한 공으로 구성군(龜城君)이 됨.
1553~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구성백(駒城伯) - 이길권(李吉卷)
고려 전기의 무신. 용인이씨(龍仁李氏)의 시조.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삼한통일(三韓統一)에 공을 세우고, 태조의 여동생과 혼인하여 고려조의 첫 부마가 되었다고 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구성부원군(駒城府院君) - 이중인(李中仁)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성계(李成桂)의 역성혁명으로 정국이 혼란해지자 벼슬에서 물러나고, 조선 개국 후에는 머리를 풀고 산속에 들어가 은둔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구성서원(龜城書院) - 이산서원(伊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영주(榮州)에 건립한 서원. 이황(李滉)을 배향함.
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성수(駒城守) - 이정(李靖)@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넷째 아들인 고정부정(古丁副正) 이겸(李謙)의 외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구성윤(龜城尹) - 이준(李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둘째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성종(成宗)을 몰아내려 한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아 영해(寧海)에 유배되어 죽음.
1441~14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구성이씨(駒城李氏) - 용인이씨(龍仁李氏)
신라 말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우고, 고려 왕실의 부마(駙馬)가 되어 구성백(駒城伯)에 봉해진 이길권(李吉卷)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집단>성씨
-
구성자(駒城子) - 이담(李湛)@151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용인(龍仁).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양산(梁山)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복직된 후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냄. 성리학자로서 의약ㆍ천문ㆍ산수ㆍ궁술ㆍ서화에도 능함.
1510~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성정(龜城正) - 이준(李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둘째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성종(成宗)을 몰아내려 한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아 영해(寧海)에 유배되어 죽음.
1441~14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구소(九韶) - 육구소(陸九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육구연(陸九淵)의 형으로, 사산(梭山)에 거처를 마련하여 강학(講學)에 전념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구송(衢頌) - 강구요(康衢謠)
중국 고대(古代) 요(堯) 임금 때의 가요(歌謠) 이름. 요 임금의 은덕(恩德)으로 천하가 절로 다스려지자 백성들이 이를 칭송하며 거리에서 부르던 노래.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구송안(具松顔) - 구찬록(具贊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퇴계(退溪)가 그 학문에 뜻이 있음을 칭찬함. 벼슬은 감정(監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구수(求水) - 하구수(河求水)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정랑(禮曹正郞) 하응림(河應臨)의 생부이며 목사(牧使) 하억수(河億水)의 종제(從弟)로, 북부 참봉(北部參奉)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구수(龜叟) - 박인년(朴引年)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냈으나,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에 참가하였다가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구수(龜叟)@이정 - 이정(李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는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泗川)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
1512~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수재(具睡齋) - 구수복(具壽福)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 후에 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역임함. 김정(金淨)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491~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숙(久叔) - 안처함(安處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수찬(修撰)ㆍ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하였으며, 형 안처겸(安處謙)이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의 대신을 모해하려 하였다는 혐의로 처형당할 때 처가인 용인(龍仁)으로 낙향하여 죽음을 면하였음.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승통(丘僧統) - 설봉(雪峯)@고려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우가(右街)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구시중(具時仲) - 구변(具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이 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심암(丘深菴)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씨산(緱氏山) - 구산(緱山)
중국 하남성(河南省)에 있는 산 이름. 중국 주(周) 나라의 태자로 신선이 된 왕자교(王子喬)가 이곳에서 백학(白鶴)을 타고 올라가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구아(龜兒) - 강귀손(姜龜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강희맹(姜希孟)의 아들.
1450~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구악리(驅鰐吏)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암(久庵)@한백겸 - 한백겸(韓百謙)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역학(易學)에 밝아 《주역전의(周易傳義)》를 교정하였고,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를 저술하여 실학(實學)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
1552~161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구암(久庵) - 김취문(金就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좌(金匡佐)의 아들로, 형 취성(就成)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 됨.
1509~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구암(久菴)@한백겸 - 한백겸(韓百謙)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역학(易學)에 밝아 《주역전의(周易傳義)》를 교정하였고,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를 저술하여 실학(實學)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
1552~161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구암(久菴)@이숭경 - 이숭경(李崇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성균 생원(成均生員) 이정(李頲)의 아들로, 시(詩)와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박순(朴淳)ㆍ임억령(林億齡)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
1510~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문인
-
구암(久菴) - 김취문(金就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좌(金匡佐)의 아들로, 형 취성(就成)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 됨.
1509~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구암(久菴)@윤봉구 - 윤봉구(尹鳳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의 문인(門人).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1681~176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