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구충숙(具忠肅) - 구성(具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고,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58~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구충왕(仇衝王) - 구형왕(仇衡王)
금관가야(金官伽倻)의 제10대 왕. 재위 521~532. 신라(新羅)의 귀족 김서현(金舒玄)의 조부. 532년(법흥왕 19) 신라에 항복하여 상등(上等)의 벼슬과 본국을 식읍(食邑)으로 받음.
한국>가야ㅣ한국>신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국왕
-
구태초(具太初) - 구한(具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부마ㆍ문신. 중종의 딸 숙정옹주(淑靜翁主)와 결혼하여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으며, 명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지냄. 35세로 요절함.
1524~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구파헌(鷗波軒) - 극호(克浩)
조선 전기의 승려. 인흥사(仁興寺)의 승려로 산수(山水)를 잘 그림.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종교인>승려
-
구팔곡(具八谷) - 구사맹(具思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아버지로, 좌찬성(左贊成)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을 거치며 공을 세워 사후(死後)에 호성(扈聖)ㆍ선무(宣武)ㆍ정난(靖難) 등의 원종공신에 책록됨.
1531~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구평중(寇平仲)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구품중정제(九品中正制) - 구품관인법(九品官人法)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에서 처음 시행한 관리등용제도. 상서(尙書) 진군(陳羣)의 건의에 따라 제정한 것으로, 관직의 등급을 1품(品)에서 9품까지 구분하고 관품(官品)에 따라 대우를 달리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법제>제도
-
구필암(口必庵) - 김형(金逈)
조선 전기의 은사(隱士). 본관은 광주(光州)로, 칠촌(漆村) 김충남(金忠南)의 아들.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문인(門人)으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났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은자
-
구하(丘賀) - 양구하(梁丘賀)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ㆍ학자. 경방(京房)에게 《주역(周易)》을 수학하고, 선제의 신망을 받아 소부(少府) 등을 지냈으며, 공신(功臣)으로 인정받아 기린각(麒麟閣)에 그의 초상이 걸렸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하(九河)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구학유(具學諭) - 구관(具灌)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팔원(具八元)의 아들로 1566년(명종 21)의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시정(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항(具沆) - 구한(具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부마ㆍ문신. 중종의 딸 숙정옹주(淑靜翁主)와 결혼하여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으며, 명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지냄. 35세로 요절함.
1524~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구해왕(仇亥王) - 구형왕(仇衡王)
금관가야(金官伽倻)의 제10대 왕. 재위 521~532. 신라(新羅)의 귀족 김서현(金舒玄)의 조부. 532년(법흥왕 19) 신라에 항복하여 상등(上等)의 벼슬과 본국을 식읍(食邑)으로 받음.
한국>가야ㅣ한국>신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국왕
-
구행인(歐行人) - 구희직(歐希稷)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 때의 문신. 행인사 행인(行人司行人)으로 태감(太監)인 장조(張朝)와 더불어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제전(祭奠)과 시호(諡號) 및 부의(賻儀)를 전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구향(仇香) - 구람(仇覽)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백성들을 형벌이 아닌 덕(德)으로 다스려 교화시킨 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구헌(龜軒) - 신명인(申命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 정광필(鄭光弼)ㆍ안당(安瑭)ㆍ이장곤(李長坤)ㆍ김정(金淨)ㆍ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기준(奇遵) 등과 함께 팔현(八賢)이라 불림.
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문인
-
구화(九華) - 나무춘(羅茂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출소(廢黜疏)를 올린 이위경(李偉卿)을 탄핵하다 관직을 삭탈당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구화진인(九華眞人) - 김효원(金孝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조식(曺植)ㆍ이황(李滉)의 문인. 이조 전랑(吏曹銓郞)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
1542~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후경(具厚卿) - 구인기(具仁墍)
조선 광해군(光海君)~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조의 모후(母后)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조카로,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벼슬이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97~16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국간(國幹)@신주 - 신주(辛柱)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 이징옥(李澄玉)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로가 있었고, 함경남도 병마절도사(咸鏡南道兵馬節度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무신
-
국간(國幹)@정충량 - 정충량(鄭忠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정광세(鄭光世)의 아들. 도승지(都承旨)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탄핵을 받고 피척(被斥)됨.
1480~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국간(國幹) - 박광좌(朴光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지냈으며, 간재(艮齋) 최연(崔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국간(國幹)@이세경 - 이세경(李世卿)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돈(李克墩)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첨정(僉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수강(丁壽崗)과 시문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국간(菊澗)@고저 - 고저(高翥)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포기하고 은거하며 시를 지음. 저서로 《국간집(菊澗集)》이 있으나 전하지 않고, 후손 고사기(高士奇)가 유고집 《신천소유고(信天巢遺稿)》를 간행함.
1170~124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국간(菊澗) - 박재중(朴在中)
고려 후기의 문신. 이색(李穡)의 《목은문고(牧隱文稿)》에 그에게 당호(堂號)의 기문(記文)으로 써 준 〈국간기(菊澗記)〉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국간(菊磵) - 박진록(朴晉祿)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제학(提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공민왕 때에는 신돈(辛旽)을 반대하는 입장에 서고, 우왕 때에는 천도(遷都) 문제에 관여하였으며, 조준(趙浚)의 급진주의에 반대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국간(菊磵)@윤현 - 윤현(尹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함. 행정수완이 탁월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국감(國鑑) - 동국문감(東國文鑑)
고려 후기의 문신인 김태현(金台鉉)이 고대부터 고려 말엽까지의 여러 사람의 시문(詩文)을 모아 편집한 우리나라 최초의 시문선집(詩文選集). 6권 2책. 활자본.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 광개토왕(廣開土王)
고구려 제19대 왕. 재위 391~412. 고국양왕(故國壤王)의 아들로, 고구려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 내정(內政)의 정비에도 노력하여 중앙 관직을 신설하고, 평양에 구사(九寺)를 창건하여 불교를 장려함.
374~413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국강상왕(國岡上王) - 고국원왕(故國原王)
고구려 제16대 왕. 재위 331~371. 미천왕(美川王)의 아들로, 전연(前燕)과 대립하다가 국내성(國內城)을 잃고 수도를 동황성(東黃城)으로 옮김. 371년 평양성(平壤城)에서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을 맞아 싸우다가 전사함.
?~37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국경(國卿)@김종서 - 김종서(金宗瑞)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진(六鎭)을 설치하여 두만강(豆滿江)을 경계로 국경선을 확정함. 단종을 보필하다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참살당함.
1383~14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국경(國卿)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국경(國經) - 인기(印紀)
조선 전기의 유학.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에게 준 증별시가 《하서선생전집(河西先生全集)》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국광(國光) - 김국광(金國光)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世祖)의 두터운 신임을 얻어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에 참여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에 봉해짐.
1415~148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국교(國僑) - 공손교(公孫僑)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재상. 정(鄭) 목공(穆公)의 손자로, 춘추전국시대 제일의 외교가로 꼽힘. 예법(禮法)으로 안을 다스리고 구설(口舌)로 밖을 제어하므로, 당시 강국인 진(晉)과 초(楚)의 침략을 받지 않았음.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국군(麴君) - 국생(麴生)
술의 의인화된 명칭. 누룩[麴]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술에 학생ㆍ학자를 뜻하는 생(生) 자를 붙여 입전(立傳)한 데서 유래한 명칭.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국균(國鈞) - 강자평(姜子平)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대사간(大司諫)ㆍ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사후(死後)에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추죄(追罪)되었으나 중종(中宗) 때 신원됨.
1430~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국균(國鈞)@신국균 - 신국균(辛國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문천 군수(文川郡守) 신학(辛鶴)의 아들로,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냄.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있음.
1479~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국기(國器)@모국기 - 모국기(茅國器)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 때, 보병 3천여 명을 이끌고 조선에 옴. 성주(星州)에 주둔했을 때 유민(流民)을 불러 모으고 둔전(屯田)하며 군사를 훈련시켰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국기(國器) - 임형수(林亨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호당(湖堂)에 있을 때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이 일어나자 대윤(大尹)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504~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국기(國紀) - 이원강(李元綱)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에 《성문사업도(聖門事業圖)》ㆍ《후덕록(厚德錄)》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국담(菊潭)@김새 - 김새(金璽)
조선 전기의 유학. 《성암집(省菴集)》에 김효원(金孝元)과 주고받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국담시선(菊潭詩仙) - 김새(金璽)
조선 전기의 유학. 《성암집(省菴集)》에 김효원(金孝元)과 주고받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국담옹(菊潭翁) - 김새(金璽)
조선 전기의 유학. 《성암집(省菴集)》에 김효원(金孝元)과 주고받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국당(菊堂) - 박흥생(朴興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냈으나, 친상(親喪)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국당(菊堂)@이천 - 이천(李蒨)@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첨의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로 원(元) 나라에 가서 교사(郊赦)를 축하하고 돌아왔으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국량(國樑) - 박광필(朴光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국량(國樑)@이국량 - 이국량(李國樑)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준(李賢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이자 조카사위로,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17~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국로(國老)@홍인필 - 홍인필(洪仁弼)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를 포함하여 여러 명과 술을 마시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국로(國老)@임국로 - 임국로(任國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임명필(任明弼)의 손자이며 임몽정(任蒙正)의 아버지. 이조 참판(吏曹參判) 재임시 기축옥사(己丑獄死)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재기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37~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국로(國老)@조세보 - 조세보(趙世輔)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형조 참의(刑曹參議) 조인규(趙仁奎)의 아버지로, 지평(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국로(國老) - 조언경(曺彦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조계은(曹繼殷)의 아들. 1515년(중종 10)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이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국로(菊老) - 최탁(崔倬)
조선 전기의 문신. 성격이 강직하고, 생원(生員)을 거쳐 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낸 것으로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국로선생(國老先生) - 조광조(趙光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勳舊)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죽임을 당함.
1482~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국륜(國倫) - 오국륜(吳國倫)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귀주 제학(貴州提學)ㆍ하남 참정(河南參政) 등을 지냈으며,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後七子)로 불림.
1524~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국린(國隣) - 유충량(柳忠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어모장군(禦侮將軍) 유해(柳瀣)의 아들로, 1549년(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국무자(國武子) - 국좌(國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大夫). 직언(直言)을 일삼다가 영공(靈公)에게 살해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국문(國聞) - 정자지(鄭子芝)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벼슬은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지냄. 이정은(李貞恩)ㆍ이총(李摠)과 함께 아악(雅樂)에 조예가 깊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국방(國防) - 이건(李楗)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셋째 아들이며, 이즙(李楫)ㆍ이백(李柏)의 아우이고, 이역(李櫟)ㆍ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통례원 우통례(通禮院右通禮)ㆍ예조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국번(國藩) - 신진(申鎭)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국보(國保) - 윤시침(尹時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도사(都事)를 지내고, 사암(思菴) 박순(朴淳)과 교유함.
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국보(國寶)@채원정 - 채원정(蔡元鼎)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의 학자. 대모산(大帽山)에 은거하여 육경(六經) 등을 연구하고 후진(後進)을 양성함. 주희(朱熹)가 그를 봉안한 사당의 편액(偏額)을 지음.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국보(國寶)@남한기 - 남한기(南漢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정중(南正重)의 아들이며, 남유용(南有容)의 아버지로,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냈고, 추은(推恩)으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675~174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국보(國寶)@백양신 - 백양신(白良臣)
고려 후기의 무신. 백문보(白文寶)의 조부. 직산백씨(稷山白氏) 시조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무신
-
국보(國寶)@제안대군 - 제안대군(齊安大君)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둘째 아들. 어머니는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韓氏). 예종이 죽자 어리고 총명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즉위하지 못하고, 1470년(성종 1) 제안대군(齊安大君)에 봉해짐.
1466~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국보(國寶)@염국보 - 염국보(廉國寶)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하여 아우 염흥방(廉興邦) 등이 제거될 때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국보(國寶) - 김정신(金鼎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승경(金承敬)의 아들로, 1524년(중종 19)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국보(國輔) - 황사우(黃士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친척인 김안로(金安老)가 정권을 잡자 권세를 부리며, 뇌물을 받고 벼슬을 팔아 치부했다는 비판을 받음.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486~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국보(國輔)@이세응 - 이세응(李世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이계통(李季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냄.
147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국빈(國賓) - 이관징(李觀徵)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연안(延安).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삭출됨. 해서(楷書)에 능했으며 만년에는 김생(金生)의 필법을 연구함.
1618~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국서(國瑞)@태조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국서(國瑞) - 민상안(閔祥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북경(北京)에 다녀왔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비호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국서(菊墅) - 방언휘(方彦暉)
고려 후기의 문신. 충목왕(忠穆王)의 장인이며 방순(方恂)의 아버지로,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국선(國善) - 허충길(許忠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허백기(許伯琦)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명종(明宗)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의주(義州)로 유배되고, 후에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국선생(麴先生) - 국성(麴聖)
술의 다른 이름.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가전(假傳) 〈국선생전(麴先生傳)〉의 주인공. 아버지 국차(麴醝)와 어머니 곡씨(穀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받아 주객 낭중(主客郞中)을 지내고, 난을 평정한 공으로 상동후(湘東侯)에 봉해짐.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국성이씨(國姓李氏) - 전주이씨(全州李氏)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시대의 국성(國姓).
한국>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국수(國秀) - 여송걸(余宋傑)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경(易經)》을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국수(菊水) - 국담(菊潭)
중국 남양(南陽) 역현(酈縣)에 있는 샘 이름. 이 샘의 물을 마시는 사람은 모두 장수하였다고 함. 송(宋) 나라 사정지(史正志)의 《국보서(菊譜序)》에 기록이 전함.
중국 , 유적>기타유적
-
국수재(麴秀才) - 국생(麴生)
술의 의인화된 명칭. 누룩[麴]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술에 학생ㆍ학자를 뜻하는 생(生) 자를 붙여 입전(立傳)한 데서 유래한 명칭.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국신(國信)@안국신 - 안국신(安國信)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대장군(大將軍) 안방걸(安邦傑)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국신(國信) - 이인현(李仁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안(鎭安). 이영준(李英俊)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정(監正)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
-
국씨(國氏) - 전주이씨(全州李氏)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시대의 국성(國姓).
한국>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국암(菊巖) - 양원정(楊元定)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여송(李如松) 등과 함께 조선의 구원군(救援軍)으로 참전함. 도독첨사(都督僉事) 등을 지냈고, 정탁(鄭琢)의 《약포집(藥圃集)》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국양왕(國壤王) - 고국양왕(故國壤王)
고구려 제18대 왕. 재위 384~391. 소수림왕(小獸林王)의 동생이자 광개토왕(廣開土王)의 아버지. 요동(遼東)과 백제를 정벌하여 국토를 넓히고, 불교를 발전시켰으며 국사(國社)를 세우고 종묘(宗廟)를 수리하는 등 국가체제 확립에 기여함.
?~39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국언(國彦)@오세현 - 오세현(吳世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오억령(吳億齡)과 오백령(吳百齡)의 아버지로, 사옹원 직장(司饔院直長)을 지냄.
1524~160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국언(國彦) - 조세철(趙世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익희(趙益禧)의 아들로, 1516년(중종 11)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147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국얼(麴蘖) - 국생(麴生)
술의 의인화된 명칭. 누룩[麴]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술에 학생ㆍ학자를 뜻하는 생(生) 자를 붙여 입전(立傳)한 데서 유래한 명칭.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국연(菊淵) - 남응운(南應雲)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세건(南世健)의 아들로,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지내고, 전서(篆書)와 주서(籒書) 등 글씨에도 뛰어나 여러 작품을 남김.
1509~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국오(菊塢)@강희맹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국오(菊塢) - 성현(成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副棺斬屍)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시문(詩文)에 능하고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국옹(菊翁)@권보 - 권보(權溥)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ㆍ학자. 안향(安珦)의 문인. 국로(國老)로서 대원(對元)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 《사서집주(四書集註)》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
1262~134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국옹(菊翁) - 신윤조(辛潤祖)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낸 신인손(辛引孫)의 아들로, 제용감 첨정(濟用監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국원(菊畹) - 노국형(盧國亨)
조선 전기의 유학. 홍가신(洪可臣)ㆍ이우(李瑀)ㆍ이이(李珥) 등과 함께 팔현회(八賢會)를 결성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국원성(國原城)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국원소경(國原小京)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국원왕(國原王) - 고국원왕(故國原王)
고구려 제16대 왕. 재위 331~371. 미천왕(美川王)의 아들로, 전연(前燕)과 대립하다가 국내성(國內城)을 잃고 수도를 동황성(東黃城)으로 옮김. 371년 평양성(平壤城)에서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을 맞아 싸우다가 전사함.
?~37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국원후(國原侯) - 선종(宣宗)@고려
고려 제13대 왕. 재위 1083~1094. 문종(文宗)의 둘째 아들.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僧科)를 설치하고, 많은 사탑(寺塔)을 건립함.
1049~109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국은(菊隱)@민준 - 민준(閔濬)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의주까지 호종(扈從)한 공으로 호성 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녹훈되었고, 청렴한 공직자로 청백리에 선록(選錄)됨.
1532~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국은(菊隱)@오시립 - 오시립(吳時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오명립(吳名立)ㆍ오유립(吳裕立) 등과 함께 문의(文義)에 송인수(宋麟壽)를 모실 노봉서원(魯峯書院)을 건립했음.
15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국은(菊隱) - 박흥생(朴興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냈으나, 친상(親喪)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