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나덕현(羅德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유학.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감. 효심이 지극하여 인조 때 정려(旌閭)하고 사옹원 참봉(司甕院參奉)을 추증함.
1565~162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나덕형(羅德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했던 나사돈(羅士惇)의 손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나득황(羅得璜)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나유(羅裕)의 아버지. 무신정권에 아첨하여 관직이 형부 상서(刑部尙書)에 이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륜(羅倫)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 수찬(翰林修撰)ㆍ남경 공직(南京供職)을 지내고 사퇴한 뒤, 금우산(金牛山)으로 들어가 학문 활동과 저술에 전념함. 의(義)를 중요시했고, 저서로《일봉집(一峯集)》이 있음.
1431~147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나무춘(羅茂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출소(廢黜疏)를 올린 이위경(李偉卿)을 탄핵하다 관직을 삭탈당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문규(羅文奎)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 판밀직부사(判密直副使) 나영걸(羅英傑)의 아들로, 서해도 안렴사(西海道按廉使)를 역임함.
1312~137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보중(羅甫重)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 나안인(羅安仁)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유학
-
나부(羅富)
고려 전기의 무신. 중국에서 귀화하여 나주나씨(羅州羅氏)의 시조가 됨. 감문위 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무신
-
나부산(羅浮山)
중국 광동성(廣東省) 혜주(惠州)에 있는 산 이름. 중국 10대 명산(名山)의 하나로 도교(道敎)의 명산으로 일컬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나부인(懶婦引)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인인 홍간(洪侃)이 지은 시. 허균(許筠)이 《성수시화(惺叟詩話)》에서 “성당(盛唐)의 작품과 같다.”고 평함.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나빈(羅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금성(錦城). 장성 현감(長城縣監) 나은제(羅殷制)의 아들이며,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나세집(羅世緝)ㆍ나세찬(羅世纘)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나사돈(羅士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벼슬이 충순위(忠順衛)에 이르렀으며,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1513~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나사선(羅士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진원 현감(晉原縣監)을 지낸 나질(羅晊)의 아들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사율(羅士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의 문인(門人).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과 학문을 강구(講究)하고 시(詩)로 서로 면려(勉勵)하며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나사침(羅士忱)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진원 현감(晉原縣監)을 지낸 나질(羅晊)의 아들로, 이성 현감(尼城縣監)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무고(誣告)로 인해 문초(問招)를 받았으나 바로 석방됨.
1525~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사항(羅士恒)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나석(羅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낙천와(樂天窩) 나중우(羅仲佑)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세걸(羅世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나계종(羅繼宗)의 아들로, 창릉 참봉(昌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나세집(羅世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성균 생원(成均生員) 나빈(羅彬)의 아들이며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나세찬(羅世纘)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세찬(羅世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두 차례 장원급제로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권신(權臣)을 서슴지 않고 탄핵하는 기개가 있었음.
1498~155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수(那壽)
중국 원(元) 나라 순제(順帝) 때의 환관. 고려 사람으로 중국 원(元) 나라에 가서 환관(宦官)이 되었으며, 순제 때 벼슬이 봉의대부 견용태감(奉議大夫甄用太監)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ㅣ경상도>신녕 , 인명>관인>환관
-
나숙(羅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나세걸(羅世傑)의 아들이며 나식(羅湜)의 아우. 을사명현(乙巳名賢)의 한 사람으로,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경원(慶源)에 안치되었다가 사사됨.
?~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나숙담(羅叔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나윤명(羅允明)의 아버지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승중(羅承重)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를 지낸 나진충(羅盡忠)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나식(羅湜)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정(安定).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흥양(興陽)으로 유배되었다가 강계(江界)에서 사사(賜死)됨.
1498~15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나신국(羅藎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생 나효종(羅孝宗)의 아들. 1566년(명종 2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정자(正字)ㆍ현감(縣監)을 거쳐 좌랑(佐郞)을 지냈으며,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함.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안인(羅安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생원(生員) 나보중(羅甫重)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유학
-
나암(懶庵)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세족(世族)으로 불가에 귀속하여 양가도승록대사(兩街都僧錄大師)가 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홍천 , 인명>종교인>승려
-
나암잡저(懶庵雜著)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보우(普雨)가 지은 저서. 제자 태균(太均)이 모아서 간행한 것으로 법어(法語)ㆍ발문(跋文) 등 글 30여 편으로 구성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나양좌(羅良佐)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윤선거(尹宣擧)의 문인으로, 스승이 누명을 쓰자 상소하였다가 유배되기도 하였으며, 기사환국 때 자형 김수항(金壽恒)과 매제 이사명(李師命)이 극형을 당하자 먼 길을 달려가서 상을 치러줌.
1638~17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나열(羅悅)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사헌부 대사헌을 지낸 나세찬(羅世纘)의 아들. 본관은 나주(羅州).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나영걸(羅英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조일신(趙日新)의 난 때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에 올랐으나, 조일신이 처형당하자 그 당류로 지목되어 장류(杖流)당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
고려 후기의 승려 나옹(懶翁)의 글을 모은 책. 각굉(覺宏)을 비롯한 제자들이 스승의 글을 수집하고 교정하여 총 67장으로 간행함.
1363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나월헌(蘿月軒)
경상도 합천(陜川)의 내원사(內院寺) 안에 조현당(釣賢堂)과 함께 있는 건물명.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이 지은 〈조현당기문(釣賢堂記文)〉에 언급됨.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사찰
-
나위소(羅緯素)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정묘호란 때 이원익(李元翼)을 도와 무기와 군량을 조달했으며,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83~166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유(羅裕)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이 제주(濟州)의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할 때 선봉장으로 참전하여 대장군에 올랐고, 합단(哈丹)이 동북변경을 침범하였을 때 공을 세움.
?~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나윤명(羅允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유학(幼學)으로 왕 앞에서 《대학》을 강론한 것이 인정되어 회시에 응시할 수 있는 특혜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은고(羅恩誥)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 금성나씨(錦城羅氏)의 시조 나총례(羅聰禮)의 아들. 자의대부(資義大夫)ㆍ공빈승(貢賓丞)을 지내고 금산군(錦山君)에 봉군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은제(羅殷制)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학행(學行)으로 장성 현감(長城縣監)에 제수되었는데 임기를 마치고 돌아갈 때 행장(行裝)이 삼마(三馬)에 차지 않아 조정에서 청백리(淸白吏)로 기록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은집(懶隱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동표(李東標)의 문집. 11권 6책. 목판본. 현손(玄孫) 이한응(李漢膺)이 모아 놓은 것을 1880년(고종 17)에 간행함.
1880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나의소(羅宜素)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1624년(인조 2)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158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익(羅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는 방서(榜書)를 사초에 써두었다가 김안로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죽음을 당함.
1507~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나익희(羅益禧)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무신. 충선왕(忠宣王)이 신법을 제정할 때 반대하다가 면직되었으나 10년 뒤 상의평리(商議評理)에 올라 금성군(錦城君)에 봉해짐.
?~134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나잔자(懶殘子)
고려 후기의 승려. 《목은시고(牧隱詩稿)》에 복리군(福利君)에 봉해진 나잔자(懶殘子)를 축하하는 내용의 시(詩)가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나재집(懶齋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채수(蔡壽)의 시문집. 1568년(선조 1) 채유린(蔡有隣)이 편집ㆍ간행함. 〈홍문관예문관합사상소(弘文館藝文館合司上疏)〉는 임사홍(任士洪)의 비행을 직언ㆍ탄핵하여 축출한 글.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문헌>서명
-
나전(羅恮)
조선 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나윤명(羅允明)의 아들. 1555년(명종 10)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병조 좌랑(兵曹佐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정(蘿井)
경상북도 경주(慶州) 금오산(金鰲山) 기슭에 있는 우물. 진한(辰韓)의 촌장이 나정(蘿井) 곁에서 큰 알을 얻었는데 그 알에서 나온 아이가 박혁거세가 되었다는 탄강전설(誕降傳說)이 깃든 곳.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기타유적
-
나제통문(羅濟通門)
전라북도 무주(茂朱)에 있는 석굴(石窟)로 된 문. 삼국시대에 백제와 신라의 경계였으며, 부근에 그것과 관계된 유적지나 전설이 많음.
한국>신라 , 전라도>무주 , 유적>시설>기타시설
-
나종손(羅終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중종(中宗) 때 식년시(式年試)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나흥(羅興)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유학
-
나종언(羅從彦)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양시(楊時)에게서 이정(二程)의 학문을 배우고, 이동(李侗)에게 전하여 주희(朱熹)에 이르렀으므로, 양시(楊時)ㆍ이동(李侗)과 함께 '남검삼선생(南劍三先生)'으로 불림.
107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나주(羅州)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후백제(後百濟)를 세운 견훤(甄萱)의 본거지였고, 고려 때에는 거란(契丹)의 침입 당시 현종(顯宗)의 피난처였음.
전라도>나주 , 지명>행정지명
-
나주나씨(羅州羅氏)
중국 예장(豫章)에서 동래(東來)하여 고려 때 감문위 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지낸 나부(羅富)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집단>성씨
-
나주정씨(羅州丁氏)
중국 당(唐) 나라 대상(大相)으로 신라에 귀화한 정덕성(丁德盛)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때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을 지낸 정윤종(丁允宗)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나주 , 인명>집단>성씨
-
나중우(羅仲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금양군(錦陽君) 나석(羅碩)의 아들. 조선이 건국되자 김제(金提)로 낙향하여 벼슬길에 나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나진충(羅盡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나승중(羅承重)의 아버지로 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나질(羅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나사선(羅士愃)의 아버지로, 감찰(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나천서(羅天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이성계(李成桂)가 요동을 정벌하고 귀환할 때 아사지경(餓死之境)에 이른 군사를 생환시킨 공으로 안정백(安定伯)에 봉해짐. 안정나씨(安定羅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나총례(羅聰禮)
고려 태조(太祖)~정종(定宗) 때의 무신. 삼한벽상일등공신(三韓壁上一等功臣)의 호를 받고 금성부원군(錦城府院君)에 봉해짐. 금성나씨(錦城羅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나효종(羅孝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1566년(명종 21) 별시(別試) 병과(丙科)에 급제한 나신국(羅藎國)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나휘(羅暉)
중국 후한(後漢)의 서예가. 서법(書法)의 명가(名家)로 명필(名筆) 조습(趙襲)과 이름을 나란히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나흠순(羅欽順)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왕수인(王守仁)이 쓴 《주자만년정론(朱子晩年定論)》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함.
1465~154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나흥(羅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학생(學生) 나종손(羅終孫)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유학
-
나흥유(羅興儒)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고사(故事)에 밝아 왕의 총애를 받음. 우왕 때 통신사(通信使)로 일본으로 가 왜구 출몰을 금하도록 요구하다가 간첩 혐의로 구속되었으나, 승려 양유(良柔)의 주선으로 석방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낙^촉(洛^蜀)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원우삼당(元祐三黨)에 속하는 낙당(洛黨)과 촉당(蜀黨)을 함께 부르는 말. 정이(程頤)의 낙당은 도덕(道德)을 숭상하고, 소식(蘇軾)의 촉당은 문예(文藝)를 숭상하여 격렬한 정쟁(政爭)을 벌임.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낙당(洛黨)@송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원우삼당(元祐三黨)의 하나. 낙양(洛陽) 출신인 정이(程頤)를 영수로 한 당파(黨派)로 도덕(道德)을 숭상하여, 학문의 기초를 달리하는 촉당(蜀黨)ㆍ삭당(朔黨)과 치열한 정쟁(政爭)을 벌임.
1087 중국>송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낙당(洛黨)@조선
조선 인조(仁祖) 때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운 공서(功西)가 분열되면서 김자점(金自點)을 중심으로 형성된 당파(黨派). 원두표(元斗杓)의 원당(原黨)과 양립하다가 효종(孝宗)의 즉위로 소멸됨.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조직
-
낙도교거집(樂道郊居集)
고려 현종(顯宗) 때 문신인 강감찬(姜邯贊)의 문집. 치사(致仕)하고 나서 성남(城南)의 별서(別墅)에 돌아가 지음. 전해지지 않음.
한국>고려전기 , 문헌>서명
-
낙동강(洛東江)
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南流)하여 남해(南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상도>김해ㅣ강원도>삼척 , 지명>자연지명
-
낙랑공주(樂浪公主)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딸. 고려에 항복한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아내가 되어 의성김씨(義城金氏)의 시조가 되는 김석(金錫)을 낳음. 어머니는 유긍달(柳兢達)의 딸인 신명태후 유씨(神明太后柳氏).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
-
낙봉서원(洛峰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선산(善山)에 건립한 서원. 김숙자(金叔玆)ㆍ김취성(金就成)ㆍ김취문(金就文)ㆍ박운(朴雲)ㆍ고응척(高應陟)을 배향함.
164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낙빈서원(洛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서원. 박팽년(朴彭年)ㆍ성삼문(成三問)ㆍ하위지(河緯地)ㆍ이개(李塏) 등 사육신을 배향함.
16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낙빈왕(駱賓王)
중국 당(唐) 나라 초기의 문신ㆍ시인. 시문(詩文)이 뛰어나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노조린(盧照鄰)과 함께 ‘초당사걸(初唐四傑)’로 불림.
640~68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낙빈왕문집(駱賓王文集)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낙빈왕(駱賓王)의 시문집. 육조(六朝)의 시풍(詩風)을 계승하면서도 격조가 청려(淸麗)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낙산(洛山)
강원도 양양(襄陽)에 있는 산 이름. 671년에 의상(義湘)이 창건한 낙산사(洛山寺)가 있음.
강원도>양양 , 지명>자연지명
-
낙산(駱山)
서울을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 이름. 주산(主山)의 좌청룡에 해당하며, 산 모습이 낙타처럼 생겼다 하여 낙타산(駱駝山) 또는 타락산(駝駱山)이라고도 부름.
서울 , 지명>자연지명
-
낙산사(洛山寺)
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의상(義湘)이 강원도 양양(襄陽) 낙산(洛山)에 창건한 사찰. 3대 관음기도도량(觀音祈禱道場) 중의 하나이자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
671 한국>신라 , 강원도>양양 , 유적>건물>사찰
-
낙상지(駱尙志)
중국 명(明) 나라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조선의 선봉장(先鋒將)으로 의주를 지켰으며, 용력(勇力)이 뛰어나 천 근(斤)을 들어 낙천근(駱千斤)이라 불렸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낙생역(樂生驛)
경기도 광주(廣州) 남쪽 45리 지점에 있던 역(驛) 이름. 조선 후기 대로(大路) 중의 하나로, 교통상의 요충지였음.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낙서(洛書)
중국 하(夏) 나라의 우(禹) 임금이 낙수(洛水)에서 얻었다는 글. 낙수에서 나온 신귀(神龜)의 등에 쓰여 있었다 하며, 홍범구주(洪範九疇)의 모태가 됨. 하도(河圖)와 더불어 예언(豫言)이나 수리(數理)의 기본이 됨.
중국>하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낙성대(落星垈)
고려 현종(顯宗) 때 문신인 강감찬(姜邯贊)의 사당. 강감찬의 출생지로, 그가 출생할 당시 별이 떨어졌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현재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에 위치하며, 그의 공적을 기리는 삼층 석탑이 있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유적>건물>사당
-
낙수(洛水)
중국 하남성(河南省) 서부에 있는 강 이름. 섬서성(陝西省)의 동부 진령산맥(秦嶺山脈)에서 발원한 후 동류(東流)하여 하남성을 지나 황하(黃河)로 흘러 들어가며, 연안에는 낙양(洛陽)과 같은 고도가 있어 사적으로도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낙수역(洛水驛)
전라도 순천(順天)의 서쪽 73리 지점에 있던 역(驛) 이름.
전라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낙신부(洛神賦)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 조식(曹植)이 지은 산문부. 조식이 낙수(洛水)를 건너면서 미인 견씨(甄氏)를 사념(思念)하여 복비(宓妃)에 빗대어, 이루어질 수 없는 안타까움을 표현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낙신부도권(洛神賦圖券)
중국 동진(東晉)의 화가 고개지(顧愷之)가 그린 산수인물화. 조식(曹植)의 〈낙신부(洛神賦)〉의 마지막 부분을 그림. 두루마리 그림으로 동일한 인물을 여러 번 등장시키는 기법을 사용.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낙안(樂安)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順天市) 낙안면(樂安面)ㆍ외서면(外西面)과 보성군(寶城郡) 벌교읍(筏橋邑) 일대에 해당함.
전라도>낙안 , 지명>행정지명
-
낙양(洛陽)
중국 하남성(河南省) 서부의 낙수(洛水)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 주(周)ㆍ후한(後漢)ㆍ삼국(三國) 등의 고도(古都)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낙양기(洛陽記)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학자인 육기(陸機)의 저서. 낙양(洛陽)에 대한 기록으로, 대표적인 낙양지방지(洛陽地方志)로 꼽힘. 1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낙양진신구문기(洛陽縉紳舊聞記)
중국 송(宋) 나라 문신ㆍ학자인 장제현(張齊賢)의 저서. 양(梁)ㆍ당(唐) 이래 낙양(洛陽)에 관한 구사(舊事)를 모아 기술함. 21편.
100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낙은별곡(樂隱別曲)
조선 후기 문신 남도진(南道振)이 지은 가사. 경기도 용문산(龍文山)에 위치한 낙은암(樂隱岩)의 주변 경치인 일곡팔경(逸谷八景)을 노래함.
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근 , 문헌>작품명
-
낙읍(洛邑)
중국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의 서쪽 지역에 있던 고대 서주(西周)의 수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낙임해집(駱臨海集)
중국 당(唐) 나라 시인인 낙빈왕(駱賓王)의 문집. 임해(臨海)는 낙빈왕이 지방관으로 근무하던 지방임. 오율시(五律詩)와 변문(騈文)이 들어 있음. 1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낙전당귀전록(洛全堂歸田錄)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익성(申翊聖)의 문집. 신익성이 퇴거(退居)한 후 지은 시로,《낙전당집(洛全堂集)》에 수록되지 않은 것을 모아 숙종(肅宗) 때 김석주(金錫胄)와 박세채(朴世采)가 편집ㆍ간행함.
168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낙전당집(樂全堂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익성(申翊聖)의 시문집. 아들 신면(申冕)과 신최(申最)가 편집한 것을 1681년(숙종 7) 외손 김석주(金錫胄)가 간행함.
168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낙전집(樂全集)
중국 송(宋) 나라 문신ㆍ학자인 장방평(張方平)의 문집. 본집 40권과 부록 1권으로 구성.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낙정집(樂靜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석윤(趙錫胤)의 문집. 14권 7책. 1670년(현종 11)에 민기중(閔蓍重)이 간행함.
167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낙천문집(洛川文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배신(裵紳)의 시문집. 2권 2책. 철종(哲宗) 때 이원조(李源祚)에 의해 편집ㆍ간행됨.
186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낙천사(洛川祠)
조선 영조(英祖) 때 경상도 예안(禮安)에 건립한 사당. 김부필(金富弼)ㆍ김부인(金富仁) 등을 배향함.《일휴면진양선생연고(日休勉進兩先生聯稿)》에 봉안문(奉安文)이 남아 있음.
176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사당
-
낙촌집(駱村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충원(朴忠元)의 문집. 6권 3책. 초간 연대는 미상이며, 1886년(고종 23) 박광진(朴光鎭)과 박영대(朴英大)에 의해 중간(重刊)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낙화암(落花巖)
충청도 부여(扶餘)의 부소산(扶蘇山)에 있는 암벽 이름. 백제 의자왕(義慈王)의 궁녀들이 이곳에서 투신하여 죽었다는 전설이 있음.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난계유고(蘭溪遺稿)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인 박연(朴堧)의 시문집. 1권 1책. 1822년(순조 22)에 박경하(朴景夏)에 의해 간행됨. 음악에 관한 상소문은 당대(當代) 음악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됨.
182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