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국이(國耳) - 박광우(朴光佑)@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遠接使)를 수행하였고,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洞仙驛)에서 죽음.
149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국이(國耳)@이창신 - 이창신(李昌臣)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한어(漢語)ㆍ이문(吏文)에 매우 능하였고,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섬으로 유배됨.
14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국이(國耳)@유공좌 - 유공좌(柳公佐)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ㆍ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ㆍ용양위 사과(龍驤衛司果)를 지냄 .
1458~151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국일재(菊逸齋) - 노공필(盧公弼)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노사신(盧思愼)의 장남. 명(明) 나라에서 중종의 승습(承襲)을 승인 받아 귀국함.
1445~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국자(國子) - 국자감(國子監)
고려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던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992년(성종 11)에 종래의 국학(國學)을 당ㆍ송(唐宋)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식 교육기관으로 개편하고, 국자학ㆍ태학ㆍ사문학ㆍ율학ㆍ서학ㆍ산학 등의 전문 학과를 둠.
99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국자(國滋) - 김득배(金得培)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개경(開京)과 서경(西京)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으나, 김용(金鏞)의 모략으로 정세운(鄭世雲)을 살해하고 그 죄로 효수당함.
1312~136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국재(國材) - 가한(柯翰)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가 도(道)를 지키면서 세속의 흐름에 영합하지 않은 점을 칭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국재(菊齋)@권보 - 권보(權溥)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ㆍ학자. 안향(安珦)의 문인. 국로(國老)로서 대원(對元)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 《사서집주(四書集註)》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
1262~134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국재(菊齋) - 오겸(吳謙)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부사(府使)를 지낸 오세훈(吳世勳)의 아들. 유우(柳藕)의 문인으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9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국재(菊齋)@이희검 - 이희검(李希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병조(兵曹)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냄.
1516~15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국전(國典) -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 세조(世祖)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成宗)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성종 15)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敎旨)ㆍ조례(條例)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 6권 4책. 인본(印本).
1485 한국>조선전기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국정(國楨)@오세훈 - 오세훈(吳世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우의정(右議政) 오겸(吳謙)의 아버지로, 부사(府使)를 지냄.
1460~151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국정(國楨) - 박광좌(朴光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지냈으며, 간재(艮齋) 최연(崔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국정(國正) - 박세정(朴世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낸 박점(朴漸)의 부친. 이이(李珥)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92~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국조(國祖)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국조(國祖)@태조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국조(菊祖) - 박흥생(朴興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냈으나, 친상(親喪)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국조대사록기문제강(國朝大事錄記聞提綱) - 국사제강(國史提綱)
조선 후기에 편찬된 역사서. 1책. 필사본. 조선 태조(太祖)부터 숙종(肅宗) 말년까지의 사실을 엮은 것으로, 저자나 간행연대가 불분명함. 《허암유집(虛庵遺集)》 속집(續集)에 보임.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국조무정보감(國朝武定寶鑑) - 무정보감(武定寶鑑)
조선 개국 초기부터 예종(睿宗) 때까지의 내우외환(內憂外患)에 관한 사건을 수록한 책. 1469년(예종 1) 왕명으로 계감청(繼鑑廳)에서 편찬하고 신숙주(申叔舟)가 수교(讎校)하였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음.
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국조사장(國朝詞章) - 악장가사(樂章歌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박준(朴浚)이 편찬하였다고 전하는 가집(歌集). 목활자본. 현전하는 가집 중 악장(樂章)과 속악가사(俗樂歌詞)를 엮은 순수 가집으로는 가장 오래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국조악장(國朝樂章) - 악장가사(樂章歌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박준(朴浚)이 편찬하였다고 전하는 가집(歌集). 목활자본. 현전하는 가집 중 악장(樂章)과 속악가사(俗樂歌詞)를 엮은 순수 가집으로는 가장 오래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국조왕(國祖王) - 태조왕(太祖王)
고구려 제6대 왕. 재위 53~146. 유리왕(瑠璃王)의 손자로, 영토확장 및 중앙집권적 형태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가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때부터 계루부(桂婁部)의 왕위계승이 확립됨.
47~165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국좌(國佐)@장충보 - 장충보(張忠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1486년(성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국준(國俊) - 유정수(柳廷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정랑(吏曹正郞)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냈으며, 김종직(金宗直)의 사옥(史獄) 때 항론(抗論)하다 장배(杖配)되었음.
1451~150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국진(國珍)@상국진 - 상국진(尙國珍)
고려 전기의 호장(戶長). 중국 당(唐) 나라 상가고(尙可孤)의 후예로 전하며, 목천상씨(木川尙氏)의 시조로, 고려 초에 목천 호장(木川戶長)을 지냄. 고려 개국 초기 후백제의 부흥을 꾀하며 목천 상왕산(尙王山)에서 군을 일으켰으나 고려군에게 참패하고 패사함.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아전
-
국진(國珍) - 안선(安璿)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관기(官紀)의 확립과 풍속(風俗)의 교화에 힘쓰고,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으로서 언관(言官)의 임무를 수행함.
1440~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국진(國珍)@방국진 - 방국진(方國珍)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무신. 원래 소금 행상이었으나 원 나라 말에 절동(浙東) 지방을 점령한 무장 세력의 우두머리가 되고, 명 나라 초까지도 반란과 귀순을 되풀이하면서 벼슬을 유지함.
1319~1374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국진(國鎭) - 기언정(奇彦鼎)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6대손이며, 덕창군(德昌君) 기정후(奇挺後)의 아들. 대사헌ㆍ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를 중간(重刊)함.
1716~17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능천군(綾川君)@구인후 - 구인후(具仁垕)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무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국왕을 호위한 공으로 어영대장(御營大將)이 되고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됨. 벼슬은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578~16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능천군(綾川君) - 구수영(具壽永)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세조(世祖)의 동생 영응대군(永膺大君)의 사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등을 지냈고,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연산군의 충복이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파직됨.
1456~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구인후 - 구인후(具仁垕)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무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국왕을 호위한 공으로 어영대장(御營大將)이 되고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됨. 벼슬은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578~16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 구수영(具壽永)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세조(世祖)의 동생 영응대군(永膺大君)의 사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등을 지냈고,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연산군의 충복이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파직됨.
1456~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능평(綾平) - 구일(具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공조 판서 구인기(具仁墍)의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으로 있을 때 묵은 땅을 개간하는 등 치적이 있었고, 황해도 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20~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능평군(綾平君)@구일 - 구일(具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공조 판서 구인기(具仁墍)의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으로 있을 때 묵은 땅을 개간하는 등 치적이 있었고, 황해도 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20~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능평군(綾平君) - 구희경(具希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구수영(具壽永)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신수겸(愼守謙)의 사위로,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ㆍ영유 현령(永柔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능풍군(綾豊君) - 구인기(具仁墍)
조선 광해군(光海君)~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조의 모후(母后)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조카로,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벼슬이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97~16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능풍부원군(綾豊府院君) - 구인기(具仁墍)
조선 광해군(光海君)~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조의 모후(母后)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조카로,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벼슬이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97~16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능하(凌河) - 대릉하(大凌河)
중국 요녕성(遼寧省) 북쪽의 노노아호산(努魯兒虎山)과 남쪽의 흑산(黑山)에서 발원하여 서부의 강줄기를 합쳐 요동만(遼東灣)으로 흘러드는 강.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능해(綾海) - 구성(具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고,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58~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능해공(綾海公) - 구성(具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고,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58~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능해군(綾海君) - 구성(具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고,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58~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능허(凌虛) - 박민(朴敏)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태안(泰安). 정구(鄭逑)의 제자로, 《대학(大學)》과 《심경(心經)》에 뛰어남.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강우의병장(江右義兵將)으로 추대되었으나 화의가 성립되어 활동하지 못함. 진주 정강서원(鼎崗書院)ㆍ정산(鼎山) 향현사(鄕賢祀)에 제향됨.
1566~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태안 , 인명>문사>학자
-
다각(茶角) - 정극인(丁克仁)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광(靈光). 최초의 가사(歌辭) 작품인 〈상춘곡(賞春曲)〉을 지음. 단종(端宗)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
1401~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다경(多慶) - 김다경(金多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진해(鎭海)ㆍ청도(淸道)의 현감(縣監)을 지낸 김세량(金世良)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다매(茶梅) - 동백(冬柏)
차나뭇과의 상록활엽 교목. 겨울에서 봄까지 꽃이 귀한 시기에 피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 열매는 약용(藥用)으로 사용하거나 머릿기름, 등잔기름 등으로 사용함.
자연물>식물
-
다사강(多沙江) - 섬진강(蟾津江)
전라도 진안(鎭安)에서 발원하여 동부지역을 남류(南流)하고, 경상도 하동(河東)을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전라도>진안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다산(茶山)@목대흠 - 목대흠(睦大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이조 참판(吏曺參判)을 지낸 목첨(睦瞻)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亂) 때 공을 세움. 저서로는 《다산집(茶山集)》이 있음.
1575~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다산(茶山) - 증기(曾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육유(陸游)의 스승으로, 진회(秦檜)의 노여움을 사서 파직되었다가 다시 기용되어 권 예부 시랑(權禮部侍郞) 등을 역임하였음.
1084~11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다산(茶山)@정약용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다성(多省) - 문다성(文多省)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되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다손(多遜) - 노다손(盧多遜)
중국 송(宋) 나라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의 충신(忠臣) 조보(趙普)를 조정에서 축출해 정위(丁謂)와 함께 간신(奸臣)으로 불림. 태종 즉위 후 정승(政丞)을 지냈으나 진왕(秦王) 정미(廷美)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배소(配所)에서 죽음.
934~98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다온평(多溫平) - 온성(穩城)
함경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우리나라 최북단의 고을로, 서ㆍ북ㆍ동쪽에 두만강(豆滿江)을 국경으로 하여 중국 길림성(吉林省)과 마주하고 있음.
함경도>온성 , 지명>행정지명
-
다의당(多義堂) - 채귀하(蔡貴河)
고려 후기의 문신. 상서(尙書) 채원길(蔡元吉)의 아들로, 인천채씨(仁川蔡氏)의 중시조. 호조 전서(戶曹典書)를 지내다가 조선이 건국되자 충절을 지키며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이 됨. 정몽주(鄭夢周)와 친교(親交)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ㅣ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다전(茶顚) - 육우(陸羽)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인. 고조시가(古調詩歌)에 뛰어났으며, 특히 다도(茶道)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다경(茶經)》을 저술하였고, 후세에 ‘다성(茶聖)’으로 일컬어짐.
733~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다헌(茶軒) - 정극인(丁克仁)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광(靈光). 최초의 가사(歌辭) 작품인 〈상춘곡(賞春曲)〉을 지음. 단종(端宗)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
1401~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단(㫜) - 권단(權㫜)
고려 고종(高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승려. 한림학사 권위(權韙)의 아들로, 찬성사(贊成事)로 치사(致仕)하고 선흥사(禪興寺)에 들어가 승려가 됨.
1228~131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관인>문신
-
단(丹) - 태자단(太子丹)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마지막 태자. 진(秦) 시황(始皇)이 육국(六國)을 병합할 야욕이 있음을 알고 자객(刺客) 형가(荊軻)를 시켜 시황(始皇)을 암살하려다 실패함.
?~B.C.22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단(旦) - 사마단(司馬旦)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사마지(司馬池)의 아들이며, 사마광(司馬光)의 형. 정현 주부(鄭縣主簿) 등을 역임함.
1006~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단(湍) - 신단(辛湍)
조선 전기의 유학. 《백담집(栢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지은 〈신원우신문경(新院遇辛聞慶)〉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문경 , 인명>문사>유학
-
단계(丹溪)@허옹 - 허옹(許邕)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성품이 강직하여 과거에 부정 합격한 감찰대부(監察大夫) 최안도(崔安道)의 아들 최경(崔璟)을 탄핵하고, 그의 첩장(牒狀)에 서명하기를 거부함.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단계(丹溪)@단성 - 단성(丹城)
경상남도 산청(山淸)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조선 세종(世宗) 때 단계(丹溪)와 강성(江城)이 합해서 이루어짐.
경상도>산음 , 지명>행정지명
-
단계(丹溪) - 하위지(河緯地)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문장이 뛰어나 《역대병요(歷代兵要)》등의 편찬에 참여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됨.
141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단계부정(丹溪副正) - 이린(李潾)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단곡(丹谷) - 곽진(郭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종(仁宗) 때의 학자. 생원 곽한(郭瀚)의 아들이며, 권우(權宇)의 문인.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시문에 능하였고, 장현광(張顯光)ㆍ이준(李埈)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
-
단곡거사(丹谷居士) - 곽진(郭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종(仁宗) 때의 학자. 생원 곽한(郭瀚)의 아들이며, 권우(權宇)의 문인.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시문에 능하였고, 장현광(張顯光)ㆍ이준(李埈)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
-
단공(檀公) - 단도제(檀道濟)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무제(武帝)~문제(文帝) 때의 장군. 무제를 도와 송 나라를 건국하는 데 공을 세워 영수현공(永修縣公)에 봉해짐.
?~4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단공(端公)@이이 - 이이(李頤)@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민사평(閔思平)의 문인(門人)으로, 경상도 안렴사(慶尙道按廉使)를 지낼 때 《급암시집(及菴詩集)》의 판각을 도움.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단공(端公) - 전순(田珣)
고려 후기의 유학. 시에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와 함께 시를 수창(酬唱)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단구(丹丘)@원단구 - 원단구(元丹丘)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신선술(神仙術)을 좋아하였으며, 이백(李白)과 교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단구(丹丘) - 단양(丹陽)
충청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제2의 외금강(外金剛)이라 불릴 만큼 경관이 아름다움.
충청도>단양 , 지명>행정지명
-
단구(丹丘)@이숭경 - 이숭경(李崇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성균 생원(成均生員) 이정(李頲)의 아들로, 시(詩)와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박순(朴淳)ㆍ임억령(林億齡)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
1510~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문인
-
단구(丹丘)@영해 - 영해(寧海)
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서쪽으로 진보(眞寶),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平海)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에 속함.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단구생(丹丘生) - 원단구(元丹丘)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신선술(神仙術)을 좋아하였으며, 이백(李白)과 교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단구자(丹丘子)@원단구 - 원단구(元丹丘)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신선술(神仙術)을 좋아하였으며, 이백(李白)과 교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단구자(丹丘子) - 이숭경(李崇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성균 생원(成均生員) 이정(李頲)의 아들로, 시(詩)와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박순(朴淳)ㆍ임억령(林億齡)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
1510~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문인
-
단구한민(丹丘閑民) - 이숭경(李崇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성균 생원(成均生員) 이정(李頲)의 아들로, 시(詩)와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박순(朴淳)ㆍ임억령(林億齡)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
1510~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문인
-
단군왕검(檀君王儉) - 단군(檀君)
고조선(古朝鮮)의 첫 임금. 한민족의 시조(始祖)로 천제(天帝)인 환인(桓因)의 손자이며, 환웅(桓雄)의 아들. B.C.2333년 아사달(阿斯達)에 도읍을 정하고 고조선(古朝鮮)을 건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단금지계(斷金之契) - 금란지교(金蘭之交)
친구 사이의 굳은 우정을 이르는 말. 《역경(易經)》의 〈계사상전(繫辭上傳)〉에서 유래한 말로, 둘이 합심하면 그 단단하기가 능히 쇠를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초의 향기와 같다는 뜻.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단금지교(斷金之交) - 금란지교(金蘭之交)
친구 사이의 굳은 우정을 이르는 말. 《역경(易經)》의 〈계사상전(繫辭上傳)〉에서 유래한 말로, 둘이 합심하면 그 단단하기가 능히 쇠를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초의 향기와 같다는 뜻.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단기지계(斷機之戒) - 맹모단기(孟母斷機)
맹자의 어머니가 베틀에 건 날 실을 끊음. 《열녀전(列女傳)》〈모의전(母儀傳)〉에 나온 이야기로, 맹자의 어머니가 유학(遊學) 도중 돌아온 맹자를 훈계하여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일을 책망한 고사에서 유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단단대령(單單大嶺)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단두장군(斷頭將軍) - 엄안(嚴顔)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장수. 강주(江州)를 지키다가 장비(張飛)에게 생포된 후 노장 황충(黃忠)과 더불어 유비(劉備)의 심복이 되어 많은 공을 세움.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단림(端臨) - 마단림(馬端臨)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제도와 문물사(文物史)에 관한 백과사전인 《문헌통고(文獻通考)》를 저술함.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단명(端明)@황중 - 황중(黃中)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소무(邵武) 사람으로,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ㆍ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내고, 《주의(奏議)》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단명(端明)@왕응신 - 왕응신(汪應辰)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거쳐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역임함. 주자(朱子)가 선인(善人)의 종주라고 칭함.
1118~117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단명(端明)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단목(端木) - 단목사(端木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재여(宰予)와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魯) 나라와 위 나라에서 재상(宰相)을 지냄.
B.C.520?~B.C.45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단목씨(端木氏) - 단목사(端木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재여(宰予)와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魯) 나라와 위 나라에서 재상(宰相)을 지냄.
B.C.520?~B.C.45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단목자(端木子) - 단목사(端木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재여(宰予)와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魯) 나라와 위 나라에서 재상(宰相)을 지냄.
B.C.520?~B.C.45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단몽(端蒙) - 정단몽(程端蒙)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청소년을 위한 성리학(性理學)의 기초 학습 교재인 《성리자훈(性理字訓)》을 저술함.
1143~11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단묘(端廟)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단민(端敏) - 홍진(洪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의 맏아들이며, 홍적(洪迪)의 형.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41~16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단방(檀厖) - 단군(檀君)
고조선(古朝鮮)의 첫 임금. 한민족의 시조(始祖)로 천제(天帝)인 환인(桓因)의 손자이며, 환웅(桓雄)의 아들. B.C.2333년 아사달(阿斯達)에 도읍을 정하고 고조선(古朝鮮)을 건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단백(端伯) - 이유(李籲)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와 정이(程頤)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단보(亶父) - 태왕(太王)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조부. 적인(狄人)들의 침략을 피해 빈(邠) 땅에서 기산(岐山)으로 이주한 후 국호를 ‘주(周)’라 정하고 주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 무왕(武王)에 의해 태왕으로 추존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단보(端父) - 이정녕(李正寧)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외척.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지낸 이사후(李師厚)의 아들로, 태종(太宗)의 딸인 숙혜옹주(淑惠翁主)와 결혼하여 성원위(星原尉)에 봉작되었으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411~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단보(端甫)@허균 - 허균(許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유성룡(柳成龍)ㆍ이달(李達)의 문인. 이이첨(李爾瞻)과 결탁하여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였으며, 반란을 계획하다 탄로되어 참수형을 당함. 명문장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인 《홍길동전(洪吉童傳)》을 씀.
1569~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단보(端甫) - 요수(姚燧)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ㆍ문신. 문장에 능하여 서한(西漢)의 기풍이 있었고, 태자빈객(太子賓客)ㆍ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 등을 지냄.
1239~131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단본대장경찬소(丹本大藏經讚疏) - 단본대장경경찬소(丹本大藏經慶讚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충지(冲止)가 쓴 거란판 대장경(契丹版大藏經)에 대해 찬양하는 소(疎). 《동문선(東文選)》제112권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단산(丹山) - 단양(丹陽)
충청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제2의 외금강(外金剛)이라 불릴 만큼 경관이 아름다움.
충청도>단양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