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당문부수(唐文副守) - 이준(李準)@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증손인 결기수(結己守) 이현(李玄)의 맏아들이며, 삼휴자(三休子) 윤관(尹寬)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당문수(唐文守) - 이준(李準)@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증손인 결기수(結己守) 이현(李玄)의 맏아들이며, 삼휴자(三休子) 윤관(尹寬)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당문황(唐文皇)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백호(唐白虎) - 당인(唐寅)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화가ㆍ문인. 주신(周臣)의 제자로, 남종화(南宗畵)와 북종화(北宗畵)를 융합하여 이후 오파(吳派)의 문인화풍(文人畵風)에 영향을 주고, 문장에도 뛰어나 《당인집(唐寅集)》을 남김.
1470~1523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당병자(戇病子)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당보(戇父) - 유반(劉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을 지내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전ㆍ후한(前後漢) 부분을 기술함.
1023~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당사(唐寺) - 연복사(演福寺)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었던 사찰. 공민왕(恭愍王)ㆍ공양왕(恭讓王) 등 여러 왕들이 여러 차례 거둥할 정도의 대찰이었으나 조선의 양란(兩亂)을 거치면서 폐허가 됨. 고려 후기의 승려인 진공(軫公) 등이 주지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당산군(唐山君) - 홍징(洪徵)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삼중대광 첨의상의 삼사좌사(三重大匡僉議商議三司左使) 홍주(洪澍)의 아들로,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냄. 우왕(禑王) 때 왜구(倭寇)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 처남 염흥방(廉興邦)이 처형될 때 연좌되어 죽임을 당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당상(唐相) - 방현령(房玄齡)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재상. 정관(貞觀)의 치세(治世)를 이끈 핵심 인물로, 두여회(杜如晦)를 천거함.
578~64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당생(唐生) - 풍환(馮驩)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인물. 재상인 맹상군(孟嘗君)의 식객(食客)으로 있으면서 맹상군의 안위를 위한 충언(忠言)을 아끼지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당서(唐書) - 신당서(新唐書)
중국 송(宋) 나라의 구양수(歐陽修)와 송기(宋祁) 등이 편찬한 당(唐) 나라의 정사(正史). 당 나라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사실(史實) 기록으로, 《구당서(舊唐書)》에 빠진 것과 틀린 것을 바로잡아 펴냄. 225권.
106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당석죽(唐石竹)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당선(唐仙) - 당고(唐皐)
조선 중종(中宗) 때 명(明) 나라에서 온 사신(使臣). 1521년(중종 16) 명 나라의 신황제등극반조정사(新皇帝登極頒詔正使)로 다녀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당선(唐宣) - 선종(宣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6대 황제. 재위 846~859. 제11대 헌종(憲宗)의 열네 번째 아들로, 환관 마원지(馬元贄) 등에 의해 황태숙(皇太叔)으로 옹립된 후 즉위하였으며, 토번(吐藩)에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는 등 ‘작은 태종(小太宗)’으로 일컬어짐.
810~85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성(唐城) - 홍려(洪礪)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의 두 번째 서녀(庶女)인 혜정옹주(惠靜翁主)와 혼인하였으나, 복성군(福城君)의 옥사(獄事) 때 죽음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왕실>인척
-
당성(唐城)@남양 - 남양(南陽)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華城) 일대의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京畿水軍節度使營)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기도>남양 , 지명>행정지명
-
당성공(唐城公) - 홍려(洪礪)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의 두 번째 서녀(庶女)인 혜정옹주(惠靜翁主)와 혼인하였으나, 복성군(福城君)의 옥사(獄事) 때 죽음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왕실>인척
-
당성군(唐城君)@홍의룡 - 홍의룡(洪義龍)
고려 후기의 문신. 죽은 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여주(驪州) 신륵사(神勒寺)에 보현보살상(普賢菩薩像)을 조성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당성군(唐城君)@홍징 - 홍징(洪徵)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삼중대광 첨의상의 삼사좌사(三重大匡僉議商議三司左使) 홍주(洪澍)의 아들로,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냄. 우왕(禑王) 때 왜구(倭寇)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 처남 염흥방(廉興邦)이 처형될 때 연좌되어 죽임을 당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당성군(唐城君) - 홍빈(洪彬)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참소로 인해 충숙왕과 충혜왕(忠惠王)이 원(元) 나라에 압송되었을 때 그 억울함을 변호하여 귀국 후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우정승(右政丞) 등을 지냄.
1288~135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당성백(唐城伯) - 홍천하(洪天河)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이 고구려에 파견한 8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고구려에 귀화한 인물. 남양홍씨(南陽洪氏) 당홍계(唐洪系)의 시조. 고구려 영류왕(榮留王) 때 유학을 가르치고,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당성백(唐城伯)에 봉해짐.
한국>통일신라ㅣ한국>고구려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학자
-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홍원철 - 홍원철(洪元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공민왕이 연저(燕邸)에 있을 때 수종한 공과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왕과 태후를 모시고 남행(南行)한 공으로 인해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 - 홍빈(洪彬)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참소로 인해 충숙왕과 충혜왕(忠惠王)이 원(元) 나라에 압송되었을 때 그 억울함을 변호하여 귀국 후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우정승(右政丞) 등을 지냄.
1288~135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당성위(唐城尉) - 홍려(洪礪)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의 두 번째 서녀(庶女)인 혜정옹주(惠靜翁主)와 혼인하였으나, 복성군(福城君)의 옥사(獄事) 때 죽음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왕실>인척
-
당성홍씨(唐城洪氏) - 남양홍씨(南陽洪氏)
중국 당(唐) 나라의 태학사(太學士)로 고구려(高句麗) 때 귀화한 홍천하(洪天河)를 시조로 하는 당홍(唐洪) 집안과, 고려 고종(高宗) 때의 금오위 별장(金吾衛別將) 홍선행(洪先幸)을 시조로 하는 토홍(土洪) 집안을 아울러 일컫는 성씨.
한국>고구려 , 경기도>남양 , 인명>집단>성씨
-
당소(唐昭) - 소종(昭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9대 황제. 재위 888~904. 재임 중 번진(蕃鎭)의 세력다툼과 잦은 농민봉기로 인해 실권을 잃고 결국에는 시해됨.
867~90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송(唐頌) - 대당중흥송(大唐中興頌)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원결(元結)이 안녹산(安祿山)의 난(亂)이 진압된 뒤 숙종(肅宗)의 공덕(功德)을 송축하며 지은 글. 호남성(湖南省) 기양(祁陽)의 오계(浯溪) 암벽 위에 새겨져 있음.
761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당송천가연주시격(唐宋千家聯珠詩格) - 연주시격(聯珠詩格)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우제(于濟)의 저서를 채정손(蔡正孫)이 증보하고 시에 평석(評釋)을 단 책. 실제적인 작시법(作詩法)을 제시함. 20권.
1300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당송팔가(唐宋八家) -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국 당(唐) 나라의 한유(韓愈)ㆍ유종원(柳宗元), 송(宋) 나라의 구양수(歐陽脩)ㆍ소순(蘇洵)ㆍ소식(蘇軾)ㆍ소철(蘇轍)ㆍ증공(曾鞏)ㆍ왕안석(王安石) 등 질박(質朴)한 선진(先秦)ㆍ양한(兩漢)의 고문(古文)을 지향한 8명의 산문작가의 총칭.
중국>송ㅣ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당악군(唐岳君) - 양포(楊浦)
고려 고종(高宗) 때의 정승. 중화양씨(中和楊氏)의 시조.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토평할 때 공을 세운 양동무(楊東茂)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중화 , 인명>관인>문신
-
당양공주(唐陽公主) - 명숙공주(明淑公主)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누이. 덕종(德宗)과 소혜왕후(昭惠王后)의 딸로,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들인 홍상(洪常)과 혼인함.
1456~14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당양군(唐陽君) - 홍상(洪常)
조선 추존왕인 덕종(德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들로, 덕종의 딸 명숙공주(明淑公主)와 혼인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난 뒤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57~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 홍인우(洪仁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덕연(洪德演)의 맏아들.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에 전심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515~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당양위(唐陽尉) - 홍상(洪常)
조선 추존왕인 덕종(德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들로, 덕종의 딸 명숙공주(明淑公主)와 혼인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난 뒤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57~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당양위공주(唐陽尉公主) - 명숙공주(明淑公主)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누이. 덕종(德宗)과 소혜왕후(昭惠王后)의 딸로,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들인 홍상(洪常)과 혼인함.
1456~14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당양현후(當陽縣侯) - 두예(杜預)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ㆍ학자. 진남대장군(鎭南大將軍)이 되어 오(吳)를 평정하여 당양현후(當陽縣侯)에 봉해짐. 춘추의례설(春秋義例說)을 확립하고, 춘추학으로서의 좌씨학을 집대성함.
222~28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당옹(戇翁) - 이서(李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홍주(洪州). 고려 우왕(禑王) 때 6년간의 여묘살이로 정문(旌門)을 받았으며,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332~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당왕(唐王) - 고조(高祖)@당
중국 당(唐)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618~626.
565~63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요(唐堯) - 요(堯)
중국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 요(堯) 임금. 순(舜)과 아울러 '요순(堯舜)의 치(治)'라 하여,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天子像)으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원군(唐原君) - 홍숙(洪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홍서주(洪敍疇)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작서지변(灼鼠之變)에 연루되어 삭직된 뒤 과천(果川)으로 추방됨.
1464~15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당육선공집(唐陸宣公集) - 육선공한원집(陸宣公翰苑集)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인 육지(陸贄)의 문집. 《육선공주의(陸宣公奏議》와 제고(制告)를 합하여 만든 것으로 총 22권. 그의 상주문은 시폐를 직언하고 자신의 정치에 대한 강한 책임감과 정열을 담고 있어, 치국의 귀감이 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당은(唐恩)@남양 - 남양(南陽)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華城) 일대의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京畿水軍節度使營)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기도>남양 , 지명>행정지명
-
당은(唐恩) - 이인령(李引齡)
조선 후기의 종친. 선조(宣祖)의 맏형인 하원군(河源君) 이정(李鋥)의 맏아들로, 판서(判書) 박계현(朴啓賢)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당은군(唐恩君)@이휘 - 이휘(李徽)@이충작의아버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이충작(李忠綽)의 아버지로, 당은군(唐恩君)에 추봉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당은군(唐恩君) - 이인령(李引齡)
조선 후기의 종친. 선조(宣祖)의 맏형인 하원군(河源君) 이정(李鋥)의 맏아들로, 판서(判書) 박계현(朴啓賢)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당은도정(唐恩都正) - 이인령(李引齡)
조선 후기의 종친. 선조(宣祖)의 맏형인 하원군(河源君) 이정(李鋥)의 맏아들로, 판서(判書) 박계현(朴啓賢)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당은부수(唐恩副守) - 이휘(李徽)@이충작의아버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이충작(李忠綽)의 아버지로, 당은군(唐恩君)에 추봉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당자(唐咨) - 이당자(李唐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석홍경(石洪慶)ㆍ임이간(林易簡) 등과 함께 월단평(月旦評)으로 추중을 받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당자(唐子) - 당경(唐庚)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시인. 시문(時文)에 능하여 당시 ‘소동파(小東坡)’로 불렸으며, 저서로 《당자서문록(唐子西文錄)》 등이 있음.
1071~11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당자외(唐子畏) - 당인(唐寅)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화가ㆍ문인. 주신(周臣)의 제자로, 남종화(南宗畵)와 북종화(北宗畵)를 융합하여 이후 오파(吳派)의 문인화풍(文人畵風)에 영향을 주고, 문장에도 뛰어나 《당인집(唐寅集)》을 남김.
1470~1523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당재(唐齋) - 이정면(李廷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호조 참의(戶曹參議) 이민각(李民覺)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냄.
15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당적보(黨籍補) - 기묘당적보(己卯黨籍補)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인 안로(安璐)가 기묘사화(己卯士禍)에 관련된 인물 및 사건을 기록한 저서. 후에 이정형(李廷馨)이 〈황토기사(黃兎記事)〉를 정리할 때 저본이 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당제(唐帝)@헌종 - 헌종(憲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805~820. 병든 아버지 순종(順宗)을 시해하고 환관 구문진(俱文珍) 등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 강력한 통치력으로 국내외의 안정을 구축하였으나, 후사(後嗣) 다툼으로 인해 환관 진홍지(陳弘志) 등에게 암살됨.
778~82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제(唐帝) - 덕종(德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9대 황제. 재위 779~805. 대종(代宗)의 장자로 조용조제(租庸調制)를 폐지하고 양세법(兩稅法)을 시행하여 재정충실을 꾀함.
742~8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조(唐祖) - 고조(高祖)@당
중국 당(唐)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618~626.
565~63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조무씨(唐瞾武氏)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당종(唐宗)@헌종 - 헌종(憲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805~820. 병든 아버지 순종(順宗)을 시해하고 환관 구문진(俱文珍) 등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 강력한 통치력으로 국내외의 안정을 구축하였으나, 후사(後嗣) 다툼으로 인해 환관 진홍지(陳弘志) 등에게 암살됨.
778~82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종(唐宗)@태종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종(唐宗)@덕종 - 덕종(德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9대 황제. 재위 779~805. 대종(代宗)의 장자로 조용조제(租庸調制)를 폐지하고 양세법(兩稅法)을 시행하여 재정충실을 꾀함.
742~8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종(唐宗)@현종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종(唐宗) - 경종(敬宗)
중국 당(唐)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824~826.
809~82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주(唐主)@민제 - 민제(閔帝)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의 제3대 왕. 재위 933~934. 후당 명종(明宗)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지만 1년 만에 사망함.
?~934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주(唐主)@태종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주(唐主) - 말제(末帝)@오대십국(후당)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의 제4대 왕. 재위 934~936. 명종(明宗)의 양자로 노왕(潞王)에 봉해짐. 명종 아들 민제(閔帝)를 죽이고 즉위했으나 3년 뒤 분사(焚死)하면서 후당도 멸망함.
885~936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주(唐州) - 남양(南陽)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華城) 일대의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京畿水軍節度使營)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기도>남양 , 지명>행정지명
-
당주원(溏洲院) - 당주서원(溏洲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건립한 서원. 현종(顯宗) 때 사액(賜額)되고, 노진(盧禛)ㆍ정희보(鄭希輔)를 배향함.
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당지(當之) - 안축(安軸)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급제하고 성균학정(成均學正)ㆍ판정치도감사(判整治都監事) 등을 지냄.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宣王)ㆍ충숙왕(忠肅王)의 실록 편찬에 참여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당천자(唐天子)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촌(戇村) - 김륜(金倫)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렬왕ㆍ충혜왕(忠惠王) 등을 시종해 원(元) 나라에 가 외교문제를 해결함.
127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당토행정기(唐土行程記) - 금남표해록(錦南漂海錄)
조선 전기의 문신인 최부(崔簿)가 지은 표해기행록(漂海記行錄). 부임지인 제주(濟州)에서 부친상(父親喪)을 당해 돌아오던 중 풍랑으로 표류하여, 중국 절강성(浙江省) 해안에 표착(漂着)해 겪은 온갖 고난을 기록함.
1488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당해부수(唐海副守) - 이명귀(李明龜)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으로, 신여주(申汝柱)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당헌(唐憲) - 헌종(憲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805~820. 병든 아버지 순종(順宗)을 시해하고 환관 구문진(俱文珍) 등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 강력한 통치력으로 국내외의 안정을 구축하였으나, 후사(後嗣) 다툼으로 인해 환관 진홍지(陳弘志) 등에게 암살됨.
778~82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현(唐賢)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당홍씨(唐洪氏) - 남양홍씨(南陽洪氏)
중국 당(唐) 나라의 태학사(太學士)로 고구려(高句麗) 때 귀화한 홍천하(洪天河)를 시조로 하는 당홍(唐洪) 집안과, 고려 고종(高宗) 때의 금오위 별장(金吾衛別將) 홍선행(洪先幸)을 시조로 하는 토홍(土洪) 집안을 아울러 일컫는 성씨.
한국>고구려 , 경기도>남양 , 인명>집단>성씨
-
당황(唐皇)@현종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황(唐皇)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후(唐侯) - 단주(丹朱)
중국 고대 요(堯) 임금의 아들. 불초(不肖)하여 왕위를 잇지 못하고, 순(舜) 임금 때 당후(唐侯)로 봉해짐. 순 임금의 손님이란 뜻으로 우빈(虞賓)이라 불림.
고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당후(唐后)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당후일기(堂后日記)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시대에 승정원(承政院)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文書)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소실되어 1623년(인조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문헌>서명
-
당흥공(唐興公) - 홍진(洪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의 맏아들이며, 홍적(洪迪)의 형.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41~16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당흥부원군(唐興府院君) - 홍진(洪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의 맏아들이며, 홍적(洪迪)의 형.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41~16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당흥상공(唐興相公) - 홍진(洪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의 맏아들이며, 홍적(洪迪)의 형.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41~16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대(岱) - 심대(沈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의주로 수행하였으며, 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가 되어 남하하다가 삭녕(朔寧)에서 왜적의 기습을 받아 전사함.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대(薱) - 이대(李薱)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며 여양군(呂陽君) 이자겸(李子謙)의 아들로, 용강 현령(龍岡縣令)ㆍ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대가(待價)@조지종 - 조지종(趙之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숭령(趙崇齡)의 아버지로, 순천 교수(順天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대가(待價) - 김선(金瑄)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창(咸昌).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대가(待可)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대가(待賈) - 김양전(金良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초계 군수(草溪郡守)로 있던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대각(大覺) - 의천(義天)@고려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승려. 문종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출가함. 송(宋) 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해동 천태종(海東天台宗)을 개창함. 흥왕사(興王寺)의 주지가 되어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세웠으며, 《교장(敎藏)》 등을 간행함.
1055~110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왕실>왕자
-
대각국사(大覺國師) - 의천(義天)@고려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승려. 문종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출가함. 송(宋) 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해동 천태종(海東天台宗)을 개창함. 흥왕사(興王寺)의 주지가 되어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세웠으며, 《교장(敎藏)》 등을 간행함.
1055~110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왕실>왕자
-
대각사(大覺祠) - 대각서원(大覺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건립한 서원. 하항(河沆)ㆍ손천우(孫天佑)ㆍ김대명(金大鳴)ㆍ하응도(河應圖)ㆍ이수(李壽)ㆍ유종지(柳宗智)ㆍ하수일(河受一)을 배향함. 1869년(고종 6)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됨.
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대각원사(大覺院祠) - 대각서원(大覺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건립한 서원. 하항(河沆)ㆍ손천우(孫天佑)ㆍ김대명(金大鳴)ㆍ하응도(河應圖)ㆍ이수(李壽)ㆍ유종지(柳宗智)ㆍ하수일(河受一)을 배향함. 1869년(고종 6)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됨.
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대감(大鑑) - 혜능(慧能)@당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6조(第六祖). 신수(神秀)와 함께 홍인(弘忍) 문하의 이대선사(二大禪師)로, 후에 북종선(北宗禪)은 신수의 점수설(漸修說)을, 남종선(南宗禪)은 혜능의 돈오설(頓悟說)을 계승함.
638~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대감선사(大鑑禪師) - 혜능(慧能)@당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6조(第六祖). 신수(神秀)와 함께 홍인(弘忍) 문하의 이대선사(二大禪師)로, 후에 북종선(北宗禪)은 신수의 점수설(漸修說)을, 남종선(南宗禪)은 혜능의 돈오설(頓悟說)을 계승함.
638~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대강(大江)@박천강 - 박천강(博川江)
평안도 천마산(天馬山)에서 발원하여 청천강(淸川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 사행로이자 유람지임.
평안도>태천ㅣ평안도>박천 , 지명>자연지명
-
대강(大江)@황하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대강(大江) - 대동강(大同江)
평안남도 낭림산맥(狼林山脈) 서쪽에서 발원, 남서류(南西流)하여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대건(大建) - 이대건(李大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이시발(李時發)의 아버지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나 27세로 요절함.
1550~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대경(代京) - 운주(雲州)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동시(大同市)의 옛 이름. 서한(西漢) 때 처음 설치되고 북위(北魏) 때의 도읍지이며, 오대(五代) 때에는 연운십육주(燕雲十六州)에 포함되어 요(遼) 나라에 할양됨.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대경(大卿) - 강윤성(康允成)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상산백(象山伯) 강서(康庶)의 아들로, 이부 시랑(吏部侍郞)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냄. 조선 태조의 계비(繼妃)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