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대경(大經) - 나대경(羅大經)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학자. 문학비평서(文學批評書)인 《학림옥로(鶴林玉露)》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경(帶京) - 남원(南原)
전라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과 영남을 잇는 교통의 요지임.
전라도>남원 , 지명>행정지명
-
대경(臺卿) - 김대경(金臺卿)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벼슬이 대제학에 이르렀으며, 문장(文章)이 뛰어나 《동문선(東文選)》에 시(詩)가 실림.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대경거사(大慶居士) - 정협(鄭俠)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가뭄이 들어 유민(流民)들이 도로에 가득하게 되자, 이 참상(慘狀)을 유민도(流民圖)에 그려 올림으로써 신종(神宗)으로 하여금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을 혁파하고 유민을 구제하게 함.
1041~111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대계(臺溪) - 하호(何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강변(講辨)에 정밀하였으며, 저서에 《담주선화령(潭州善化令)》이 있음.
1128~117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고개산성(大高介山城) - 대현산성(大峴山城)
고구려 광개토왕(廣開土王) 때 황해도 서흥군(瑞興郡) 고성리(古城里)에 쌓은 산성 이름. 현재의 성벽은 1597년(선조 30)에 수축한 것이며, 군사 요충지인 서흥 지방의 방어에 중심적 구실을 하였음.
한국>고구려 , 황해도>서흥 , 유적>시설>성,진,책
-
대곡(大谷)@문익명 - 문익명(文益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이며,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형.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1558년(명종 13) 생진 양시(生進兩試)에 입격함.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대곡(大谷) - 성운(成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형인 성우(成遇)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당하자 속리산(俗離山)에 은거함.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서경덕(徐敬德)ㆍ조식(曺植)ㆍ이지함(李之菡) 등과 교유하며 학문에 정진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대곡길융(大谷吉隆) - 대곡길계(大谷吉繼)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그곳 병력이 적은 것을 염려해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59~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대곡선생집(大谷先生集) - 대곡집(大谷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성운(成運)의 문집. 1596년(선조 29) 문인이자 처질(妻姪)인 김가기(金可幾)가 시집(詩集)을 수집하여 간행하려 하였으나 이루지 못하고, 1603년(선조 36) 아들 김덕민(金德民)이 충청도 관찰사 유근(柳根)의 협조로 3권 1책으로 간행함.
160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공(代公) - 곽진(郭震)
중국 당(唐)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16세에 설직(薛稷)과 함께 태학생이 되었고, 통천위(通泉尉)를 거쳐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시문에 뛰어났음.
656~71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대공(戴公) - 소백(召伯)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경대부. 선공(宣公) 때 왕손소(王孫蘇)와 권력을 다투다가 그의 사주를 받은 왕자첩(王子捷)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대공영탑(大空靈塔) - 혜소(慧昭)
신라 말의 승려. 선승(禪僧)이며 범패승(梵唄僧)으로, 당(唐) 나라 신감대사(神鑒大師)의 제자. 소림사(小林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도의(道義)와 함께 편력하다가 흥덕왕(興德王) 때 귀국함.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보급하고 조직화함.
774~85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종교인>승려
-
대과(大科) - 문과(文科)
조선시대에 문관(文官)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3년에 한 번씩 실시한 식년시(式年試)는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3단계를 거쳐 33명을 급제자로 선발하고, 이 외에 증광시(增廣試)ㆍ별시(別試)ㆍ정시(庭試)ㆍ알성시(謁聖試)ㆍ춘당대시(春塘大試) 등의 비정규시가 있음.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대관(大觀)@김기 - 김기(金圻)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했으며,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산장(山長)으로 《퇴계집(退溪集)》을 간행함.
1547~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대관(大觀)@박정 - 박정(朴炡)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선(朴東善)의 아들로, 인조반정에 참가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이 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ㆍ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596~163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대관(大觀)@심의 - 심의(沈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산군(豊山君) 심응(沈膺)의 아들이고, 좌의정을 지낸 심정(沈貞)의 동생. 서경덕(徐敬德)ㆍ성세창(成世昌) 등과 깊이 교유함.
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대관(大觀) - 박공달(朴公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병조 좌랑(兵曹佐郞)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사림(士林)에 화가 미치자 벼슬에서 물러나 삼가(三可) 박수량(朴遂良)과 함께 경학강의를 하며 여생을 보냄.
147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대관(臺官)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대관재(大觀齋) - 심의(沈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산군(豊山君) 심응(沈膺)의 아들이고, 좌의정을 지낸 심정(沈貞)의 동생. 서경덕(徐敬德)ㆍ성세창(成世昌) 등과 깊이 교유함.
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대광산(大匡山) - 광산(匡山)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산 이름. 이백(李白)이 이곳에서 머리가 희어지도록 글을 읽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대괴(大槐) - 괴안국(槐安國)
남가일몽(南柯一夢)의 고사(故事)에서 순우분(淳于棼)이 꿈 속에 다녀왔다는 가상(假想)의 나라 이름.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
-
대괴국(大槐國) - 괴안국(槐安國)
남가일몽(南柯一夢)의 고사(故事)에서 순우분(淳于棼)이 꿈 속에 다녀왔다는 가상(假想)의 나라 이름.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
-
대괴안국(大槐安國) - 괴안국(槐安國)
남가일몽(南柯一夢)의 고사(故事)에서 순우분(淳于棼)이 꿈 속에 다녀왔다는 가상(假想)의 나라 이름.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
-
대교(臺嶠) - 오대산(五臺山)
강원도 강릉(江陵)ㆍ평창(平昌)ㆍ홍천(洪川)에 걸쳐 있는 산. 다섯 봉우리가 둥글게 벌려 섰고, 크고 작은 봉우리가 고루 있어 명칭이 생김.
강원도>홍천ㅣ강원도>평창ㅣ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대구(大矩) - 대구화상(大矩和尙)
통일신라 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승려. 888년(진성여왕 2)에 왕명으로 각간(角干) 위홍(魏弘)과 함께 향가를 수집하여 《삼대목(三大目)》을 편수함.
한국>통일신라 , 인명>종교인>승려
-
대구(大邱) - 대구(大丘)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 경상도 감영(監營)이 설치되어 영남지방의 중심지가 됨. 1780년(정조 4) 이후로 공자(孔子)의 이름을 피휘(避諱)하여 대구(大邱)로 쓰기 시작함.
경상도>대구 , 지명>행정지명
-
대구씨(大龜氏) - 가섭(迦葉)
고대 인도의 승려. 석가(釋迦)의 십대(十大) 제자 중 한 사람. 본래 바라문으로, 석가가 성도(成道)한 지 3년쯤 뒤에 귀의하여 부처의 심인(心印)을 전해 받은 사람.
고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대구양(大歐陽) - 구양순(歐陽詢)
중국 수(隨) 양제(煬帝)~당(唐)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당 고조(高祖)가 즉위한 후에 급사중(給事中)으로 발탁되고, 태자솔경령(太子率更令)ㆍ홍문관 학사(弘文館學士)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사람들로부터 해법(楷法)의 극칙(極則)이라 하여 칭송됨.
557~64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대국공(代國公) - 곽진(郭震)
중국 당(唐)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16세에 설직(薛稷)과 함께 태학생이 되었고, 통천위(通泉尉)를 거쳐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시문에 뛰어났음.
656~71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대균(大均) - 박개(朴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고산 현감(高山縣監)과 김제 군수(金堤郡守) 등을 역임하고 향리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
1511~158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대균(大鈞) - 여대균(呂大鈞)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여대방(呂大防)의 아우로, 장재(張載)에게 수학하고, 부연전운사(鄜延轉運使) 등을 지냄. 조선시대 향약의 기본이 된 여씨향약(呂氏鄕約)의 네 가지 강령을 제정함.
1031~108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기(大器) - 권대기(權大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문인. 1552년(명종 7)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후학을 양성함.
1523~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대기(大器)@김대기 - 김대기(金大器)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정홍명(鄭弘明) 형제 및 조홍립(曺弘立) 등과 교유함.
1557~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대기(大期) - 이대기(李大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전치원(全致遠) 등과 정인홍(鄭仁弘)의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며, 청풍 군수(淸風郡守)ㆍ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초계(草溪)의 청계서원(淸溪書院)에 배향됨.
1551~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대기(戴記)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대길상사(大吉祥寺) - 송광사(松廣寺)
전라남도 순천(順天)의 조계산(曹溪山)에 있는 사찰. 신라 말 체징(體澄)이 길상사(吉祥寺)를 창건한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해인사(海印寺)ㆍ통도사(通度寺)와 함께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 가운데 승보사찰(僧寶寺刹)로 유명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사찰
-
대남(對南) - 왕가병(王家屛)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성격이 곧고 충성스러워 직간(直諫)을 잘하였으며, 신종 때 재상을 지냄.
1536~160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대낭혜(大朗慧) - 무염(無染)
통일신라 헌덕왕(憲德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승려. 중국에 유학하여 마곡 보철(麻谷寶徹)에게 남종선(南宗禪)을 인가받고, 847년(문성왕 7) 귀국하여 공주(公州) 성주사(聖住寺)에 머물며 성주산문(聖住山門)을 열고 교화함.
801~888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대내개의륭(大內介義隆) - 대내의륭(大內義隆)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무장. 서부(西部) 제일의 영주로 막강한 세력가였으나 가신(家臣)인 도정현(陶睛賢)의 배신으로 죽음.
1507~1551 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대내전의륭(大內殿義隆) - 대내의륭(大內義隆)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무장. 서부(西部) 제일의 영주로 막강한 세력가였으나 가신(家臣)인 도정현(陶睛賢)의 배신으로 죽음.
1507~1551 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대년(大年)@정대년 - 정대년(鄭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정전(鄭荃)의 아들. 1532년(중종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대년(大年)@마대년 - 마대년(馬大年)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유안세(劉安世)의 제자로, 영성 주부(永城主簿)를 지냄. 혹설에는 대년이 자(字)이고, 영경이 이름이라고도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대년(大年)@사대년 - 사대년(謝大年)
중국 명(明) 나라의 효자. 고려 말의 문신인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이 사대년이 양친(養親)을 생각하며 지은 '망운시(望雲詩)'를 소재로 하여 시를 짓기도 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대년(大年) - 김언로(金彦老)
조선 전기의 유학. 김세필(金世弼)의 《십청집(十淸集)》에 〈제김대년언로애경당(題金大年彦老愛敬堂)〉 2수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대년(大年)@양억 - 양억(楊億)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진종(眞宗) 때의 학자ㆍ문신. 왕흠약(王欽若)과 함께 《책부원귀(冊符元龜)》를 저술하고, 불서(佛書)인 《전등록(傳燈錄)》을 교간(校刊)함.
973~102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년(大年)@임춘 - 임춘(林椿)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예천임씨(醴泉林氏)의 시조. 무신정변(武臣政變) 때 온 집안이 화를 당해 시와 술로 세월을 보냄.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문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대년(大年)@정억 - 정억(鄭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찰방(察訪)을 지낸 정윤석(鄭崙石)의 아들로, 수운판관(水運判官) 등을 지냄.
1487~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대년(大年)@이수령 - 이수령(李壽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송재(松齋) 이우(李堣)의 아들로, 찰방(察訪)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대년(大年)@박대년 - 박대년(朴大年)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판서를 지낸 박중림(朴仲林)의 아들로, 여러 형제들과 함께 단종(端宗) 복위운동을 하다가 대역죄로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대년(大年)@나무춘 - 나무춘(羅茂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출소(廢黜疏)를 올린 이위경(李偉卿)을 탄핵하다 관직을 삭탈당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대년(大年)@이억재 - 이억재(李億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의 아들이며 이원익(李元翼)의 아버지. 문학을 좋아하고 오성(五聲)과 율려(律呂)에 능통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대당(大唐) - 남당(南唐)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때 이변(李昪)이 오국(吳國)의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금릉(金陵)에 세운 나라. 3대 38년 만에 송(宋) 나라에게 멸망됨.
937~975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시간>국명
-
대대(大戴) - 대덕(戴德)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 박사(博士)를 지냈으며, 유향(劉向)이 엮은 《예기(禮記)》 214편을 줄여 《대대례(大戴禮)》 85편을 저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대례기(大戴禮記) - 대대례(大戴禮)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인 대덕(戴德)이 편찬한 예서(禮書). 유향(劉向)이 엮은 《예기(禮記)》 214편을 간추려 85편으로 축약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대덕례기(戴德禮記) - 대대례(大戴禮)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인 대덕(戴德)이 편찬한 예서(禮書). 유향(劉向)이 엮은 《예기(禮記)》 214편을 간추려 85편으로 축약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대도(大都)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대동(大仝) - 임대동(林大仝)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있을 때 나아가 배움. 1474년(성종 5) 생원이 되고,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대동부(大同府) - 운주(雲州)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동시(大同市)의 옛 이름. 서한(西漢) 때 처음 설치되고 북위(北魏) 때의 도읍지이며, 오대(五代) 때에는 연운십육주(燕雲十六州)에 포함되어 요(遼) 나라에 할양됨.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대동수(大同水) - 대동강(大同江)
평안남도 낭림산맥(狼林山脈) 서쪽에서 발원, 남서류(南西流)하여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대동옹(大東翁) - 권문해(權文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천(醴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하고,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저술함.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란(大蘭)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대량(大梁) - 위(魏)@춘추전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제후국(諸侯國). 전국칠웅(戰國七雄)의 하나로, 지금의 산서성(山西省)을 중심으로 존속하였으며, 8왕 178년 만에 진(秦) 나라에 멸망됨.
B.C.403~B.C.22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대량원군(大良院君) - 현종(顯宗)@고려
고려 제8대 왕. 재위 1010~1031.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安宗) 왕욱(王郁)의 아들로, 어머니는 헌정왕후(獻貞王后). 헌애왕후(獻哀王后)의 견제를 받다가 강조(康兆)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며, 거란(契丹)과 우호를 다지고 문화 발전을 꾀함.
992~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대량주(大良州)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대련(大連) - 이사종(李嗣宗)@이오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오(李晤)의 아들로,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하였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대령(大寧)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대령(大嶺) - 대관령(大關嶺)
강원도 강릉(江陵)과 평창(平昌)의 경계에 있는 고개 이름. 영동(嶺東)과 영서(嶺西)를 잇는 관문 역할을 함.
강원도>평창ㅣ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대령(大齡) - 이대령(李大齡)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익(李星益)의 아들로, 권상하(權尙夏)에게 아버지의 저술을 보내 산정(刪定)을 부탁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대령강(大寧江) - 박천강(博川江)
평안도 천마산(天馬山)에서 발원하여 청천강(淸川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 사행로이자 유람지임.
평안도>태천ㅣ평안도>박천 , 지명>자연지명
-
대령후(大寧侯) - 왕경(王暻)
고려 제17대 인종(仁宗)의 아들. 의종(毅宗)의 아우로, 1148년(의종 2) 대령후(大寧侯)로 책봉되었으나, 1157년(의종 11) 천안부(天安府)로 유배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대로(大老) - 이위빈(李渭濱)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성혼(成渾)ㆍ이순(李純)ㆍ김경삼(金景參)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대로(大老) - 김상헌(金尙憲)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이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음.
1570~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기도>양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대로(戴老) - 대규(戴逵)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ㆍ학자.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謝安)ㆍ사현(謝玄)ㆍ왕순(王珣)ㆍ왕휘지(王徽之) 등에게 존경을 받음.
?~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대록(大麓) - 목천(木川)
충청도 천안(天安)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지형적 특색으로 백제시대에는 북방의 군사요지로 쓰였고, 고려의 태조(太祖) 왕건(王建)은 이곳이 오룡쟁주형(五龍爭珠形)이므로 천하를 통일시킬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중요하게 여김.
충청도>목천 , 지명>행정지명
-
대론(大論) - 대지도론(大智度論)
인도의 승려ㆍ학자인 용수(龍樹)가 저술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백과사전적 저작으로, 용수의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은 없고,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한역본(漢譯本) 100권만이 전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대루(大鞻) - 대호(大濩)
중국 은(殷) 나라의 제왕인 탕왕(湯王)이 이윤(伊尹)에게 명해서 지었다는 음악 이름. 탕왕이 천하를 구제한 후 만민(萬民)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불렀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기타>가무
-
대림(大臨)@반대림 - 반대림(潘大臨)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시인. 황정견(黃庭堅)을 종(宗)으로 삼는 강서시파(江西詩派)에 속한 시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대림(大臨)@조대림 - 조대림(趙大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사위.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조준(趙浚)의 아들로,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慶貞公主)와 결혼함. 여러 차례 중국사신을 영접했으며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387~1430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대림(大臨)@여대림 - 여대림(呂大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철종(哲宗) 때 태학박사(太学博士)를 지냄. 육경(六經)에 통달하고, 특히 예기(禮記)에 밝음.
1040~109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림(大臨)@강륜 - 강륜(康崙)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천(信川). 절충장군(折衝將軍) 강희철(康希哲)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 때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대림(大臨) - 강응태(姜應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밀양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 등을 지내고, 효행이 지극하였으며, 임천서원(臨川書院)에 배향됨.
1495~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대림(大臨)@하륜 - 하륜(河崙)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동국사략(東國史略)》과 《태조실록(太祖實錄)》 등을 편찬함. 외교정책에 능하여 명(明) 나라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함.
1347~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대립(大立)@송대립 - 송대립(宋大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청홍도 우후(淸洪道虞候)를 지낸 송옥(宋玉)의 아들.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성혼(成渾)과 교유함.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542~158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대립(大立)@박대립 - 박대립(朴大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돈녕부 정(敦寧府正) 박세영(朴世榮)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수십 년 묵은 송사(訟事)를 판서(判書)에게 항변하여 종결지어 명성을 얻음.
1512~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대립(大立) - 이홍간(李弘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했고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남곤(南袞)의 과오를 지적하는 등 강직한 언사로 명망이 있었음.
1486~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대립(大立)@박형덕 - 박형덕(朴馨德)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후손으로, 1809년(순조 9) 박광전의 문집 《죽천집(竹川集)》을 중간함.
1731~18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대마도(大麻島) - 위화도(威化島)
평안도(平安道) 의주(義州)의 압록강(鴨綠江) 하류에 위치한 섬. 1388년(우왕 14)에 이성계(李成桂)가 이곳에서 회군(回軍)을 단행하여 정권을 잡음.
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대마도(戴馬島) - 대마도(對馬島)
일본 장기현(長崎縣)에 속한 섬 이름. 한국과 일본의 중계지(中繼地) 역할을 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 수군의 근거지였음.
일본 , 지명>자연지명
-
대마도원정(對馬島遠征) - 대마도정벌(對馬島征伐)
왜구(倭寇)의 소굴인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한 일. 좁게는 1419년(세종 1) 6월 이종무(李從茂)의 정벌을 말하나, 넓게는 고려 말 창왕(昌王) 때와 조선 초 태조(太祖) 때의 정벌까지도 포함하여 이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사건>전쟁
-
대마주(對馬州) - 대마도(對馬島)
일본 장기현(長崎縣)에 속한 섬 이름. 한국과 일본의 중계지(中繼地) 역할을 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 수군의 근거지였음.
일본 , 지명>자연지명
-
대명(大明)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대명(大鳴)@김대명 - 김대명(金大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찰방(察訪) 김추(金樞)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의 도소모장(都召募將)이 되어 고성(固城) 의병들과 함께 왜적을 토벌하여 공을 세움.
1536~15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ㅣ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대명(大鳴) - 정구(鄭球)@정유의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무안 현감(務安縣監) 정유의(鄭有義)의 아들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ㆍ사간(司諫)을 지냄.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칭병(稱病)하고 두문불출함.
14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대모(大毛) - 모형(毛亨)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분서갱유(焚書坑儒)로 유교 경전이 대부분 소실되었을 때,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어 《시경(詩經)》을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모공(大毛公) - 모형(毛亨)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분서갱유(焚書坑儒)로 유교 경전이 대부분 소실되었을 때,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어 《시경(詩經)》을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목악군(大木岳郡) - 목천(木川)
충청도 천안(天安)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지형적 특색으로 백제시대에는 북방의 군사요지로 쓰였고, 고려의 태조(太祖) 왕건(王建)은 이곳이 오룡쟁주형(五龍爭珠形)이므로 천하를 통일시킬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중요하게 여김.
충청도>목천 , 지명>행정지명
-
대무(大茂) - 박원령(朴元秢)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박유정(朴惟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대문산(大門山) - 견문산(犬門山)
충청북도 충주(忠州) 남한강(南漢江)과 달천(達川)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충주 , 지명>자연지명
-
대민(大民) - 정대민(鄭大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하동(河東). 정언남(鄭彦男)의 아들이자, 정홍서(鄭弘緖)의 아버지로,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정유재란 때 부모가 모두 살해되자 시묘(侍墓)하다가 왜적에게 죽음.
1551~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