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급류정(急流亭) - 김흥경(金興慶)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두성(金斗星)의 아들. 숙종 때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다가 경종(景宗) 때 신임사화(申壬士禍)에 관련되어 파직되었으나, 영조 등극 후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1677~175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급벌산(及伐山) - 순흥(順興)
경상도 영천(榮川)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도호부(都護府)였으나, 세조(世祖) 때 부사(府使) 이보흠(李甫欽)이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폐부됨.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급산(岌山) - 순흥(順興)
경상도 영천(榮川)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도호부(都護府)였으나, 세조(世祖) 때 부사(府使) 이보흠(李甫欽)이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폐부됨.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급씨(汲氏) - 급암(汲黯)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회양 태수(淮陽太守)를 역임하였고, 황로지도(黃老之道)ㆍ무위(無爲)의 정치를 주장함.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급암(及菴) - 민사평(閔思平)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정승 김륜(金倫)의 사위. 이제현(李齊賢)ㆍ정자후(鄭子厚) 등과 함께 문명(文名)이 높았으며, 《동문선(東文選)》에 그의 시 9수가 전함.
1295~13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급암선생시집(及菴先生詩集) - 급암시집(及菴詩集)
고려 후기의 문신인 민사평(閔思平)의 문집. 문인 이이(李頤)가 경상도 안렴사(慶尙道按廉使)로 부임하여 외손 김구용(金九容)의 선사본(繕寫本)을 판하본(板下本)으로 하여 5권 1책으로 간행함.
1370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급장유(汲長孺) - 급암(汲黯)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회양 태수(淮陽太守)를 역임하였고, 황로지도(黃老之道)ㆍ무위(無爲)의 정치를 주장함.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급집(及集) - 급암시집(及菴詩集)
고려 후기의 문신인 민사평(閔思平)의 문집. 문인 이이(李頤)가 경상도 안렴사(慶尙道按廉使)로 부임하여 외손 김구용(金九容)의 선사본(繕寫本)을 판하본(板下本)으로 하여 5권 1책으로 간행함.
1370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급회양(汲淮陽) - 급암(汲黯)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회양 태수(淮陽太守)를 역임하였고, 황로지도(黃老之道)ㆍ무위(無爲)의 정치를 주장함.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긍(兢)@윤긍 - 윤긍(尹兢)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우의정 윤사분(尹士昐)의 아들. 이조 참의(吏曹參議) 시절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 등을 천거하였으며, 호조 판서 등을 역임한 후 사직하고 팔공산(八公山)에 들어가 향풍(鄕風)을 순화함.
1432~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긍(兢) - 남긍(南兢)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이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일 때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ㆍ정포(鄭誧)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긍상인(亘上人) - 천긍(天亘)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각운(覺雲)의 제자로, 스승에게서 '고암(古巖)'이란 호를 받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긍익(肯翊) - 이긍익(李肯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광사(李匡師)의 아들. 가학(家學)을 따라 양명학(陽明學)을 익혔으며, 저서로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이 있음.
1736~180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긍주(肯柱) - 성긍주(成肯柱)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덕구(成德求)의 아들로, 풍기 군수(豐基郡守) 등을 지냄.
175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긍확(肯穫) - 이여(李畬)@1503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문학(文學) 등을 지내고 학문연구에 힘써 역학(易學)에 정통함. 형 이치(李菑)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1503~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기(器) - 김기(金器)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이 지어준 자설(字說)이 《모재집(慕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기(器)@윤기 - 윤기(尹器)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엄흔(嚴昕)의 《십성당집(十省堂集)》에 그를 방문하고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기(圻)@김기 - 김기(金圻)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했으며,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산장(山長)으로 《퇴계집(退溪集)》을 간행함.
1547~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기(圻) - 송기(宋圻)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의 손자이고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 송유의(宋惟毅)의 아들로, 순천 부사(順天府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5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圻)@이기 - 이기(李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를 지낸 이승건(李承健)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기(基)@왕기 - 왕기(王基)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아들. 어머니는 원혜태후(元惠太后)이며, 문종(文宗)의 동생. 태사 겸 내사령(太師兼內史令)을 지냄.
?~106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기(基) - 박기(朴基)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4~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墍) - 이기(李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지란(李之蘭)의 아들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2~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기(岐) - 덕양군(德陽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으로, 음률(音律)에 밝았음.
1524~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자
-
기(巙) - 이기(李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수장(李壽長)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명종 때 진헌사(進獻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3~154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기(愭) - 허기(許愭)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지낸 허금(許錦)의 아들로,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매헌시집(梅軒詩集)》이 있음.
1365~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기(期) - 전기(田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수. 월(越)ㆍ한(韓) 나라에 정벌하러 온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위 나라 태자를 사로잡아 공을 세움. 재상 추기(鄒忌)와의 불화로 초(楚) 나라로 달아났다가 선왕(宣王)이 즉위하자 제 나라로 돌아와 복직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기(棄) - 후직(后稷)
중국 주(周) 왕조의 전설적 시조. 성은 희(姬)이고 이름은 기(棄). 농경신(農耕神)으로, 제곡(帝嚳)의 아내가 된 강원(姜嫄)이 거인의 발자국을 밟고 잉태하여 낳았다고 함. 후에 요제(堯帝)의 농관(農官)이 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기(沂) - 안기(安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안극가(安克家)의 아버지로, 행기도 찰방(行麒道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기(沂)@유후의아들 - 유기(柳沂)@유후의아들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이방원(李芳遠)이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하고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하여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垢)ㆍ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ㆍ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沂)@유용의손자 - 유기(柳沂)@유용의손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전라우도 수사(全羅右道水使)를 지낸 유용(柳墉)의 손자로, 현령(縣令)ㆍ감찰(監察)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기(沂)@최기 - 최기(崔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낼 때 박희일(朴希一) 등을 무고죄로 처형함으로써 이이첨(李爾瞻)의 미움을 받아 옥사(獄死)함. 뒤에 다시 대역죄로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인조(仁祖) 때 신원됨.
1553~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淇) - 김기(金淇)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성석린(成石璘)과 교유하고, 종부 판사(宗簿判事)를 지냈으며, 세조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淇)@남기 - 남기(南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지낸 남상문(南尙文)의 아버지로, 돈녕 참봉(敦寧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기(琦)@황기 - 황기(黃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공조 판서 황형(黃衡)의 아들. 김안로(金安老)의 천거로 대사간에 올랐지만 그의 청탁을 거부하여 길주 목사(吉州牧使)로 좌천되고, 다시 발탁된 뒤 경기 감사(京畿監司)로 재임 중에 사망함.
1498~15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기(琦)@황보기 - 황보기(皇甫琦)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고종 때 대장군으로 몽고에 사신으로 다녀왔고, 원종(元宗)이 원 나라에서 환국할 때 어가(御駕)를 제때 봉영(奉迎)하지 않았다가 힐책을 당함.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로 치사(致仕)함.
?~128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기(琦) - 이기(李琦)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이며, 함라수(咸羅守) 이효원(李孝元)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기(璣) - 김기(金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원주 목사(原州牧使) 김태경(金泰卿)의 아들이자 예조 판서(禮曹判書) 김인손(金麟孫)의 아버지로, 진안 현감(鎭安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기(璣)@안기 - 안기(安璣)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지귀(安知歸)의 아들이자, 안처순(安處順)의 아버지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 등을 지냄.
1451~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기(畿) - 경기(京畿)
한반도 중앙의 서쪽에 위치한,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기도 , 지명>행정지명
-
기(祈) - 윤기(尹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윤강원(尹剛元)의 아들. 성균관 유생(儒生)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 공신호(功臣號)의 삭훈(削勳)을 상소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에는 세자를 시종함.
1535~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祺)@김기 - 김기(金祺)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김안로(金安老)의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냄.
150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기(祺)@권기 - 권기(權祺)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억(權憶)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승지(承旨) 등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기(祺) - 이기(李祺)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塘)의 손자. 기묘명현(己卯名賢) 중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도의(道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기(箕) - 기성(箕星)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일곱째 별자리의 별들. 동방에 있으며 키[箕] 모양을 하고 있음.
자연물>천체
-
기(箕)@민기 - 민기(閔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당대의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
1504~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기(紀)@김기 - 김기(金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대사간을 지낸 김숭조(金崇祖)의 아들. 홍문관 전한(典翰)을 지낸 뒤 조졸(早卒)함.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만시(挽詩) 두 편이 실려 있음.
1500~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기(紀)@인기 - 인기(印紀)
조선 전기의 유학.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에게 준 증별시가 《하서선생전집(河西先生全集)》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기(紀) - 한기(韓紀)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형윤(韓亨允)의 아들로, 성종의 열 번째 서녀(庶女)인 정혜옹주(靜惠翁主)와 혼인함.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안산(安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복관(復官)됨.
1490~15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기(紀)@권기 - 권기(權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유성룡(柳成龍)에게서도 배웠음. 육경(六經)에 통달하고, 예문(禮文)ㆍ법률ㆍ지리 등에도 박식했음.
1546~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기(耆)@탁기 - 탁기(卓耆)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지현사(知縣事) 탁사준(卓思俊)의 둘째 아들이고, 탁지(卓智)의 동생이며, 탁성손(卓成孫)ㆍ탁성윤(卓成胤)의 아버지. 종숙(從叔) 탁함(卓諴)에게 출계(出系)하였으며, 도사(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기(耆) - 이기(李耆)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자, 운성군(雲城君) 이수철(李壽鐵)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기(芑) - 이기(李芑)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로,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등 소윤(小尹)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보익공신(輔翼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76~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裿) - 유기(柳裿)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원주 목사(原州牧使) 유운룡(柳雲龍)의 둘째 아들로, 권호문(權好文)에게 《논어(論語)》를 배웠으며, 낭천 현감(狼川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기(記)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기(誋) - 김기(金誋)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신동(金神童)의 아들로, 1549(명종 4)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기(起)@서기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기(起) - 양기(楊起)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귀화인. 본래 원(元) 나라의 대부로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을 지냈고,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따라 고려에 왔다가 귀화함. 청주양씨(淸州楊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기(麒)@남기 - 남기(南麒)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양(英陽). 선조(宣祖) 때의 학자 남몽오(南夢鰲)의 아버지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기(麒)@허기 - 허기(許麒)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두문동(杜門洞) 현인의 한 사람으로 경상도 고성(固城)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기(麒)@노기 - 노기(盧麒)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강(安康). 권문해(權文海)ㆍ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기(麒) - 이기(李麒)
조선 후기의 종친. 형조 참판(刑曹參判) 박민헌(朴民獻)의 서녀(庶女)를 첩으로 맞이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기^고(夔^皐) - 고^기(皐^夔)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기(夔)를 함께 부르는 말. 어진 신하를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기^무(起^武) - 손^오(孫^吳)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병법가(兵法家)인 손무(孫武)와 위(魏) 나라의 병법가인 오기(吳起)를 함께 부르는 말. 병법(兵法)의 대가(大家)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기^설(夔^契) - 기^설(夔^卨)
중국 은(殷) 나라의 시조인 설(契)과 요(堯)ㆍ순(舜) 때의 악관(樂官)인 기(夔)를 함께 부르는 말. 순(舜) 임금을 섬긴 두 명신을 일컬음.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기^아(期^牙) - 종^백(鍾^伯)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공인 백아(伯牙)와 그 친구 종자기(鍾子期)를 함께 부르는 말. 마음이 통하는 절친한 교우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기^이(奇^李) - 퇴^고(退^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퇴계(退溪) 이황(李滉)과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을 함께 부르는 말. 조선 성리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 두 사람을 일컬음.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관용어
-
기^황(岐^黃) - 헌^기(軒^岐)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 헌원(黃帝軒轅)과 그 시대의 명의(名醫)인 기백(岐伯)을 함께 부르는 말. 의술(醫術)의 비조(鼻祖)를 일컫는 말.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기^황(綺^黃) - 하^기(夏^綺)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인 하황공(夏黃公) 최광(崔廣)과 기리계(綺里季) 오실(吳實)을 함께 부르는 말. 진 나라 시황(始皇)의 분서갱유(焚書坑儒)를 피하여 상산(商山)에 은거한 상산사호(商山四皓)에 속하는 인물들로, 흔히 명리를 떠나 은거하는 사람을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기각(麒閣) - 기린각(麒麟閣)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장안(長安)의 미앙궁(未央宮) 안에 세웠던 전각(殿閣)의 이름. 선제(宣帝) 때 곽광(霍光)ㆍ소무(蘇武) 등 11인의 공신(功臣) 초상을 이곳에 걸었던 데서,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기강(岐岡) - 기산(岐山)
중국 섬서성(陝西省)에 있는 산. 주(周) 나라의 기초를 닦은 고공단보(古公亶父)가 이 산 남쪽 기슭에 옮겨와 살며 주실의 본거지로 삼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기견(起畎) - 윤기견(尹起畎)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성종(成宗)의 계비(繼妃)인 폐비윤씨(廢妃尹氏)의 아버지. 《세종실록(世宗實錄)》과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편찬에 참여하고,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기결(冀缺) - 극결(郤缺)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의 대부. 기읍(冀邑)에서 농사를 짓고 살면서 부부간에 서로 공경하기를 손님을 대하듯이 했는데, 구계(臼季)의 천거를 받아 하군대부(下軍大夫)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기경(基敬) - 이기경(李基敬)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익렬(李翊烈)의 아들로, 참판(參判) 등을 지냄. 정조를 배척한 홍지해(洪趾海) 집안과 친밀하다 하여 죄안(罪案)에 올랐다가 아들 이덕감(李德鑑)의 호소로 인해 삭제됨.
17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기경(耆卿)@권보 - 권보(權溥)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ㆍ학자. 안향(安珦)의 문인. 국로(國老)로서 대원(對元)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 《사서집주(四書集註)》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
1262~134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경(耆卿) - 채년(蔡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남양 부사(南陽府使) 채신보(蔡申保)의 아들이고 인천군(仁川君) 채수(蔡壽)의 동생. 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냄.
1454~151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기경(耆卿)@유영 - 유영(柳永)
중국 북송(北宋)의 문인. 사(詞)에 능숙하여, 북송의 주방언(周邦彦), 남송(南宋)의 강기(姜夔)ㆍ신기질(辛棄疾)과 함께 사대사인(四大詞人)으로 불림. 저서에 《악장집(樂章集)》이 있음.
987~105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기경(耆卿)@허천수 - 허천수(許千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참봉(參奉)을 지내고, 저서로 《천산재유집(天山齋遺集)》을 남김. 경상도 고성(固城)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09~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기경(起卿) - 김흥근(金興根)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명순(金明淳)의 아들. 《헌종실록(憲宗實錄)》ㆍ《철종실록(哲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796~18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경객(騎鯨客)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기경선(騎鯨仙)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기경연(奇景延) - 기령(奇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기대복(奇大復)의 아들이며, 이정(李楨)의 외사촌 동생.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충청 감사(忠淸監司)를 역임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기계(綺季) - 오실(吳實)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 나라의 폭정을 피해 상현 동산(商縣東山)에 숨은 상산사호(商山四皓)의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기계부원군(杞溪府院君)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계상공(杞溪相公)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고봉(奇高峯)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곡리(錡谷里) - 기곡면(錡谷面)
전라남도 담양(潭陽)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의 문인(文人) 송순(宋純)의 고향.
전라도>담양 , 지명>행정지명
-
기공(沂公) - 왕증(王曾)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거쳐 재상이 되었으나, 여이간(呂夷簡)과의 불화로 운주판관(鄆州判官)으로 전출됨. 저서로 《왕문정공필록(王文正公筆錄)》이 있음.
978~103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공(祁公) - 두연(杜衍)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재상이면서도 매우 검소하였으며, 청렴강직하기로 이름남. 부필(富弼) 등과 함께 많은 개혁을 함. 사위가 죄를 지어 재상에서 물러남.
978~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광(箕狂)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기국(沂國)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기국공(岐國公) - 두우(杜佑)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학자. 3대에 걸쳐 재상을 지냈음. 사회의 움직임에 민감하고 정치에 밝았으며, 부국안민(富國安民)에 힘썼음. 역사연구가로, 《통전(通典)》을 저술함.
735~81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국공(沂國公)@왕증 - 왕증(王曾)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거쳐 재상이 되었으나, 여이간(呂夷簡)과의 불화로 운주판관(鄆州判官)으로 전출됨. 저서로 《왕문정공필록(王文正公筆錄)》이 있음.
978~103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국공(沂國公)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기국공(祁國公) - 두연(杜衍)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재상이면서도 매우 검소하였으며, 청렴강직하기로 이름남. 부필(富弼) 등과 함께 많은 개혁을 함. 사위가 죄를 지어 재상에서 물러남.
978~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국공(祁國公)@조횡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기군(基郡) - 서산(瑞山)
충청남도 서북단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산시(瑞山市) 대산읍(大山邑) 일원에 해당함.
충청도>서산 , 지명>행정지명
-
기군(箕君)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기금사(奇金賜) - 기정진(奇正鎭)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이학(理學) 6대가의 한 사람이며,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정신적 지주.
1798~187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전라도>순창 , 인명>문사>학자
-
기기(騎箕)@기^미 - 기^미(箕^尾)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기성(箕星)과 미성(尾星)을 함께 부르는 말. 은(殷) 나라의 부열(傅說)이 죽어 하늘에 올라 이 두 별자리에 거하였다고 하여 사람의 죽음을 뜻하기도 함.
자연물>기타자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