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난서(欒書)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경공(景公)과 여공(厲公) 때 활동하였으며, 후에 순언(荀偃)과 함께 여공을 시해하고 도공(悼公)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난성(欒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 대부. 예에 밝은 사람, 충신으로 시문(詩文)에 많이 인용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난성응소집(欒城應詔集)
중국 송(宋) 나라 문신ㆍ학자인 소철(蘇轍)의 문집. 12권. 논책(論策)과 응시(應試)할 때의 저작(著作)을 모은 것.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난성집(欒城集)
중국 송(宋) 나라 문신ㆍ학자인 소철(蘇轍)의 문집. 50권. 소철이 상서좌승(尙書左丞)에 있을 때 엮은 것으로 원우(元祐:1086~1094)년간 이전의 저작을 모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난왕(赧王)
중국 주(周) 나라의 마지막 왕. 재위 B.C.314~B.C.256. 이름은 희연(姬延)으로, 신정왕(慎靚王)의 아들. 날로 강성해지는 진(秦) 나라를 견제하고자 무리한 정벌을 감행했다가 결국 멸망에 이름.
?~B.C.256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난정(蘭亭)
중국 절강성(浙江省) 소흥(紹興)의 난저산(蘭渚山) 위에 있는 정자 이름. 동진(東晉) 때 이곳에서 열린 연회를 배경으로 지은 왕희지(王羲之)의 〈난정집서(蘭亭集序)〉가 유명함.
중국 , 유적>건물>누정
-
난정서(蘭亭序)
중국 동진(東晉)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가 쓴 산문. 사안(謝安) 등이 회계산(會稽山) 난정(蘭亭)에서 제사를 올리고 시를 지어 문집을 만들었는데, 여기에 왕희지(王羲之)가 서문(序文)을 씀. 그 글씨는 천하 제일의 행서(行書)로 평가됨.
35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난형난제(難兄難弟)
형노릇 하기도 어렵고 동생노릇 하기도 어렵다는 뜻.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나오는 중국 한(漢) 나라 진식(陳寔)의 두 아들 진기(陳紀)와 진심(陳諶)의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양자가 모두 훌륭할 때를 비유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남가일몽(南柯一夢)
중국 당(唐) 나라 순우분(淳于棼)이 나무 아래에서 잠이 들었는데, 꿈 속에 괴안국(槐安國)에 가서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깨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인생의 속절없음을 의미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남간갑을고(南澗甲乙稿)
중국 송(宋) 나라 학자인 한원길(韓元吉)의 문집. 시(詩)7권ㆍ사(詞)1권ㆍ문(文)14권 총22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남강(南江)
경상도 남부를 흐르는 낙동강(洛東江)의 지류. 하류 지역에는 진주평야를 비롯하여 의령ㆍ가야 등지에 충적 평야가 펼쳐져 있음.
경상도>함안ㅣ경상도>진주ㅣ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남강서원(南岡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서원. 우졸재(迂拙齋) 박한주(朴漢柱)ㆍ국담(菊潭) 박수춘(朴壽春) 등이 배향됨.
16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강원(南江院)
경상남도 합천(陜川)에 속했던 역원(驛院). 남강(南江)의 북쪽 언덕에 있었음.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관사
-
남격(南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동강(東岡) 남언경(南彦經)의 아들. 조식(曺植)과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남겸(南謙)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재(南在)의 선조로, 위위 주부(衛尉注簿)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경(南景)
조선 전기의 유학.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남경(南暻)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남응정(南應井)의 서자(庶子). 주부(主簿) 권헌(權憲)의 딸과 결혼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남경문(南景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태종(太宗)의 딸 정선공주(貞善公主)와 혼인한 남휘(南暉)의 아버지로, 병조 의랑(兵曹議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경우(南景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특별한 재능이 없으면서 관품이 높아 평판이 좋지 않았음. 봉조하(奉朝賀)로 치사(致仕)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경창(南慶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유학 남초(南怊)의 아들.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산 , 인명>문사>유학
-
남경춘(南慶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맹하(藍孟夏)의 아버지로, 통례(通禮)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계당(南季堂)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지(南輊)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과 제학(提學)을 역임하고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계서원(南溪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군위(軍威)에 건립한 서원. 1620년(광해군 12)에 남계서당(南溪書堂)을 중수하여 서원으로 승격하고, 유성룡(柳成龍)ㆍ이호민(李好閔) 등을 배향함.
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군위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계서원(灆溪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건립한 서원. 정여창(鄭汝昌)ㆍ정온(鄭蘊)ㆍ강익(姜翼) 등을 배향함.
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남계집(南溪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채(朴世采)의 문집. 125권 56책. 양적으로 방대하고 당시의 사회ㆍ정치ㆍ사상 등 광범위한 내용을 포괄하고 있음. 영조(英祖) 때 조현명(趙顯命)에 의해 간행됨.
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남계집(藍溪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표연말(表沿沫)의 문집. 1914년 표석준(表奭峻)ㆍ표인해(表仁海)에 의해 간행됨. 4권 2책.
1914 한국>근대 , 경상도>의령 , 문헌>서명
-
남곤(南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
1471~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공철(南公轍)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정조의 문체반정(文體反正)에 동참하여 순정한 육경고문(六經古文)을 깊이 연찬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많은 금석문(金石文)ㆍ비갈(碑碣)을 남긴 당대 제일의 문장가로 알려짐.
1760~18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곽자기(南郭子綦)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은자. 초(楚) 나라 소왕(昭王)의 서제(庶弟).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그의 제자인 안성자유(顔成子游)와 문답한 내용이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남구만(南九萬)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숙종 때 정치운영의 중심에 있으면서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됨. 문집으로 《약천집(藥泉集)》있음.
1629~17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군보(南君甫)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의령남씨(宜寧南氏)의 시조(始祖).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제수받고 의령(宜寧)으로 관적(貫籍)하여 중시조(中始祖)가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궁괄(南宮括)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조카사위.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許與)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남궁명(南宮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부사(府使)를 지낸 남궁제(南宮悌)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사위. 1591년(선조 2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별좌(別坐)를 지냄.
156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남궁익(南宮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지낸 남궁침(南宮忱)의 아버지로, 동복 현감(同福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열 , 인명>관인>문신
-
남궁장만(南宮長萬)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경(卿). 송(宋) 민공(閔公)을 시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남궁제(南宮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남궁숙(南宮淑)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사돈으로, 연안 부사(延安府使) 등을 지냄. 성혼이 그에게 보낸 편지가 《우계집(牛溪集)》에 실려 있음.
15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궁침(南宮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사간원과 홍문관의 관직을 거쳐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3~15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열 , 인명>관인>문신
-
남궁희(南宮憘)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지낸 남궁침(南宮忱)의 형으로,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열 , 인명>관인>문신
-
남귀달(南貴達)
조선 전기의 유학.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차황금계강선대운증남겸선귀달(次黃錦溪降仙臺韻贈南兼善貴達)〉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남귀정(南貴正)
조선 전기의 유학. 중종반정(中宗反正) 때의 원종공신인 박기(朴基)의 장인으로, 수의부위(修義副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남극관(南克寬)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남구만(南九萬)의 손자이자 수락산(水洛山)에서 은거한 남학명(南鶴鳴)의 아들. 문집으로《몽예집(夢囈集)》이 있음.
1689~17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문인
-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
남반구(南半球)의 용골(龍骨)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고대에는 사람의 수명을 맡아보는 별이라 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 별이 나타나면 나라가 편안해지고 군왕이 장수한다고 여겨 제단(祭壇)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냄.
자연물>천체
-
남금(南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태종(太宗)이 양녕대군(讓寧大君)을 광주에 안치(安置)할 때 판목사(判牧事)로 삼았으며,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남긍(南兢)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이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일 때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ㆍ정포(鄭誧)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남기(南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지낸 남상문(南尙文)의 아버지로, 돈녕 참봉(敦寧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기(南麒)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양(英陽). 선조(宣祖) 때의 학자 남몽오(南夢鰲)의 아버지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남기제(南紀濟)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용문산문답(龍門山問答)〉과 《아아록(我我錄)》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남노(南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성균관 전적(城均館典籍)을 지낸 남숭(南崧)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남당(南唐)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때 이변(李昪)이 오국(吳國)의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금릉(金陵)에 세운 나라. 3대 38년 만에 송(宋) 나라에게 멸망됨.
937~975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시간>국명
-
남당집(南塘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한원진(韓元震)의 문집. 원집(原集) 38권 19책과 습유(拾遺) 6권 3책. 목판본. 금산 군수(金山郡守) 김근행(金謹行)이 편차하여 간행함.
17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금산 , 문헌>서명
-
남도진(南道振)
조선 후기의 은사ㆍ학자.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11세손이며,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 남택하(南宅夏)의 아들. 용문산(龍門山)에 은거하여 자연을 완상(玩賞)하며 시조(時調)와 가사(歌辭)를 짓고 평생 저술에 전념함.
1674~17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남률(南慄)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중종 때 대사간(大司諫)을 역임함.
14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매탑(男妹塔)
충청남도 공주(公州) 동학사(東鶴寺) 북쪽 비로봉(毘路峰) 아래에 나란히 서 있는 칠층 석탑과 오층 석탑. 백제 멸망 후 어느 남매가 와서 수도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함.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유적>기타유적
-
남맹하(南孟夏)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통례(通禮)를 지낸 남경춘(南慶春)의 아들로, 송인(宋寅)ㆍ박민헌(朴民獻)ㆍ김사원(金士元)과 친교(親交)함.
1523~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남명집(南冥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조식(曺植)의 시문집. 3권. 목판본. 1604년(선조 37)에 저자의 문인 정인홍(鄭仁弘)이 유고를 수집하여 편차한 후 합천(陜川)의 해인사(海印寺)에서 초간(初刊)함.
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문헌>서명
-
남몽오(南夢鰲)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 남기(南麒)의 아들로, 조목(趙穆)ㆍ김성일(金誠一)과 교유했으며, 기영사(耆英祠)에 제향됨.
152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남민(南敏)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의 귀화인. 중국 당(唐) 나라 사람 김충(金忠)으로, 풍랑을 만나 영양(英陽)에 정착한 후 신라에서 성과 이름을 내림. 영양(英陽)ㆍ의령(宜寧)ㆍ고성(固城) 남씨(南氏)의 시조.
한국>통일신라 , 중국ㅣ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귀화인
-
남반(南磐)
조선 후기의 유학. 남재(南在)의 사손(祀孫)으로 남재(南在)의 시(詩) 등 삼대(三代)의 기문(記聞)을 수집하여 “취미(翠微)”라 이름하여 1권을 만들었으나 간행되지 못하고 산일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남변(南忭)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남이(南儞)의 아들.
1454~149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복흥(南復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수의부위(修義副尉) 남맹하(南孟夏)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무공(武功)을 세우고, 명(明) 나라 장수 진린(陳璘)의 접반사(接伴使)를 지냄.
15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산사(南山祠)
조선시대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던 사당.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이상(金履祥)을 배향함.
한국>조선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당
-
남상문(南尙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명(明) 나라의 경리(經理) 양호(楊鎬)가 뛰어난 학식에 감동되어 그의 문하가 되었고, 고고한 품행으로 금오랑(金吾郞)에 등용됨.
1520~160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서룡(南瑞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양(英陽). 1522년(중종 1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주세붕(周世鵬)이 차운(次韻)한 시가 실려 있음.
1496~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남섭원(南爕元)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의령(宜寧). 성종 때 우부승지를 지낸 남흔(南忻)의 아들로, 숙의김씨(淑儀金氏) 소생인 휘정옹주(徽靜翁主)와 혼인함. 경순옹주(慶順翁主)의 남편인 남치원(南致元)의 사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왕실>인척
-
남세건(南世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사성(大司成)ㆍ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냄.
1484~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세걸(南世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생원(生員) 남헌(南獻)의 아들이자 남진(南軫)의 아버지. 최숙동(崔淑仝)의 딸과 결혼함.
?~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남수문(南秀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집현전(集賢殿)ㆍ예문관(藝文館) 등에서 벼슬하며 세종의 여러 대군들에게 글을 가르침. 저서로 《경재유고(敬齋遺稿)》가 있음.
1408~14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순민(南舜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충청도 수군절도사 남효원(南孝元)의 아들. 독서를 즐겨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으며 역학(易學)에 정통했음.
1484~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숭(南崧)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37년(중종 32)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남신신(南藎臣)
조선 종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양(英陽).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남치형(南致亨)ㆍ남치리(南致利)의 아버지.
1505~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남악창수집(南嶽倡酬集)
중국 송(宋) 나라 문신ㆍ학자인 임용중(林用中)의 문집. 저자와 주희ㆍ장식(張栻)이 형산(衡山)을 노닐면서 창화(倡和)한 시를 모은 것.
116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남양(南陽)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華城) 일대의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京畿水軍節度使營)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기도>남양 , 지명>행정지명
-
남양계고요람(南陽稽古要覽)
조선 단종(端宗) 때의 호장(戶長) 송후(宋後) 등이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경기도 남양(南陽)의 연혁을 기록한 책으로, 생원 조중민(趙仲旻)이 교정하고 편집하였으며, 1455년(단종 3)에 완성함.
14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문헌>서명
-
남양시집(南陽詩集)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인 백분화(白賁華)의 시집. 2권 1책. 목판본. 아들인 백희심(白希諗)이 편집ㆍ간행함.
1249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남양홍씨(南陽洪氏)
중국 당(唐) 나라의 태학사(太學士)로 고구려(高句麗) 때 귀화한 홍천하(洪天河)를 시조로 하는 당홍(唐洪) 집안과, 고려 고종(高宗) 때의 금오위 별장(金吾衛別將) 홍선행(洪先幸)을 시조로 하는 토홍(土洪) 집안을 아울러 일컫는 성씨.
한국>고구려 , 경기도>남양 , 인명>집단>성씨
-
남언경(南彦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반박하고 양명학(陽明學) 체계를 완성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남언기(南彦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선조(宣祖) 초 영의정 이탁(李鐸)의 천거로 동몽교관(童蒙敎官)ㆍ빙고별좌(氷庫別坐)에 임명됨.
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연록(南延祿)
조선 후기의 유학.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생으로, 풍악서당(豐岳書堂)을 병산(屛山)으로 이건(移建)할 때 일을 담당함. 유성룡의 《서애집(西厓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남영(南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의관ㆍ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예석(南禮錫)의 아들.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벼슬하여 선조 때 어의(御醫)를 지냈으며, 광해군 때 음죽 현감(陰竹縣監) 등을 지냄.
1548~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문경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관인>문신
-
남옥(藍玉)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원(元) 순제(順帝)의 아들인 익왕(益王) 탈고사첩목아(脫古思帖木兒)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양국공(凉國公)에 책봉되었으나, 모반죄로 처형됨.
?~139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남용익(南龍翼)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지내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 문명을 떨쳤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에 연루되어 명천(明川)에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남원(南原)
전라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과 영남을 잇는 교통의 요지임.
전라도>남원 , 지명>행정지명
-
남원윤씨(南原尹氏)
고려 신종(神宗) 때 남원(南原)의 적을 토평하고 남원군(南原君)에 봉해진 윤위(尹威)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집단>성씨
-
남유(南瑜)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남응룡(南應龍)의 아들.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나주 목사(羅州牧使)로서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싸우다가 전사함.
?~15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당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남유용(南有容)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남용익(南龍翼)의 증손.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양관(兩館) 대제학(大提學)과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냈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음.
1698~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은(南誾)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동조하여 조선 개국 후 일등개국공신으로 의성군(宜城君)에 봉해짐.
1354~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을번(南乙蕃)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고려 때 밀직부사(密直府使)를 지냈고, 조선 건국 후 검교시중(檢校侍中)이 됨.
1320~139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을진(南乙珍)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선의 태조(太祖)가 사천백(沙川伯)을 봉했으나 적성(積城)의 감악산(紺嶽山) 석굴에 들어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적성ㅣ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남응두(南應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남진(南軫)의 아들이며, 영동 현감(永同縣監) 남응정(南應井)의 형.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남응룡(南應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35년(중종 30) 문과에 급제하여 호당(湖堂)에 뽑혔고, 벼슬은 직제학(直提學)과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역임함.
1514~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응운(南應雲)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세건(南世健)의 아들로,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지내고, 전서(篆書)와 주서(籒書) 등 글씨에도 뛰어나 여러 작품을 남김.
1509~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남응원(南應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영양(英陽).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알려져 선조 때 두 차례 서용(敍用)의 명을 받음. 김성일(金誠一)이 그를 조정에 천거하고 시(詩)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효자
-
남응정(南應井)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진(南軫)의 아들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의경(南䴊慶)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영양(英陽). 생원 남치형(南致亨)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남이(南怡)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무신. 남휘(南暉)와 정선공주(貞善公主)의 소생이며, 권람(權攬)의 사위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고 건주위(建州衛) 여진(女眞)을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유자광(柳子光)의 무고에 의해 살해됨.
1441~14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남이공(南以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호(南琥)의 아들. 선조 때 이발(李潑)ㆍ정인홍(鄭仁弘) 등과 함께 북인(北人)의 우두머리로서 영의정(領議政) 유성룡(柳成龍)을 탄핵ㆍ파직시킴.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지냄.
1565~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이신(南以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호(南琥)의 아들이자, 이조 판서 남이공(南以恭)의 형으로, 경기 감사(京畿監司) 시절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62~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이흥(南以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유(南瑜)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장만(張晚)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안주성(安州城) 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자결함.
1576~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남익(南翼)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