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기(騎箕)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남(奇南) - 김기남(金奇南)
조선 전기의 유학.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주세붕(周世鵬)이 보낸 시들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기남(期男) - 이기남(李期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天安郡守)ㆍ부윤(府尹) 등을 지내고, 조헌(趙憲)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내군기시화약고기(畿內軍器寺火藥庫記) - 화약고기(火藥庫記)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정이오(鄭以吾)가 지은 조선시대 무기에 관한 저서. 《교은집(郊隱集)》에 실려 있으며, 최무선(崔武宣)의 아들 최해산(崔海山)이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으로 있으면서 화포무기 제작에 관여했다고 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기내헌(奇乃獻) - 기윤헌(奇允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형 기자헌(奇自獻)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
1575~16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기년(耆年) - 박기년(朴耆年)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조 판서를 지낸 박중림(朴仲林)의 아들로, 단종(端宗) 복위를 도모하다가 여러 형제들과 함께 대역죄로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기달(怾怛)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기달산(怾怛山)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기덕양(奇德陽)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덕양유고(奇德陽遺稿) - 덕양유고(德陽遺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기준(奇遵)의 문집. 아들 기대항(奇大恒)이 영월 군수(寧越郡守)로 부임한 저자의 문생(門生) 박충원(朴忠元)에게 부탁하여 1544년(중종 39) 서문을 짓고 유포시킴.
154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문헌>서명
-
기덕우(奇德優) - 기대유(奇大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기효간(奇孝諫)ㆍ기효근(奇孝謹)의 아버지.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사촌이며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진용교위(進勇校尉)에 올랐고 고흥군(高興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무신
-
기도(幾道)@안기도 - 안기도(晏幾道)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휘종(徽宗) 때의 문인. 안수(晏殊)의 일곱째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이안(二晏)이라 불림. 섬세하고 애상적인 시풍을 보임.
1031~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기도(幾道) - 조사연(趙師淵)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 왕조의 종실(宗室)로, 조사하(趙師夏)의 형.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편찬에 참여하였음.
1150?~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도(幾道)@손처눌 - 손처눌(孫處訥)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일직(一直).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학문과 효행이 뛰어남. 왜란(倭亂)과 호란(胡亂) 때 창의하고, 난리 후에 향교 재건에 앞장섬. 대구(大邱) 청호서원(靑湖書院)에 배향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기도(箕都) - 조선(朝鮮)
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 태조(太祖)에서 순종(純宗)까지 27대 519년간 존속.
1392~1910 한국>조선시대 , 시간>국명
-
기동(奇童) - 이필(李泌)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어려서 신동(神童)으로 이름을 떨치고, 신선술(神仙術)에 탐닉하였으며, 현종(玄宗)ㆍ숙종(肅宗)ㆍ대종(代宗)ㆍ덕종(德宗) 네 황제에 걸쳐 국가 대사에 막중한 영향력을 행사함.
?~78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로(企老)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로(耆老)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기로국(耆老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기로당상관(耆老堂上官) - 기로당상(耆老堂上)
조선시대에 기로소(耆老所)에 소속된 70세가 넘은 정2품 이상의 문신(文臣)들을 일컫는 말. 이들은 나라의 원로로서, 명절이나 국가적 경사, 왕의 행차 때 함께 모여서 하례(賀禮)를 행하거나, 중요한 국사(國事)의 논의에 참여하여 왕의 자문에 응하기도 함.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기로사(耆老司)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기로소당상(耆老所堂上) - 기로당상(耆老堂上)
조선시대에 기로소(耆老所)에 소속된 70세가 넘은 정2품 이상의 문신(文臣)들을 일컫는 말. 이들은 나라의 원로로서, 명절이나 국가적 경사, 왕의 행차 때 함께 모여서 하례(賀禮)를 행하거나, 중요한 국사(國事)의 논의에 참여하여 왕의 자문에 응하기도 함.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기로재추소(耆老宰樞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기리계(綺里季) - 오실(吳實)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 나라의 폭정을 피해 상현 동산(商縣東山)에 숨은 상산사호(商山四皓)의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기리선(騎鯉仙) - 금고(琴高)
중국 주(周) 나라의 도사. 거문고를 잘 탔으며, 탁수(涿水)에서 잉어를 타고 나왔다가 한 달을 머무른 뒤 신선이 되어 돌아갔다고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기린(麒麟) - 기린각(麒麟閣)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장안(長安)의 미앙궁(未央宮) 안에 세웠던 전각(殿閣)의 이름. 선제(宣帝) 때 곽광(霍光)ㆍ소무(蘇武) 등 11인의 공신(功臣) 초상을 이곳에 걸었던 데서,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기린(麒麟)@박기린 - 박기린(朴麒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월성(月城). 홍성민(洪聖民)의 《졸옹집(拙翁集)》에 시 〈증월성소동박기린(贈月城小童朴麒麟)〉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만성(萬成) - 이예(李芮)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있을 때 세종의 총애를 받고, 《의방유취(醫方類聚)》ㆍ《고려사(高麗史)》등의 편찬에 참여함. 형조 판서 등을 지내고, 학식ㆍ문명이 높아 명망을 떨침.
1419~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만세(晩歲) - 노흠(盧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別提)ㆍ찰방(察訪)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527~16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만세암(萬歲庵) - 정혜사(淨惠寺)
통일신라 선덕왕(宣德王) 때 지어진 암자. 당(唐) 나라의 문신 백우경(白宇經)이 신라로 건너와 계림(鷄林) 자옥산(紫玉山) 아래에 만세암(萬歲庵)을 짓고 거처함. 선덕왕이 정혜사(淨惠寺)라고 이름을 고쳐 지어줌.
780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사찰
-
만송(晩松) - 안양군(安陽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셋째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연산군(燕山君)의 생모를 폐출(廢黜)시켰다는 이유로 어머니 귀인정씨(貴人鄭氏)와 동생 봉안군(鳳安君)과 함께 사사(死賜) 되었으나 1506년(중종 1)에 복직(復職)됨.
1480~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만송강(萬松岡)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송당(晩松堂) - 방순(方恂)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방언휘(方彦暉)의 아들로, 관찰사(觀察使)와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만수(晩修) - 유강(兪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예조 판서 유여림(兪汝霖)의 아들. 명종(明宗) 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10~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수(滿水)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만수(漫叟)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수(萬壽) - 이만수(李萬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종친(宗親)인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로, 괴산령(槐山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만수당(萬樹堂) - 박인량(朴寅亮)@박진의아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조식(曺植)과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름.
1546~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만수시리(滿殊尸利) - 문수(文殊)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제불(諸佛)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왼쪽에 위치하며, 오른쪽의 보현(普賢)과 함께 석가를 양쪽에서 보필하는 협시보살(脇侍菩薩)로 일컬어짐.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만수실리(曼殊室利) - 문수(文殊)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제불(諸佛)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왼쪽에 위치하며, 오른쪽의 보현(普賢)과 함께 석가를 양쪽에서 보필하는 협시보살(脇侍菩薩)로 일컬어짐.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만실(蔓實) - 이만실(李蔓實)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대사헌(大司憲) 이승직(李繩直)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만심재(晩尋齋) - 곽규(郭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성(司成) 곽지번(郭之藩)의 아들로, 1555년(명종 10)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지(承旨) 등을 지냄.
152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만암(滿菴) - 소장로(蘇長老)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독곡집(獨谷集)》에 〈차역암시운(次櫟菴詩韻)〉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만억(萬億) - 김만억(金萬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직제학을 지낸 김천령(金千齡)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만영(萬榮) - 이만영(李萬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이석(李碩)의 아들.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냈으며, 문장(文章)과 행의(行誼)로 유명하여 《함평선행록(咸平善行錄)》에 행적이 올라 있음.
1510~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만오(晩悟)@권경호 - 권경호(權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천거로 함창(咸昌) 일대의 소모관(召募官)으로 활동했으며, 장성 군수(長城郡守)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4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만오(晩悟)@홍석 - 홍석(洪錫)@조선후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김상헌(金尙憲)의 문인으로,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강흡(姜洽)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후에 세자익위사 사어(世子翊衛司司禦)를 지냄.
1604~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만오(晩悟) - 정장(鄭樟)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아들로, 중부(仲父)인 정곤수(鄭崑壽)의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출사(出仕)한 이후 과거에 급제하여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 등을 지냄.
1569~16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만오헌(晩悟軒) - 권경호(權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천거로 함창(咸昌) 일대의 소모관(召募官)으로 활동했으며, 장성 군수(長城郡守)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4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만옹(晩翁) - 김질충(金質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부호군(副護軍) 김경(金鏡)의 아들. 승정원 도승지(承政院都承旨)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와(晩窩) - 김유수(金裕壽)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채제공(蔡濟恭)의 《번암집(樊巖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695~17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만와(萬窩) - 김주(金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선계변무사(璿系辨誣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사명을 완수했으나 그곳에서 병들어 죽음.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를 잘 씀.
1512~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용(曼容)@양만용 - 양만용(梁曼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축(梁山軸)의 아들이며, 강항(姜沆)ㆍ박동열(朴東說)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 청현직(淸顯職)을 두루 역임하고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598~165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만용(曼容) - 병만용(邴曼容)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청렴하고 검소하여 녹(祿)이 육백 석을 넘기 전에 벼슬에서 물러났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만우(卍雨) - 둔우(屯雨)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ㆍ시인. 혼수(混修)ㆍ각운(覺雲)의 고제(高弟).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선 세종(世宗) 때에 회암사(檜巖寺)와 흥천사(興天寺)의 주지를 지냈음.
135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만우(萬雨) - 둔우(屯雨)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ㆍ시인. 혼수(混修)ㆍ각운(覺雲)의 고제(高弟).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선 세종(世宗) 때에 회암사(檜巖寺)와 흥천사(興天寺)의 주지를 지냈음.
135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만운(巒雲) - 영변(寧邊)
평안도 남동부에 있는 군(郡). 구룡강(九龍江) 하류에 있어 군사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비옥한 평야가 있어 농산물이 많이 생산됨.
평안도>영변 , 지명>행정지명
-
만운(晩雲) - 정충신(鄭忠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을 종군(從軍)하여 무명(武名)을 떨치고, 이괄(李适)의 난(亂)을 평정하여 진무공신(振武功臣)이 됨. 이항복(李恒福)이 북청(北靑)으로 유배되었을 때의 기록인 《북천일록(北遷日錄)》을 저술함.
1575~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만운거사(晩雲居士) - 정충신(鄭忠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을 종군(從軍)하여 무명(武名)을 떨치고, 이괄(李适)의 난(亂)을 평정하여 진무공신(振武功臣)이 됨. 이항복(李恒福)이 북청(北靑)으로 유배되었을 때의 기록인 《북천일록(北遷日錄)》을 저술함.
1575~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만운중(萬雲中) - 만세덕(萬世德)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양호(楊鎬)를 대신하여 파견된 명 나라 장수.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만은(晩隱)@황전 - 황전(黃㙻)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평해(平海)로, 운학자(韻學者) 황윤석(黃胤錫)의 아버지. 윤봉구(尹鳳九)와 정주학(程朱學)에 관련된 이야기를 편지로 주고받으며 교유함.
?~177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유학
-
만은(晩隱) - 홍재(洪載)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공민왕(恭愍王) 때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을 지냈으며, 고려의 국운이 다하려는 것을 보고 이오(李午)ㆍ이전(李琠)ㆍ조열(趙悅) 등과 은거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삼가 , 인명>관인>문신
-
만이봉(萬二峯)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만이산(萬二山)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만이천(萬二千)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만이천봉(萬二千峯)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만인적(萬人敵)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만일(萬鎰) - 김만일(金萬鎰)
조선 전기의 문신.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친구 관계로 진원 현감(珍原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만적(瞞賊)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만전(晩全)@기자헌 - 기자헌(奇自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광해군을 즉위시키는 데 공헌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폐모론에 반대하다 문외출송(門外黜送)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사사(賜死)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전(晩全) - 홍가신(洪可臣)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淸亂功臣)에 책록됨.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하여 노장(老莊)ㆍ불교(佛敎)를 비판함.
1541~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만전당(晩全堂) - 홍가신(洪可臣)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淸亂功臣)에 책록됨.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하여 노장(老莊)ㆍ불교(佛敎)를 비판함.
1541~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만절당(晩節堂)@임계중 - 임계중(任繼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 등과 교유하고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역임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천(漣川)으로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81~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연천 , 인명>관인>문신
-
만절당(晩節堂) - 박원형(朴元亨)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의 문신.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 예종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411~14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만종(萬宗) - 홍만종(洪萬宗)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豐山). 정두경(鄭斗卿)의 문인으로, 김득신(金得臣)ㆍ홍석기(洪錫箕) 등과 교유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학문과 문장에 뜻을 두어 역사ㆍ지리ㆍ설화ㆍ가요ㆍ시 등의 저술에 전념함.
1643~172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만종(萬從) - 어효첨(魚孝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가학(家學)에 영향을 받아 문명(文名)을 날리고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었음.
1405~14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종(萬鍾)@홍만종 - 홍만종(洪萬鍾)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홍주문(洪柱文) 의 아들로, 1666년(현종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만종(萬鍾) - 정만종(鄭萬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언관(言官)을 지낼 때 행신(幸臣) 김안로(金安老)의 비행을 탄핵함.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지내고, 송순(宋純)ㆍ윤순(尹洵)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만주(灣州)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만죽(萬竹) - 서익(徐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李珥)ㆍ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
1542~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만죽헌(萬竹軒)@정현 - 정현(鄭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정백붕(鄭百朋)의 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참여해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말년에는 부사(府使)직을 사임하고 양주(楊州) 소요산(逍遙山)에 은거함.
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만죽헌(萬竹軒) - 서익(徐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李珥)ㆍ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
1542~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만중(萬重) - 김만중(金萬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소설가.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曾孫)으로, 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냄. 한글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구운몽(九雲夢)》ㆍ《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등을 저술함.
1637~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지(萬枝) - 유만지(柳萬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의 후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만창(晩昌) - 이만창(李晩昌)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우봉(牛峯). 숙종~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재(李縡)의 아버지로, 1675년(숙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65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만채(萬埰) - 김만채(金萬埰)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참찬(左參贊) 김진상(金鎭商)의 아버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장살(杖殺)된 아버지 김익훈(金益勳)의 억울함을 진정하다 절도로 유배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풀려나와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644~171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천(曼倩)@우정국 - 우정국(于定國)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우공(于公)의 아들로, 승상(丞相)을 지냄. 아버지 우공이 옥사(獄史)로 있을 때 판결로 선행을 쌓아 자신의 자손 중에 가문을 일으킬 자가 나오리라고 예측하고 집 대문을 크게 만들었다는 고사가 전함.
?~B.C.4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만천(曼倩) - 동방삭(東方朔)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ㆍ문신. 기언 기행(奇言奇行)으로 무제(武帝)의 총애를 받음.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선도(仙桃)를 훔쳐 먹고 장수하여 삼천갑자(三千甲子)를 살았다 하여 삼천갑자동방삭(三千甲子東方朔)으로 일컬어짐.
B.C.154~B.C.9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춘(萬春) - 양만춘(楊萬春)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의 안시성(安市城) 성주(城主). 지모(智謀)와 용기(勇氣)가 뛰어났으며,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정변과 당(唐) 나라 태종(太宗)의 침공 때 불굴의 의지로 싸워 승리함.
한국>고구려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만춘(萬春)@뇌만춘 - 뇌만춘(雷萬春)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장수.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키자 장순(張巡)의 편장(偏將)으로서 수양성(睢陽城)을 지키다가 죽음.
?~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만취(晩翠)@오억령 - 오억령(吳億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義州)에 호종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낙향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52~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만취(晩翠)@김위 - 김위(金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이이(李珥)와 교유함. 임진왜란 때 병든 몸으로 어가를 호종하였고,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만취(晩翠) - 이승효(李承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김안로(金安老)의 문인.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냈으며, 김안로가 사사(賜死)된 뒤 진우(陳宇)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京外)로 추방됨.
151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만취(晩翠)@조수 - 조수(趙須)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찬성사(贊成事) 조호(趙瑚)의 아들.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 세종 때 성균관 사예(司藝)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만취당(晩翠堂)@권율 - 권율(權慄)@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명장. 본관은 안동(安東).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6세손이자 영의정을 지낸 권철(權轍)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행주대첩(幸州大捷)을 승리로 이끎.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추봉됨.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만취당(晩翠堂)@김사원 - 김사원(金士元)@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하여 정제장(整濟將)으로 추대됨.
1539~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만취당(晩翠堂)@김맹권 - 김맹권(金孟權)
조선 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가 되어 세종의 신임을 받아 왕세손(王世孫)의 보필을 부탁받았으나,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찬탈하자 고향으로 돌아감.
?~150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학자
-
만취당(晩翠堂)@이승효 - 이승효(李承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김안로(金安老)의 문인.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냈으며, 김안로가 사사(賜死)된 뒤 진우(陳宇)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京外)로 추방됨.
151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만취당(晩翠堂) - 김개국(金蓋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효성이 지극하고 절개가 곧아 칭송을 받음.
1548~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만취정(晩翠亭) - 조수(趙須)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찬성사(贊成事) 조호(趙瑚)의 아들.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 세종 때 성균관 사예(司藝)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