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매수(梅叟)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매숙(枚叔) - 매승(枚乘)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인. 애초에 섬기던 오왕(吳王) 유비(劉濞)의 반란계획을 알고 간(諫)하였으나 실패하자 양왕(梁王) 유무(劉武)에게로 피신하였으며, 만년에는 향리에 은둔함. 〈칠발(七發)〉 등을 저술함.
?~B.C.14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매순(邁淳) - 김매순(金邁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거쳐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 등을 지냈고, 당대의 문장가로 홍석주(洪奭周) 등과 함께 명성이 높아 여한십대가(麗韓十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성리학에 뛰어남.
1776~18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매신(買臣) - 주매신(朱買臣)
중국 전한(前漢) 무제(漢武帝) 때의 문신. 엄조(嚴助)의 추천으로 무제에게 《춘추(春秋)》를 강설하게 되어 관직에 오름. 회계 태수(會稽太守)가 되어 고향에 돌아가 헤어진 아내와 그의 남편을 도와주었는데 옛 아내가 부끄러워 자살했다고 함.
?~B.C.10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매심재(每心齋) - 정약전(丁若銓)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진주 목사(晉州牧使) 정재원(丁載遠)의 아들이며 정약용(丁若鏞)의 형으로,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흑산도(黑山島)로 유배되어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지음.
1758~18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매암(梅巖)@정탁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매암(梅巖)@이숙량 - 이숙량(李叔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성리학(性理學) 연구에 전념함.
1519~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매암(梅巖) - 원추(袁樞)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학자.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이 지나치게 방대한 점을 문제로 삼아 《통감기사본말(通鑑紀事本末)》을 저술함으로써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를 확립함.
1131~120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매운당(梅雲堂)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매월(梅月)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매월당(梅月堂)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매월당(梅月堂)@이극배 - 이극배(李克培)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世祖)와 성종(成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 및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자 노병으로 사양함.
1422~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매월옹(梅月翁)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매은(梅隱) - 조지운(趙之耘)
조선 후기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선비화가 조속(趙涑)의 아들. 현감(縣監)을 지내고, 선비의 기풍과 심의(心意)가 가득한 묵매와 수묵화조를 잘 그려 〈숙조도(宿鳥圖)〉등의 작품을 남김.
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매은(梅隱)@권병기 - 권병기(權秉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권보(權堡)의 아들. 서거정(徐居正)ㆍ성삼문(成三問)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매장로(梅長老) - 설매(雪梅)
조선 전기의 승려.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에 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매재(呆齋) - 유정지(劉定之)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냈으며, 학문이 깊고 시문(詩文)에 능함. 저서로 《매재집(呆齋集)》ㆍ《역경도석(易經圖釋)》등이 있음.
1409~146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매정(梅亭) - 이희익(李希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부(古阜)로, 1531년(중종 2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ㆍ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매죽(梅竹) - 성삼문(成三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집현전(集賢殿)의 학사로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공헌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단종(端宗)에 대한 절의를 지켜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됨.
1418~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매죽(梅竹)@안평대군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매죽당(梅竹堂) - 성삼문(成三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집현전(集賢殿)의 학사로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공헌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단종(端宗)에 대한 절의를 지켜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됨.
1418~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매죽와(梅竹窩) - 문익형(文益亨)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이며,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형.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1552년(명종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매죽헌(梅竹軒)@성부 - 성박(成鑮)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첫째 아들로, 조임도(趙任道)ㆍ임진부(林眞怤) 등 남명학(南冥學) 계열의 학자들과 교류함. 진사(進士) 등을 지냄.
15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매죽헌(梅竹軒)@안평대군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매죽헌(梅竹軒)@성삼문 - 성삼문(成三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집현전(集賢殿)의 학사로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공헌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단종(端宗)에 대한 절의를 지켜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됨.
1418~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매죽헌(梅竹軒) - 설봉(雪峯)@조선
조선 전기의 승려.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시집(四佳詩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매질포(買叱浦) - 매포(買浦)
충청도 단양(丹陽)에 있던 포구 이름.
충청도>단양 , 지명>자연지명
-
매창(梅牕) - 이성윤(李誠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때 신주(神主)를 봉안하고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됨.
1570~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매창(梅窓) - 최세절(崔世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아들로, 공조 참판(工曹參判)을 지내고, 시재(詩才)에도 뛰어남.
1479~153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매창(梅窓)@조지운 - 조지운(趙之耘)
조선 후기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선비화가 조속(趙涑)의 아들. 현감(縣監)을 지내고, 선비의 기풍과 심의(心意)가 가득한 묵매와 수묵화조를 잘 그려 〈숙조도(宿鳥圖)〉등의 작품을 남김.
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매처(梅妻)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매처사(梅處士) - 매복(梅福)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 남창 현위(南昌縣尉)를 지내다 왕망(王莽)이 정사를 전횡하자 처자(妻子)를 버리고 은둔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매천(梅川)@신유 - 신유(愼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위수(世子翊衛司衛率)ㆍ통례원 상례(通禮院相禮)ㆍ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매천(梅川) - 신희복(愼希復)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명종의 대군(大君) 시절 사부(師傅)를 지냈음. 명종 즉위 후에 개성 유수(開城留守)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3~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매촌(梅村)@강덕룡 - 강덕룡(姜德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심(姜深)의 아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과 정기룡(鄭起龍)을 도와 공을 세워 함창 현령(咸昌縣令) 등을 지내고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60~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매촌(梅村) - 정복현(鄭復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우후(虞侯) 정신(鄭愼)의 아들. 정희보(鄭希輔)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진(盧禛)ㆍ양희(梁喜) 등과 교유함.
1521~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매촌(梅村)@문홍운 - 문홍운(文弘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성광(醒狂) 문할(文劼)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1612년(광해군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77~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유학
-
매탕(槑宕)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매포(梅圃) - 송복기(宋福基)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야성(冶城). 충순위(忠順衛) 송의(宋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추천으로 소촌도 찰방(召村道察訪)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평생 명사(名士)들과 시주(詩酒)로 교유하며 일생을 마침.
1541~160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양양 , 인명>관인>문신
-
매포(買浦)@멸포 - 멸포(蔑浦)
경상남도 칠원(漆原)에 속했던 포구(浦口) 이름으로, 현재의 밀포(密浦)로 추정됨. 마산(馬山)의 해산물과 대구(大邱)의 농산물을 유통시켰던 교통요지.
경상도>칠원 , 지명>자연지명
-
매학정(梅鶴亭)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매학헌(梅鶴軒)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매향(梅香) - 매순(梅詢)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시인 매요신(梅堯臣)의 숙부로, 시독학사(侍讀學士) 등을 역임함.
964~10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매헌(梅軒)@허기 - 허기(許愭)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지낸 허금(許錦)의 아들로,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매헌시집(梅軒詩集)》이 있음.
1365~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매헌(梅軒)@곽수강 - 곽수강(郭壽岡)
조선 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1654년(효종 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1658년 성균관에 들어가 경의(經義)를 연구하였으나, 대과(大科) 응시 전에 죽었음.
1619~166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매헌(梅軒)@염제신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매헌(梅軒)@김기손 - 김기손(金驥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중형(仲兄).
1455~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매헌(梅軒) - 권눌(權訥)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호문(權好文)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와룡산 아래 원광정사(遠光精舍)를 짓고 후진을 양성함.
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매헌(梅軒)@권우 - 권우(權遇)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 말에 출사하고, 조선 건국 뒤에도 계속 등용되어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 등을 지내면서 정인지(鄭麟趾) 등 여러 문인을 양성함.
136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매헌(梅軒)@이인형 - 이인형(李仁亨)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며 치정에 힘썼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라는 이유로 부관참시(剖棺斬屍) 당함. 1506년(중종 1) 예조 판서(禮曹判書)에 추증됨.
1436~149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매헌(梅軒)@금보 - 금보(琴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서화가. 본관은 봉화(奉化)로, 이황(李滉)의 문인. 글씨에 뛰어나 이숙량(李叔樑)ㆍ오수영(吳守盈)과 더불어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렸으며, 퇴계묘비(退溪墓碑)ㆍ도산신판(陶山神版) 등을 씀.
152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ㅣ경상도>예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매호(梅湖)@권행가 - 권행가(權行可)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권선문(權善文)의 아들이며, 숙부 권호문(權好文)에게 입양됨. 김성일(金誠一)과 권대기(權大器)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안동(安東)에서 의병대장 김해(金垓)를 도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매호(梅湖) - 진화(陳澕)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양(驪陽). 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낸 진광현(陳光賢)의 아들로, 지공주사(知公州事)를 지냄. 시에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와 함께 이름을 떨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매호(梅湖)@조우인 - 조우인(曺友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광해군(光海君)을 풍자하는 시를 지어 투옥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시ㆍ글씨ㆍ그림에 능했음.
1561~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매홀(買忽) - 수원(水原)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陵)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華山)에 있음.
경기도>수원 , 지명>행정지명
-
맥수가(麥穗歌) - 맥수가(麥秀歌)
중국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인 기자(箕子)가 멸망한 은 나라의 옛터를 지나며 읊은 노래. 옛 궁궐 터에 보리가 자라난 것을 보고 그 폐허를 슬퍼한 망국애가(亡國哀歌)임.
중국>주 , 중국 , 문헌>작품명
-
맥황수(麥黃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맹(孟) - 김맹(金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감찰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세조(世祖) 때 좌익 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410~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맹^한(孟^韓) - 한^맹(韓^孟)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와 시인인 맹교(孟郊)를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맹가(孟軻)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맹강(孟鋼) - 김맹강(金孟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김필(金珌)ㆍ김장(金璋)의 아버지.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했으며, 승문원 교감(承文院校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맹견(孟堅)@김맹견 - 김맹견(金孟堅)
고려 후기의 무신ㆍ문인. 계림 참군(雞林參軍)을 지냈으며, 이곡(李穀)ㆍ민사평(閔思平)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맹견(孟堅) - 반고(班固)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 《한서(漢書)》를 저술하고 《백호통의(白虎通義)》를 편찬함. 화제(和帝) 때 두헌(竇憲)의 반란 사건에 연좌되어 옥사(獄死)함.
32~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맹겸(孟謙) - 김맹겸(金孟謙)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생원(生員) 김백환(金百鍰)의 아버지로, 돈용교위(敦勇校尉)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맹경(孟卿) - 강맹경(姜孟卿)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였으며,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짐. 1459년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410~14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맹경(孟璟) - 송맹경(宋孟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인명>관인>문신
-
맹경(孟畊) - 전녹생(田祿生)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벼슬이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이르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지공거(知貢擧) 이색(李穡)과 함께 진사를 선발하기도 함.
1318~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맹공(孟公) - 진준(陳遵)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가위후(嘉威侯)에 오름. 술을 좋아한 것으로 유명한데, 손님이 찾아오면 대문의 열쇠를 잠그고 손님 수레의 비녀장을 샘에 던져 넣어 아무리 급한 사정이 있어도 손님이 돌아가지 못하게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맹권(孟權) - 김맹권(金孟權)
조선 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가 되어 세종의 신임을 받아 왕세손(王世孫)의 보필을 부탁받았으나,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찬탈하자 고향으로 돌아감.
?~150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학자
-
맹달(孟達) - 김맹달(金孟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상산군(商山君) 김득제(金得齊)의 손자로,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맹달(孟達)@임맹달 - 임맹달(任孟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임대충(任大冲)의 아버지로, 정략장군(定略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맹담(孟耼) - 안맹담(安孟耼)
조선 세종(世宗)의 부마ㆍ서예가. 본관은 죽산(竹山).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 안망지(安望之)의 아들로, 세종의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혼인함. 초서(草書)를 잘 쓰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며, 음률(音律)ㆍ약물(藥物)에도 밝음.
1415~14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맹당(孟棠) - 서팽소(徐彭召)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의 조카로, 1476년(성종 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승문원 참교(承文院參校)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맹덕(孟德)@국미록 - 국미록(麴美祿)
술의 다른 이름.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이 지은 가전(假傳) 〈국수재전(麴秀才傳)〉의 주인공. 국매(麴酶)와 곡숙현 미씨(穀熟縣米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얻어 황봉(黃封)의 호를 받았으나, 신하들의 무함(誣陷)으로 주천후(酒泉侯)에 봉해져 은둔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맹덕(孟德)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맹동야(孟東野) - 맹교(孟郊)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한유(韓愈)와 교류하였으며, 북송(北宋)의 강서파(江西派)에 영향을 줌.
751~81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맹명(孟明)@허성 - 허성(許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허주(許周)의 아들이며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낸 허관(許寬)의 아버지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냄.
1382~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맹명(孟明) - 백리시(百里視)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목공(穆公) 때의 무신. 백리해(百里奚)의 아들.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맹명(孟明)@이휘 - 이휘(李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안세우(安世愚) 등의 무고를 받아 이덕응(李德應)ㆍ이염(李爓)과 함께 효수(梟首)됨.
?~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맹명시(孟明視) - 백리시(百里視)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목공(穆公) 때의 무신. 백리해(百里奚)의 아들.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 - 맹모단기(孟母斷機)
맹자의 어머니가 베틀에 건 날 실을 끊음. 《열녀전(列女傳)》〈모의전(母儀傳)〉에 나온 이야기로, 맹자의 어머니가 유학(遊學) 도중 돌아온 맹자를 훈계하여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일을 책망한 고사에서 유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맹박(孟博) - 범방(范滂)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 청렴결백한 성품으로 부패한 환관(宦官)을 배척하다가 당고지화(黨錮之禍) 때에 옥사(獄死)함.
137~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맹보(孟寶) - 하맹보(河孟寶)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노진(盧禛)의 문인(門人)으로, 노진을 애도하며 지은 제문(祭文)이 《옥계집(玉溪集)》에 실려 있으며, 함양(咸陽)의 구천서원(龜川書院)에 배향됨.
1531~15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맹부(孟頫) - 조맹부(趙孟頫)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 송(宋) 나라의 종실이면서 원 나라에서 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내고, 사후 위국공(魏國公)에 추봉됨. 서화(書畵)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 나라의 4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254~132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맹부자(孟夫子)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맹사(孟思) - 이맹사(李孟思)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개성 유수(開城留守)를 지낸 이수동(李壽童)의 아버지로, 한림(翰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맹사가(猛士歌) - 대풍가(大風歌)
중국 한(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이 경포(黥布)를 토벌하고 고향인 패군(沛郡)에 들렀을 때, 난세에 천하를 평정하고 금의환향한 감회를 읊은 노래.
B.C.196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맹상(孟嘗) - 맹상군(孟嘗君)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경대부. 정곽군(靖郭君) 전영(田嬰)의 아들로, 현사(賢士)를 초빙하여 식객(食客) 3천여 명을 거느렸다고 함. 진(秦)ㆍ제(齊)ㆍ위(魏) 나라의 재상을 지냈으며, 춘신군ㆍ평원군ㆍ신릉군과 더불어 전국(戰國) 말기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로 불림.
?~B.C.2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맹선(孟善) - 우맹선(禹孟善)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동래 현령(東萊縣令) 우종손(禹從孫)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지훈련원사(知訓鍊院事)를 지냄. 1545년(명종 1)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475~155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맹성(孟性) - 김맹성(金孟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과 함께 현석규(玄錫圭)를 탄핵한 죄로 고령(高靈)에 유배된 후 향리로 돌아가 후진을 양성함.
1437~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맹성(孟誠) - 이재(李材)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남경병부 상서(南京兵部尚書)를 지냈으며, 육구연(陸九淵)의 학문을 깊이 연구함.
1518~15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맹성인(孟姓人) - 맹호성(孟好性)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72명 중 한 사람.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맹손(孟孫) - 맹손씨(孟孫氏)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공족(公族). 숙손씨(叔孫氏)ㆍ계손씨(季孫氏)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 환공(桓公)의 아들인 경보(慶父)의 후손으로,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노 나라의 국정을 농단(弄斷)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성씨
-
맹손(孟孫)@권맹손 - 권맹손(權孟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변계량(卞季良)의 문인으로, 1408년(태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楊州牧使)ㆍ중추원사(中樞院使) 등을 지냄.
1390~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맹손(孟孫)@두고 - 두고(竇固)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장제(章帝) 때의 장수. 흉노족(匈奴族)을 공격하고 물리치는 공을 세웠음.
?~8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맹손(孟孫)@맹의자 - 맹의자(孟懿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에게 효(孝)에 대해 물은 일이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맹손씨(孟孫氏)@맹의자 - 맹의자(孟懿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에게 효(孝)에 대해 물은 일이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맹숙(孟叔) - 이윤손(李允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가평(加平). 1455년(세조 1)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원종공신(元從功臣)에 녹훈되고,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를 지냄.
141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맹순(孟淳) - 어맹순(魚孟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어세공(魚世恭)의 아들.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1467~151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관인>문신
-
맹씨서(孟氏書) - 맹자(孟子)@문헌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저술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왕도정치(王道政治)ㆍ성선설(性善說)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사서(四書)의 하나로, 7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