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명개(命凱) - 문명개(文命凱)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 시문에 뛰어나며, 《성극재시고(省克齋詩稿)》를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명경(明卿)@오국륜 - 오국륜(吳國倫)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귀주 제학(貴州提學)ㆍ하남 참정(河南參政) 등을 지냈으며,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後七子)로 불림.
1524~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명경(明卿) - 이량(李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창(平昌). 익평(翼平) 이계남(李季男)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명경(明鏡) - 석인(釋印)
조선 전기의 승려.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에 대해 쓴 시(詩)의 서(序)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명경수(明鏡數) - 삼원명경수(三元明鏡數)
조선 전기의 문신 정희량(鄭希良)이 상(上)ㆍ중(中)ㆍ하(下) 삼원(三元)의 사람 운수를 헤아려 만들었다는 점서(占書). 《허암유집(虛庵遺集)》의 부록(附錄)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명계(明溪) - 이순(李廵)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계부수(明溪副守) - 이순(李廵)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곡(明谷)@최석정 - 최석정(崔錫鼎)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崔鳴吉)의 손자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정치와 학문에 두루 능함. 저서로 《명곡집(明谷集)》이 전함.
1646~17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곡(鳴谷) - 이산보(李山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대사간(大司諫)으로 재임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수습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명(明) 나라 군대의 조선 진군과 군량조달에 큰 공을 세움.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공(明空)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명교숭(明敎嵩) - 계숭(契嵩)
중국 송(宋) 나라의 고승ㆍ학자. 운문종(雲門宗)을 발전시켰으며, 도교와 유교 등 다른 종파(宗派)와도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였고, 특히 선교일치적(禪敎一致的)인 경향을 지님. 〈원교편(原敎篇)〉 등을 저술함.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명귀(明龜) - 이명귀(李明龜)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으로, 신여주(申汝柱)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규(名珪) - 이명규(李名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순(李峋)의 아들로, 두 차례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행서와 초서에 능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명길(鳴吉) - 한백겸(韓百謙)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역학(易學)에 밝아 《주역전의(周易傳義)》를 교정하였고,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를 저술하여 실학(實學)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
1552~161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명길(鳴吉)@최명길 - 최명길(崔鳴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병자호란 때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하며 전란 후 피폐한 정국 안정에 힘씀.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6~164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농(明穠) - 성왕(聖王)
백제 제26대 왕. 재위 523~554. 무녕왕(武寧王)의 아들이며, 위덕왕(威德王)의 아버지. 538년(성왕 16)에 사비(泗沘)로 천도(遷都)하는 등 왕권강화 정책을 계속함.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유역의 탈취에 성공하였으나, 신라의 배신으로 전사(戰死)함.
?~554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명덕왕후(明德王后) - 명덕태후(明德太后)
고려 제27대 충숙왕(忠肅王)의 비. 본관은 남양(南陽).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 홍규(洪奎)의 딸로, 충혜왕(忠惠王)과 공민왕(恭愍王)을 낳았으며, 공민왕이 즉위하여 대비(大妃)에 오름.
1298~138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명덕정순(明德貞順) - 인열왕후(仁烈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한준겸(韓浚謙)의 딸로, 인조반정 이후 왕비가 됨. 소현세자(昭顯世子)ㆍ효종(孝宗) 등 4형제를 둠.
159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명도(明道)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도선생문집(明道先生文集) - 명도문집(明道文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의 문집. 아우인 정이(程頤)의 《이천문집(伊川文集)》과 함께 《이정전서(二程全書)》에 들어 있으며, 4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명도집(明道集) - 명도문집(明道文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의 문집. 아우인 정이(程頤)의 《이천문집(伊川文集)》과 함께 《이정전서(二程全書)》에 들어 있으며, 4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명령(明令) - 대명률(大明律)
중국 명(明) 나라의 기본 법전.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이 직접 감독하여 1367년 제정하였으며, 당률(唐律)ㆍ송률(宋律)ㆍ전제(田制)를 계승하여 6률(六律)이라는 새로운 격식을 창조함. 주석서로 《율해변의(律解辯擬)》ㆍ《율조소의(律條疏議)》ㆍ《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등이 있음.
1367 중국>명 , 중국 , 법제>법률
-
명룡(命龍) - 최명룡(崔命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ㆍ서화가. 본관은 전주(全州). 학자 권극중(權克中)의 스승으로 역학과 수학에 정통하며, 그림에도 뛰어나 작품 〈선인무악도(仙人舞樂圖)〉 등이 전함.
1567~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명률(明律) - 대명률(大明律)
중국 명(明) 나라의 기본 법전.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이 직접 감독하여 1367년 제정하였으며, 당률(唐律)ㆍ송률(宋律)ㆍ전제(田制)를 계승하여 6률(六律)이라는 새로운 격식을 창조함. 주석서로 《율해변의(律解辯擬)》ㆍ《율조소의(律條疏議)》ㆍ《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등이 있음.
1367 중국>명 , 중국 , 법제>법률
-
명릉(明陵)@충목왕 - 충목왕(忠穆王)
고려 제29대 왕. 재위 1344~1348. 충혜왕(忠惠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덕녕공주(德寧公主). 정방(政房)을 혁파하고 녹과전(祿科田)을 복구하였으며, 정치도감(整治都監)ㆍ진제도감(賑濟都監)을 설치하여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백성들을 구휼하는 데 힘씀.
133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명릉(明陵)@인현왕후 - 인현왕후(仁顯王后)
조선 제19대 숙종(肅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여흥(驪興).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딸로, 희빈장씨(禧嬪張氏)의 무고로 6년간 폐서인이 되었다가 갑술환국(甲戌換局)을 거쳐 복위됨. 그 후 7년이 지나 병고에 시달린 끝에 35세로 죽음.
1667~17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명릉(明陵) - 숙종(肅宗)@조선
조선 제19대 국왕. 재위 1674~1720. 절정에 달한 붕당정치(朋黨政治) 속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민생안정책의 시행에 주력함.
1661~17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명리(明理) - 김명리(金明理)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구용(金九容)의 둘째 아들. 부사(府使)를 지냈으며, 1400년(정종 2) 아버지의 시문집(詩文集)인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을 편찬,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명린(命麟) - 이명린(李命麟)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의 두 번째 서자이며, 풍성수(豐城守) 이희린(李希麟)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명립(名立) - 오명립(吳名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1610년(광해군 2)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광해군의 폐모론이 일자 낙향하여 지선정(止善亭)을 짓고 후학을 양성함.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명명신언행록(明名臣言行錄) - 황조명신언행록(皇朝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명 나라 명신(名臣) 54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명묘(明廟) - 명종(明宗)@고려
고려 제19대 국왕. 재위 1170~1197. 의종(毅宗)을 몰아낸 정중부(鄭仲夫)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며, 무신들을 제거하려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폐위됨.
1131~120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명묘(明廟)@명종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명묘실록(明廟實錄) - 명종실록(明宗實錄)@조선
조선 제13대 명종(明宗) 재위 22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춘추관 감사(春秋館監事) 홍섬(洪暹)이 주관하여 1571년(선조 4)에 완성 간행함.
157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명민(命敏) - 이명민(李命敏)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대사헌(大司憲) 이승직(李繩直)의 아들로, 안악 군수(安岳郡守)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 일파에게 살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명발와(明發窩)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보(明甫)@권선문 - 권선문(權善文)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안주 교수(安州敎授) 권륙(權稑)의 아들이며 권호문(權好文)의 형으로, 《송암집(松巖集)》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명보(明甫) - 김농(金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지낸 김의정(金義貞)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관직에 진출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보(明甫)@박승문 - 박승문(朴承文)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박승임(朴承任)의 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명보(明甫)@송준길 - 송준길(宋浚吉)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기년제(朞年祭)를 주장함. 송시열(宋時烈)과 동종(同宗)이면서 학문 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李珥)의 학설을 지지함.
1606~16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보(明甫)@이덕형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보(明甫)@함경충 - 함경충(咸敬忠)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서 학문을 하였는데, 그에게 청하여 자(字)를 지어 받았음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문사>유학
-
명복(命福) - 고종(高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649~683. 전장(典章) 제도를 마무리하였으며, 병이 들자 황후인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정사를 맡김.
628~68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복(明復) - 손복(孫復)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ㆍ전중승(殿中丞)을 지냈으며, 태산(泰山) 아래에서 문도를 모아 가르치고 글을 저술하여 태산학파(泰山學派)를 이룸. 저서로《수양자집(睢陽子集)》이 있음.
992~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복궁주(明福宮主)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명부(明府) - 연구령(延九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그와 주고받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명비(明妃) - 왕소군(王昭君)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후궁. 흉노(匈奴)와의 화친정책으로 호한야 선우(呼韓邪單于)에게 시집가 연지(閼氏)가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명사(明史)@남유용 - 명사정강(明史正綱)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인 남유용(南有容)이 명(明) 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 15권. 1772년(영조 48)에 책의 내용이 문제가 되어 파직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명사(明師)@도명 - 도명(道明)
조선 전기의 승려. 바둑을 좋아하여 황준량(黃俊良)과 바둑을 둔 뒤에 시(詩)를 부탁해서 받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명사(明師)@이연경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산(命山) - 임명산(林命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병조 참판(兵曹參判) 임수창(林壽昌)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명산(明山) - 김응생(金應生)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황(李滉)의 문인. 자양산(紫陽山) 아래 서숙(書塾)을 짓고 후배의 교육에 전력하였고,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를 배향한 임고서원(臨皐書院)의 건립을 주도함.
1496~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명산도정(明山都正) - 이금정(李金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아들이며, 하양군(河陽君) 이옥형(李玉荊)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명산부수(明山副守) - 이금정(李金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아들이며, 하양군(河陽君) 이옥형(李玉荊)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명산수(明山守) - 이금정(李金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아들이며, 하양군(河陽君) 이옥형(李玉荊)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명상인(明上人) - 성명(性明)
조선 세조(世祖) 때의 승려. 진관사 주지(津寬寺住持)로 있을 때 신숙주(申叔舟)가 벗들과 노닐며 지은 시가 《보한재집(保閑齋集)》에 실려 있으며, 남효온(南孝溫)과도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명생(命生) - 이명생(李命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하였으며, 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명서(明瑞) - 배용길(裵龍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홍문관 부교리(弘文館副校理) 배삼익(裵三益)의 아들로,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義兵)으로 활약하였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의(和議)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림.
155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명석(命錫) - 김명석(金命錫)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이재(李栽)의 문인(門人). 문학으로 일가를 이루었고, 특히 시(詩)는 독보적 존재로 평가됨.
1675~176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학자
-
명선(命善) - 서명선(徐命善)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조 참판(吏曹參判) 때 세손(世孫)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洪麟漢) 일파를 탄핵하여 정조의 즉위에 공헌하였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28~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선(明善) - 원명선(元明善)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조맹부(趙孟頫) 등과 함께 연경(燕京)의 만권당(萬卷堂)에 초빙되어 이제현(李齊賢) 등과 교류하였음.
1269~1322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명선부정(明善副正) - 이억재(李億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의 아들이며 이원익(李元翼)의 아버지. 문학을 좋아하고 오성(五聲)과 율려(律呂)에 능통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명성(明星) - 금성(金星)
저녁의 서쪽 하늘이나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서방(西方)을 상징하였으며, 흔히 군사(軍事)나 전쟁(戰爭)을 비유함.
자연물>천체
-
명성(明誠) - 조명성(趙明誠)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금석학자ㆍ장서가(藏書家). 문인 이청조(李淸照)의 남편으로, 부인과 함께 구양수(歐陽脩)의 《집고록(集古錄)》을 본떠《금석록(金石錄)》을 완성함.
1081~112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명성(鳴盛) - 김명성(金鳴盛)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1590년(선조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박승임(朴承任)에게 배웠고, 김륵(金玏)ㆍ김륭(金隆)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명성군(溟城君) - 함부림(咸傅霖)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검교 중추원학사(檢校中樞院學士) 함승경(咸承慶)의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360~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성도정(明城都正) - 이작(李綽)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광해군에게 인목왕후(仁穆王后)를 폐비하는 것이 부당함을 논함. 명성도정(明城都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성중자(明誠中子) - 장재(張載)@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벼슬에서 물러나고, 정호(程顥)ㆍ정이(程頤)에게서 배움. 송 나라 최초로 ‘기일원(氣一元)’의 철학사상을 전개하여 송 나라 유학(儒學)의 기초를 세움.
1020~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세(名世) - 안명세(安名世)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박영(朴英)의 문인. 사관(史官)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전말을 직필(直筆)한 시정기(時政記)를 작성하였으나, 한지원(韓智源)의 밀고로 체포되어 사형당함.
151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명세(命世) - 심명세(沈命世)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청운군(靑雲君)에 봉해졌으며,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호종함.
1587~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소선생(明所先生) - 주공천(朱公遷)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ㆍ문신. 경전백가(經傳百家)와 예악율력(禮樂律曆) 등 다방면에 정통하였고, 건주 학정(虔州學正)을 지냄. 저서에 《사서통지(四書通旨)》와 《사서약설(四書約說)》이 있음.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손(命孫) - 최명손(崔命孫)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대사헌(大司憲) 최진(崔璡)의 아버지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명수(明叟) - 신희정(辛熙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506년(연산군 12)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첨정(僉正)을 지냄. 이자(李耔)의 《음애집(陰崖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명수(蓂秀) - 신명수(申蓂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참봉(參奉) 신광섭(申光涉)의 아들로,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문인. 이황(李滉)에게서 역(易)에 대해 배움.
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명수지변(明受之變) - 묘유지변(苗劉之變)
중국 남송(南宋)의 무신인 묘부(苗傅)와 유정언(劉正彦)이 일으킨 변란. 1129년에 금(金) 나라의 침입을 피해 임안(臨安)으로 가는 고종(高宗)을 호종하던 중 반란을 일으켜 3세 된 황자(皇子) 부(旉)에게 강제로 전위(傳位)하게 한 사건.
1129 중국>송 , 중국 , 사건>역모
-
명숙(明叔)@정문형 - 정문형(鄭文炯)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개국공신 정진(鄭津)의 손자이며 정숙지(鄭叔墀)의 아버지. 1447년(세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오도 관찰사(五道觀察使)ㆍ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됨.
142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숙(明叔)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명숙(明叔) - 장희(張曦)
조선 전기의 유학. 주세붕(周世鵬)의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명숙(明叔)@이성립 - 이성립(李誠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응천(李應千)의 아들로,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함.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냈으며, 어머니의 죽음을 슬퍼하다가 병을 얻어 38세에 죽음.
1573~1611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관인>문신
-
명숙(明叔)@서긍 - 서긍(徐兢)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1123년(인종 1)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개경(開京)에 1개월간 머무르고, 귀국 후 《고려도경(高麗圖經)》40권을 지어 고려의 실정을 송 나라에 소개함.
1091~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명숙(明叔)@권문현 - 권문현(權文顯)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규(權逵)의 아들이며, 이원(李源)의 사위. 조식(曺植)의 문인. 오건(吳健)에 대한 제문이 《덕계집(德溪集)》에 전함.
1524~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명숙(明肅) - 성준(成俊)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순조(成順祖)의 아들로, 좌의정ㆍ영의정 등을 지냄. 1495년(연산군 1) 시폐십조(時弊十條)를 주청하는 등 난정(亂政)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함.
1436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명숙(鳴叔) - 윤봉조(尹鳳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명원(尹明遠)의 아들로, 《경종실록(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소차(疏箚)에 뛰어남.
1680~176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순(明淳) - 김명순(金明淳)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좌의정(左議政) 김홍근(金弘根)ㆍ영의정(領議政) 김흥근(金興根)의 아버지. 1801년(순조 1) 별시(別試) 갑과(甲科)에 급제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7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술(明述) - 박진경(朴晉慶)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정구(鄭逑)와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내고, 병자호란 때 최현(崔晛)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킴. 남강서원(南岡書院)에 배향됨.
1581~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명숭(命崇) - 이명숭(李命崇)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원효(李元孝)의 아들로,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일본(日本)에 다녀왔으며, 부제학(副提學) 등을 역임함.
?~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명신(明晨) - 이명신(李明晨)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양(李揚)의 아들로, 판홍주목사(判洪州牧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정(善政)을 베풀어 명관(名官)으로 칭송되었고, 《세조실록(世祖實錄)》에 그의 졸기(卒記)가 실려 있음.
1392~145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명신당(明新堂)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명신록(名臣錄)@송명신언행록 -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송 나라의 대표적 명신(名臣) 97명의 언행을 뽑아 기록한 책. 치세(治世)의 요령과 처세술이 풍부하게 담겨 있음.
117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명신록(名臣錄) - 황조명신언행록(皇朝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명 나라 명신(名臣) 54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명신사략(名臣事略) - 국조명신사략(國朝名臣事略)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소천작(蘇天爵)이 저술한 책. 원 전기와 중기의 인물 47명의 전기를 기록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명신언행록(名臣言行錄) -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송 나라의 대표적 명신(名臣) 97명의 언행을 뽑아 기록한 책. 치세(治世)의 요령과 처세술이 풍부하게 담겨 있음.
117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명신재(明信齋) - 정사중(鄭思中)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아버지이자, 백곡(栢谷) 정곤수(鄭崐壽)의 생부(生父).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내고, 이조 판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명신종(明神宗) - 신종(神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4대 황제. 재위 1572~1620. 목종(穆宗)의 셋째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출병과 가혹한 징세로 국력을 약화시킴.
1563~1620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악(命岳) - 유명악(兪命岳)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유척기(兪拓基)의 아버지로, 1705년(숙종 3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 등을 지냄.
166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암(明巖) - 이중(李中)@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도망쳐 온 스승 김식을 숨겨준 일로 의금부에 하옥되고 부령(富寧)에 유배됨.
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문사>학자
-
명암(明庵) - 강유선(康惟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명종 때 발생한 이홍남(李洪男) 형제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당함.
1520~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
-
명암(明菴)@조사 - 조사(照師)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써준 서권(書卷)이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명암(明菴)@오사 - 오사(晤師)
고려 후기의 승려.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명암(鳴巖)@서인원 - 서인원(徐仁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진주 목사(晉州牧使) 서예원(徐禮元)의 형으로, 학행(學行)이 빼어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