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명암처사(鳴岩處士) - 김형(金逈)
조선 전기의 은사(隱士). 본관은 광주(光州)로, 칠촌(漆村) 김충남(金忠南)의 아들.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문인(門人)으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났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은자
-
명야(明也) - 신명(信明)
조선 전기의 승려. 《소재집(穌齋集)》ㆍ《무릉잡고(武陵雜稿)》 등에 그와 관련된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명양부정(鳴陽副正) - 이현손(李賢孫)
조선 전기의 종친. 이신요(李神饒)의 아들로, 김굉필(金宏弼)ㆍ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 독실한 행실로 모범을 보이고, 주계군(朱溪君) 이심원의 유고(遺稿)를 수습하여 전함.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양정(鳴陽正) - 이현손(李賢孫)
조선 전기의 종친. 이신요(李神饒)의 아들로, 김굉필(金宏弼)ㆍ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 독실한 행실로 모범을 보이고, 주계군(朱溪君) 이심원의 유고(遺稿)를 수습하여 전함.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언(明彦)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언(明彦)@김명언 - 김명언(金明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윤원형(尹元衡)일파가 국정을 장악하자 외직으로 전전하면서 바른 정사와 청렴결백함으로 백성들에게 칭송을 받았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명언보(明彦甫)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여(明汝) - 선형(宣炯)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이시애(李施愛)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야인(野人) 정벌에 공을 세움.
1434~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명오(明五) - 유천식(柳天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유혜적(柳惠迪)의 아들로, 순조(純祖) 때 원주(原州) 송곡서원(松谷書院)에서 유방선(柳方善)의 문집인《태재집(泰齋集)》을 중간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명왕(明王)@성왕 - 성왕(聖王)
백제 제26대 왕. 재위 523~554. 무녕왕(武寧王)의 아들이며, 위덕왕(威德王)의 아버지. 538년(성왕 16)에 사비(泗沘)로 천도(遷都)하는 등 왕권강화 정책을 계속함.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유역의 탈취에 성공하였으나, 신라의 배신으로 전사(戰死)함.
?~554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명왕(明王)@명종 - 명종(明宗)@고려
고려 제19대 국왕. 재위 1170~1197. 의종(毅宗)을 몰아낸 정중부(鄭仲夫)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며, 무신들을 제거하려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폐위됨.
1131~120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명왕(明王)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명우(明宇) - 양산욱(梁山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사(義士)ㆍ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언림(彦霖) 양응필(梁應畢)의 아들. 임진왜란 때에 의거하였으며, 예빈시 봉사(禮賓寺奉事)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명운(明運) - 윤명운(尹明運)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비경(尹飛卿)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을 변호한 죄로 해미(海美)에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풀려 나옴. 광흥창 수(廣興倉守) 등을 지냄.
1642~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명원(命元) - 김명원(金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황(李滉)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수습한 공으로 경림군(慶林君)에 봉해졌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이조 판서ㆍ좌의정을 지냈음.
1534~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原) - 명천(明川)
함경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함경선의 중요한 철도역으로 본래 길주(吉州)의 명원역(明原驛)이었는데, 길주가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되면서 분리됨.
함경도>명천 , 지명>행정지명
-
명원(明源) - 나익(羅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는 방서(榜書)를 사초에 써두었다가 김안로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죽음을 당함.
1507~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遠)@문다성 - 문다성(文多省)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되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명원(明遠)@양조 - 양조(楊照)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무신. 요동총병관(遼東總兵官) 등을 지내고, 달자(韃子)와 싸우다 전사했는데, 허봉(許篈)의 《조천기(朝天記)》에 그 전말이 자세함.
1524~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명원(明遠)@강제 - 강제(姜霽)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의(引儀) 강응청(姜應淸)의 아들로, 영덕 현감(盈德縣監)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냄.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遠)@이수 - 이수(李睟)
조선 후기의 종친. 덕양군(德陽君) 이기(李歧)의 손자이며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이후 《선원록(璿源錄)》의 보수에 참여하고, 1617년(광해군 9)에 종친을 모아 이이첨(李爾瞻)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호종함.
1569~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원(明遠) - 이광(李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이계남(李季男)의 아들로, 연산군 때 불재(佛齋)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정거(停擧) 처분을 받았으며,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 등을 역임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74~149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遠)@윤명원 - 윤명원(尹明遠)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참판 윤비경(尹飛卿)의 아들이며, 포암(圃巖) 윤봉조(尹鳳朝)의 아버지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遠)@포조 - 포조(鮑照)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며, 칠언시(七言詩)의 기초를 닦아 당(唐) 나라 시인에게 큰 영향을 끼침. 시문에서 흔히 사영운(謝靈運)ㆍ안연지(顔延之)와 함께 병칭되며, 〈의행로난(擬行路難)〉 등 명작을 남김.
414?~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명원군왕(溟源郡王) - 김주원(金周元)
통일신라 때의 왕족. 혜공왕(惠恭王) 때 이찬(伊飡)으로 시중(侍中)을 지내는 등 강성하였으나, 선덕왕(宣德王) 사후에 왕위계승전에서 패배하여 강릉으로 물러나 세력을 이루고 강릉김씨(江陵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강릉 , 인명>왕실>종친
-
명원루(明遠樓) - 조양각(朝陽閣)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부사(府使) 이용(李容)이 경상도 영천(永川)에 지은 누각.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되었다가 인조(仁祖) 때 중수됨. 내부에 서거정(徐居正)의 시 등이 남아 있음.
136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누정
-
명원부원군(溟源府院君) - 김광을(金光乙)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되어 명원부원군(溟源府院君)으로 봉해졌으며, 벼슬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성로(東城老) - 강희이(姜希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나식(羅湜)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
-
동성이씨(東城李氏) - 사천이씨(泗川李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국자진사(國子進士)로 송악 군수(松岳郡守)를 지낸 이식(李軾)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집단>성씨
-
동소문(東小門) - 혜화문(惠化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숙정문(肅靖門)과 흥인지문(興人之門) 사이에 있던 동북간문(東北間門). 양주(楊州)ㆍ포천(抱川) 방면으로 통하는 중요한 출입구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동수(童壽) - 구마라습(鳩摩羅什)
인도의 승려. 7세에 출가하여 소승교(小乘敎)와 대승교(大乘敎), 율(律)을 차례로 배운 뒤 출생지인 구자국(龜玆國)에서 포교활동을 함.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등 많은 경전을 번역하고,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로 칭함.
344~413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동숙(同叔)@사미원 - 사미원(史彌遠)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재상. 재상 한탁주(韓侂冑)를 죽이고 양후(楊后)와 결탁하여 권력을 잡았으며, 영종이 붕(崩)하자 조서를 위조하여 황태자 굉(竑)을 폐하고 이종을 세워 10년간 정권을 장악함.
1164~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숙(同叔)@안수 - 안수(晏殊)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재상ㆍ문인. 범중엄(范仲淹)의 스승이자 부필(富弼)의 장인으로, 재상을 지내고 한기(韓琦)ㆍ구양수(歐陽修) 등을 추천함. 시문(詩文)에 뛰어나 고아한 풍격의 사(詞)를 지음.
991~105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숙(同叔) - 박종량(朴宗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박은(朴誾)의 아들이며, 참판(參判)을 지낸 박공량(朴公亮)의 아우임.
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동순빙리(冬笋冰鯉)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동아(東阿)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동아공(東阿公) - 우신행(于愼行)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상중(喪中)에 출사한 장거정(張居正)의 행위를 논하다가 미움을 받아 낙향하고, 후에 복직하여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지냄. 풍기(馮琦)와 함께 문학(文學)으로 명성을 떨침.
1545~160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악(東岳)@노선경 - 노선경(盧善卿)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도염서 승(都染署丞) 노갑생(盧甲生)의 아들. 함양 군수(咸陽郡守)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학문 연구와 후진 교육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동악(東岳)@태산 - 태산(泰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泰安) 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서 위치상 동악(東岳)에 해당하며, 중국 역대 왕조의 국가적 행사인 봉선(封禪)이 열리던 곳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동악(東岳) - 이안눌(李安訥)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덕수(德水).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의 증손이며,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종숙(從叔). 당시(唐詩)에 능하여 이태백에 비유되었고 글씨도 잘 썼음.
157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악선생(東岳先生) - 노선경(盧善卿)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도염서 승(都染署丞) 노갑생(盧甲生)의 아들. 함양 군수(咸陽郡守)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학문 연구와 후진 교육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동악선생속집(東岳先生續集) - 동악집(東岳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 문신ㆍ문인인 이안눌(李安訥)의 시문집. 원집 26권과 속집으로 구성됨. 1639년(인조 17) 재종질인 이식(李植)과 조카 이침(李梣)이 수집, 편차하여 전주(全州)에서 간행함.
163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동악선생집(東岳先生集) - 동악집(東岳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 문신ㆍ문인인 이안눌(李安訥)의 시문집. 원집 26권과 속집으로 구성됨. 1639년(인조 17) 재종질인 이식(李植)과 조카 이침(李梣)이 수집, 편차하여 전주(全州)에서 간행함.
163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동안거사(動安居士) - 이승휴(李承休)@고려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가리이씨(加利李氏)의 시조. 충렬왕 때 국왕의 실정과 국왕 측근의 폐단을 간언하다가 파직된 후 삼척(三陟) 구동(龜洞)의 용안당(容安堂)에 은거하면서 《제왕운기(帝王韻紀)》ㆍ《내전록(內典錄)》 등을 저술함.
1224~130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동암(恫菴) - 한윤명(韓胤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고,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냄.
152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암(東巖)@노경린 - 노경린(盧慶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유학을 숭상하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천곡서원(川谷書院)을 세움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동암(東巖)@권성오 - 권성오(權省吾)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권호신(權虎臣)의 아들로, 1612년(광해군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름. 저서로 《동암집(東巖集)》이 있음.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암(東巖)@이영도 - 이영도(李詠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과 싸웠고, 전재민(戰災民) 구호와 군량미를 조달하여 명관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현풍 현감(玄風縣監) 때 뛰어난 치적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음.
1559~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동암(東巖) - 이발(李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중호(李仲虎)의 아들. 동인(東人)의 거두로서 정철(鄭澈)의 처벌문제에 강경파를 이끌어 북인(北人)의 수령이 되었으며,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44~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암(東菴) - 이진(李瑱)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아버지. 정당문학(政堂文學)ㆍ검교첨의정승(檢校僉議政丞) 등을 지내고,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섭렵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남.
1244~132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동암수(東巖叟) - 이천(李仟)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보승 별장(保勝別將) 이순(李順)의 아들로, 응양군 대장군(鷹揚軍大將軍)ㆍ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동애(東厓) - 허자(許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원(許瑗)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이기(李芑) 등과 함께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96~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애(桐崖) - 안중묵(安重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박광전(朴光前)ㆍ정개청(鄭介淸)에게 수학하고, 정구(鄭逑)의 효렴(孝廉) 천거로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ㆍ의영고 직장(義盈庫直長) 등을 지냄.
1556~16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동야(東野) - 맹교(孟郊)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한유(韓愈)와 교류하였으며, 북송(北宋)의 강서파(江西派)에 영향을 줌.
751~81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동야(桐爺) - 정온(鄭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다가 유배됨.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사직한 후 덕유산(德裕山)에 들어가 은거함.
1569~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동양(東楊) - 양영(楊榮)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성조(成祖)의 북정(北征)에 여러 차례 참여하고, 네 황제를 섬기면서 정사를 잘 보좌하여 양우(楊寓)ㆍ양부(楊溥)와 함께 ‘삼양(三楊)’이라 일컬어짐.
1371~144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양(東陽)@허겸 - 허겸(許謙)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김이상(金履祥)의 제자로, 사서(四書) 등을 깊이 연구하여 주소(註疏)를 내었으며, 《모시명물초(毛詩名物鈔)》 등의 저서가 있음.
1270~133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양(東陽)@신익성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동양(東陽) - 신상(申鏛)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함.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
1480~153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동양(東陽)@이동양 - 이동양(李東陽)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40여 년 동안 조정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당(盛唐)의 시풍(詩風)을 추구하여 당시(唐詩) 부흥 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함.
1447~151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양도위(東陽都尉)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동양신씨(東陽申氏) - 평산신씨(平山申氏)
고려의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태사(太師)에 추증되고 태조(太祖)의 묘정(廟庭)에 배향된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황해도>평산 , 인명>집단>성씨
-
동양위(東陽尉)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동양정(東陽正) - 이서(李徐)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일곱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동양허씨(東陽許氏) - 허겸(許謙)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김이상(金履祥)의 제자로, 사서(四書) 등을 깊이 연구하여 주소(註疏)를 내었으며, 《모시명물초(毛詩名物鈔)》 등의 저서가 있음.
1270~133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언(東彦) - 박동언(朴東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박응순(朴應順)의 아들이고, 선조의 비(妃)인 의인왕후(懿仁王后)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강원도 소모사(江原道召募使)로 활약하였고, 봉산 군수(鳳山郡守) 등을 지냄.
1553~160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연(東淵) - 왕우(王遇)
중국 송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요덕명(廖德明)ㆍ황간(黃榦) 등과 교유함. 우사 낭중(右司郞中)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논맹강의(論孟講義)》 등을 남김.
1141~121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열(東說) - 박동열(朴東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이항복(李恒福)과 교유했고,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이를 적극 반대했음. 시문(詩文)에 능하였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 및 국조의 고사에 두루 통하였음.
1564~16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영(東瀛)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동오(東吳) - 오(吳)@삼국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국명. 손권(孫權)이 유비(劉備)와 결탁하여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대파한 뒤 세운 왕조로, 4대 52년간 존속.
222~28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동오(童烏) - 양오(揚烏)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인 양웅(揚雄)의 아들. 9세에 아버지 양웅과 학문을 논할 수 있을 만큼 총명했으나 요절함. 송(宋)의 소식(蘇軾)이 양오에 대한 애석함을 시로 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동오리교(東五里橋) - 어양교(漁陽橋)
중국 계주(薊州)에 있는 다리 이름. 당(唐) 나라의 안녹산(安祿山)과 양귀비(楊貴妃)의 형상을 새겼다고 전하며, 연행(燕行)하는 조선 사신들이 반드시 거쳐 가는 장소임.
중국>당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동옥(東玉) - 송병순(宋秉珣)
조선 고종(高宗)~근대의 문신ㆍ순국지사. 본관은 은진(恩津).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토오적문(討五賊文)〉을 지어 민족정기의 앙양과 국권회복을 호소하고, 경술국치(庚戌國恥) 후에 일제의 회유책에 맞서 음독 자결함.
1839~1912 한국>근대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동왕(東王)@유운 - 유운(劉雲)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제후. 애제 즉위 초에 모반(謀反)을 일으키려 한다는 식부궁(息夫躬)의 무고(誣告)로 치죄(治罪)를 받게 되자 자살하였으며, 뒤에 기시(棄市)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동왕(東王)@양영 - 양영(楊榮)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성조(成祖)의 북정(北征)에 여러 차례 참여하고, 네 황제를 섬기면서 정사를 잘 보좌하여 양우(楊寓)ㆍ양부(楊溥)와 함께 ‘삼양(三楊)’이라 일컬어짐.
1371~144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왕(東王)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동왜(東倭)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동우(東雨) - 박동우(朴東雨)
고려 후기의 문인. 이첨(李詹)ㆍ원천석(元天錫) 등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동원(東原)@강릉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동원(東原) - 박시형(朴始亨)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동원(東園) - 김귀영(金貴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선조 때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임해군(臨海君)을 호종하고 피난 갔다가 왜군의 포로가 된 일로 희천(熙川)으로 유배되어 죽음.
1520~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원(東園)@이승언 - 이승언(李承彦)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한성부 참군(漢城府參軍)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동원(桐原) - 호영(胡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로부터 학문이 견실하고 굳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저서에 《논어연설(論語衍說)》이 있으나, 세상에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원(桐源) - 호영(胡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로부터 학문이 견실하고 굳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저서에 《논어연설(論語衍說)》이 있으나, 세상에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원(桐源)@서명선 - 서명선(徐命善)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조 참판(吏曹參判) 때 세손(世孫)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洪麟漢) 일파를 탄핵하여 정조의 즉위에 공헌하였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28~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원(洞源) - 호영(胡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로부터 학문이 견실하고 굳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저서에 《논어연설(論語衍說)》이 있으나, 세상에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원(銅源) - 동천(銅川)
중국 섬서성(陝西省) 황토고원(黃土高原)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낙양(洛陽)에서 장안(長安)으로 들어가는 교통의 요지.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동원공(東園公) - 당병(唐秉)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秦) 말의 혼란을 피하여 은거하였다가 신선이 되었다는 상산사호(商山四皓) 중의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동원군(東原君) - 함부림(咸傅霖)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검교 중추원학사(檢校中樞院學士) 함승경(咸承慶)의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360~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원군(東原君)@최연 - 최연(崔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최세건(崔世楗)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소윤(小尹)에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동원군(東原君)에 봉해짐. 《무정보감(武定寶鑑)》을 편찬하고, 시문(詩文)에 능함.
1503~154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원선생(洞源先生) - 호영(胡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로부터 학문이 견실하고 굳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저서에 《논어연설(論語衍說)》이 있으나, 세상에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원선생문집(東園先生文集) - 동원집(東園集)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김귀영(金貴榮)의 문집. 8세손인 김우현(金禹鉉)이 저자의 시문을 정리하고, 1934년 12세손 김교희(金敎熙)가 편찬하여 1935년에 간행함. 3책.
1935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동원자(東園子) - 정대인(鄭大人)
중국 명(明) 효종(孝宗) 때의 문신. 안찰제조 학교부사(按察提調學校副使)를 지냄. 《표해록(漂海錄)》의 저자 최보(崔溥)가 항주(杭州)에서 만난 인물.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원최씨(東原崔氏) - 강릉최씨(江陵崔氏)
고려 전기 경흥부원군(慶興府院君)에 봉해진 최필달(崔必達) 계통과, 고려 태조(太祖)의 부마(駙馬)인 최흔봉(崔欣奉) 계통과,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부마인 최문한(崔文漢) 계통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집단>성씨
-
동유록(東遊錄) - 관동록(關東錄)@홍인우
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 1책. 목판본.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유시고(東遊詩稿) - 관동록(關東錄)@홍인우
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 1책. 목판본.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은(峒隱) - 이의건(李義健)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1564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이항복(李恒福)의 추천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이 되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명현(名賢)들과 교유함. 저서로 《동은집(峒隱集)》이 있고, 광주(廣州) 수곡서원(秀谷書院)ㆍ영평(永平) 옥병서원(玉屛書院)에 배향됨.
1533~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문인
-
동은(桐隱) - 이재홍(李在弘)
고려 후기의 은자.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ㆍ김석주(李錫周)ㆍ김대윤(金大潤) 등과 함께 충의(忠義)로 결의를 맺은 ‘팔은(八隱)’ 중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동은(洞隱)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동음(冬音) - 강진(康津)
전라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청자의 주요 생산지였으며,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19년간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잘 알려짐.
전라도>강진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