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동음(洞陰) - 영평(永平)
경기도 북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현재는 경기도 포천시(抱川市)에 속함.
경기도>영평 , 지명>행정지명
-
동음수(洞陰守) - 이성손(李盛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맏아들로, 일찍 죽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동음홀(冬音忽)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동인문(東人文) - 동인지문(東人之文)
고려 후기의 학자 최해(崔瀣)가 편찬한 시문집(詩文集). 신라 최치원(崔致遠)으로부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까지 명가(名家)의 작품들을 모아 엮음.
1338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인시(東人詩) - 동인지문(東人之文)
고려 후기의 학자 최해(崔瀣)가 편찬한 시문집(詩文集). 신라 최치원(崔致遠)으로부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까지 명가(名家)의 작품들을 모아 엮음.
1338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자(董子)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재(動齋) - 백문보(白文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직산(稷山). 문장이 뛰어나 예종(睿宗)과 인종(仁宗) 양조(兩朝)의 국사를 초(草)하였으며, 불교(佛敎)를 배척하였음.
1303~137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문신
-
동재(東齋) - 박기년(朴耆年)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조 판서를 지낸 박중림(朴仲林)의 아들로, 단종(端宗) 복위를 도모하다가 여러 형제들과 함께 대역죄로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동재(棟材) - 양동재(梁棟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낸 양준(梁遵)의 아들로, 문과에 급제하여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동정(東亭) - 염흥방(廉興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 지신사(知申事)로서 홍건적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으나, 비행을 일삼으며 국정을 문란하게 하여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동정(桐亭) - 윤소종(尹紹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고려 때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역임하고, 조선 개국 후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수문관 대제학(修文館大提學)을 지냄.
1345~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조신군(東照神君) - 덕천가강(德川家康)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초대 장군(將軍). 풍신수길(豊臣秀吉) 아래에서 빼어난 전략가로 있었으나 풍신수길 사후 그의 일족을 멸하고 전국(戰國)을 제패하여 강호 막부(江戶幕府)를 세움.
1543~1616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동주(東州) - 철원(鐵原)
강원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궁예(弓裔)가 세운 태봉국(泰封國)의 수도로 후삼국시대 중심지의 하나이며, 우리나라 중앙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강원도>철원 , 지명>행정지명
-
동주(東洲)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주(洞州) - 서흥(瑞興)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교통상의 요지이며, 고려 원종(元宗) 때 임금의 태(胎)를 이곳에 묻음.
황해도>서흥 , 지명>행정지명
-
동주선생일고(東洲先生逸稿) - 동주유고(東洲遺稿)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제원(成悌元)의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906년 후손 성기운(成璣運)이 편집, 간행함. 권두에 송병선(宋秉璿)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병준(宋秉俊)과 성기운의 발문이 있음.
1906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동주소선(東洲笑仙)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주일고(東洲逸稿) - 동주유고(東洲遺稿)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제원(成悌元)의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906년 후손 성기운(成璣運)이 편집, 간행함. 권두에 송병선(宋秉璿)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병준(宋秉俊)과 성기운의 발문이 있음.
1906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동진(東津) - 이노(李輅)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양녕대군(讓寧大君)의 6대손이며 교하 현감(交河縣監) 이원우(李元友)의 아들.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돈녕부 판사(敦寧府判事) 등을 지냄.
1536~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참홀(冬參忽)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동창(東窓) - 김준손(金駿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일손(金馹孫)의 맏형. 무오사화(戊午士禍) 로 유배되어 있던 호남(湖南)에서 연산군(燕山君)의 난정(亂政)을 규탄하는 천위사(遷位事)를 조야에 전격(傳檄)함.
1454~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동창포(東昌鋪)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동천(東川) - 이상길(李尙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1602년(선조 35) 정인홍(鄭仁弘)ㆍ최영경(崔永慶) 등을 정여립(鄭汝立)의 일당으로 몰아 추론한 죄로 유배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1637년(인조15)에 자결함. 이항복(李恒福) 등과 교유함.
1556~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천(東泉)@석성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천(東泉) - 김식(金湜)@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량과(賢良科)에 장원 급제하고,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개혁정치를 펼쳤으나,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다가 자결함. 선조(宣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482~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천군(東川君) - 신덕하(申德夏)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10대손. 황해 병사(黃海兵使)로 재임 중 죽음.
?~174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동청(冬靑) - 이연손(李延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승(李昇)의 아들이며, 윤번(尹璠)의 사위. 세조가 즉위하자 상호군(上護軍)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공조 참판(工曹參判) 등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동초산(東樵山) - 나부산(羅浮山)
중국 광동성(廣東省) 혜주(惠州)에 있는 산 이름. 중국 10대 명산(名山)의 하나로 도교(道敎)의 명산으로 일컬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동촌(東村)@황여헌 - 황여헌(黃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으로,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황관(黃瓘)의 아들이며 황맹현(黃孟獻)의 아우. 문장과 글씨에 능하며, 〈죽지사(竹枝詞)〉라는 작품은 명(明) 나라에서도 격찬을 받음.
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촌(東村) - 홍인경(洪仁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덕윤(洪德潤)의 아들로, 1553년(명종 8)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촌(桐村) - 김린(金麟)
조선 전기의 문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을 지내다가 1458년(세조 4)에 은퇴하면서 장흥(長興)에 가정사(假亭舍)를 건립하였는데, 선조(宣祖) 때 후손 김성장(金成章)이 중건하고 ‘동백정(冬柏亭)’이라고 개명함.
1392~14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동춘(同春) - 송준길(宋浚吉)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기년제(朞年祭)를 주장함. 송시열(宋時烈)과 동종(同宗)이면서 학문 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李珥)의 학설을 지지함.
1606~16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춘당(同春堂) - 송준길(宋浚吉)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기년제(朞年祭)를 주장함. 송시열(宋時烈)과 동종(同宗)이면서 학문 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李珥)의 학설을 지지함.
1606~16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춘당선생문집(同春堂先生文集) - 동춘당집(同春堂集)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집. 목판본. 1682년(숙종 8)에 왕명으로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을 준비하고, 송시열(宋時烈)이 교정하여 1687년(숙종 13)경에 간행함. 목록 1권, 원집 24권을 합쳐 13책.
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춘별집(同春別集) - 동춘당집(同春堂集)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집. 목판본. 1682년(숙종 8)에 왕명으로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을 준비하고, 송시열(宋時烈)이 교정하여 1687년(숙종 13)경에 간행함. 목록 1권, 원집 24권을 합쳐 13책.
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태자(東太子) - 유소(劉劭)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태자. 문제(文帝)의 맏아들로, 많은 과실을 저지르고서 무고(巫蠱)로 몰아 모면하려다 폐위될 위기에 처하자 문제를 시해하고 스스로 제위(帝位)에 올랐으나, 동생 효무제(孝武帝)에게 죽임을 당함.
424?~45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동토(童土) - 윤순거(尹舜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혼(成渾)의 외손자이자 윤황(尹煌)의 아들로, 백부인 윤수(尹燧)에게 출계함. 성문준(成文濬)ㆍ강항(姜沆)ㆍ김장생(金長生)에게 수학하였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96~166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파(東坡)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파거사(東坡居士)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파칠집(東坡七集) - 동파전집(東坡全集)
중국 북송(北宋)의 정치가이며 문학가인 소식(蘇軾)의 시문집. 《동파집(東坡集)》40권과 《동파후집(東坡後集)》20권에 《주의(奏議)》ㆍ《내제집(內制集)》ㆍ《외제집(外制集)》ㆍ《응소집(應詔集)》ㆍ《속집(續集)》을 합친 것을 이름. 115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평(東平)@유운 - 유운(劉雲)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제후. 애제 즉위 초에 모반(謀反)을 일으키려 한다는 식부궁(息夫躬)의 무고(誣告)로 치죄(治罪)를 받게 되자 자살하였으며, 뒤에 기시(棄市)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동평(東平)@소평 - 소평(邵平)
중국 진(秦) 나라의 제후. 진 나라의 몰락한 귀족 출신으로 한(漢) 나라의 승상인 소하(蕭何)와 친교가 깊었지만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생활을 즐김.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동평(東平)@유창 - 유창(劉蒼)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박학다재(博學多才)하여 공경(公卿)들과 주요 제도를 의정(議定)하였으며, 명제(明帝)의 두터운 신임을 받음.
?~83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동평(東平) - 마신(馬伸)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이천(伊川) 정이(程頤)의 문인으로, 이천이 핍박받을 때 매일 찾아가 마침내 제자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평공(東平公) - 정재륜(鄭載崙)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부마. 본관은 동래(東萊).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의 아들로 좌의정 정치화(鄭致和)에게 출계하여 효종의 다섯째 딸인 숙정공주(淑靜公主)와 혼인함.
1648~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ㅣ인명>문사>문인
-
동평군(東平君) - 신경유(申景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평군(東平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등을 역임했지만 방자한 행동과 탐욕 등으로 탄핵을 받음.
1581~163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동평부(東平府) - 운주(鄆州)
중국 산동성(山東省)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수(隋) 나라 때 설치되었으며, 북송(北宋) 말에 동평부(東平府)로 개칭됨. 치소(治所)는 만안(萬安)으로, 후에 운성(鄆城)으로 개칭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동평왕(東平王)@유운 - 유운(劉雲)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제후. 애제 즉위 초에 모반(謀反)을 일으키려 한다는 식부궁(息夫躬)의 무고(誣告)로 치죄(治罪)를 받게 되자 자살하였으며, 뒤에 기시(棄市)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동평왕(東平王) - 유우(劉宇)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의 아들. 원제(元帝)가 즉위한 후 전횡(專橫)하였음.
?~B.C.2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동평왕(東平王)@유창 - 유창(劉蒼)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박학다재(博學多才)하여 공경(公卿)들과 주요 제도를 의정(議定)하였으며, 명제(明帝)의 두터운 신임을 받음.
?~83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동평위(東平尉) - 정재륜(鄭載崙)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부마. 본관은 동래(東萊).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의 아들로 좌의정 정치화(鄭致和)에게 출계하여 효종의 다섯째 딸인 숙정공주(淑靜公主)와 혼인함.
1648~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ㅣ인명>문사>문인
-
동표(東標) - 이동표(李東標)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운익(李雲翼)의 아들로,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화를 당한 박태보(朴泰輔) 등을 신구(伸救)하다가 양양 현감(襄陽縣監)으로 좌천되었으며, 낙향한 후 여러 번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644~17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동학(童學) - 마라난타(摩羅難陀)
백제에 최초로 불교를 전래한 인도 승려. 384년(침류왕 1) 중국의 동진(東晉)을 거쳐 백제에 들어와 불법(佛法)을 전파하고, 이듬해에 한산(漢山)에 백제 최초의 절을 건립함.
한국>백제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동학사(東學寺) - 동학사(東鶴寺)
충청남도 공주(公州)의 계룡산(鷄龍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회의화상(懷義和尙)이 상원사(上願寺)를 창건한 것이 시초로, 조선 세조(世祖) 때 사액(賜額)됨.
724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사찰
-
동한서(東漢書) - 후한서(後漢書)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범엽(范曄)이 기전체(紀傳體)로 엮은 후한(後漢)의 정사(正史). 120권. 광무제(光武帝)에서 헌제(獻帝)까지 196년간의 역사 기록.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동한절의진송청담동이론(東漢節義晉宋淸談同異論) - 동한진송소상부동(東漢晉宋所尙不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개청(鄭介淸)이 쓴 책. 주희(朱熹)의 글을 읽고 합치되는 뜻을 모아 한편으로 만든 책.
158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해(東海) - 장필(張弼)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남안지부(南安知府) 등을 역임했으며, 시문에 능했고 초서(草書)에 뛰어나 서웅(書雄)으로 칭해짐.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동해군공(東海郡公) - 이적(李勣)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고종(高宗) 때의 명장. 요동도 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總官)으로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안시성(安市城)을 침공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가 재차 침공하여 고구려를 멸망시킴. 이정(李靖)과 함께 ‘영위(英衛)’로 병칭됨.
594~66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동해낭옹(東海浪翁) - 심언경(沈彦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예조 좌랑 심준(沈濬)의 아들로, 1529년(중종 24) 동생 심언광(沈彦光)과 함께 김안로(金安老)의 용서를 주청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동해자(東海子) - 송능상(宋能相)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송시열(宋時烈)의 현손이며, 한원진(韓元震)의 문인(門人)으로, 윤봉구(尹鳳九) 등 노론 학자들과 교유하였으며,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묘향산(妙香山)에 들어가 《대학(大學)》을 강론함.
1709~175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헌(桐軒) - 윤소종(尹紹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고려 때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역임하고, 조선 개국 후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수문관 대제학(修文館大提學)을 지냄.
1345~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현(同玄) - 윤관(尹瓘)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무신. 별무반(別武班)을 창설하고 예종 때 구성(九城)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女眞)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11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동호(東湖)@변영청 - 변영청(邊永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주부원군(原州府院君) 변광(邊廣)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남원 부사(南原府使)ㆍ대구 부사(大丘府使)ㆍ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1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동호(東湖)@동호문답 - 동호문답(東湖問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가 지은 글. 1569(선조 2) 이이가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로 독서당(讀書堂)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하면서 쓴 것으로, 자신의 정치관(政治觀)을 문답식으로 서술하여 선조에게 올림.
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동호(東湖)@권평숙 - 권평숙(權平叔)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동호(東湖) - 주문보(周文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붕(周世鵬)의 아버지로, 세거하던 합천(陜川)에서 칠원(漆原)으로 옮겨 가 살았으며, 향인(鄕人)의 존경을 받았다 함.
1467~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동호(銅虎) - 조동호(趙銅虎)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조려(趙旅)의 아들이자 집의(執義) 조참(趙參)ㆍ상주 목사(尙州牧使) 조적(趙績)ㆍ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조순(趙舜)의 아버지로, 진산 군수(珍山郡守) 등을 지냄.
144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동호독서당(東湖讀書堂) - 독서당(讀書堂)
조선 성종(成宗) 때 국가의 중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세운 전문 독서연구 기구. 1426년(세종 8) 문장이 뛰어난 집현전(集賢殿) 관리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하게 한 사가독서제(賜暇讀書制)로부터 비롯되어, 1492년(성종 23) 서거정(徐居正)의 주청으로 상설국가기구로 설치됨.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동호선생(東湖先生) - 왕우(王遇)
중국 송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요덕명(廖德明)ㆍ황간(黃榦) 등과 교유함. 우사 낭중(右司郞中)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논맹강의(論孟講義)》 등을 남김.
1141~121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회(東淮)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동회거사(東淮居士)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동흥부원군(東興府院君) - 권상(權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권진(權振)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선공감 정(繕工監正)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후에 영의정(領議政) 동흥부원군(東興府院君)에 추증됨.
1508~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두(㞳) - 한두(韓㞳)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세환(韓世桓)의 아들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명종 때 동지사(冬至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역임함.
1501~15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두(㞳)@최두 - 최두(崔㞳)
조선 전기의 유학.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두(斗) - 이두(李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1528년(중종 23)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두(枓) - 정두(鄭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진사 정언보(鄭彦輔)의 아들이며,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의 아버지로,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지냄.
1508~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두^규(斗^奎) - 규^두(奎^斗)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열다섯째 별자리인 규성(奎星)과 여덟째 별자리인 두성(斗星)을 함께 부르는 말. 규성은 서쪽, 두성은 북쪽에 위치함.
자연물>기타자연물
-
두^기(斗^箕) - 기^두(箕^斗)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기성(箕星)과 두성(斗星)을 함께 부르는 말. 각각 동방과 북방에 자리한 별로, 두 별 사이에 은하(銀河)가 가로놓여 있어 흔히 서로의 거리가 먼 것을 비유함.
자연물>기타자연물
-
두^이(杜^李) - 보^백(甫^白)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와 이백(李白)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두가(杜家)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강(豆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두경(斗卿) - 정두경(鄭斗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온양(溫陽). 이항복(李恒福)의 문인으로,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내고 대제학(大提學)에 추증됨.
1597~167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두경(斗經) - 권두경(權斗經)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유(權濡)의 아들이며,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으로,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시와 문장에 뛰어나고, 인물의 출처(出處)와 정치의 득실(得失) 등 다방면에 안목이 뛰어남.
1654~17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곡(杜谷) - 고응척(高應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범(金範)의 문인. 《대학(大學)》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詩)ㆍ부(賦)ㆍ가(歌)ㆍ곡(曲) 등으로 표현함.
1531~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곡(杜谷)@홍우정 - 홍우정(洪宇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한성 서윤(漢城庶尹) 홍영(洪榮)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홍석(洪錫)ㆍ정양(鄭瀁)ㆍ강흡(姜恰)ㆍ심장세(沈長世)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1593~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두곡(杜谷)@이권 - 이권(李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부제학(副提學) 이해수(李海壽)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해수와 함께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장악원 정(掌樂院正)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5~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두곡(豆谷) - 최선복(崔善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군사(郡事)를 지낸 최자해(崔自海)의 아들. 보덕(輔德)ㆍ부윤(府尹)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두곡선생문집(杜谷先生文集) - 두곡집(杜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고응척(高應陟)의 문집. 2권 1책. 필사본.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대부분 소실되고 그 나머지가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두공(㞳崆) - 김식(金湜)@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량과(賢良科)에 장원 급제하고,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개혁정치를 펼쳤으나,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다가 자결함. 선조(宣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482~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공(杜公)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공부(杜工部)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굉(斗紘) - 권두굉(權斗紘)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유(權濡)의 아들이자, 창설재(蒼雪齋) 권두경(權斗經)의 아우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郎)을 지낸 권만(權萬)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668~174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두군(杜君) - 두겸(杜兼)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호주 자사(濠州刺史)ㆍ하남 윤(河南尹) 등을 역임하였는데, 두우(杜佑)의 보살핌을 받았음.
?~80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두남(斗南)@태두남 - 태두남(太斗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순(永順). 담론(談論)을 잘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종부시 정(宗簿寺正)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좌천됨.
1486~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두남(斗南) - 오인걸(吳人傑)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며 주역(周易)에 밝아 《역도설(易圖說)》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두년(斗年) - 성두년(成斗年)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아버지로, 효성과 우애로 널리 알려짐. 추천으로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며,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에 증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두란(杜蘭) - 목련(木蓮)
목련과(木蓮科)의 낙엽교목(落葉喬木).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함. 꽃이 아름다워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에서는 7등에 속해 있음.
자연물>식물
-
두란첩목아(豆蘭帖木兒) - 이지란(李之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 아라불화(阿羅不花)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고려에 귀화함.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31~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북청ㅣ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두로(杜老)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로(蠹老)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