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마등(摩騰) - 가섭마등(迦葉摩騰)
고대 인도의 승려. 후한(後漢) 때 중국에 불법을 최초로 전하고 불경을 번역하였으며, 낙양(洛陽)에서 죽었음.
중국>후한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마라란타(摩羅蘭陀) - 마라난타(摩羅難陀)
백제에 최초로 불교를 전래한 인도 승려. 384년(침류왕 1) 중국의 동진(東晉)을 거쳐 백제에 들어와 불법(佛法)을 전파하고, 이듬해에 한산(漢山)에 백제 최초의 절을 건립함.
한국>백제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마로(麻老) - 홍일동(洪逸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선위사(宣慰使)의 직함을 띠고 명승지를 유람하던 중 홍주(洪州)에서 죽음.
?~146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마리산(摩利山) - 마니산(摩尼山)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 화도면(華道面)에 있는 산 이름. 두악산(頭嶽山)이라고도 부르며, 산 정상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했다는 참성단(塹城壇)이 있음.
경기도>강화 , 지명>자연지명
-
마백미(馬白眉) - 마량(馬良)
중국 삼국(三國時代) 촉(蜀) 나라의 장군. 제갈량(諸葛亮)과 친교를 맺었음. 오형제 중에서 재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백미(白眉)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인물.
187~22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마복(馬服) - 조괄(趙括)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무신. 마복군(馬服君) 조사(趙奢)의 아들로, 임기응변에 어두워 진(秦) 나라 무안군(武安君) 백기(白起)에게 참패를 당해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마복군(馬服君) - 조사(趙奢)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무신. 조괄(趙括)의 아버지로, 한(漢) 나라와 진(秦) 나라가 알여(閼與)에서 싸울 때 진군(秦軍)을 대파하여 한 나라를 구원한 공으로 마복군(馬服君)에 봉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마사(馬史) - 사기(史記)
중국 전한(前漢)의 사마천(司馬遷)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기전체(紀傳體) 통사(通史). 황제(黃帝) 때부터 전한의 무제(武帝) 천한 연간(天漢年間)까지 약 3000여 년의 역사를 서술.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마산(馬山)@한산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마산(馬山) - 면천(沔川)
충청남도 당진(唐津)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면천 , 지명>행정지명
-
마산(麻山) - 마감산(麻甘山)
경상도 안동(安東)의 서쪽에 위치한 산 이름. 이황(李滉)의 문인인 권호문(權好文)의 묘가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마산정(馬山亭) - 호호정(浩浩亭)
조선 전기에 읍청(挹淸) 박사종(朴嗣宗)이 충청도 영동(永同)에 건립한 누정(樓亭). 임진왜란 때 소실(燒失)되었으나 1959년 복원하고서 호서루(湖西樓)로 개명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유적>건물>누정
-
마상옹(馬上翁)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마상지내옹(馬上之乃翁)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마성군(麻城君) - 서익(徐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李珥)ㆍ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
1542~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마수(麻叟) - 홍일동(洪逸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선위사(宣慰使)의 직함을 띠고 명승지를 유람하던 중 홍주(洪州)에서 죽음.
?~146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마시(馬試) - 사마시(司馬試)
조선시대의 과거 제도의 하나. 생원시(生員試)와 진사시(進士試)로 구성되는데, 생원시는 오경의(五經義)와 사서의(四書疑)의 제목으로 유교 경전에 관한 지식을, 진사시는 부(賦)와 시(詩)의 제목으로 문예 창작의 재능을 시험함. 초시(初試)와 복시(覆試)로 진행되고, 대과(大科)를 볼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됨.
1393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마애(磨厓) - 권예(權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 구원에 앞장섰고, 김안로(金安老)와 함께 복성군 옥사(福城君獄死)를 일으켜 심정(沈貞)ㆍ성세창(成世昌) 등을 파직ㆍ사사(賜死)시킴.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마연(馬淵) - 마렵연(馬鬣淵)
황해도 장련(長連)에 있는 못 이름. 구월산(九月山) 중턱에서 흘러나와서 부연(釜淵), 요연(腰淵)과 합쳐져 서쪽 바다로 흘러들어감.
황해도>장련 , 지명>자연지명
-
마운두성(劘雲頭城) - 운두성(雲頭城)
함경도 회령(會寧) 서쪽 50리 지점에 있던 석성(石城). 둘레는 10여 리로, 산세가 험준하고 두만강(豆滿江)이 그 밑을 둘러싸면서 흘러 천연적인 요새를 이룸.
함경도>회령 , 유적>시설>성,진,책
-
마읍(馬邑)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마의구공자(麻衣舊公子) - 마의태자(麻衣太子)
신라 제56대 경순왕(敬順王)의 아들. 신라가 후백제 견훤(甄萱)과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세력에 항복하자, 개골산(皆骨山)에 들어가 베옷을 입고 초근목피로 여생을 보냄.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마이봉(馬耳峯) - 마이산(馬耳山)
전라도 진안(鎭安) 남쪽에 있는 산 이름. 두 개의 암봉(岩峰)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동봉(東峰)과 서봉(西峰)의 모양이 말의 귀처럼 생겼다 하여 마이산(馬耳山)이라는 이름이 붙음.
전라도>진안 , 지명>자연지명
-
마자(馬訾)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마자수(馬訾水)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마자장(馬子長)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마자재(馬子才) - 마존(馬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초주(楚州)에 살았으며, 〈연사정(燕思亭)〉이라는 시에서 이백(李白)을 노래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마장(麻杖)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마재(磨齋) - 이총(李𤄓)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좌되어 울산(蔚山)으로 유배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마전군(麻田君) - 왕우(王瑀)@공양왕의동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아우. 조선 개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 고려 왕조의 제사를 받들기 위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마전천(麻田淺) - 마전(麻田)
경기도 연천(漣川)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마조(馬曹) - 왕휘지(王徽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녔고 대나무 그림에 능했음.
?~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마조(馬祖) - 도일(道一)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남악 회양(南岳懷讓)의 법을 이어 종풍(宗風)을 일시에 융성시키고, 후일 임제종(臨濟宗)으로 발전함. 일상생활 속에서 선(禪)을 실천하는, '평생심시도(平生心是道)'를 주창함.
709~788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마주(馬州) - 대마도(對馬島)
일본 장기현(長崎縣)에 속한 섬 이름. 한국과 일본의 중계지(中繼地) 역할을 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 수군의 근거지였음.
일본 , 지명>자연지명
-
마주후(馬州侯) - 종의지(宗義智)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로서 임진왜란 때 풍신수길(豐臣秀吉)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조선에 옴. 가신(家臣) 유천조신(柳川調信)의 보필로 풍신수길의 심복이 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마진(馬津) - 예산(禮山)
충청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온양군(溫陽郡), 서쪽으로 덕산현(德山縣)과 접해 있음. 오현(烏縣)으로 불리며 반포조(反哺鳥) 까마귀와 같은 효의 고장으로 이름 높음.
충청도>예산 , 지명>행정지명
-
마진(麻津) - 마포(麻浦)
서울 한강(漢江)에 있는 나루터 이름. 예로부터 한강의 대표적인 나루터로, 경기도의 농산물과 황해도의 수산물 집산지의 역할을 함.
서울 , 지명>행정지명
-
마천(摩天) - 곽마천(霍摩天)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곽광(霍光)의 아들.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마천(馬遷)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마천자(麻川子) - 홍일동(洪逸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선위사(宣慰使)의 직함을 띠고 명승지를 유람하던 중 홍주(洪州)에서 죽음.
?~146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마하가섭(摩訶迦葉) - 가섭(迦葉)
고대 인도의 승려. 석가(釋迦)의 십대(十大) 제자 중 한 사람. 본래 바라문으로, 석가가 성도(成道)한 지 3년쯤 뒤에 귀의하여 부처의 심인(心印)을 전해 받은 사람.
고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마하갑(摩訶岬) - 오관산(五冠山)
경기도 장단(長湍) 서쪽에 있는 산. 산꼭대기에 다섯 개의 작은 봉우리가 관(冠)처럼 둥그렇게 생겼으므로 오관산이라 부름. 이 산에 살던 효자 문충(文忠)의 이야기와 관련해 〈오관산곡(五冠山曲)〉이 전함.
경기도>장단 , 지명>자연지명
-
마하반야바라밀경석론(摩訶般若波羅蜜經釋論) - 대지도론(大智度論)
인도의 승려ㆍ학자인 용수(龍樹)가 저술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백과사전적 저작으로, 용수의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은 없고,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한역본(漢譯本) 100권만이 전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마하반야석론(摩訶般若釋論) - 대지도론(大智度論)
인도의 승려ㆍ학자인 용수(龍樹)가 저술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백과사전적 저작으로, 용수의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은 없고,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한역본(漢譯本) 100권만이 전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마한왕(馬韓王) - 준왕(準王)
고대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국왕. 망명하여 온 연(燕) 나라 사람 위만(衛滿)이 모반을 일으키자 마한(馬韓) 땅으로 도망하여 유민(流民)을 수습하고 한왕(韓王)이라 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마해(馬海) - 대마도(對馬島)
일본 장기현(長崎縣)에 속한 섬 이름. 한국과 일본의 중계지(中繼地) 역할을 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 수군의 근거지였음.
일본 , 지명>자연지명
-
마향(麻鄕) - 마전(麻田)
경기도 연천(漣川)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마홀(馬忽) - 포천(抱川)
경기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강원도 철원(鐵原)을 접하고 있음.
경기도>포천 , 지명>행정지명
-
마화상(馬和尙) - 도일(道一)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남악 회양(南岳懷讓)의 법을 이어 종풍(宗風)을 일시에 융성시키고, 후일 임제종(臨濟宗)으로 발전함. 일상생활 속에서 선(禪)을 실천하는, '평생심시도(平生心是道)'를 주창함.
709~788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마황후(馬皇后) -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검소하게 생활한 것으로 유명함.
?~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마후(馬后) -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검소하게 생활한 것으로 유명함.
?~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마희범(馬希範) - 문소왕(文昭王)
중국 오대십국 초(楚) 나라의 왕. 재위 932~947.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마힐(摩詰) - 왕유(王維)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 산수화에 능하고, 문인화(文人畫)의 시조로 추앙됨.
699~759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막래(莫來) - 모본왕(慕本王)
고구려 제5대 왕. 재위 48~53. 제3대 대무신왕(大武神王)의 아들로 49년에 한(漢) 나라를 공격하였다가 화친을 맺었으며,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망을 듣고 있던 가운데 신하 두로(杜魯)에게 피살됨.
?~53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막막상인(莫莫上人) - 자휴(自休)
고려 후기의 승려. 정추(鄭樞)의 《원재고(圓齋槀)》에 송시(送詩)가 실려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막야(莫邪)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鏌鎁)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검(莫邪劍)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검(鏌邪劍)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검(鏌鎁劍)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만(晩) - 장만(張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591년(선조 2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팔도 도원수(八道都元帥)ㆍ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1624년(인조 2)에 이괄(李适)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됨. 저서로 《낙서집(洛西集)》이 있음.
1566~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만(漫) - 신만(申漫)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후손. 경상 좌수사(慶尙左水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만(萬) - 권만(權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두굉(權斗紘)의 아들로,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움.
1688~17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만(蔓) - 노만(盧蔓)
고려시대의 문신. 광산백(光山伯) 노해(盧垓)의 후손으로, 광주노씨(光州盧氏)의 일세조(一世祖) 중 한 사람. 정승을 지내고 광주군(光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만(𡩄) - 구만(具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구사중(具思仲)의 아들.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5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각(晩慤) - 이만각(李晩慤)
조선 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의 조카. 경학연구 및 후진양성에 진력하였으며, 저서로 《신암문집(愼庵文集)》이 있음.
1815~18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학자
-
만간(萬幹) - 이만간(李萬幹)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이인전(李仁全)의 아버지로, 헌납(獻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만강(滿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만강(萬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만강(蠻江) - 민강(閩江)
중국 복건성(福建省)에 있는 강 이름. 복건성 선하령산맥(仙霞嶺山脈)을 발원지로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만경(曼卿) - 석연년(石延年)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문신ㆍ문인. 기상과 절개에 심취하여 세상사에 등한하였으며, 문필이 강건하고 시에 능하여 소순흠(蘇舜欽)ㆍ매요신(梅堯臣) 등과 함께 이름을 떨침.
994~10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만경리(萬經理) - 만세덕(萬世德)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양호(楊鎬)를 대신하여 파견된 명 나라 장수.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만계(彎溪) - 채신보(蔡申保)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필선(弼善)을 지낸 채륜(蔡倫)의 아들로, 평해 현감(平海縣監)ㆍ남양 부사(南陽府使)를 지냄.
1419~14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음성 , 인명>관인>문신
-
만계(灣溪) - 김광찬(金光纘)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사위로,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만과(萬科) - 무과(武科)
조선시대에 무관(武官)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대개 3년마다 한 번씩 식년(式年)에 실시하였으며,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3단계를 거쳐 선발함.
1408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만관(蠻館) - 옥하관(玉河館)
중국 북경(北京) 서쪽으로 흐르는 사하(沙河)의 옥하교(玉河橋) 위에 있던 관소(館所)의 이름. 우리나라 사신(使臣)의 숙소로 이용되었음.
중국>청 , 중국 , 유적>건물>관사
-
만귀(晚歸) - 조수륜(趙守倫)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豐壤).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동문들과 함께 《우계집(牛溪集)》을 편집ㆍ출간함. 평택 현감(平澤縣監) 등을 지냈으나, 신율(申慄)의 역옥(逆獄)에 연루되어 옥사(獄死)함.
1555~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균(萬均) - 김만균(金萬均)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자로, 김익희(金益熙)의 아들이며 강원 감사(江原監司) 김진옥(金鎭玉)의 아버지.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631~167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만균(萬鈞) - 김만균(金萬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여 삭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축출되자 다시 서용되어 교리 등의 관직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만근(萬根) - 임만근(林萬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부정(副正) 임해(林畡)의 아버지로, 금산 군수(錦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만근(萬謹) - 김만근(金萬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병절교위(秉節校尉) 김예범(金禮範)의 아버지로, 진사(進士)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만기(萬基) - 김만기(金萬基)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숙종의 국구(國舅)로, 김만중(金萬重)의 형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내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짐.
1633~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만기당(晩起堂) - 김기후(金基厚)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천(順天). 김윤안(金允安)의 아들로, 숙부(叔父)인 김윤문(金允文)에게 출계(出系)함. 1627년(인조 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82~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만년(萬年)@태조 - 태조(太祖)@남북조(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제1대 왕. 재위 337~348. 모용외(毛容廆)의 아들이자 모용각(慕容恪)의 아버지. 337년 연왕(燕王)이라 칭하고 조양(朝陽)에 도읍하였고, 342년 고구려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함.
297~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만년(萬年) - 맹가(孟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ㆍ현사(賢士). 풍류를 즐기고 문장을 잘 지어 유량(庾亮)ㆍ환온(桓溫)의 사랑을 받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년(萬年)@귀성 - 귀성(龜城)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성종(成宗) 때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설치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국방상의 요충지로 중시됨.
평안도>귀성 , 지명>행정지명
-
만달(萬達) - 송만달(宋萬達)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내자시 소윤(內資寺少尹)을 지낸 송진생(宋辰生)의 아들이고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공손(宋恭孫)의 아버지로, 경원 부사(慶源府使)를 지냄.
1397~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만당(漫塘) - 유재(劉宰)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진사(進仕)에 급제하였으나 은거하여 저술활동을 하였고, 저서로 《만당집(漫塘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만대(晩對) - 서취병산(西翠屛山)
경상북도 안동(安東)에 있는 산 이름. 도산(陶山)의 오른쪽에 있는 영지산(靈芝山)의 지류이며, 도산 왼쪽에는 청량산(淸涼山)의 지류인 동취병산(東翠屛山)이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만덕(晩德) - 김대기(金大器)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정홍명(鄭弘明) 형제 및 조홍립(曺弘立) 등과 교유함.
1557~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만덕사(萬德寺) - 백련사(白蓮寺)
통일신라 흥덕왕(興王德) 때 국사(國師) 무염(無染)이 전라도 무주(茂朱) 덕유산 안에 창건한 사찰. 1820년(순조 2)에 혜언(慧彦)이 백련사에서 화엄회(華嚴會)를 개설하고, 1900년(광무 4) 무주 부사(茂朱府使) 이하섭(李夏燮)이 가람을 중수함.
83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무주 , 유적>건물>사찰
-
만덕선생(晩德先生) - 김대기(金大器)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정홍명(鄭弘明) 형제 및 조홍립(曺弘立) 등과 교유함.
1557~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만도(晩燾) - 이만도(李晩燾)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ㆍ독립운동가.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예안(禮安)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나, 조선이 일제(日帝)에 의해 병탄(倂呑)되자 단식(斷食)하던 중 순국함.
1842~1910 한국>근대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만랑(漫郞)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랑수(漫浪叟)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랑수(漫郞叟)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력지역(萬曆之役) - 임진왜란(壬辰倭亂)
조선 선조(宣祖)때 우리 나라를 침입한 일본과의 전란. 1592년(선조 25)부터 시작되었으며, 해상에서 이순신(李舜臣)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육상에서 이일(李鎰)ㆍ신립(申砬) 등이 패하여 선조가 의주로 파천함. 명(明) 나라의 원병과 권율(權慄)의 활약으로 화의했으나, 일본은 1597년(선조 30)에 재침략하여 다음해에 물러감.
1592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만력황제(萬曆皇帝) - 신종(神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4대 황제. 재위 1572~1620. 목종(穆宗)의 셋째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출병과 가혹한 징세로 국력을 약화시킴.
1563~1620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만로(巒老)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만륙(晩六) - 최양(崔瀁)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낸 최지(崔贄)의 아들. 외삼촌인 정몽주(鄭夢周)에게 수학하고 문하찬성사를 지냈으며, 고려가 망하자 전주(全州)에 은거함.
1351~142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