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남재적고(南齋摘稿)
중국 명(明) 나라 문신인 위기(魏驥)의 문집. 10권. 평소에 쓴 많은 양의 글 중에 유익한 내용들만 간추려 간행함.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남전현승청벽기(藍田縣丞廳壁記)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가 지은 글. 한유의 박학다재한 벗 최사립(崔斯立)이 남전현(藍田縣)의 승(丞)이 되어 지위만 높고 할 일은 없자 한탄하면서 유유자적하였다는 내용을 담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남정(南鼎)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1462년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한 후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지냈음. 김종직(金宗直)의 《점필재집(佔畢齋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남제(南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남효온(南孝溫)의 숙부.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역임함. 강희맹(姜希孟) 누이의 아들로, 《사숙재집(私淑齋集)》에 강희맹의 기시(寄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제(南齊)
중국 남북조시대 남조(南朝)의 두 번째 왕조. 남조 송(南朝宋)의 장군 소도성(蕭道成)이 순제(順帝)로부터 양위(讓位)를 받아 세웠으며, 7대 24년간 존속.
479~50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남제운(南霽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장군. 안녹산(安祿山)의 반군과 맞서 싸우다 패하여 잡힌 후 항복을 거부하고 처형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남좌시(南佐時)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무신. 1381년 밀직부사(密直副使) 권현룡(權玄龍)과 함께 강릉도(江陵道)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함.
?~13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남지(南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경문(南景文)의 아들이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사돈. 문종(文宗) 때 좌의정으로 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단종(端宗) 보필에 관한 고명(顧命)을 받았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풍질(風疾)로 인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남지(南輊)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상명(南尙明)의 아들이며, 남계당(南季堂)의 아버지. 1442년(세종 24) 친시 문과(親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소윤(少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지언(南知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고성(固城). 남인(南寅)의 아들이며, 남정(嵐亭) 김시창(金始昌)의 사위이자 문인. 김천도 찰방(金泉道察訪)을 지냈으며, 말년에 황간(黃澗)에 삼괴당(三槐堂)을 짓고 후학 교육에 전념함.
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황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남지탁(南之卓)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남을번(南乙蕃)의 선조.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진(南振)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일찍이 학문(學問)에 뜻을 두어 독학(篤學)하여 도학(道學)에 능했으며, 후진 양성에 힘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남진(南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남세걸(南世傑)의 아들로, 세 살 때 부모를 여의고 외가(外家)에서 성장한 뒤 벼슬길을 접은 채 평생 독서를 일삼음.
1520~15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남창(南昌)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성도(省都). 한(漢) 나라 때 설치되어 예장군(豫章郡)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가 수(隋) 나라 이후로 홍주(洪州)라는 이름으로 번갈아 바뀌었음. 시문(詩文)의 소재로 자주 등장하는 등왕각(滕王閣)이 이곳에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남창잡고(南窓雜稿)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김현성(金玄成)의 시집(詩集). 1책. 목판본. 1634년(인조 12) 오숙(吳䎘)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으며, 권두에 장유(張維)의 서문이 있고, 총 138수의 시가 실려 있음.
163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남천로(南天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풍저창 부사(豐儲倉副使) 남익지(南益胝)의 아들로, 지영광군사(知靈光郡事)를 지냈으며,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인 두 손자 남재(南在)ㆍ남은(南誾)의 공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천택(南天澤)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양(英陽). 남잡(南磼)의 아들로, 1648년(인조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 등을 지냄.
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남초(南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생원 남경창(南慶昌)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남초암(南草菴)
강원도 금강산(金剛山) 미륵봉(彌勒峯)의 남쪽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암자.
강원도>고성 , 유적>건물>사찰
-
남추(南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남곤(南袞)에 의해 추방된 뒤 영광(靈光)으로 내려가 시작(詩作)으로 여생을 마침.
1499~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문신
-
남치근(南致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구(南俅)의 아들로, 여러 차례 호남에 출몰하는 왜구(倭寇)를 토벌하였고, 경기ㆍ황해ㆍ평안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 시절에 황해도 재령(載寧)에서 암약하던 임꺽정을 잡아 효수(梟首)함.
?~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남치리(南致利)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언기(金彦璣)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이황(李滉) 문하의 안자(顔子)라고 불리며 1578년 정구(鄭逑)와 함께 유일(遺逸)에 천거됨.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남치욱(南致勖)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의 5대조로, 1528년(중종 23)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뒤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지냄.
1494~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남치원(南致元)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의령(宜寧). 성종(成宗)의 넷째 딸 경순옹주(慶順翁主)를 맞아들여 의성위(宜城尉)에 봉해졌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남치형(南致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으로, 공보(公輔) 남신신(南藎臣)의 아들.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동생 남치리(南致利)와 함께 평생 강학(講學)에 힘씀.
1540~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남태보(南泰普)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울산 부사(蔚山府使)를 지냄. 《매호유고(梅湖遺稿)》의 서문을 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택하(南宅夏)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농환재(弄丸齋) 남도진(南道振)의 아버지이며, 양곡(陽谷) 오두인(吳斗寅)의 사위로, 회양 부사(淮陽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평(南平)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남평읍(南平邑) 일원의 옛 고을 이름.
전라도>남평 , 지명>행정지명
-
남평문씨(南平文氏)
신라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때 인물로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남평백(南平伯)에 봉해진 문다성(文多省)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전라도>남평 , 인명>집단>성씨
-
남풍가(南風歌)
중국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樂歌).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巡幸)할 때 오현금(五絃琴)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詩)임.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남필문(南弼文)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밀양(密陽) 사촌(士村) 마을에 거처하며 학문을 닦았고, 벼슬은 문소전 참봉(文昭殿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남학명(南鶴鳴)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영의정을 지낸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의 아들. 음보(蔭補)로 주부(主簿)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고, 수락산(水洛山)에 살면서 학문에만 전념함.
1654~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남한기(南漢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정중(南正重)의 아들이며, 남유용(南有容)의 아버지로,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냈고, 추은(推恩)으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675~174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신라의 제2대 왕. 재위 4~24. 박혁거세(朴赫居世)의 맏아들로, 즉위 후 해변에 출몰하는 왜구(倭寇)를 격퇴하고, 기근에 곡식 창고를 열어 백성을 구제하였으며, 석탈해(昔脫解)를 사위로 삼아 후에 정사를 맡김.
?~2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남헌문집(南軒文集)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장식(張栻)의 문집. 효종(孝宗) 순희(淳熙) 연간에 주희(朱熹)가, 장식의 학문이 정립된 이후의 글들을 편집하여 44권으로 만들었으며, 이와는 다른 30권 본도 전함.
118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남헌역설(南軒易說)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장식(張栻)이 《주역(周易)》에 대하여 풀이한 책. 3권. 대연(大衍)의 수(數)를 전적으로 중시하고, 주장하는 학설이 대체로 한대(漢代)의 신비주의 색채를 띠고 있음. 원본은 11권이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남현(南晛)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영동 현감(永同縣監) 남응정(南應井)의 아들로, 유생 정려(鄭呂)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남호(南琥)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공조 참판(工曹參判) 남응운(南應雲)의 아들로, 1568(선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우봉 현령(牛峯縣令) 등을 지냄.
1536~? 한국>조선시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황(南璜)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공조 참의(工曹參議) 남응룡(南應龍)의 아들로, 사축서 별제(司畜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회(南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남효의(南孝義)의 부친이며,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숙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남효순(南孝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냈음.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종제(從弟).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효온(南孝溫)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함.
145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남효원(南孝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병조 참의 남염(南恬)의 아들이며, 청천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사위로, 정평 부사(定平府使)를 거쳐 충청도 수군절도사(忠淸道水軍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남효의(南孝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11년(중종 6)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함.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종제(從弟).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휘(南暉)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태종의 넷째 딸 정선공주(貞善公主)의 부마(駙馬)가 되어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짐.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남흔(南忻)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의령군(宜寧君) 남륜(南倫)의 아들이며, 의천위(宜川尉) 남섭원(南燮元)의 아버지로, 여러 관직을 거친 후에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145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납갑법(納甲法)
중국 전한(前漢)의 경방(京房)과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우번(虞翻)이 《주역(周易)》의 이치를 해설한 역법(曆法). 팔괘(八卦)를 십간(十干)ㆍ오행(五行)ㆍ오방(五方)과 서로 배합하는 방법임.
중국>삼국시대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납합출(納哈出)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무장(武將).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東北面) 쌍성(雙城)을 침입했으나,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 이성계(李成桂)에게 격퇴당함.
?~1388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납호(納湖)
중국 호남성(湖南省) 장사(長沙)에 있는 호수 이름. 장식(張栻)이 호수 가에 살면서 학문을 연마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낭잠(郞潛)
낭관(郎官)의 자리에 침체됨. 전한(前漢)의 안사(顔駟)가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 등 세 임금을 섬기도록 승진하지 못하고 평생 낭서(郞署)에 머물렀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관운(官運)이 트이지 않는 불운을 뜻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낭천(狼川)
강원도 화천(華川)에 있는 옛 고을 이름.
강원도>낭천 , 지명>행정지명
-
낭풍전(閬風巓)
중국 전설의 산인 곤륜산(崑崙山) 꼭대기에 있는 봉우리 이름. 선녀(仙女)인 서왕모(西王母)가 거주했던 곳이라고 전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내금위(內禁衛)
조선시대 임금의 호위와 궁중의 엄호를 맡은 군대 조직. 1407년(태종 7)에 설치되었으며, 장번군(長番軍)으로서 엄격한 시험을 통해 선발됨. 주로 양반의 자제로 편제되었으며, 다른 병종보다 후대를 받음.
14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직
-
내례부인(內禮夫人)
신라 제8대 왕인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의 비(妃). 제6대 왕인 지마이사금(祗摩尼師今)의 딸로, 박씨(朴氏)이며, 아달라이사금과는 오촌 사이임.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공주ㅣ인명>왕실>왕비
-
내산서원(內山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영광(靈光)에 세운 서원. 처음엔 용계사(龍溪祠)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고, 1868년(고종 5)에 내산서원(內山書院)으로 개칭함. 강항(姜沆)과 윤순거(尹舜擧)를 배향함.
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내암집(來庵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인홍(鄭仁弘)의 시문집. 15권 7책. 목활자본. 1908년(순종 2) 저자의 신원복작(伸寃復爵)이 행해지자 후손들이 유문의 수집에 착수하여, 1911년 간행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내원사(內院寺)
조선시대 경상도 합천(陜川) 해인사(海印寺) 북쪽 5리 지점에 있던 사찰. 사찰 내에 조현당(釣賢堂)ㆍ나월헌(蘿月軒)ㆍ득검지(得劍池)가 있었음.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사찰
-
내전록(內典錄)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인 이승휴(李承休)가 지은 불교(佛敎) 관계의 저서. 파직 후 삼척(三陟) 구동(龜洞)의 용안당(容安堂)에 은거할 때 지은 것이라 하나, 현재는 전하지 않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문헌>서명
-
내훈(內訓)
조선 성종(成宗) 때 소혜왕후(昭惠王后)가 지은 여성 수신서(修身書). 3권 3책. 소혜왕후의 서문(序文)과 상의조씨(尙儀曺氏)의 발문(跋文)이 있음.
14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냉재야화(冷齋夜話)
중국 송(宋) 나라의 시승(詩僧)인 혜홍(惠洪)의 저서. 10권. 저자가 평소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책으로, 시(詩)를 논한 것이 대부분이며, 시 중에서도 원우(元祐) 연간 시인들의 것이 많고, 특히 황정견(黄庭堅)의 것이 가장 많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노(魯)
중국 주(周) 나라 때에 봉해진 제후국. 주왕(周王)이 주 나라 건국공신(建國功臣)인 주공(周公)의 큰 아들 백금(伯禽)을 제후로 봉하자, 지금의 산동(山東)에 수도를 세우고 국호를 노(魯)라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주 , 중국 , 시간>국명
-
노^낙(盧^駱)
중국 당(唐) 나라 초기의 문인(文人)인 노조린(盧照鄰)과 낙빈왕(駱賓王)을 함께 부르는 말. 시문(詩文)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온(潞^溫)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인 노공(潞公) 문언박(文彦博)과 온공(溫公) 사마광(司馬光)을 함께 부르는 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축출되었다가 복귀하여 정사를 돌본 인물들로, 북송(北宋) 때의 명신(名臣)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장(老^莊)
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가(道家)의 대표적인 인물인 노자(老子)와 장주(莊周)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적 관점에서는 이단(異端)을 뜻하며, 때로는 그들의 저서인 《도덕경(道德經)》과 《장자(莊子)》를 함께 지칭하는 말로도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장^순^열(老^莊^荀^列)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노자(老子)ㆍ장주(莊周)ㆍ순황(荀況)ㆍ열어구(列禦寇)를 함께 부르는말. 노자ㆍ장주ㆍ열어구는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이고, 순황은 성악설(性惡說)을 주창한 인물로, 유교적 관점에서는 이단(異端)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정(盧^丁)
중국 송(宋) 나라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인 노다손(盧多遜)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인 정위(丁謂)를 함께 부르는 말. 간신(奸臣)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정(盧^鄭)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인 노식(盧植)과 정현(鄭玄)을 함께 부르는 말. 모두 마융(馬融)의 제자로, 흔히 후한의 명유(名儒)를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팽(老^彭)
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교(道敎)의 창시자인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인물인 팽조(彭祖)를 함께 부르는 말. 도가(道家)의 선인(仙人)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경린(盧慶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유학을 숭상하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천곡서원(川谷書院)을 세움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노경장(盧敬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돈녕판관(敦寧判官) 노희선(盧熙善)의 아들이고,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증조부로, 돈녕부 참봉(敦寧府參奉)을 지냈으며, 이조 판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계집(盧溪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정규(王庭珪)의 시문집(詩文集). 50권. 송 나라 순희(淳熙) 연간에 그 자손과 문인 유강(劉江)이 편집하여 간행하였으며, 작자의 꿋꿋한 성품과 굳센 기운이 글에 잘 나타나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노공(魯恭)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중모령(中牟令)이 되어 선정(善政)을 베풀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공필(盧公弼)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노사신(盧思愼)의 장남. 명(明) 나라에서 중종의 승습(承襲)을 승인 받아 귀국함.
1445~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관(盧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노진(盧禛)의 동생. 강익(姜翼)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1522~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노관(盧綰)
중국 전한(前漢) 초의 제후국인 연(燕) 나라의 왕. 한(漢)이 연 나라를 점령하자 흉노(匈奴)로 망명하였고, 이어서 위만(衛滿)이 고조선(古朝鮮)으로 망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정비(正妃). 원(元) 나라의 황족(皇族)인 위왕(魏王)의 딸.
?~1365 한국>고려후기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노국형(盧國亨)
조선 전기의 유학. 홍가신(洪可臣)ㆍ이우(李瑀)ㆍ이이(李珥) 등과 함께 팔현회(八賢會)를 결성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극신(盧克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형 노수신(盧守愼)이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진도(珍島)에 유배되었을 때 그도 금고처분(禁錮處分)을 당했으나 명종 말에 풀려나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을 지냄.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기(盧杞)
중국 당(唐) 덕종(德宗) 때의 간신. 성격이 음험하여 국정을 담당할 때 권력을 멋대로 휘둘러 많은 사람을 죽임. 평소 싫어하던 안진경(顔眞卿)을 제거할 목적으로, 모반을 일으킨 이희열(李希烈)에게 보내어 화를 당하게 함.
?~78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기(盧麒)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강(安康). 권문해(權文海)ㆍ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노다손(盧多遜)
중국 송(宋) 나라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의 충신(忠臣) 조보(趙普)를 조정에서 축출해 정위(丁謂)와 함께 간신(奸臣)으로 불림. 태종 즉위 후 정승(政丞)을 지냈으나 진왕(秦王) 정미(廷美)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배소(配所)에서 죽음.
934~98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대성(盧大成)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로, 노형(盧詗)의 아들.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유헌집(游軒集)》에 〈차노경시(次盧景時)〉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노덕서원(老德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함경도 북청(北靑)에 세운 서원. 숙종(肅宗) 때 사액되었으며, 이항복(李恒福)ㆍ김덕함(金德諴)ㆍ정홍익(鄭弘翼)ㆍ이상진(李尙眞)ㆍ민정중(閔鼎重)ㆍ오두인(吳斗寅)ㆍ이세화(李世華)를 배향함.
1627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북청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노동(盧仝)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차(茶)를 노래한 것으로 유명함. 청렴한 인품을 가졌으며 조정에서 벼슬을 주었으나 끝내 사양함. 감로(甘露)의 변(變)에 휩쓸려서 죽었음.
775~83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노동미(盧東美)
중국 당(唐) 나라 대종(代宗) 때의 문인. 한회(韓會)ㆍ장정(張正)ㆍ최조(崔造) 등과 친하게 지내며, 함께 당세의 일을 논하면서 모두가 스스로 왕을 보필할 만한 재주라 일렀으므로 ‘사기(四夔)’로 불림. 한유(韓愈)로부터 어질다는 평가를 받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노랄수사(老辣瀡辭)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이,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생애와 행적을 주제별로 편집한 책. 8편.
165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노래의(老萊衣)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노래자가 늙어서도 어린아이처럼 색동옷을 입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노래자(老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노(魯) 나라의 효자. 70세에 색동옷을 입고 부모님을 즐겁게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노량(露梁)
경기도 과천(果川) 북쪽 한강(漢江) 하류에 있던 나루터. 전국에서 거둔 세곡(稅穀)과 특산물이 서해 뱃길을 따라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갈 때 이들 물산의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함. 지금의 서울 동작구(銅雀區)에 해당함.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노림서원(魯林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세운 서원. 선조(宣祖) 때의 학자 남치리(南致利)를 배향함.
165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노만(盧蔓)
고려시대의 문신. 광산백(光山伯) 노해(盧垓)의 후손으로, 광주노씨(光州盧氏)의 일세조(一世祖) 중 한 사람. 정승을 지내고 광주군(光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목(魯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지냄. 여러 번 봉사(封事)를 올려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강직한 명성을 조정에 떨침.
1381~143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미수(盧尾壽)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신창(新昌). 훈련원 습독관(訓練院習讀官) 노규부(盧赳夫)의 아들이며, 단성 현감(丹城縣監) 노집(盧輯)의 아버지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무신
-
노보세(盧輔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역임함. 《호음잡고(湖陰雜稿)》에 정사룡(鄭士龍)의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노봉서원(露峯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남원(南原)에 세운 서원. 숙종(肅宗) 때 사액되었으며, 홍순복(洪順福)ㆍ최상중(崔尙重)ㆍ오정길(吳廷吉)ㆍ최온(崔薀)ㆍ최휘지(崔徽之) 등을 배향함.
164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노봉서원(魯峯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충청도 문의(文義)에 건립된 서원. 1615년(광해군 7)에 창건되고, 1658년(효종 9)에 사액되었으며, 송인수(宋麟壽)ㆍ정렴(鄭𥖝)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현재 충청북도 청원군(淸原郡)에 속함.
161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노봉집(老峯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민정중(閔鼎重)의 시문집(詩文集). 12권 6책. 목판본. 1734년(영조 10) 증손 민백남(閔百男)이 원고를 수집, 편차하고 이재(李縡)에게 서문(序文)을 받아 태인(泰仁)에서 간행함.
173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 , 문헌>서명
-
노부(盧溥)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선교랑(宣敎郞) 노형필(盧亨弼)의 아들로, 1660년(현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이문헌(李文獻)의 딸과 혼인함.
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노분(盧昐)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노숙동(盧叔仝)의 아들. 손자 노진(盧禛)의 문집인 《옥계집(玉溪集)》에 묘갈기(墓碣記)가 실려 있음.
1437~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