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만리(萬理) - 차운로(車雲輅)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차식(車軾)의 아들. 1583년(선조 16)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의 현감(全義縣監)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시(詩)에 능하여 아버지 차식과 형 차천로(차天輅)와 함께 삼소(三蘇)에 비견됨.
155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만리(萬里)@방회 - 방회(方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규율수(瀛奎律髓)》 등을 편찬함.
1227~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리(萬里) - 장운익(張雲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우의정(右議政) 장유(張維)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하고,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가 되어 명(明) 나라 제독 마귀(麻貴)를 영접한 공이 있어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61~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만리(萬里)@양만리 - 양만리(楊萬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비서감(秘書監)을 지내고, 사부(詞賦)에 뛰어나 육유(陸游)ㆍ범성대(范成大)ㆍ우무(尤袤)와 더불어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로 일컬어짐.
1127~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리선(萬里仙) - 서엄(徐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역임함.
152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만리성(萬里城) - 만리장성(萬里長城)
중국 북부와 몽고 경계에 있는 성(城) 이름. 중국 역대 왕조가 변방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한 성으로 진(秦) 시황제(始皇帝)가 완성함.
중국>진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만리장성(萬里長城)@천리장성 - 천리장성(千里長城)
고구려 말기와 고려 덕종(德宗) 때 서북 국경에 건립된 장성. 고구려 말에 당(唐) 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요동(遼東) 지방에 쌓은 토축성이 있고, 고려 덕종 때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압록강(鴨綠江) 어귀로부터 함경도 동해안에 이르는 1000여 리에 쌓은 석축성이 있음.
한국>고려시대ㅣ한국>고구려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만리헌(萬里軒) - 서엄(徐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역임함.
152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 - 만파식적(萬波息笛)
신라 제31대 신문왕(神文王) 때 용으로부터 영험스런 대나무를 얻어 만들었다는 전설상의 피리. 이것을 불면 소원을 이루게 되므로 나라의 보물로 삼아 효소왕(孝昭王) 때 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이라고 가호(加號)하였는데 현존하지 않음.
682 한국>통일신라 , 물품>기타용품>악기
-
만문재(晩聞齋) - 이인행(李仁行)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관섭(李觀燮)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여 서연(書筵)에 입시하여 진강하기도 함.
1758~18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만보당(晩保堂) - 김수동(金壽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삼포왜란(三浦倭亂)을 진압함.
1457~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만부(萬敷) - 이만부(李萬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연안(延安).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옥(李沃)의 아들로, 북청(北靑)에 유배된 아버지를 모시면서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연구에 진력함.
1664~173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학자
-
만비(萬庇) - 윤만비(尹萬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첨의중찬(僉議中贊) 윤석(尹碩)의 아버지로, 1303년(충렬왕 29) 홍자번(洪子藩) 등과 함께 간신 오잠(吳潛)의 처벌을 요청하였으며,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만사(晚沙) - 서경우(徐景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서성(徐渻)의 아들로, 형조 판서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73~16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만사(晩沙)@심지원 - 심지원(沈之源)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원래 이이첨(李爾瞻)의 대북파(大北派)였으나 광해군 때 은거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 기용되어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냈으며, 영천(永川) 송곡서원(松谷書院)에 제향됨.
1593~166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만사(晩沙)@이상길 - 이상길(李尙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1602년(선조 35) 정인홍(鄭仁弘)ㆍ최영경(崔永慶) 등을 정여립(鄭汝立)의 일당으로 몰아 추론한 죄로 유배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1637년(인조15)에 자결함. 이항복(李恒福) 등과 교유함.
1556~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사(晩沙) - 이경의(李景義)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군량을 조달하고 어가(御駕)를 호종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이안눌(李安訥)과 친교를 맺었으며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음.
1590~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상(灣上)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만석(晩錫) - 정만석(鄭晩錫)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홍경래(洪景來)의 난 때 관서위무사(關西慰撫使)로 파견되고, 평안 감사(平安監司)가 되어 홍경래 관련 죄인들의 문초를 담당함.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758~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석(曼碩)@게혜사 - 게혜사(揭傒斯)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우집(虞集)과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우집과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1274~134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만석(曼碩) - 정총(鄭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정추(鄭樞)의 아들.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능하여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했고, 중국으로 보내는 표전문(表箋文) 등을 많이 지음.
1358~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만석(萬石) - 석분(石奮)
중국 한(漢) 고조(高祖)~경제(景帝) 때의 대부. 관직이 구경(九卿)에 이르렀으며,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顯達)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짐.
?~B.C.12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만석가(萬石家) - 석분(石奮)
중국 한(漢) 고조(高祖)~경제(景帝) 때의 대부. 관직이 구경(九卿)에 이르렀으며,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顯達)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짐.
?~B.C.12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만석경(萬石卿) - 석분(石奮)
중국 한(漢) 고조(高祖)~경제(景帝) 때의 대부. 관직이 구경(九卿)에 이르렀으며,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顯達)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짐.
?~B.C.12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만석군(萬石君) - 석분(石奮)
중국 한(漢) 고조(高祖)~경제(景帝) 때의 대부. 관직이 구경(九卿)에 이르렀으며,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顯達)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짐.
?~B.C.12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만석현(萬石賢) - 석분(石奮)
중국 한(漢) 고조(高祖)~경제(景帝) 때의 대부. 관직이 구경(九卿)에 이르렀으며,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顯達)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짐.
?~B.C.12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만성(晩成) - 이만성(李晩成)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과 정치에 밝았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영암(靈巖)의 죽정서원(竹亭書院)에 제향됨.
1659~172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명원황제(明元皇帝) - 명원제(明元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2대 황제. 재위 409~423.
392~42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월(明月) - 황진이(黃眞伊)
조선 종종(中宗) 때의 기생. 한시(漢詩)와 시조에 뛰어났는데 시조 6수가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전하며, 서경덕(徐敬德)ㆍ박연폭포(朴淵瀑布)와 더불어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술인>기생
-
명윤(明允)@소순 - 소순(蘇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예리한 논법(論法)과 정열적인 평론(評論)으로 구양수(歐陽修)의 인정을 받아 명성을 떨쳤으며, 아들 소식(蘇軾)ㆍ소철(蘇轍)과 함께 ‘삼소(三蘇)’로 일컬어짐.
1009~10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명윤(明允) - 김순(金洵)
조선 전기의 문신. 명천 현감(明川縣監)을 지냈으며, 임형수(林亨秀)와 칠보산(七寶山)을 유람한 내용이《금호유고(錦湖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명천 , 인명>관인>문신
-
명윤(明允)@윤순 - 윤순(尹洵)
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원(南原). 송순(宋純)ㆍ정만종(鄭萬鍾)ㆍ임억령(林億齡) 등과 시(詩)를 주고받으며 교의관계(交誼關係)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문인
-
명윤(明胤)@변명윤 - 변명윤(邊明胤)
조선 전기의 문신. 간재(艮齋) 최연(崔演)과 교유하였으며, 동지부사(同知副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명윤(明胤)@김명윤 - 김명윤(金明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김극핍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과 함께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1493~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명윤(明胤) - 이명윤(李明胤)
조선 전기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로, 능성부령(綾城副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윤(明胤)@한명윤 - 한명윤(韓明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1568년(선조 1) 사마 양시(司馬兩試)에 합격하고 추천에 의해 영동 현감(永同縣監)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영동에서 송방조(宋邦祚)와 의병을 모아 대항하고, 상주 목사(尙州牧使)로 방어사(防禦使)를 겸임하다 전사함.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은(冥隱)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명은(鳴殷) - 윤명은(尹鳴殷)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파평(坡平). 인조의 사친추숭(私親追崇)을 반대하다가 유배되고, 병자호란 때 남양(南陽)에서 조익(趙翼)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문(旌門)이 세워짐.
1601~164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응(命膺) - 서명응(徐命膺)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의 형으로, 대제학을 거쳐 상신(相臣)에 오르고 봉조하(奉朝賀)에 이름. 역학(易學)에 정통한 실학(實學)의 대가로 북학파(北學派)의 비조(鼻祖)로 일컬어짐.
1716~17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명응(明應) - 박명응(朴明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진사(進士) 박이경(朴以經)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박승임(朴承任)의 《소고집(嘯皐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명의(明懿)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명의(明義)@효종 - 효종(孝宗)@조선
조선 제17대 왕. 재위 1649~1659. 병자호란(丙子胡亂) 직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 대동법(大同法) 시행과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
1619~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명의(明義) - 윤봉(尹逢)
고려 전기의 문신. 태조(太祖) 왕건(王建)을 도운 공으로 삼한공신(三韓功臣)에 책록되고, 내사령(內史令)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의(明誼) - 송명의(宋明誼)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냈으며, 고려의 국운이 쇠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명의대비(明懿大妃)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명의왕태후(明懿王太后)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명이학명신록(明理學名臣錄) - 황명이학명신언행록(皇明理學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설선(薛瑄) 등 명 나라 유학자 15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2권.
1523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명인(命仁) - 신명인(申命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 정광필(鄭光弼)ㆍ안당(安瑭)ㆍ이장곤(李長坤)ㆍ김정(金淨)ㆍ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기준(奇遵) 등과 함께 팔현(八賢)이라 불림.
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문인
-
명일(明一) - 김명일(金明一)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김진(金璡)의 아들로 5형제가 모두 학행으로 뛰어나 일가를 이룸.
1534~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명일(明逸) - 충방(种放)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신ㆍ은사. 종남산(終南山)에서 은거하다가 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지냄. 진단(陳摶)에게 선천역학(先天易學)의 사상과 하도낙서(河圖洛書)의 비결을 전수받아 목수(穆修)ㆍ이개(李溉)ㆍ허견(許堅) 등에게 전했다 함.
955~1015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재(明齋) - 윤증(尹拯)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윤선거(尹宣擧)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박세당(朴世堂)ㆍ박세채(朴世采)ㆍ민이승(閔以升) 등과 교유함. 후에 송시열과 대립하여 소론(少論)의 영수로 추대됨.
1629~17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적(明寂) - 도의(道義)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가지산파(迦智山派)의 개조(開祖)로, 중국의 남종선(南宗禪)을 처음으로 들여옴. 당시인들이 무위법(無爲法)을 믿지 않자 설악산 진전사(陳田寺)에서 수도하다가 제자 염거(廉居)에게 처음으로 남종선(南宗禪)을 전하고 죽음.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양양 , 인명>종교인>승려
-
명정암(明正菴) - 계은(戒恩)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점필재집(佔畢齋集)》과 《독곡집(獨谷集)》에 그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명정완(銘訂頑) - 서명(西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장재(張載)가 학당(學堂)의 서쪽 창에 걸어놓은 글. 인의(仁義)에 입각한 유가(儒家)의 윤리설(倫理說)을 요약해서 서술한 것인데, 주희(朱熹)가 별도로 주(注)를 달아 해설하면서부터 세상에 크게 유행됨. 원래 명칭은 〈정완(訂頑)〉인데 정이(程頤)의 조언을 받아 개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명제(明帝)@효명제 - 효명제(孝明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8대 황제. 재위 515~528. 선무제(宣武帝)를 이어 황제가 되었지만 20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夭折)함.
509~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제(明帝) - 고조(高祖)@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 후조(後趙)의 제1대 황제. 재위 319~333. 유능한 통치자로 알려짐.
274~3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제기거주(明帝起居注) - 현종기거주(顯宗起居注)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인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가 찬술한 명제에 관한 책. 황후의 오빠인 마방(馬防)이 의약(醫藥)에 참여한 일을 삭제하여,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하는 본보기를 보임.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명조(明照)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명종(明宗)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종(鳴鍾) - 김명종(金鳴鍾)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셋째 아들. 본관은 경주(慶州). 손국(遜國) 후 경주군(慶州君)에 봉해짐.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명종대왕실록(明宗大王實錄) - 명종실록(明宗實錄)@조선
조선 제13대 명종(明宗) 재위 22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춘추관 감사(春秋館監事) 홍섬(洪暹)이 주관하여 1571년(선조 4)에 완성 간행함.
157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명주(明洲) - 유여각(柳汝恪)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참찬(參贊) 유간(柳澗)의 아들로, 1613년(광해군 5)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강계 부사(江界府使) 등을 지냄.
15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주(溟州)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명주군왕(溟州郡王) - 김주원(金周元)
통일신라 때의 왕족. 혜공왕(惠恭王) 때 이찬(伊飡)으로 시중(侍中)을 지내는 등 강성하였으나, 선덕왕(宣德王) 사후에 왕위계승전에서 패배하여 강릉으로 물러나 세력을 이루고 강릉김씨(江陵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강릉 , 인명>왕실>종친
-
명주김씨(溟州金氏) - 강릉김씨(江陵金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5세손으로 시중(侍中)을 지내고 명주군왕(溟州郡王)에 봉해진 김주원(金周元)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강릉 , 인명>집단>성씨
-
명준(命俊) - 이명준(李命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濟臣)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을 거쳐 복직되어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명중(名仲) - 왕원(王遠)
중국 한(漢) 나라 환제(桓帝) 때의 선인(仙人). 그가 채경(蔡經)의 집에 내려와 선녀 마고(麻姑)를 불러왔는데, 마고가 그를 섬긴 이래 동해가 세 번 뽕밭으로 변하는 천지의 변화가 있었다고 설명한 데서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말이 유래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명중(明仲)@강섬 - 강섬(姜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공망(姜公望)의 아들. 1546년(명종 1)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홍춘경 - 홍춘경(洪春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홍계정(洪係貞)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김생체(金生體)의 글씨에 능하고, 문장에 뛰어나 중종의 지문(誌文)을 지음.
1497~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이문성 - 이문성(李文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낸 이제신(李濟臣)의 아버지로,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왜구를 물리침.
1503~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명중(明仲)@송인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명중(明仲) - 김춘경(金春卿)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인민(金仁民)의 아들로,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를 지냄.
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조준 - 조준(趙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덕유(趙德裕)의 아들로,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과전법(科田法)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하륜(河崙) 등과 함께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함.
1346~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명중(明仲)@유형 - 유형(兪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유세건(兪世建)의 아들로, 양주 목사(楊州牧使)ㆍ청풍 군수(淸風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82~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윤탁 - 윤탁(尹倬)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중(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윤사은(尹師殷)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였고, 학문이 높아 조광조(趙光祖) 등에게 도학(道學)을 가르침.
1472~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이수생 - 이수생(李遂生)
고려 말~조선 초의 은자. 본관은 수안(遂安).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으로, 길재(吉再)ㆍ이색(李穡) 등과 함께 수안(遂安)의 표리(票里)에 은거하여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명중(明仲)@유량 - 유량(柳亮)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선 개국에 협력한 공으로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조선 초기 제도 확립에 크게 기여함.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유권 - 유권(柳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직제학(直提學)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윤돈 - 윤돈(尹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벼슬을 그만두고 용인(龍仁)의 부곡(釜谷)에 거처하여 자연을 벗삼아 유유자적하였으며,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문인
-
명중(明仲)@이우 - 이우(李堣)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숙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협력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시에 뛰어났고, 최숙생(崔淑生) 등의 사류와 교유함.
1469~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진돈 - 진돈(陳焞)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의례(儀禮)에 관해 문답한 바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명중(明仲)@유종지 - 유종지(柳宗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신(盧禛)ㆍ임훈(林薰)ㆍ최영경(崔永慶)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하였으나, 정여립(鄭汝立)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장살(杖殺)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명중(明仲)@윤환 - 윤환(尹晥)
조선 전기의 문신.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낼 때 중수(重修)한 면천객사중수기(沔川客舍重修記)가 《용재집(容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호인 - 호인(胡寅)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양자로, 양시(楊時)에게 수학한 뒤 형록학파(衡麓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예부 시랑(禮部侍郎) 등을 지내고, 금(金)과의 강화(講和)를 반대함.
1098~115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지(命之) - 신명지(申命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아버지는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낸 신분(申賁)이며,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낸 신응지(申應之)의 형. 영천 군수(永川郡守)를 지냄.
1416~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명지(明之)@안처명 - 안처명(安處明)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안침(安琛)의 맏아들.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안성 군수(安城郡守)ㆍ회양 부사(淮陽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지(明之)@강복성 - 강복성(康復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에서 전공을 세우고, 광해군(光海君)의 사부로 가자(加資)되었으나 난정(亂政)을 행하자 사직함.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호위하여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저서로 《죽간집(竹磵集)》이 있음.
1550~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명지(明之) - 정척(鄭陟)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성근(鄭誠謹)의 아버지로, 수문전 태학사(修文殿太學士)를 지냄. 해자(楷字)와 전자(篆字)에 뛰어나 새보(璽寶)와 관인(官印)을 다수 제작하고, 전고(典故)에 조예가 깊어 많은 의제(儀制)를 찬(撰)함.
1390~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명창(命昌) - 최명창(崔命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부사과(副司果) 최철손(崔鐵孫)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66~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명천(明川)@이운 - 이련(李連)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천(鳴川) - 김관(金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김장생(金長生)을 도와 의병활동에 가담했으며,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유학
-
명천도정(明川都正) - 이장손(李長孫)@조선전기
조선 예종(睿宗) 때의 종친. 사아(士雅) 성경온(成景溫)의 장인. 1469(예종 1)에 환관(宦官) 최해(崔海)가 원자(元子)가 피우(避寓)하는 곳에 들어왔을 때 이를 저지하다가 오히려 최해에게 봉변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천부수(明川副守) - 이련(李連)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촌(明村) - 나양좌(羅良佐)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윤선거(尹宣擧)의 문인으로, 스승이 누명을 쓰자 상소하였다가 유배되기도 하였으며, 기사환국 때 자형 김수항(金壽恒)과 매제 이사명(李師命)이 극형을 당하자 먼 길을 달려가서 상을 치러줌.
1638~17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명치(鳴治)@박용현 - 박용현(朴用賢)
조선 전기의 화가. 본관은 밀양(密陽). 구암(龜巖) 이정(李楨)이 지은 제시(題詩) 〈제화병(題畫屛)〉이 《구암집(龜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예술인>서화가
-
명치(鳴治) - 사탁(謝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 등을 지냈으며, 경술(經術)과 문장(文章)이 뛰어나 《이락연원속록(伊洛淵源續錄)》ㆍ《적성신지(赤城新志)》 등을 저술함.
1435~151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치(鳴治)@공용경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명칠재자(明七才子) - 칠재자(七才子)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목종(穆宗) 때에 걸쳐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전ㆍ후 일곱 명의 문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걸쳐 활약한 전칠자(前七子)와 가정(嘉靖)ㆍ융경(隆慶) 연간에 걸쳐 활약한 후칠자(後七子)로 구분됨.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명통(明通) - 김근사(金謹思)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김안로(金安老)의 일파가 되어 순조로운 관직생활을 하였으나 김안로의 실각과 함께 귀양가서 죽음.
1466~153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명통지(明統志) -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중국 명(明) 나라 때 이현(李賢)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90권. 《환우통지(寰宇通志)》를 요약하여 만듦.
1461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