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명필(命弼) - 문명필(文命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문상경(文尙褧)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명필(明弼) - 임명필(任明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임열(任說)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명하(明河)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명한(明漢) - 이명한(李明漢)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아들로, 대제학(大提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호종하고, 척화파(斥和派)로 심양(瀋陽)에 억류되기도 함. 저서로 《백주집(白洲集)》 등이 있음.
1595~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해(明海) - 이달(李達)@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해부수(明海副守) - 이달(李達)@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행록(名行錄) -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김제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김제안(金齊顔)의 저서. 사우(師友)의 행적을 적은 것으로, 전녹생(田祿生)의 《야은일고(壄隱逸稿)》에 일부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명헌(明憲)@명헌왕후 - 명헌왕후(明憲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남양.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홍재룡(洪在龍)의 딸. 자녀는 없음.
1831~190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명헌(明憲) - 이파(李坡)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로, 《동국통감(東國通鑑)》과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성리학(性理學)에 밝고 문장이 뛰어남.
1434~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명헌(明軒) - 박세옹(朴世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명헌심숙경예인정목홍성장순정휘장소단희수현의헌강수유녕자온공안효정성황후(明憲心淑敬睿仁正穆弘聖章純貞徽莊昭端禧粹顯懿獻康綏裕寧慈溫恭安孝定成皇后) - 명헌왕후(明憲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남양.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홍재룡(洪在龍)의 딸. 자녀는 없음.
1831~190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명헌태후(明憲太后) - 명헌왕후(明憲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남양.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홍재룡(洪在龍)의 딸. 자녀는 없음.
1831~190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명현(命顯) - 홍명현(洪命顯)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금산 군수(金山郡守) 홍서룡(洪瑞龍)의 아들이며 북정(北汀) 홍처량(洪處亮)의 아버지로,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명현록(名賢錄) - 송조속명신언행록(宋朝續名臣言行錄)
조선 전기의 문신 정유일(鄭惟一)이 주자(朱子)의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에 누락된 기타 영웅호걸(英雄豪傑)과 절의문장(節義文章)을 모아 엮은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명현록(名賢錄)@박세채 - 동유사우록(東儒師友錄)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채(朴世采)가 신라부터 조선 선조(宣祖) 때까지 유학자들의 사우(師友) 관계를 밝혀 놓은 책. 37권 19책. 필사본. 1682년(숙종 8)에 편집하고, 뒤에 문인인 이세환(李世瑍)이 보편(補編)함.
168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명호(明怙) - 이명호(李明怙)
조선 후기의 유학. 조종도(趙宗道)와 교유하였으며, 조종도 '행장(行狀)'에 그의 인물에 대한 평이 보임.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명호(明湖) - 양산항(梁山杭)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인 양응덕(梁應德)의 넷째 아들. 영해 부사(寧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명홍(命弘) - 이명홍(李命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의 형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명화(命和) - 신명화(申命和)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아버지로 진사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 나가지는 않았음.
1476~152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명황(明皇)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황(明皇)@명종 - 명종(明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2대 황제. 재위 연도 1329. 무종(武宗)의 장자이나 인종(仁宗)에 의해 차카타이 한국으로 망명한 후 정세를 관망하다가, 차카타이 한국의 지원을 받아 1329년에 즉위하였으나 재위 8개월 만에 살해됨.
1314~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회(明澮) - 한명회(韓明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ㆍ성종의 국구(國舅).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가 후에 신원됨.
141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명회전(明會典) - 대명회전(大明會典)
중국 명(明) 나라 때 서박(徐薄)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法制)를 집대성한 행정법전(行政法典). 전 180권.
15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명효(明孝) - 이명효(李明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용인(龍仁). 이성달(李成達)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1525년(중종 2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명흠(明欽) - 송명흠(宋明欽)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송준길(宋浚吉)의 현손이자 이재(李縡)의 문인. 옥과 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내고, 경연관(經筵官)이 되어 정치 문제를 논하다가 파직된 뒤 사후에 복관됨.
1705~176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모(牟) - 공자모(公子牟)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장자(莊子)》 양왕(讓王)에, “몸은 강과 바다 위에 있어도 마음은 항상 대궐 아래에 있다(身在江海之上 心居乎魏闕之下).”라는 공자모(公子牟)고 이야기가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모(瑁) - 김모(金瑁)
조선 전기의 문신. 김근공(金謹恭)의 아버지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모(耄) - 이모(李耄)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자, 경양도정(景陽都正) 이수환(李壽環)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모계(茅溪) - 김우용(金宇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감찰(監察)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우옹(金宇顒)의 형.
1538~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모기재(慕箕齋) - 김필(金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다가 죄를 면한 뒤부터는 공적인 일에 관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
-
모니(牟尼)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모니노(牟尼奴) - 우왕(禑王)
고려 제32대 국왕. 재위 1374~1388.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李成桂)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
1365~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모당(慕堂)@홍이상 - 홍이상(洪履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는 한편 왜장(倭將) 사이의 이간 계획을 추진함.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 일파에게 몰려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음.
1549~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모당(慕堂) - 배계후(裵季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 안의 현감(安義縣監)ㆍ진주 판관(晉州判官)을 지냈으며, 김일손(金馹孫)ㆍ조위(曺偉) 등과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고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모당(慕堂)@손처눌 - 손처눌(孫處訥)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일직(一直).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학문과 효행이 뛰어남. 왜란(倭亂)과 호란(胡亂) 때 창의하고, 난리 후에 향교 재건에 앞장섬. 대구(大邱) 청호서원(靑湖書院)에 배향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모동장인(茅洞丈人) - 박찬(朴璨)@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역임함.
1470~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모란봉(牧丹峯) - 모란봉(牡丹峯)
평안북도 평양(平壤) 모란봉구역 동부 대동강 오른쪽 연안에 있는 산 이름. 조선팔경(朝鮮八景)으로 손꼽힘.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모량부리(毛良夫里) - 고창(高敞)
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읍성(邑城)이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지금의 고창읍(高敞邑)과 고수면(古水面)ㆍ아산면(雅山面) 일대를 아우름.
전라도>고창 , 지명>행정지명
-
모렴(慕濂) - 박내석(朴乃錫)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원(珍原). 박광전(朴光前)의 5대손으로, 1754년(영조 30) 박광전의 문집인 《죽천집(竹川集)》을 초간함.
1697~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모렴당(慕濂堂) - 박내석(朴乃錫)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원(珍原). 박광전(朴光前)의 5대손으로, 1754년(영조 30) 박광전의 문집인 《죽천집(竹川集)》을 초간함.
1697~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모례서원(慕禮書院) - 모례사(慕禮祠)
조선 순조(順祖) 때 경상도 밀양(密陽)에 세워진 사당. 손영제(孫英濟)가 배향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사당
-
모릉(模棱) - 소미도(蘇味道)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종(中宗) 때 재상의 반열에 올랐으나 일 처리가 분명하지 못하여 ‘소모릉(蘇模棱)’으로 불림. 문장에 능하여 두심언(杜審言)ㆍ이교(李嶠)ㆍ최융(崔融) 등과 함께 ‘초당(初唐)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648~70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모리일기수(毛利一岐守) - 모리길성(毛利吉成)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 무장.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제4진을 이끌고 부산에 상륙하여 동두천을 통해 강원도 방면으로 진격함.
?~1611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모리일기수(毛利壹岐守) - 모리길성(毛利吉成)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 무장.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제4진을 이끌고 부산에 상륙하여 동두천을 통해 강원도 방면으로 진격함.
?~1611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모리전(毛利殿) - 모리휘원(毛利輝元)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무장.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제7진을 이끌고 경상도 점령을 담당하여 부산 왜성과 자성대를 축성함.
1553~162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모말(毛末)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모보(謀甫) - 유순(庾純)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중서령(中書令)ㆍ시중(侍中) 등을 지냈으며, 당시 권신 가충(賈充)과 대립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모산(毛山) - 이정랑(李呈琅)
조선 전기의 종친.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장인. 1549년(명종 4) 이홍윤(李洪胤)의 옥사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모산(茅山) - 도홍경(陶弘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학자. 유명한 도교 사상가로 수많은 도교 서적을 저술함.
456~5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모산(茅山)@이해 - 이해(李蟹)
조선 연산군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712년(숙종 38) 건립된 나주의 영강서원(榮江書院)에 향사(享祀)됨.
14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모산수(毛山守) - 이정랑(李呈琅)
조선 전기의 종친.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장인. 1549년(명종 4) 이홍윤(李洪胤)의 옥사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모생(母生) - 호모생(胡母生)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ㆍ학자. 공양고(公羊高)의 《춘추(春秋)》에 대한 전술(傳述)을 스승인 공양수(公羊壽)와 함께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정리하여 편찬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모생(毛生)@모영 - 모영(毛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성민(洪聖民)이 지은 작품의 인물. 수(愁)ㆍ성(性)ㆍ정(情)ㆍ지(志)ㆍ기(氣) 등을 의인화하여 지은 〈천군견지수공수성(天君遣志帥攻愁城)〉에 무신으로 등장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모생(毛生) - 모수(毛遂)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조(趙) 나라 평원군(平原君)의 식객(食客). 조(趙)가 진(秦)에 포위당하자, 평원군을 따라 초(楚)에 가서 조와 초(楚)의 연합정책을 성사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모선재(慕先齋) - 박수견(朴守堅)
조선 전기의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효행(孝行)으로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친상(親喪)에 시묘 3년 후에도 묘소를 떠나지 않자 고을 사람들이 묘소 앞에 모선정(慕先亭)을 짓고 그 일대를 모선(慕先)이라고 불렀다는 일화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효자
-
모성(母城) - 금성(金城)
강원도 철원(鐵原)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파산(慶把山)ㆍ적산(赤山) 등의 산과, 보리진(菩提津)ㆍ다경진(多慶津) 등의 나루가 있음.
강원도>금성 , 지명>행정지명
-
모성재(慕省齋) - 성용(成鏞)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둘째 아들로, 아버지의 학문을 계승함.
1576~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모시(毛詩)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모악(暮嶽) - 권율(權慄)@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명장. 본관은 안동(安東).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6세손이자 영의정을 지낸 권철(權轍)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행주대첩(幸州大捷)을 승리로 이끎.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추봉됨.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모암(慕庵)@김극일 - 김극일(金克一)@1382
조선 전기의 문신ㆍ효자.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효성이 지극하여 세종(世宗) 때 효자 정려(孝子旌閭)가 건립되고,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효자 비문(孝子碑文)이 세워짐.
138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모암(慕庵) - 강우(姜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낸 강세응(姜世應)의 아들. 효행으로 정려각(旌閭閣)이 세워짐.
1495~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모암칠현유적지(慕岩七賢遺蹟址) - 모암서원(慕岩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장성(長城)에 건립한 서원. 효와 충, 청백리로 알려진 칠현(七賢)인 서릉(徐稜)ㆍ정운룡(鄭雲龍)ㆍ김우급(金友伋)ㆍ조정로(趙廷老)ㆍ조영규(趙英圭)ㆍ최학령(崔鶴齡)ㆍ박수량(朴守良) 등을 배향함.
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모양(牟陽) - 고창(高敞)
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읍성(邑城)이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지금의 고창읍(高敞邑)과 고수면(古水面)ㆍ아산면(雅山面) 일대를 아우름.
전라도>고창 , 지명>행정지명
-
모양군(牟陽君) - 오계유(吳季孺)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오세문(吳世文)의 증손. 좌리공신(輸忠保節佐理安社功臣)으로 삼중대광 도첨의찬성사(三重大匡都僉議贊成事)를 지내고, 모양군(牟陽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모양군(牟陽君)@이직 - 이직(李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이며,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버지.
1438~151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모양도정(牟陽都正) - 이직(李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이며,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버지.
1438~151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모용수(慕容垂) - 세조(世祖)@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후연(後燕)의 제1대 황제. 재위 384~396.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皝)의 아들로, 전진(前秦)의 부견(苻堅)에게 망명하여 세력을 키운 후 칭제(稱帝)하여 화북(華北) 동부를 평정함.
326~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모용패(慕容霸) - 세조(世祖)@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후연(後燕)의 제1대 황제. 재위 384~396.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皝)의 아들로, 전진(前秦)의 부견(苻堅)에게 망명하여 세력을 키운 후 칭제(稱帝)하여 화북(華北) 동부를 평정함.
326~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모용황(慕容皝) - 태조(太祖)@남북조(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제1대 왕. 재위 337~348. 모용외(毛容廆)의 아들이자 모용각(慕容恪)의 아버지. 337년 연왕(燕王)이라 칭하고 조양(朝陽)에 도읍하였고, 342년 고구려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함.
297~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모유격(茅遊擊) - 모국기(茅國器)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 때, 보병 3천여 명을 이끌고 조선에 옴. 성주(星州)에 주둔했을 때 유민(流民)을 불러 모으고 둔전(屯田)하며 군사를 훈련시켰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모은(慕隱) - 이인립(李仁立)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포(李褒)의 아들.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나 국정이 어지러워지자 낙향하여 여생을 음영(吟詠)하며 지냄.
1333~13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모을동비(毛乙冬非) - 철원(鐵原)
강원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궁예(弓裔)가 세운 태봉국(泰封國)의 수도로 후삼국시대 중심지의 하나이며, 우리나라 중앙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강원도>철원 , 지명>행정지명
-
모의정(慕義亭) - 숭의사(崇義祠)
조선 후기 경상도 청도(淸道)에 건립한 용강서원(龍岡書院) 내의 사당.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공을 세운 밀성박씨(密城朴氏) 문중의 부자 형제, 종반숙질(從班叔侄) 등의 창의공신(倡義功臣) 14의사를 배향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유적>건물>사당
-
모장(茅將) - 모국기(茅國器)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 때, 보병 3천여 명을 이끌고 조선에 옴. 성주(星州)에 주둔했을 때 유민(流民)을 불러 모으고 둔전(屯田)하며 군사를 훈련시켰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모장군(茅將軍) - 모국기(茅國器)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 때, 보병 3천여 명을 이끌고 조선에 옴. 성주(星州)에 주둔했을 때 유민(流民)을 불러 모으고 둔전(屯田)하며 군사를 훈련시켰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모재(慕齋)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모재(茅齋) - 전승개(田承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산(禮山)으로,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지낸 전실(田實)의 아들.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모재상공(慕齋相公)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모전(毛傳)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모정(慕亭) - 배대유(裵大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수비함.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공을 세웠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적극 참여함.
156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모정(茅亭) - 원효렴(元孝廉)
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아들이자 원숙강(元叔康)의 아버지. 1451년(문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모지(慕之) - 이교(李嶠)@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우(李瑀)의 아들이며, 이조년(李兆年)의 사위로, 공민왕 때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어사대부(御史大夫)로서 전선(銓選)을 관장함.
?~136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모집(毛什)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모한(母漢) -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검소하게 생활한 것으로 유명함.
?~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모헌(慕軒) - 하혼(河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ㆍ오건(吳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하였고, 장수 찰방(長水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낙향 후 이안눌(李安訥) 등과 교유하며 만년을 보냄.
1548~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목(牧) - 안목(安牧)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를 지낸 안우기(安于器)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충숙왕 때 이군해(李君侅) 등과 함께 인사권을 관장함.
1290~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목(睦) - 권목(權睦)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둘째 아들이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권성(權省)의 아우이자, 여주 목사(驪州牧使) 권현(權睍)의 형.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목(穆)@허목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穆)@임목 - 임목(林穆)
조선 전기의 유학. 그의 아버지의 요청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이름과 자(字)를 지어준 내용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목(穆)@조목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목(穆)@이목 - 이목(李穆)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교유함. 무오사화 때 조의제문(弔義帝文)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고,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중종 때 신원됨.
1471~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穆) - 윤목(尹穆)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옥사에 관련되어 유배되었다가 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목(霂) - 이목(李霂)
조선 전기의 종친. 낙안군(樂安君) 이녕(李寧)의 아들로, 청원정(靑原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목(霂)@권목 - 권목(權霂)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두인(權斗寅)의 아버지. 김중청(金中淸)의 문인으로,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내고, 권유(權濡)와 함께 《충재집(冲齋集)》을 간행하는 데 힘씀.
1614~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목^도(牧^陶) - 도^목(陶^牧)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과 목은(牧隱) 이색(李穡)을 함께 부르는 말. 문장(文章)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ㅣ경상도>성주 , 사상>술어>관용어
-
목계(木溪) - 강혼(姜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목계선생일고(木溪先生逸稿) - 목계일고(木溪逸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강혼(姜渾)의 문집. 2권1책. 여러 차례 간행을 시도하다가 이루지 못하고 1910년에 간행함. 곽종석(郭鍾錫)이 서문(序文)을 지음.
1910 한국>근대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목계자(木溪子) - 강혼(姜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목계집(木溪集) - 목계일고(木溪逸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강혼(姜渾)의 문집. 2권1책. 여러 차례 간행을 시도하다가 이루지 못하고 1910년에 간행함. 곽종석(郭鍾錫)이 서문(序文)을 지음.
1910 한국>근대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목공(繆公) - 목공(穆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409~B.C.377. 등용할 마음도 없으면서 음식으로만 형식적인 예(禮)를 베풀어 공급(孔伋)에게 불인(不仁)한 자로 지목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