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목근(木槿)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목근화(木槿花)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목단(牧丹)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목당노인(牧堂老人) - 채발(蔡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버지로, 역상(易象)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해박하였으며, 중년에 무이산(武夷山)에 목당(牧堂)을 짓고 은거하면서 성리학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목덕왕(木德王) - 무왕(武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대 왕. 재위 B.C.1046~ B.C.1043. 목야(牧野)에서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대군을 격파하여 은 나라를 멸망시키고 주 나라를 창건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독자(牧犢子) - 권민수(權敏手)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이조 좌랑으로서 직언을 하다가 영외(嶺外)에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6~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목동(牧童)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련(目連) - 목건련(目犍連)
B.C.6~B.C.5세기경의 인도의 승려. 석가(釋迦)의 십대제자(十大弟子) 중의 한 사람으로 신통제일(神通第一)이라는 영예를 얻음.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목로(牧老)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릉(穆陵)@의인왕후 - 의인왕후(懿仁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비. 본관은 반남(潘南).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박응순(朴應順)의 딸로, 1569년(선조 2) 왕비에 책봉됨.
1555~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목릉(穆陵)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목만(穆滿) - 목왕(穆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B.C.976~B.C.922. 소왕(昭王)의 아들.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묘(穆廟)@충목왕 - 충목왕(忠穆王)
고려 제29대 왕. 재위 1344~1348. 충혜왕(忠惠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덕녕공주(德寧公主). 정방(政房)을 혁파하고 녹과전(祿科田)을 복구하였으며, 정치도감(整治都監)ㆍ진제도감(賑濟都監)을 설치하여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백성들을 구휼하는 데 힘씀.
133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목묘(穆廟)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목번(穆蕃) - 정목번(鄭穆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정유일(鄭惟一)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목산(木山) - 이기경(李基敬)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익렬(李翊烈)의 아들로, 참판(參判) 등을 지냄. 정조를 배척한 홍지해(洪趾海) 집안과 친밀하다 하여 죄안(罪案)에 올랐다가 아들 이덕감(李德鑑)의 호소로 인해 삭제됨.
17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목성(穆成) - 이인(李仁)@1465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아들인 이기(李祺)의 사건에 연좌되어 남해(南海)에 유배됨.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되고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65~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목수(木叟) - 이충건(李忠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윤탁(李允濯)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연루되어 고문을 받고 귀양 가던 도중 청파역(靑坡驛)에서 죽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목안정(木鴈亭)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암(木庵)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木菴) - 박동우(朴東雨)
고려 후기의 문인. 이첨(李詹)ㆍ원천석(元天錫) 등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목암(牧庵) - 각겸(覺謙)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나암 유공(懶庵游公)과 함께 오대산(五臺山)의 수정암(水精菴)을 중수함.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ㆍ정도전(鄭道傳) 등과 시(詩)로써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홍천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牧菴)@무외 - 무외(無畏)
고려 후기 천태종(天台宗)의 승려. 1302년(충렬왕 28) 묘련사(妙蓮社)의 제3세 법주(法主)가 되고, 1313년(충선왕 5) 국통(國統)으로 책봉됨. 원혜 경의(圓慧景宜)ㆍ순암 의선(順菴義璇)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 .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牧菴) - 요수(姚燧)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ㆍ문신. 문장에 능하여 서한(西漢)의 기풍이 있었고, 태자빈객(太子賓客)ㆍ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 등을 지냄.
1239~131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암(目菴) - 미월(眉月)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한수(韓脩)ㆍ원천석(元天錫)ㆍ권근(權近) 등과 시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睦庵) - 일연(一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고종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구산문 사선(九山門四選)의 으뜸되어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고, 충렬왕 때 국존(國尊)으로 책봉됨. 제자로 혼구(混丘)ㆍ죽허(竹虛)가 있고, 대표적 저서로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유명함.
1206~128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문집(牧菴文集) - 목암집(牧菴集)
중국 원(元) 나라 문신ㆍ학자인 요수(姚燧)의 문집. 36권으로 구성.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목양객(牧羊客)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목양인(牧羊人)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목예(木禮) - 단목례(端木禮)
조선 태종(太宗) 원년(元年)에 온 명(明) 혜제(惠帝)의 사신(使臣). 고명(誥命)과 금인(金印)을 전함.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공(子貢) 단목사(端木賜)의 후예(後裔).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목옹(木翁) - 하자종(河自宗)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영의정 하연(河演)의 아버지로, 고려 말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절개를 지키다가 조선 태종(太宗) 때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세종 때 판청주목사(判淸州牧事) 등을 역임함.
?~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목옹(牧翁)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왕(穆王) - 목조(穆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고조부. 전주(全州)의 토호였으나 가솔과 토착인 170여 호를 이끌고 삼척(三陟)ㆍ의주(宜州) 및 남경(南京) 알동(斡東)으로 이주하여 큰 세력을 형성함. 태조가 즉위하여 추존함.
?~1274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의주ㅣ전라도>전주ㅣ강원도>삼척 , 인명>왕실>국왕
-
목왕(穆王)@목종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목외(牧外) - 목야(牧野)
중국 하남성(河南省) 기현(淇縣) 남쪽에 있던 고을 이름.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이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멸한 곳.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목요(木曜) - 목성(木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동방(東方)을 상징하였으며, 하늘 전체를 십이차(十二次)로 나누고 목성이 있는 성차(星次)를 그해의 기년(紀年)으로 삼았던 데서 ‘세성(歲星)’으로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목우자(牧牛子) - 지눌(知訥)
고려 의종(毅宗)~희종(熙宗) 때의 승려. 조계종(曹溪宗)의 개조(開祖).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정혜쌍수(定慧雙修)를 주장하여 선(禪)으로써 체(體)를 삼고, 교(敎)로써 용(用)을 삼아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합일점을 추구함. 저서에 《진심직설(眞心直說)》ㆍ《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등이 있음.
1158~121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종교인>승려
-
목은(牧隱)@주호 - 주호(周護)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승려. 성석린(成石璘)의 《독곡집(獨谷集)》에 그와 관련한 시가 실려 있음.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목은(牧隱)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은소부(牧隱小賦) - 관어대소부(觀魚臺小賦)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이 경상도 영해부(寧海府)에 있는 관어대(觀魚臺)에서 물에 노니는 물고기를 보고 중용(中庸)의 도를 읊은 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문헌>작품명
-
목은집(牧隱集) - 목은고(牧隱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의 문집. 조선 태종(太宗) 때 아들 이종선(李種善)이 처음 간행함. 이후 방대한 내용을 나누어 〈시고(詩藁)〉와 〈문고(文藁)〉로 간행하기도 함.
140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목재(木齋)@사천 - 사천(謝遷)
중국 명(明) 효종(孝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병부 상서(兵部尙書) 겸 동각태학사(東閣太學士) 등을 역임하였으며, 도량 있는 정치를 펴서 어진 재상이라 칭송되었음.
1449~153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재(木齋) - 홍여하(洪汝河)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호(洪鎬)의 아들. 이후원(李厚源)을 논박한 상소로 인해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고향에서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남인(南人) 집권 후에 사간(司諫) 등을 지냄. 특히 주자학(朱子學)에 밝았음.
1621~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목재(牧齋) - 전겸익(錢謙益)
중국 명(明)~청(淸) 나라의 문신ㆍ문인. 명 나라가 망하자 청조(淸朝)의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이 되어 《명사(明史)》편찬에 참여함. 사후 건륭제(乾隆帝)로부터 불충지신(不忠之臣)으로 비난받아 저서의 판목(版木)이 모두 불태워짐.
1582~1664 중국>청ㅣ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목재(睦齋) - 김기서(金麒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에 조광조(趙光祖)와 신진사림(新進士林)들이 대거 숙청당하자 향리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
-
목재문집(木齋文集) - 목재집(木齋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여하(洪汝河)의 문집. 1677년(숙종 3)부터 아들 홍상문(洪相文)ㆍ홍상민(洪相民)에 의해 정리됨. 권유(權愈)의 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목재선생문집(木齋先生文集) - 목재집(木齋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여하(洪汝河)의 문집. 1677년(숙종 3)부터 아들 홍상문(洪相文)ㆍ홍상민(洪相民)에 의해 정리됨. 권유(權愈)의 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목재초학집(牧齋初學集) - 초학집(初學集)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문신ㆍ문인인 전겸익(錢謙益)의 시문집. 110권. 명 나라가 망하기 전까지 지은 시문(詩文)을 모은 것임.
1643 중국>청 , 중국 , 문헌>서명
-
목제(木帝)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목종(木鍾) - 진식(陳埴)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질문(質問)의 장점과 효과에 대해 크게 장려함. 제자들의 질문에 답한 것을 모아 펴낸 《목종집(木鍾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목종(穆宗) - 화제(和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 재위 89~105년. 장제(章帝)의 넷째 아들로, 10세에 즉위하여 두태후(竇太后)가 수렴청정을 함. 환관들과 연합하여 두태후 일당을 척결했으나 환관들의 전횡 때문에 다시 정치가 문란해지고, 그 우울증에 시달리다 죽음.
79~10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주(木州) - 목천(木川)
충청도 천안(天安)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지형적 특색으로 백제시대에는 북방의 군사요지로 쓰였고, 고려의 태조(太祖) 왕건(王建)은 이곳이 오룡쟁주형(五龍爭珠形)이므로 천하를 통일시킬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중요하게 여김.
충청도>목천 , 지명>행정지명
-
목지(木智) - 단목지(端木智)
조선 태종(太宗) 2년에 온 명(明) 나라의 사신(使臣). 진초(眞草)와 전예(篆隸)에 있어서 입신(入神)의 경지에 이르렀다 함. 단목례(端木禮)의 동생.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목지(牧之) - 두목(杜牧)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강직한 성품으로 당 나라의 쇠운을 만회하려고 노력하였음. 산문과 시에 뛰어났으며,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잘 했음.
803~85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목지(牧之)@이사겸 - 이사겸(李思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석동(李碩童)의 아들로,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을 지냄.
1452~15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목지(牧之)@이섭 - 이섭(李涉)@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천(鎭川). 직산 현감(稷山縣監) 이관림(李管林)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문사>유학
-
목지(穆之) - 탁문상(卓文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맏아들로, 성균 진사(成均進士)였음.
1479~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목천상씨(木川象氏) - 목천상씨(木川尙氏)
백제의 유민(遺民)으로 목천현(木川縣)의 장리(長吏)를 지낸 상국진(尙國珍)을 시조로 하는 성씨. 고려에 반기를 들어 ‘상(象)’으로 사성(賜姓)되었다가 복성(復姓)되었다 함.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집단>성씨
-
목천자(穆天子) - 목왕(穆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B.C.976~B.C.922. 소왕(昭王)의 아들.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탕경(睦湯卿) - 목대흠(睦大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이조 참판(吏曺參判)을 지낸 목첨(睦瞻)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亂) 때 공을 세움. 저서로는 《다산집(茶山集)》이 있음.
1575~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필(木筆) - 목련(木蓮)
목련과(木蓮科)의 낙엽교목(落葉喬木).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함. 꽃이 아름다워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에서는 7등에 속해 있음.
자연물>식물
-
목필화(木筆花) - 목련(木蓮)
목련과(木蓮科)의 낙엽교목(落葉喬木).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함. 꽃이 아름다워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에서는 7등에 속해 있음.
자연물>식물
-
목하등길랑(木下藤吉郞)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목황제(穆皇帝) - 세종(世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1521~1566. 흥헌왕(興獻王) 주유원(朱裕元)의 맏아들로, 재임 중 도교에 심취하여 엄숭(嚴嵩) 등의 난정을 초래함.
1507~1566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후(沐猴)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후(穆侯) - 목왕(穆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B.C.976~B.C.922. 소왕(昭王)의 아들.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몰(圽) - 김몰(金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필(金㻶)의 아들이자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김괴(金塊)의 동생.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한(典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몰자비(沒字碑) - 안숙천(安叔千)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 장종(莊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무예에 뛰어났으나 글자를 깨우치지 못해 하는 짓이 비루하였으므로, 당시 사람들에게 몰자비(沒字碑)라고 불렸음.
881~95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몽(蒙) - 이몽(李蒙)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조선 개국 공신인 이백유(李伯由)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몽가(蒙哥)@헌종 - 헌종(憲宗)@원
몽고의 제4대 칸이며,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 재위 1251~1259. 태조(太祖)의 막내아들인 예종(睿宗)의 장자이며 세조(世祖)의 형으로, 강력한 형제정권을 지향하면서 제국의 기반을 다짐.
1208~1259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몽가(蒙哥) - 이숭인(李崇仁)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 이색(李穡)에게 수학하고 정몽주(鄭夢周)ㆍ정도전(鄭道傳) 등과 교유하였으나, 조선 개국에 앞서 정도전의 심복인 황거정(黃巨正)에 의해 피살됨.
134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가(蒙哥)@이몽가 - 이몽가(李蒙哥)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행(李行)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405~148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몽계(夢桂) - 하몽계(何夢桂)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송 나라 도종(度宗) 때 감찰어사(監察御使) 등을 지냈으나, 나라의 국운이 기울자 소유원(小酉源)에 은거함.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저서에 《잠재집(潛齋集)》 등이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계(夢溪) - 한철충(韓哲冲)
고려 말의 문신.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한희적(韓希迪)의 아들로, 전법 판서(典法判書) 등을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면서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몽계옹(夢溪翁) - 심괄(沈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사천감(司天監)이 되어 천체관측법ㆍ역법(曆法) 등을 창안하였고, 천문ㆍ수학ㆍ지리ㆍ본초(本草) 등 과학에 밝았으며, 저서에는 《몽계필담(夢溪筆談)》이 있음.
1031~10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고(蒙古)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몽공(蒙公) - 몽염(蒙恬)
중국 진(秦) 나라 시황제(始皇帝) 때의 무신. 대장군을 지낸 몽무(蒙武)의 아들. 30만 대군을 이끌고 흉노를 정벌했으며, 만리장성(萬里長城)을 완성하여 변방 안정에 기여함.
?~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몽규(夢奎) - 이몽규(李夢奎)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인신(李仁臣)의 아들로, 종실이었던 이모부 흥녕부정(興寧副正) 이린(李磷)에게 출계함. 사후에 명현(名賢)으로 평가받아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되었으며, 이이(李珥)가 지은 행장(行狀)과 김육(金堉)이 지은 전기(傳記)가 있음.
1510~156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몽기(夢驥) - 유인(劉因)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학행(學行)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 정주학(程朱學)을 신봉하여 허형(許衡)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二大家)로 일컬어짐.
1249~129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길(夢吉) - 유인(劉因)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학행(學行)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 정주학(程朱學)을 신봉하여 허형(許衡)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二大家)로 일컬어짐.
1249~129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도원도(夢桃源圖) -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조선 세종(世宗) 때의 화가인 안견(安堅)이 그린 산수화. 1447년(세종 29년)에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이 꿈에서 무릉도원(武陵桃源)을 거닌 이야기를 듣고 그림.
1447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몽두(夢斗) - 권몽두(權夢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미수(權眉壽)의 아들이며, 권호문(權好文)의 종질(宗姪). 효우(孝友)가 지극하고 선조(先祖)를 잘 받들었으며, 수직(壽職)으로 호군(護軍)에 오름.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몽득(夢得)@김몽득 - 김몽득(金夢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예조 정랑(禮曹正郞) 김개국(金蓋國)의 아버지로, 장사랑(將仕郞)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몽득(夢得) - 유우석(劉禹錫)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왕숙문(王叔文)ㆍ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정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낭주 사마(朗州司馬)로 좌천되고, 만년에는 백낙천(白樂天)과 교유함.
772~84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몽득(夢得)@곽열 - 곽열(郭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회영(郭懷英)의 아들로 1589년(선조 2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을 지냄.
1548~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몽득(夢得)@허원보 - 허원보(許元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진사(進士) 허찬(許瓚)의 아버지로, 1495년(연산군 1)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몽득(夢得)@범조우 - 범조우(范祖禹)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역사가. 사마광(司馬光)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기술하고, 당(唐) 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당감(唐鑑)》을 저술함.
1041~10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득(夢得)@섭몽득 - 섭몽득(葉夢得)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지복주 겸 복건안무사(知福州兼福建安撫使) 등을 역임하고, 평생 학문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사(詞)에 뛰어나 여러 저술을 남김.
1077~114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란(夢蘭)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량(夢亮) - 이몽량(李夢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대사간(大司諫)으로서 학문에 의거한 도학(道學) 정치를 제창하였으며, 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9~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몽령(夢齡) - 정수붕(鄭壽朋)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정탁(鄭鐸)의 아들이며, 정초(鄭礎)의 아버지로, 1495년(연산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몽로(夢老) - 유희령(柳希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절도(絶島)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표제음주동국사략(標題音注東國史略)》과 《대동시격(大東詩格)》을 편찬하고, 《몽암집(夢菴集)》을 남김.
1480~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몽룡(夢龍)@어몽룡 - 어몽룡(魚夢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함종(咸從). 군수(郡守) 어운해(魚雲海)의 아들로, 진천 현감(鎭川縣監)을 지냄. 묵매(墨梅)를 잘 그려서 이정(李霆)의 묵죽(墨竹), 황집중(黃執中)의 묵포도와 함께 당시의 삼절(三絶)로 불림.
1566~?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함종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몽룡(夢龍)@이몽룡 - 이몽룡(李夢龍)
조선 전기의 유학. 송인(宋寅)과 교유하였으며, 송인이 그의 상심정(賞心亭)이란 정자를 두고 지은 시가 《이암유고(頤庵遺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몽룡(夢龍)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무(夢武) - 이몽무(李夢武)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몽문(夢文) - 이몽문(李夢文)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몽사(夢思)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몽사(夢獅) - 유몽사(柳夢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를 지낸 유탱(柳樘)의 아들로, 선공감 감역(繕工監監役)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선천(宣川)으로 양곡을 운송한 공로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38~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몽산(蒙山)@덕이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