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무^여(武^呂) - 여^무(呂^武)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황후인 여후(呂后)와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인 측천무후(則天武后)를 함께 부르는 말. 황제를 대신해 정권을 휘두르며 권세를 누렸던 두 황후를 말함.
중국>당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무^탕(武^湯) - 탕^무(湯^武)
중국 은(殷) 나라를 세운 탕(湯)과 주(周) 나라를 세운 무왕(武王)을 함께 부르는 말. 각각 하(夏) 나라의 걸(桀)과 은(殷) 나라의 주(紂)를 정벌하고 새로 건국한 고사에서, 무도한 왕을 정벌하고 정당한 혁명을 일으킨 성군(聖君)을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무강(武康) - 무왕(武王)@백제
백제 제30대 왕. 재위 600~641. 법왕(法王)의 아들이며, 의자왕(義慈王)의 아버지. 즉위 후 신라를 자주 공격하는 한편 고구려의 남진(南進)을 견제하였으며, 정복전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대규모 토목공사를 일으킴.
?~641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무강(無疆) - 이무강(李無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소윤(小尹) 일파 이기(李芑)의 사주를 받아 구수담(具壽聃)ㆍ허자(許磁)ㆍ송순(宋純)ㆍ이준경(李浚慶) 등을 모함하여 유배보냈으나 그 일이 발각되자 죄를 받고 유배지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무거(武擧) - 무과(武科)
조선시대에 무관(武官)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대개 3년마다 한 번씩 식년(式年)에 실시하였으며,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3단계를 거쳐 선발함.
1408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무경(武經) - 무경칠서(武經七書)
중국의 병법(兵法)에 관한 일곱 가지 책. 군사를 훈련시키고 전략을 세우는 등 용병하는 방법을 총망라한 책으로, 《손자(孫子)》ㆍ《오자(吳子)》ㆍ《사마법(司馬法)》ㆍ《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ㆍ《위료자(尉繚子)》ㆍ《삼략(三略)》ㆍ《육도(六韜)》를 가리킴.
1083 중국>송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무경(茂卿) - 진백(陳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선비가 공부하고 수양하는 절차를 말한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무공(懋公) - 이적(李勣)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고종(高宗) 때의 명장. 요동도 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總官)으로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안시성(安市城)을 침공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가 재차 침공하여 고구려를 멸망시킴. 이정(李靖)과 함께 ‘영위(英衛)’로 병칭됨.
594~66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무공(懋功) - 권적(權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교(權僑)의 아들로,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ㆍ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냄.
1470~153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무공(武恭) - 복지겸(卜智謙)
고려의 개국공신(開國功臣). 태봉(泰封)의 마군장군(馬軍將軍)으로 있다가 궁예(弓裔)가 민심을 잃자, 918년에 배현경(裵玄慶)ㆍ신숭겸(申崇謙) 등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움. 면천복씨(沔川卜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충청도>면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무공(無功) - 성세적(成世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진일재(眞逸齋) 성간(成侃)의 아들로, 정언(正言)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무공(無功)@왕적 - 왕적(王績)
중국 수(隋)~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문중자(文中子) 왕통(王通)의 동생. 비서성 정자(秘書省正字)ㆍ문하성 대조(門下省待詔) 등을 지낸 후 관직을 그만두고 노장(老莊)에 심취함.
585~644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공선생(武功先生) - 소병(蘇昞)
중국 송(宋)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처음에 장재(張載)에게 배웠으나 나중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문인이 되었으며, 태상박사(太常博士)를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관(務觀) - 육유(陸游)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냄. 조국을 침략한 금(金) 나라에 대한 철저한 항쟁을 주장하고, 시를 통해 그 분노를 표출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자적함을 동시에 표현함.
1125~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관(懋官)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무구(无咎)@한원길 - 한원길(韓元吉)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화정(和靖) 윤돈(尹焞)의 문인(門人)으로, 일찍이 여조겸(呂祖謙)과 더불어 덕청(德淸)의 자상사(慈相寺)에서 강독하고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1118~118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구(无咎) - 조보지(晁補之)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시인ㆍ학자. 문동(文同)의 친구이자 소식(蘇軾)의 제자로,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황정견(黃庭堅)과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저서로 《계륵집(鷄肋集)》등이 있음.
1053~11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구(無咎) - 백비화(白賁華)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포(藍浦)로, 백광신(白光臣)의 아들. 1198년(신종 1)에 춘관시(春官試)에 급제하여, 내시(內侍)로 오래 재직하고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ㆍ경산 부사(京山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남양시집(南陽詩集)》이 있음.
1180~122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관인>문신
-
무구거사(無垢居士) - 장구성(張九成)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예부 시랑(禮部侍郞)을 지냈으나 진회(秦檜)에게 거슬려 파직당함. 종고(宗杲)의 가르침을 받아 깨우침을 얻고, 종지(宗旨)를 보는 눈이 분명하다는 평을 얻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구자(無垢子) - 장구성(張九成)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예부 시랑(禮部侍郞)을 지냈으나 진회(秦檜)에게 거슬려 파직당함. 종고(宗杲)의 가르침을 받아 깨우침을 얻고, 종지(宗旨)를 보는 눈이 분명하다는 평을 얻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구칭(無垢稱) - 유마힐(維摩詰)
석가(釋迦)의 속제자(俗弟子). 인도 비사리국(毗舍離國)의 장자(長者)로, 속가에 있으면서 보살(菩薩)의 행업을 닦았으며, 그 수행이 높아서 불자제로도 미칠 수 없었다고 함.
고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무궁(無宮)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무궁(無窮)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무궁화(無宮花)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무궁화(舞宮花)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무극(無極)@일연 - 일연(一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고종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구산문 사선(九山門四選)의 으뜸되어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고, 충렬왕 때 국존(國尊)으로 책봉됨. 제자로 혼구(混丘)ㆍ죽허(竹虛)가 있고, 대표적 저서로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유명함.
1206~128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무극(無極) - 비무기(費無忌)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태자소부(太子少傅). 평왕(平王)에게 오자서(伍子胥)의 아버지인 오사(伍奢)와 형 오상(伍尙)을 모함하여 처형하도록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극(無極)@주돈이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무극노인(無極老人) - 혼구(混丘)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일연(一然)의 제자로, 충숙왕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가송잡저(歌頌雜著)》 등을 저술함.
1251~132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종교인>승려
-
무극도(無極圖) - 태극도(太極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 때의 도사인 진단(陳摶)이 처음 만들었다는 태극(太極)의 도식(圖式). 충방(种放)ㆍ목수(穆修) 등에게 차례로 전승되어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로 이어졌다 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무극옹(無極翁)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무기(無己)@진사도 - 진사도(陳師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시로 인해서 증공(曾鞏)과 소식(蘇軾)을 알게 되었으며, 소식의 문인 가운데에서 황정견(黃庭堅)과 함께 황진(黃陳)이라 병칭됨.
1053~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무기(無己) - 김륜(金倫)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렬왕ㆍ충혜왕(忠惠王) 등을 시종해 원(元) 나라에 가 외교문제를 해결함.
127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무기(無忌) - 신릉군(信陵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소왕(昭王)의 막내아들. 전국시대(戰國時代) 사공자(四公子) 중 한 명으로, 인의(仁義)를 중시하고 덕(德)을 강조함.
?~B.C.2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무기당(無期堂) - 방유녕(方有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등을 지냄.
1460~152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무능(無能) - 박성량(朴成亮)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냈으며, 공민왕이 죽자 벼슬하지 않고 불사(佛事)에 전념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무능수(無能叟) - 복구(復邱)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13세 국사(國師)로, 도영(道英)에게 공부하고 백암사ㆍ월남사ㆍ송광사 등에서 수행함. 1352년(공민왕 1)에 왕사(王師)가 됨.
1270~135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광산ㅣ경상도>하동 , 인명>종교인>승려
-
무동향현사(茂洞鄕賢祠) - 무동서원(茂洞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선산(善山)에 건립한 서원. 전좌명(田佐命)ㆍ전윤무(田胤武)ㆍ이우(李瑀)를 배향함.
17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무등(無等) - 김홍윤(金弘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극핍(金克愊)의 아들.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을 탄핵하다 파직당하기로 함.
1499~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무량(無量) - 무염(無染)
통일신라 헌덕왕(憲德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승려. 중국에 유학하여 마곡 보철(麻谷寶徹)에게 남종선(南宗禪)을 인가받고, 847년(문성왕 7) 귀국하여 공주(公州) 성주사(聖住寺)에 머물며 성주산문(聖住山門)을 열고 교화함.
801~888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무려(巫閭)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무려(無閭)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무려산(巫閭山)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무려산(無閭山)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무령(撫寧) - 가산(嘉山)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박천(博川)ㆍ정주(定州)ㆍ태천(泰川)과 접해 있으며, 1811년(순조 11) 이곳에서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남.
평안도>가산 , 지명>행정지명
-
무령(武寧) - 서달(徐達)
중국 명(明) 태조(太祖) 때의 무신. 태조를 따라 사방을 정략(征略)하였고, 중서 우승상(中書右丞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지고 죽은 뒤에 중산왕(中山王)에 추봉(追封)됨.
1332~138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무령군(武靈君) - 유자광(柳子光)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를 제거하여 훈구파(勳舊派)의 기반을 굳힘. 중종반정 때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으로 봉해졌다가 홍문관(弘文館)ㆍ예문관(藝文館)의 탄핵으로 유배되어 죽음.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 - 유자광(柳子光)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를 제거하여 훈구파(勳舊派)의 기반을 굳힘. 중종반정 때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으로 봉해졌다가 홍문관(弘文館)ㆍ예문관(藝文館)의 탄핵으로 유배되어 죽음.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무령수(武寧守) - 이월(李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무릉(武陵)@울릉도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무릉(武陵) - 칠원(漆原)
경상남도 함안(咸安)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칠원 , 지명>행정지명
-
무릉(武陵)@주세붕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릉(武陵)@단양 - 단양(丹陽)
충청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제2의 외금강(外金剛)이라 불릴 만큼 경관이 아름다움.
충청도>단양 , 지명>행정지명
-
무릉(茂陵)@사마상여 -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랑장(中郞將)ㆍ효문원령(孝文園令) 등을 지내고, 〈자허부(子虛賦)〉ㆍ〈상림부(上林賦)〉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
B.C.179~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릉(茂陵)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릉고(武陵稿) - 무릉잡고(武陵雜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주세붕(周世鵬)의 시문집(詩文集).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8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무릉공자(茂陵公子)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릉군(武陵君)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릉도인(武陵道人)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릉로(武陵老)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릉왕(武陵王) - 효무제(孝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453~464. 아버지 문제(文帝)를 시해하고 제위에 앉은 형을 죽이고 즉위함.
430~4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릉유집(武陵遺集) - 무릉잡고(武陵雜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주세붕(周世鵬)의 시문집(詩文集).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8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무릉정씨(武陵丁氏) - 정역동(丁易東)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송 나라 때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를 지냈으나 원 나라 때는 벼슬을 하지 않고 물러나 생도(生徒)들을 가르침. 저서에 《역상의(易象義)》등이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릉집(武陵集) - 무릉잡고(武陵雜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주세붕(周世鵬)의 시문집(詩文集).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8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무릉천자(茂陵天子)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림군(茂林君) - 이선윤(李善胤)
조선 후기의 종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손자이자 원성군(原城君) 이탁(李倬)의 둘째 아들. 1615년(광해군 7) 나라를 바로잡자는 상소를 올렸으며, 무림군(茂林君)으로 봉해짐.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무림수(茂林守) - 이선윤(李善胤)
조선 후기의 종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손자이자 원성군(原城君) 이탁(李倬)의 둘째 아들. 1615년(광해군 7) 나라를 바로잡자는 상소를 올렸으며, 무림군(茂林君)으로 봉해짐.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무명(茂明) - 범준(范浚)
중국 송(宋) 고종(高宗) 때의 유학자. 《맹자(孟子)》의 주(注)에 그의 유명한 저작인 〈심잠(心箴)〉이 실려 있음.
1102~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명재(無名齋) - 강백진(康伯珍)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귀양 가서 1504년(연산군 10)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무목(武穆) - 악비(岳飛)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학자. 남송(南宋) 초에 금군(金軍)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戰功)을 세웠으나, 주화파(主和派)인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무고한 누명을 쓰고 살해됨. 후에 신원되어 구국의 영웅으로 추앙됨.
1103~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무목왕정충도(武穆王精忠圖) - 악무목왕정충록도(岳武穆王精忠錄圖)
중국 남송(南宋)의 명장 악비(岳飛)를 그린 그림. 명(明) 나라 때 간행된《회찬송악악무목왕정충록(會纂宋岳鄂武穆王精忠錄)》에 수록된 36편의 화도(畵圖)로, 악비의 초상ㆍ전투모습 등이 그려져 있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작품명
-
무묘(武廟) - 관왕묘(關王廟)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명장인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 서울에 남관왕묘(南關王廟)와 동관왕묘(東關王廟)가 있으며, 지방에는 강진(康津)ㆍ안동(安東)ㆍ성주(星州)ㆍ남원(南原) 등 네 곳에 건립되었음.
15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강진ㅣ경상도>안동ㅣ경상도>성주ㅣ서울 , 유적>건물>사당
-
무문(無門) - 희진(禧進)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환암(幻菴) 혼수(混脩)의 제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종교인>승려
-
무민(武愍) - 최영(崔瑩)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동주(東州). 고려 말 외적의 소탕과 변방 수호에 수많은 공로를 세워 도형벽상공신(圖形壁上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 등에 책록됨.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세력을 잃고 참형됨.
1316~1388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무민(無悶) - 채홍철(蔡洪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권한공(權漢功)과 함께 원(元) 나라에 청원서를 올려 심왕(瀋王) 고(暠)를 왕으로 추대하려 함. 불교ㆍ의약ㆍ음악 등에 조예가 깊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무방(茂芳)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무백(務伯) - 박근효(朴根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아우 박근제(朴根悌)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전란이 끝난 뒤 동지들과 힘을 모아 서적을 발간하는 등 문교 진흥에 힘씀.
1550~160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무백(武伯)@조숭문 - 조숭문(趙崇文)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부정(副正) 조유(趙瑜)의 아들. 성삼문(成三問) 등의 단종(端宗) 복위사건에 연루되어 아들 조철산(趙哲山)과 함께 죽임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무신
-
무백(武伯) - 임호신(任虎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대사간(大司諫)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호조 판서(戶曹判書)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정미약조(丁未約條)의 체결을 반대함.
1506~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무본(無本)@가도 - 가도(賈島)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시인.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하였음. 벼슬은 장강 주부(長江主簿)에 이르렀고, 시집으로는 《가장강집(賈長江集)》이 있음.
779~84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본재(務本齋) - 손수산(孫守山)
조선 전기의 문신. 1445년(세종 27) 신숙주(申叔舟)ㆍ성삼문(成三問) 등과 함께 요동(遼東)에 가서 당시 유배중이던 명(明) 나라의 한림학사 황찬(黃瓚)에게 음운(音韻)을 물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무봉(巫峯) - 무협(巫峽)
중국 사천성(四川省) 중경시(重慶市)와 호북성(湖北省) 파동현(巴東縣) 사이에 있는 협곡. 장강삼협(長江三峽)의 하나.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무산(巫山)@양양 - 양양(襄陽)
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양양 , 지명>행정지명
-
무산(撫山) - 영변(寧邊)
평안도 남동부에 있는 군(郡). 구룡강(九龍江) 하류에 있어 군사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비옥한 평야가 있어 농산물이 많이 생산됨.
평안도>영변 , 지명>행정지명
-
무산(毋山) - 운봉(雲峯)@지명
전라도 남원(南原)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지리산(智異山)의 서쪽에 위치하며, 호남(湖南)과 영남(嶺南)의 경계 지역을 이룸.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에 속함.
전라도>운봉 , 지명>행정지명
-
무생(茂生) - 선성군(宣城君)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로, 숙의(淑儀) 지씨(池氏) 소생. 계유정난(癸酉靖難) 이후 스스로 관직에서 물러나 사람들과의 관계를 끊고 한가롭게 살다가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무선(武先) - 송복흥(宋復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전(宋琠)의 아들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절한 동래 부사(東萊府使) 송상현(宋象賢)의 아버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냄.
1527~159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무선(茂先)@송시영 - 송시영(宋時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상의원 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냄. 정묘호란 때 왕을 보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로 갔다가 성이 포위당해 이시직(李時稷) 등과 함께 자결함. 영동(永同) 초강서원(草江書院) 등에 배향됨.
1588~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무선(茂先) - 장화(張華)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ㆍ문신. 무제(武帝) 때 오(吳) 나라 토벌에 공을 세워 무후(武侯)에 봉해짐. 천상(天象)을 잘 보는 뇌환(雷煥)을 천거하여 용천검(龍泉劍)ㆍ태아검(太阿劍)을 찾아냈으며, 장재(張載)ㆍ장협(張協)과 함께 삼장(三張)으로 문명을 날림.
232~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성(婺星) - 무녀성(婺女星)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하나의 별자리. 직녀성(織女星) 남쪽에 있는 여수(女宿)의 별칭으로 여신(女神)을 뜻하며, 흔히 귀부인을 찬양하는 용어로 쓰임.
자연물>천체
-
무성(武城)@태인 - 태인(泰仁)
전라북도 정읍(井邑)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태인 , 지명>행정지명
-
무성(武城)@광주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무성(武成) - 문다성(文多省)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되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무성부원군(茂城府院君) - 윤형(尹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언청(尹彦淸)의 아들이며, 전치원(全致遠)의 문인.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로 활약하고, 임진왜란으로 불탄 실록(實錄)을 재간행할 때 참여하였으며,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1549~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무성왕(武成王)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무성황제(武成皇帝) - 세조(世祖)@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후연(後燕)의 제1대 황제. 재위 384~396.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皝)의 아들로, 전진(前秦)의 부견(苻堅)에게 망명하여 세력을 키운 후 칭제(稱帝)하여 화북(華北) 동부를 평정함.
326~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소의(武昭儀)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무소황제(武昭皇帝) - 선조(宣祖)@송
중국 송(宋) 나라의 추존왕.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의 아버지로, 오대십국(五代十國) 때 왕경숭(王景崇)의 반란을 평정하고 검교사도(檢校司徒) 등을 지냈으며, 송 나라 초에 추존됨.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무송(撫松) - 손천우(孫天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각재(覺齋) 하항(河沆) 등과 함께 덕천서원(德川書院)을 건립함.
1533~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무송(茂松) - 윤소종(尹紹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고려 때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역임하고, 조선 개국 후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수문관 대제학(修文館大提學)을 지냄.
1345~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