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물암선생문집(勿巖先生文集) - 물암집(勿巖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륭(金隆)의 시문집(詩文集). 목판본. 5권 3책. 1774년(영조 50)에 작자의 후손인 김상건(金尙建)ㆍ김세완(金世椀) 등이 유문(遺文)을 수집, 편차하고, 이상정(李象靖)의 교정을 거쳐 간행함.
177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물염정(勿染亭) - 송정순(宋庭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유희춘(柳希春)과 경사(經史)를 강론(講論)하고 송징(宋徵) 등의 문하생을 배출하였으며, 동복(同福)에 물염정(勿染亭)을 짓고 그곳에서 여생을 마침.
1521~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물재(勿齋)@기진 - 기진(奇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기묘명현(己卯名賢) 기준(奇遵)의 형이고, 기대승(奇大升)의 아버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아우 기준이 죽자 광주(光州)에 은거하면서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487~15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물재(勿齋)@정안도 - 정안도(鄭安道)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유학 정의(鄭義)의 아들로, 판현사(判縣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물재(勿齋) - 손순효(孫舜孝)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우찬성(右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식료찬요(食療撰要)》를 간행함.
1427~149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물재선생(勿齋先生) - 정약용(程若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성리자훈강의(性理字訓講義)》ㆍ《태극홍범도설(太極洪範圖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물재정씨(勿齋程氏) - 정약용(程若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성리자훈강의(性理字訓講義)》ㆍ《태극홍범도설(太極洪範圖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물헌(勿軒) - 웅화(熊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무이산(武夷山)에 들어가 홍원서당(洪源書堂)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 사서(四書)를 주소(註疏)함.
1135~11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물헌웅씨(勿軒熊氏) - 웅화(熊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무이산(武夷山)에 들어가 홍원서당(洪源書堂)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 사서(四書)를 주소(註疏)함.
1135~11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亹) - 김미(金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제주 목사(濟州牧使) 김률(金硉)의 아들. 우승지ㆍ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고, 명종 초에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미(嵋) - 복성군(福城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서자. 경빈박씨(敬嬪朴氏)의 소생으로, 1533년(중종 28) 작서(灼鼠)의 변(變) 때 모자가 함께 사사(賜死)되었다가 1541년(중종 36)에 신원(伸寃)됨.
1509~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미(楣) - 박미(朴楣)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433~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미(瀰) - 박미(朴瀰)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정안옹주(貞安翁主)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짐. 장유(張維)ㆍ정홍명(鄭弘溟)과 교유하였고 서도에 일가를 이룸.
1592~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미(美) - 이미(李美)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이인형(李仁亨)과 이수형(李守亨)의 아버지로, 전적(典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미(薇) - 이미(李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이며, 이행(李荇)의 아우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미^기(尾^箕) - 기^미(箕^尾)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기성(箕星)과 미성(尾星)을 함께 부르는 말. 은(殷) 나라의 부열(傅說)이 죽어 하늘에 올라 이 두 별자리에 거하였다고 하여 사람의 죽음을 뜻하기도 함.
자연물>기타자연물
-
미가(薇歌) - 채미가(採薇歌)
중국 주(周) 나라 초기에 백이(伯夷)와 숙제(叔齊)가 은(殷) 나라를 정벌한 무왕(武王)을 피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서 고사리를 캐 먹으며 지었다는 노래.
중국>주 , 중국 , 문헌>작품명
-
미강(渼江) - 김탄행(金坦行)
조선 후기의 문신.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손자이며 승지 김제겸(金濟謙)의 아들. 신임옥사(申壬獄事)로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사사되자 금산(錦山)에 유배되고, 영조(英祖) 즉위 후 풀려나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714~177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지 , 인명>관인>문신
-
미강(眉江) - 이경증(李景曾)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권필(權韠)의 문인(門人)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어사(御史)로서 식량조달을 담당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는 병방승지(兵房承旨)로서 인조를 호종함.
1595~164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미견(彌堅) - 백미견(白彌堅)
고려 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1359년(공민왕 8) 전녹생(田祿生)과 정동향시(征東鄕試)에 입격하고, 원(元) 나라 제과(制科)에 합격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미경(美卿) - 이휘(李徽)@이사검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으로, 이사검(李思儉)의 아들. 세조 즉위에 협력하여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정되나, 단종(端宗) 복위에 가담한 사실이 발각되어 거열형을 당하고 가산을 몰수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미고(彌高) - 이영(李嶸)@1462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둘째 아들.
1462~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미구루(味仇婁) - 문천(文川)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함경도>문천 , 지명>행정지명
-
미년(眉年) - 송미년(宋眉年)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중군위 사직(中軍衛司直) 송계중(宋繼中)의 아들이며, 송여우(宋汝雨)의 아버지로, 사재감 주부(司宰監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미능재(未能齋) - 최상중(崔尙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최영(崔穎)의 아들이며, 유희춘(柳希春)의 문인. 임진왜란 때 도원수 권율(權慄)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보필하고,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지냄.
1551~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미다부리(未多夫里) - 남평(南平)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남평읍(南平邑) 일원의 옛 고을 이름.
전라도>남평 , 지명>행정지명
-
미도(味道) - 섭미도(葉味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저작 좌랑(著作佐郞) 등을 지내고, 주희의 어류(語類)를 모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도(味道)@소미도 - 소미도(蘇味道)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종(中宗) 때 재상의 반열에 올랐으나 일 처리가 분명하지 못하여 ‘소모릉(蘇模棱)’으로 불림. 문장에 능하여 두심언(杜審言)ㆍ이교(李嶠)ㆍ최융(崔融) 등과 함께 ‘초당(初唐)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648~70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미도자(味道子) - 섭채(葉采)
중국 송(宋) 이종(理宗) 때의 문신. 건양(建陽) 출신으로 1241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경헌부 교수(景獻府敎授)ㆍ한림학사 겸 시강(翰林學士兼侍講) 등을 역임하였고, 명도(明道)와 주자(朱子)의 설을 모아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를 남김.
?~12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동부리(未冬夫里) - 남평(南平)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남평읍(南平邑) 일원의 옛 고을 이름.
전라도>남평 , 지명>행정지명
-
미락재(彌樂齋) - 서사원(徐思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달성(達城).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주자학(朱子學) 및 이황(李滉)의 문집을 깊이 연구하고 후진양성에 힘씀.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량(眉良) - 백미량(白眉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대흥(大興). 임진왜란 때 공이 큰 백현룡(白見龍)의 아버지. 1525년(중종 2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0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미려(羋侶) - 장왕(莊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13~B.C.591. 춘추오패(春秋五覇) 중 한 사람으로, 아버지 목왕(穆王)에게 왕위를 물려받아 나라를 강성하게 만드는 데 힘씀.
?~B.C.59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미로(眉老)@허목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로(眉老)@유희춘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로(眉老)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미륵산(彌勒山) - 용화산(龍華山)
전라도 익산(益山)의 북쪽 8리 지점에 있는 산 이름. 남쪽 기슭에 미륵사(彌勒寺)가 있어 ‘미륵산(彌勒山)’으로도 불림. 현재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 금마면(金馬面)에 속함.
전라도>익산 , 지명>자연지명
-
미모(彌牟) - 사구미모(司寇彌牟)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장군. 사구혜자(司寇惠子)의 형으로, 《예기(禮記)》〈단궁(檀弓)〉편에 자유(子游)가 맏아들을 폐하고 서자를 세운 사구혜자를 기롱하자 그와 예에 대해 논한 내용이 보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미사감타아지(迷思監朶兒只) - 충정왕(忠定王)
고려 제30대 왕. 재위 1349~1351년. 충혜왕(忠惠王)의 서자(庶子)로, 어머니는 희비윤씨(禧妃尹氏). 12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나 어려서 국정을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로 숙부인 왕기(王祺)가 왕위에 오른 후 강화(江華)로 추방당하여 독살됨.
1337~13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미산(眉山)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미산적선객(眉山謫仙客)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미성(彌性) - 서미성(徐彌性)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근(權近)의 사위. 안주 목사(安州牧使)를 역임하였으며, 아들 서거정(徐居正)의 공훈으로 달천부원군(達川府院君)에 추증됨.
1383~14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미성(美成) - 주방언(周邦彥)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 북송 말기의 대표적 사인(詞人)으로, 사대사인(四大詞人)의 한 사람.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사(詞) 작품을 남기고, 대성부 제거(大晟府提舉) 등을 지냄.
1056~11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미성공(郿城公) - 위원례(韋元禮)
중국 수(隋) 나라의 문신. 위표미(韋表微)의 7세조(世祖)로 미성공(郿城公)에 봉해짐.
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미소(羋騷)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미수(尾壽) - 노미수(盧尾壽)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신창(新昌). 훈련원 습독관(訓練院習讀官) 노규부(盧赳夫)의 아들이며, 단성 현감(丹城縣監) 노집(盧輯)의 아버지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무신
-
미수(眉叟)@성담수 - 성담수(成聃壽)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 때 아버지 성희(成熺)가 귀양갔다가 풀려나 세상을 떠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파주(坡州)에 은거하여 평생 단종을 추모하며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미수(眉叟)@허목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수(眉叟)@곽기수 - 곽기수(郭期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곽세유(郭世幼)의 아들. 관직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재직 중에 낙향하여 《주역(周易)》 연구에 전념함.
1549~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미수(眉叟)@김응기 - 김응기(金應箕)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의 신임이 두터워 10여 년 동안 강연(講筵)을 맡음.
1457~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미수(眉叟)@송인수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미수(眉叟)@소자파 - 소자파(蘇自坡)
조선 전기의 문신. 소효식(蘇效軾)의 아들로, 의빈부 도사(儀賓府都事)ㆍ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지냈으며, 소세량(蘇世良ㆍ소세검(蘇世儉)ㆍ소세양(蘇世讓) 등 일곱 아들이 모두 벼슬에 나가 현달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미수(眉叟)@성구령 - 성구령(成九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방언(成邦彥)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미수(眉叟)@조수만 - 조수만(趙壽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 한 사람인 조려(趙旅)의 손자로, 부친인 조금호(趙金虎)보다 먼저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유학
-
미수(眉叟)@이인로 - 이인로(李仁老)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원(慶源).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교유하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등을 지냄.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도 능함.
1152~122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수(眉叟) - 김수동(金壽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삼포왜란(三浦倭亂)을 진압함.
1457~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미수(眉叟)@신억수 - 신억수(申億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의충(申義忠)의 아버지이자, 신각(申恪)의 조부로, 1513년(중종 8)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교감(承文院校勘)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미수(眉壽)@이미수 - 이미수(李眉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두 번째 아들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둘째 아들이고, 이귀수(李龜壽)의 아우이며 민유경(閔有慶)의 외할아버지. 영천군(永川君)에 봉해짐.
150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미수(眉壽)@정미수 - 정미수(鄭眉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종(文宗)의 외손자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음.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미수(眉壽)@권미수 - 권미수(權眉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선조(宣祖) 때 호군(護軍)을 지낸 권몽두(權夢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미수(眉壽)@설미수 - 설미수(偰眉壽)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 때 귀화하여 검교우참찬(檢校右參贊) 등을 지냄.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明) 나라에 여러 번 사신 가서 외교적 성과를 거둠.
1359~141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미수(眉壽)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미수기언(眉叟記言) - 기언(記言)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허목(許穆)의 문집. 원집(原集)과 별집(別集)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허목이 생전에 손수 편차하여 명명(命名)하고 서문(序文)을 씀.
168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미숙(眉叔) - 구수영(具壽永)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세조(世祖)의 동생 영응대군(永膺大君)의 사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등을 지냈고,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연산군의 충복이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파직됨.
1456~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미숙(美叔)@유빈 - 유빈(柳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풍산(豐山). 유지승(柳智承)의 아들이며,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재종숙으로, 평생 학문에만 정진하여 역학(易學) 등에 일가를 이루었으며, 저서로《권옹집(倦翁集)》이 있음.
1520~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미숙(美叔)@이수언 - 이수언(李秀彦)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 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이선(李選)ㆍ이이명(李頤命)ㆍ이여(李畬)와 함께 대표적인 노론(老論)으로 꼽힘. 청주의 국계사(菊溪祠)에 배향됨.
1636~16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미숙(美叔) - 허봉(許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沈義謙) 등 서인(西人)들과 대립하고, 이이(李珥)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됨.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病死)함.
155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미심(羋心) - 의제(義帝)
중국 초(楚) 나라 황제. 초 회왕(懷王) 웅괴(熊槐)의 손자. 항우(項羽)에 의해 황제로 세워졌으나, 항우의 밀명(密命)을 받은 영포(英布)에게 침강(郴江)에서 살해됨.
?~B.C.205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미암(眉巖)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암거사(眉巖居士)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암선생전집(眉巖先生全集) - 미암집(眉巖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희춘(柳希春)의 문집. 21권 10책. 1850년(철종 1) 9대손 유경심(柳慶深)이 수집한 시문(詩文)과 《미암일기(眉巖日記)》를 기정진(奇正鎭)이 산정(刪定)ㆍ교정(校訂)하고, 1869년(고종 6) 사손(祀孫) 유정식(柳廷植)이 초간함.
18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문헌>서명
-
미암선생집(眉巖先生集) - 미암집(眉巖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희춘(柳希春)의 문집. 21권 10책. 1850년(철종 1) 9대손 유경심(柳慶深)이 수집한 시문(詩文)과 《미암일기(眉巖日記)》를 기정진(奇正鎭)이 산정(刪定)ㆍ교정(校訂)하고, 1869년(고종 6) 사손(祀孫) 유정식(柳廷植)이 초간함.
18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문헌>서명
-
미암자(眉巖子)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야(眉爺)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얼자(羋孼子)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미오(郿塢) - 동탁(董卓)
중국 후한(後漢)의 장군. 낙양(洛陽)에 입성하여 소제(少帝)를 폐하고, 헌제(獻帝)를 옹립하여 정권을 잡음. 장안(長安)으로 천도 후에도 횡포가 심하였으며 사도(司徒) 왕윤(王允)의 모략에 걸려 부장 여포(呂布)에게 살해됨.
?~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미옹(眉翁)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옹(米翁) - 미불(米芾)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 등과 친교가 있었고, 미점법(米點法)이라는 독자적인 점묘법(點描法)을 창시함.
1051~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미용(美庸)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미웅자(羋熊貲) - 문왕(文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89~B.C.675. 무왕(武王)의 아들로, 즉위 후 영(郢)으로 천도하고, 여러 나라를 정벌하여 영토를 확장하는 등 부국강병을 이룸. 화씨벽(和氏璧)의 진가를 인정한 고사로도 유명함.
?~B.C.67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미원(彌遠) - 사미원(史彌遠)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재상. 재상 한탁주(韓侂冑)를 죽이고 양후(楊后)와 결탁하여 권력을 잡았으며, 영종이 붕(崩)하자 조서를 위조하여 황태자 굉(竑)을 폐하고 이종을 세워 10년간 정권을 장악함.
1164~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미을성(未乙省)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미음(渼陰) - 유척기(兪拓基)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김창집(金昌集)의 문인으로, 소론(少論)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노론(老論) 집권 때 영의정 등을 지냄.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사사된 김창집ㆍ이이명(李頤命)을 복관시킴.
1691~176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미재(美齋) - 남구만(南九萬)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숙종 때 정치운영의 중심에 있으면서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됨. 문집으로 《약천집(藥泉集)》있음.
1629~17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미적(米賊) - 도교(道敎)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교조로 삼은 중국의 토착종교. 진한(秦漢) 때의 신선방술(神仙方術)과 황로지학(黃老之學)을 이어받은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 장도릉(張道陵)이 오두미도(五斗米道)로 알려진 천사도(天師道)를 창시한 것이 도교의 시발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미전(米顚) - 미불(米芾)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 등과 친교가 있었고, 미점법(米點法)이라는 독자적인 점묘법(點描法)을 창시함.
1051~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미정(薇亭) - 채미정(採薇亭)
조선 영조(英祖) 때 고려 말의 충신ㆍ학자인 길재(吉再)의 충절과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경상도 선산(善山) 남통동(南通洞)에 세운 정자.
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누정
-
미중(微仲) - 여대방(呂大防)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동생인 여대림(呂大臨) 등과 함께 도(道)를 논하고 예(禮)를 연구하여 향약(鄕約)을 제정함.
1027~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미중(美仲)@박지원 - 박지원(朴趾源)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청(淸) 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학을 강조했으며,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漢文小說)을 발표함.
1737~18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미중(美仲) - 심금(沈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심광언(沈光彦)의 아들로, 1555년(명종 10)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감찰(監察)ㆍ과천 현감(果川縣監)을 지냄.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증직됨.
153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미지(微之) - 원진(元稹)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문인. 15세에 명경과(明經科)에 급제하여 감찰어사(監察御使) 등을 지내고, 시에 능하여 백거이(白居易)와 이름을 나란히 함.
779~83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미지(微之)@이진 - 이진(李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한재(寒齋) 이목(李穆)의 아우로, 이목의 《이평사집(李評事集)》에 개성(開城)으로 떠나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미지(微之)@조중휘 - 조중휘(趙仲輝)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관찰사 조근(趙瑾)의 아들.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냈으며, 학문이 숙성하고 백가(百家)에 밝음.
1445~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미지(眉之)@이벽 - 이벽(李壁)@송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문장(文章)이 뛰어나고 전장(典章)과 제도(制度)에 정통하였으며, 권신 한탁주(韓侂冑)를 추종하여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159~122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미지(眉之) - 이귀령(李龜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전의(全義). 이덕숭(李德崇)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인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외삼촌으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482~154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미지산(彌智山) - 속리산(俗離山)
충청도 보은(報恩)ㆍ괴산(槐山), 경상도 상주(尙州)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보은ㅣ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미질(彌秩) - 흥해(興海)
경상북도 포항(浦項)의 흥해읍(興海邑)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 고려ㆍ조선 시대의 고을 이름.
경상도>흥해 , 지명>행정지명
-
미질부성(彌秩夫城) - 흥해(興海)
경상북도 포항(浦項)의 흥해읍(興海邑)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 고려ㆍ조선 시대의 고을 이름.
경상도>흥해 , 지명>행정지명
-
미천석(彌天釋) - 도안(道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반야학(般若學) 본무종(本無宗)의 대표적 인물.
312~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미초율령(彌草栗嶺) - 미초율령(未草栗嶺)
전라남도 순천(順天) 북쪽에 있는 고개 이름. 지형이 험한 요새지(要塞地).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