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미촌(美村) - 윤선거(尹宣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학자. 김집(金集)의 문인으로, 유계(兪棨)ㆍ송시열(宋時烈)ㆍ윤휴(尹鑴)ㆍ윤선도(尹善道)ㆍ이유태(李惟泰) 등과 교유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이고 예론(禮論)에도 정통함.
1610~16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미추홀(彌趨忽) - 인천(仁川)
경기도 중서부 서해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안산(安山)ㆍ금천(衿川)을, 북쪽으로는 부평(富平)을 경계로 하고 있음.
경기도>인천 , 지명>행정지명
-
미추홀국(彌鄒忽國) - 인천(仁川)
경기도 중서부 서해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안산(安山)ㆍ금천(衿川)을, 북쪽으로는 부평(富平)을 경계로 하고 있음.
경기도>인천 , 지명>행정지명
-
미파(渼陂) - 왕구사(王九思)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칠재자(七才子)’ 중의 한 사람으로, 사곡(詞曲)에 뛰어났으며 이부 낭중(吏部郞中) 등을 지냄.
1468~155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미해악화사(米海岳畵史) - 화사(畵史)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인 미불(米芾)이 지은 화론서. 1권. 진(晉)ㆍ육조(六朝)ㆍ수(隋)ㆍ당(唐)ㆍ오대(五代)ㆍ북송(北宋) 등의 명화에 대해 우열과 진위를 평하고, 잘못된 점을 교정함. 《서사(書史)》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서론서(書論書)로 유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미호(渼湖) - 김원행(金元行)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종조(從祖) 김창집(金昌集)이 사사되고 일가가 모두 유배된 후 벼슬을 사양하고 성리학에 전념함.
1702~17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민(敏) - 손민(孫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문관 부제학(藝文館副提學) 손비장(孫比長)의 아버지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민(敏)@남민 - 남민(南敏)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의 귀화인. 중국 당(唐) 나라 사람 김충(金忠)으로, 풍랑을 만나 영양(英陽)에 정착한 후 신라에서 성과 이름을 내림. 영양(英陽)ㆍ의령(宜寧)ㆍ고성(固城) 남씨(南氏)의 시조.
한국>통일신라 , 중국ㅣ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귀화인
-
민(敏)@박민 - 박민(朴敏)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태안(泰安). 정구(鄭逑)의 제자로, 《대학(大學)》과 《심경(心經)》에 뛰어남.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강우의병장(江右義兵將)으로 추대되었으나 화의가 성립되어 활동하지 못함. 진주 정강서원(鼎崗書院)ㆍ정산(鼎山) 향현사(鄕賢祀)에 제향됨.
1566~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태안 , 인명>문사>학자
-
민(敏)@성민 - 성민(省敏)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ㆍ문인. 찬영(粲英)의 제자로, 권근(權近) 등과 교유하였으며, 태종(太宗)의 척불(斥佛) 정책에 대하여 신문고(申聞鼓)를 울려 호소하였으나 무위로 돌아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민(敏)@최민 - 최민(崔敏)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낸 최자(崔滋)의 아버지로, 우복야(右僕射)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민^아(岷^峨) - 아^민(峨^岷)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아미산(峨眉山)과 민산(岷山)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산이 모두 높고 우뚝하여 곧은 절개와 뛰어난 자질을 표현할 때 비유하는 말로 쓰임.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민각(民覺)@조선전기 - 이민각(李民覺)@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증손이자 이윤검(李胤儉)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민각(民覺)@이약빙의손자 - 이민각(李民覺)@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약빙(李若氷)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고(敏古) - 정자(鄭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자 우의정 정철(鄭澈)의 형으로, 정언(正言)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고,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이배(移配)되던 도중 사망함.
1515~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민공(湣公) - 민공(閔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61~B.C.660. 노 나라 장공(莊公)과, 제(齊) 환공(桓公)의 여동생인 숙강(淑姜)의 아들. 장공 사후 세자인 반(般)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나, 경보(慶父)와 이모인 애강(哀姜)에 의해 살해됨.
?~B.C.6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민공안(閔恭安) - 민경생(閔慶生)
고려 말기~조선 초의 문신. 우상시(右常侍)를 지낸 이정(李挺)의 사위이며, 직예문관(直藝文館)을 지낸 민설(閔渫)의 아버지로, 공안부 윤(恭安府尹)ㆍ예조 전서(禮曹典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구(敏求) - 홍민구(洪敏求)
고려 후기의 문신.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이 ‘호고(好古)’라는 자(字)를 지어 주었으며,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민노봉(閔老峯) - 민정중(閔鼎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민광훈(閔光勳)의 아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직언(直言)을 잘했는데,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덕(敏德) - 오눌(吳訥)
중국 명(明) 나라 인종(仁宗)~영종(英宗) 때의 문신. 벼슬은 우부도어사(右副都御史)를 역임하였고, 저서로는 《소학집해(小學集解)》가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민덕남(閔德男) - 민형남(閔馨男)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 민효증(閔孝曾)의 증손이며, 풍저창 수(豊儲倉守) 민복(閔福)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613년(광해군 5) 익사(翼社)ㆍ형난(亨難)의 두 공신에 책록(策錄)됨.
1564~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동지(閔同知) - 민응서(閔應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송인수(宋麟壽)와 함게 동경계(同庚契)를 만들어 교유했고, 평안도 병마절도사ㆍ제주 목사(濟州牧使)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민망(民望) - 염정수(廉廷秀)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로,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나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형제인 염국보(廉國寶)ㆍ염흥방(廉興邦)과 함께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민문천(閔文川) - 민사용(閔思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을 지낸 민제인(閔齊仁)의 아들. 문천 군수(文川郡守) 등을 지냈고, 좌참찬(左參贊)에 추증됨.
1515~157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민보(敏甫) - 우수(禹樹)
조선 전기의 유학. 강희맹(姜希孟)의 조카사위로, 강희맹이 그에게 자(字)를 지어 주고 그 의미를 기록한 것이 《사숙재집(私淑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민봉남(閔鳳男) - 민재문(閔在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낸 민천부(閔天符)의 아들.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민부(敏夫) - 김준(金俊)@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중종(中宗)~명종(明宗) 때 고부 군수(古阜郡守)를 지낸 김응두(金應斗)의 아버지.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유학
-
민사직(閔司直) - 민안손(閔安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여흥(驪興). 조선 개국공신 정총(鄭摠)의 손서(孫壻)로, 중군 사직(中軍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
-
민상(敏祥) - 이민상(李敏祥)
조선 전기의 유학.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호조 판서(戶曹判書)에 추증됨. 김귀영(金貴榮)의 《동원집(東園集)》에 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민생(閔甥) - 민성헌(閔成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을 지낸 민사도(閔思道)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민서(敏敍) - 이민서(李敏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로, 이후여(李厚輿)에게 출계함.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서하집(西河集)》등이 있음.
1633~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서초(閔恕初) - 민충원(閔忠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562년(명종 1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허봉(許篈)ㆍ최경창(崔慶昌) 등과 독서당(讀書堂)에 간택되었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ㆍ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선(民先) - 이각(李覺)
중국 송(宋) 나라의 서화가. 글씨와 거문고에 능하였으며, 특히 산수화(山水畫)에 뛰어났음.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민성(民宬) - 이민성(李民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광준(李光俊)의 아들. 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1597년(선조 3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냄. 저서로 《경정집(敬亭集)》이 있음.
1570~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민손(愍孫) - 원찬(袁粲)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송 왕조에서 주요 관직을 거치다가 제(齊) 왕조가 들어서자 한 몸으로 다른 성의 군주를 섬길 수 없다 하여 절개를 지키다가 죽임을 당함.
419~4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민수(敏修) - 조민수(曺敏修)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창왕(昌王)을 추대하는 데 공을 세워 안사공신(安社功臣)이 됨. 이성계(李成桂) 일파에 대항하다가 서인(庶人)으로 강등되고, 창녕으로 유배되어 죽음.
?~139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민수(敏手) - 권민수(權敏手)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이조 좌랑으로서 직언을 하다가 영외(嶺外)에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6~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민수(民秀) - 백민수(白民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 본관은 수원(水原). 백인국(白仁國)의 아들로, 경서(經書)와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임진왜란 때 장인(丈人) 문위세(文緯世)를 도와 의병을 일으켜 장수(長水), 금산(錦山) 등에서 전공을 세움.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
-
민시(民始) - 정민시(鄭民始)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왕세손 시절의 정조를 보도(輔導)하여 정조 즉위 후 총애를 받았으나, 순조(純祖) 때 정순왕후(貞純王后)에 의해 삭탈관직되었다가 후에 복관됨.
1745~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애왕(愍哀王) - 민애왕(閔哀王)
신라 제44대 국왕. 재위 838~839. 선강대왕(宣康大王)에 추봉된 김충공(金忠恭)의 아들로, 희강왕(僖康王)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김우징(金祐徵)ㆍ장보고(張保皐) 등의 토벌군과 싸우다가 살해됨.
817~83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민애왕(敏哀王) - 민애왕(閔哀王)
신라 제44대 국왕. 재위 838~839. 선강대왕(宣康大王)에 추봉된 김충공(金忠恭)의 아들로, 희강왕(僖康王)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김우징(金祐徵)ㆍ장보고(張保皐) 등의 토벌군과 싸우다가 살해됨.
817~83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민언경(閔彦卿) - 민종빈(閔宗彬)
조선 전기의 유학.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민영공(閔令公) - 민인백(閔仁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임진강(臨津江)을 지킴.
1552~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민옹(閩翁)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민왕(愍王) - 공민왕(恭愍王)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
1330~13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민원길(閔元吉) - 민경복(閔慶福)
조선 전기의 문신.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이제(姨弟)로 예문관(藝文館)에서 일직(日直)을 할 때 써준 시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민일(敏一) - 신민일(申敏一)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을 지낸 신암(申黯)의 아들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냄. 저서로는 《화당집(化堂集)》이 있음.
1576~165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민일(民逸) - 윤민일(尹民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윤엄(尹儼)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성혼의 관작을 추탈하려는 정인홍(鄭仁弘)의 음모를 저지하려다 수원 판관(水原判官)으로 좌천됨. 후에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냄.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자(閔子) - 민손(閔損)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어릴 때 계모 밑에서 자랐는데, 공문십철(孔門十哲) 중에서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민자건(閔子騫) - 민손(閔損)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어릴 때 계모 밑에서 자랐는데, 공문십철(孔門十哲) 중에서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민장(民章) - 문관(文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낸 문걸(文傑)의 아들로, 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을 지냈음.
1475~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민적(敏迪) - 이민적(李敏迪)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로, 숙부인 이정여(李正輿)에게 출계하였고, 이이명(李頤命)의 생부임.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고, 저서로 《죽서집(竹西集)》이 있음.
1625~16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민적(閔迪) - 민적(閔頔)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렬왕(忠烈王)이 국선(國仙)이라 불렀으며, 대사헌(大司憲)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온 뒤 여흥군(驪興君)에 봉해졌음.
1269~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절(愍節) - 왕륜(王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흠종(欽宗)에게 발탁되어 병부 시랑(兵部侍郎)에 오름. 금(金)과의 화친을 주장하여 금 나라에 갔다가 억류되어 죽임을 당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민절(敏節) - 김륵(金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安集使)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민정(敏政) - 정민정(程敏政)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효종 때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을 지냄. 육구연(陸九淵)의 학파로,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에 부주(附註)를 냄.
1445~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민정자(閔正字) - 민선(閔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냈으며,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최영경(崔永慶)의 처벌을 주장하다 탄핵을 받아 좌천됨. 이이(李珥)와 교우가 깊었음.
1539~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종(愍宗)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민준(民俊) - 윤민준(尹民俊)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좌랑(戶曹佐郞) 윤엄(尹儼)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민중(敏仲) - 송여원(宋汝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청성산(靑城山)에 은거한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을 찾아가 동생 송여옥(宋汝沃)과 함께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민중(閔仲) - 민공(閔貢)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 노병(老病)이 있는데다 집이 가난하여 날마다 저간(猪肝) 한 점씩만을 사먹었는데, 안읍 현령(安邑縣令)이 저간을 충분히 공급하자 안읍에 폐를 끼칠 수 없다며 고을을 떠나버린 고사가 《후한서(後漢書)》전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민중숙(閔仲叔) - 민공(閔貢)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 노병(老病)이 있는데다 집이 가난하여 날마다 저간(猪肝) 한 점씩만을 사먹었는데, 안읍 현령(安邑縣令)이 저간을 충분히 공급하자 안읍에 폐를 끼칠 수 없다며 고을을 떠나버린 고사가 《후한서(後漢書)》전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민중전(閔中殿) - 인현왕후(仁顯王后)
조선 제19대 숙종(肅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여흥(驪興).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딸로, 희빈장씨(禧嬪張氏)의 무고로 6년간 폐서인이 되었다가 갑술환국(甲戌換局)을 거쳐 복위됨. 그 후 7년이 지나 병고에 시달린 끝에 35세로 죽음.
1667~17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민지(民止) - 송기(宋圻)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의 손자이고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 송유의(宋惟毅)의 아들로, 순천 부사(順天府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5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채(敏采) - 이민채(李敏采)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이자 이이명(李頤命)의 아버지로, 지평(持平)을 지냄.
163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민철(民哲) - 윤민철(尹民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좌랑(戶曹佐郞) 윤엄(尹儼)의 아들로, 창녕 현감(昌寧縣監) 등을 역임함.
1555~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민첨(民瞻)@왕정규 - 왕정규(王庭珪)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효종(孝宗)의 문신ㆍ학자. 고종(高宗) 때 호전(胡銓)이 금(金) 나라와 화친을 주장하는 진회(秦檜)를 참할 것을 상소하였다가 유배되자 홀로 시를 지어 전송함. 시에 뛰어났으며, 특히《주역(周易)》에 정통하였음.
1080~11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민첨(民瞻) - 강민첨(姜民瞻)
고려 목종(穆宗)~현종(玄宗) 때의 문신. 현종 때 안찰사(按察使)로서 동여진(東女眞)을 격퇴하였으며, 1018년(현종 9) 거란(契丹)의 소배압(蕭排押)이 침략했을 때 강감찬(姜邯贊)의 부장(副將)으로 출전하여 격파하고, 개경(開京)까지 추격하여 크게 무찌름.
?~102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민첨정(閔僉正) - 민복(閔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평부원군(驪平府院君) 민효증(閔孝曾)의 손자로,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한 뒤 풍저창 수(豊儲倉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충도(閔忠道) - 민사도(閔思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성수침(成守琛)의 사위로, 1542년(중종 37) 정시(庭試)에 합격하여 강령 현감(康翎縣監)ㆍ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학(敏學) - 안민학(安敏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경(經)ㆍ사(史)ㆍ백가(百家)를 섭렵함. 이이(李珥)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하고, 임진왜란 때는 소모사(召募使)로 활동하였으며, 만년에는 학문에 전념함.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민헌(民獻)@윤민헌 - 윤민헌(尹民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엄(尹儼)의 아들이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이괄(李适)의 난 때 공주(公州)로 왕을 호종하였으며, 공조 참의 등을 역임함. 경사(經史)와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와 그림에도 뛰어났음.
1562~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헌(民獻) - 박민헌(朴民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냄.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민혜(敏惠) - 세조(世祖)@고려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아버지. 통일신라 송악군(松嶽郡)의 사찬(沙飡)으로 있다가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궁예(弓裔)에게 귀복하여 금성 태수(金城太守)를 지냈으며, 태조 때에 추존됨.
?~89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민환(民寏) - 이민환(李民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광준(李光俊)의 아들. 1600년(선조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저서로 《자암집(紫巖集)》이 있음.
1573~16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민효순(閔孝舜) - 민규(閔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감찰(監察)ㆍ한림(翰林) 민오(閔悟)의 아들이며, 정자(正字) 민선(閔瑄)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민휴(敏休) - 최지몽(崔知夢)
고려 태조(太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전라도 영암(靈巖) 출신. 복서(卜筮)에 정통하여 태조에게 삼한(三韓)을 통일할 것이라는 해몽을 해주어 지몽(知夢)이라는 이름을 하사 받고, 태사(太師)를 지냄.
907~987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밀(密)@송밀 - 송밀(宋密)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훈도(訓導) 송경(宋經)의 손자로, 예빈시 주부(禮賓寺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밀(密) - 손밀(孫密)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우찬성(右贊成)을 지낸 손순효(孫舜孝)의 아버지로, 정선 군수(旌善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밀산(密山) - 밀양(密陽)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부산과 대구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경상도>밀양 , 지명>행정지명
-
밀산군(密山君)@박거겸 - 박거겸(朴居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ㆍ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3~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밀산군(密山君) - 박건(朴楗)
조선 단종(端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3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밀산군(密山君)@박중손 - 박중손(朴仲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함.
1412~14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밀산부원군(密山府院君) - 박중손(朴仲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함.
1412~14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밀산어수(密山漁叟) - 박휘겸(朴撝謙)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생원(生員)으로서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낭장(郞將)을 지냈으며, 벼슬에서 물러난 후 천안(天安)의 구룡산(九龍山)에 거처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관인>무신
-
밀성(密城) - 밀양(密陽)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부산과 대구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경상도>밀양 , 지명>행정지명
-
밀성간본(密城刊本) - 격재집(格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손조서(孫肇瑞)의 시문집(詩文集). 4권 1책. 목판본.
147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밀성군(密城君)@박광영 - 박광영(朴光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윤씨(廢妃尹氏)의 추숭(追崇)을 반대하다 목천(木川)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됨.
146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밀성군(密城君)@박천경 - 박천경(朴天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형인 송은(松隱) 박익(朴翊)과 함께 낙향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밀성군(密城君)@박언부 - 박언부(朴彦孚)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최충(崔冲)과 함께 태사(太師)를 지낸 후 문하시중(門下侍中)ㆍ도평의사(都評議事)에 이르렀으며, 밀성부원군(密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밀성대군(密城大君) - 박언침(朴彦忱)
통일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첫째 왕자. 밀양박씨(密陽朴氏)의 중조(中祖).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밀양 , 인명>왕실>왕자
-
밀성박씨(密城朴氏) - 밀양박씨(密陽朴氏)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시조왕(始祖王)으로 삼고, 경명왕(景明王)의 맏아들인 밀성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忱)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박씨의 종가(宗家).
한국>신라 , 경상도>밀양 , 인명>집단>성씨
-
밀성부원군(密城府院君) - 박언부(朴彦孚)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최충(崔冲)과 함께 태사(太師)를 지낸 후 문하시중(門下侍中)ㆍ도평의사(都評議事)에 이르렀으며, 밀성부원군(密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밀암(密庵) - 이재(李栽)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재령(載寧). 주리론(主理論)으로 영남학파를 이끈 성리학의 대가로 많은 문인을 배출했으며, 저서로 《성유록(聖喩錄)》ㆍ《금수기문(錦水記聞)》ㆍ《주서강록간보(朱書講錄刊補)》 등이 있음.
1657~17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밀양군(密陽君) - 박윤문(朴允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참의정승(參議政丞)을 지낸 김태현(金台鉉)의 사위로,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역임하였으며, 모친상 때 예를 다하여 칭송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밀양부원군(密陽府院君) - 박승종(朴承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선교랑(宣敎郞) 박안세(朴安世)의 아들. 윤인(尹訒)ㆍ이인경(李寅卿)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죽이려 할 때 인목대비를 보호하였고,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함.
1562~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밀원군(密原君)@박충원 - 박충원(朴忠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성절사(聖節使)의 부사(副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대제학(大提學)과 예조(禮曹)ㆍ병조(兵曹)의 판서를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밀원군(密原君) - 박건(朴楗)
조선 단종(端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3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밀원박씨(密原朴氏) - 밀양박씨(密陽朴氏)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시조왕(始祖王)으로 삼고, 경명왕(景明王)의 맏아들인 밀성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忱)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박씨의 종가(宗家).
한국>신라 , 경상도>밀양 , 인명>집단>성씨
-
밀원부원군(密原府院君) - 박건(朴楗)
조선 단종(端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3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