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밀읍지(密邑誌) - 밀양읍지(密陽邑誌)
조선 정조(正祖) 때 밀양부(密陽府)에서 편찬한 읍지(邑誌). 밀양의 연혁(沿革)ㆍ지리(地理)ㆍ풍속(風俗) 등을 기록함. 《밀양부읍지(密陽府邑誌)》의 후사본(後寫本).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문헌>서명
-
밀주(密州) - 밀양(密陽)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부산과 대구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경상도>밀양 , 지명>행정지명
-
밀지(密誌) - 밀양읍지(密陽邑誌)
조선 정조(正祖) 때 밀양부(密陽府)에서 편찬한 읍지(邑誌). 밀양의 연혁(沿革)ㆍ지리(地理)ㆍ풍속(風俗) 등을 기록함. 《밀양부읍지(密陽府邑誌)》의 후사본(後寫本).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문헌>서명
-
밀천군(密川君) - 박숭원(朴崇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寶劍)을 하사받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올랐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바라문곡(婆羅門曲)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선악(仙樂) 이름. 현종이 꿈에 방사(方士)와 월궁(月宮)에서 놀다가 그 음악을 듣고 돌아와 지었다는 설과, 양경충(楊敬忠)이 지어 바쳤다는 설과, 양경술(楊敬述)이 지었다는 설 등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박(博) - 권박(權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권령(權齡)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도화서 별제(圖畫署別提)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1475~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박(博)@김박 - 김박(金博)
조선시대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김윤명(金允明)ㆍ김윤안(金允安)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박(博)@임박 - 임박(任博)
조선 전기의 유학. 윤덕(潤德) 임항(任恒)과 함께 무릉도인(武陵道人) 주세붕(周世鵬)과 시를 수창하며 교유한 내용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博)@주박 - 주박(周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주세붕(周世鵬)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문장이 뛰어나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칠원(漆原)의 덕연서원(德淵書院) 별사(別祠)에 제향됨.
1524~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박(博)@황박 - 황박(黃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황윤준(黃允峻)의 아들로, 을사사화 때 권벌(權橃)ㆍ이언적(李彦迪)을 두둔하다 중도부처(中途付處)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樸)@신박 - 신박(申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내자시 첨정(行內資寺僉正)을 지낸 신여량(申汝樑)의 아들. 1605년(선조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권필(權韠)과 교유함.
155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박(樸) - 이박(李樸)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여섯째 아들이며, 이즙(李楫)ㆍ이백(李柏)ㆍ이건(李楗)ㆍ이역(李櫟)ㆍ이노(李櫓)의 아우이고, 이량(李樑)의 형.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박(璞) - 곽박(郭璞)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ㆍ학자. 오행(五行)ㆍ천문(天文)ㆍ복서(卜筮)에 능하며, 주석서(註釋書)에는 《이아(爾雅)》ㆍ《산해경(山海經)》ㆍ《방언(方言)》ㆍ《초사(楚辭)》 등이 있음. 유곤(劉琨)ㆍ좌사(左思)와 함께 동진(東晉)의 3대 시걸(詩傑)로 꼽힘.
276~32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박(璞)@조박 - 조박(趙璞)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전의시 영(典儀寺令)을 지낸 조사겸(趙思謙)의 아들. 태종과 동서 사이로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오르지만, 생전에 불교를 믿었다는 탄핵을 받아 공신녹권(功臣錄券)이 소각당함.
1356~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鑮) - 성박(成鑮)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첫째 아들로, 조임도(趙任道)ㆍ임진부(林眞怤) 등 남명학(南冥學) 계열의 학자들과 교류함. 진사(進士) 등을 지냄.
15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박강(博江) - 박천강(博川江)
평안도 천마산(天馬山)에서 발원하여 청천강(淸川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 사행로이자 유람지임.
평안도>태천ㅣ평안도>박천 , 지명>자연지명
-
박강수(朴江叟) - 박훈(朴薰)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박증영(朴增榮)의 아들이며 참판(參判) 이언명(李彦明)의 장인으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에 올라 ‘국기(國器)’라는 명성을 들음.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으로, 청주(淸州) 신항서원(莘巷書院)에 배향됨.
148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경원(朴景瑗) - 박광옥(朴光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고, 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ㆍ노사신(盧思愼) 등과 교유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고경명(高敬命)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
152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박경휘(朴景徽)@신덕왕 - 신덕왕(神德王)
신라 제53대 왕. 재위 912~917.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의 후손으로, 대아찬(大阿飡) 예겸(乂兼)과 정화부인(貞和夫人)의 아들.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으나, 당시 경주 지역을 제외한 국토의 대부분을 궁예(弓裔)와 견훤(甄萱) 세력에게 상실함.
?~91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박경휘(朴景暉) - 신덕왕(神德王)
신라 제53대 왕. 재위 912~917.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의 후손으로, 대아찬(大阿飡) 예겸(乂兼)과 정화부인(貞和夫人)의 아들.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으나, 당시 경주 지역을 제외한 국토의 대부분을 궁예(弓裔)와 견훤(甄萱) 세력에게 상실함.
?~91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박계양(朴啓陽) - 박돈지(朴惇之)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일본(日本)에 사신으로 가서 연해(沿海)에 침입하는 왜구(倭寇)에 대한 일을 해결함.
1341~142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박곤양(朴昆陽) - 박옹집(朴雍緝)
조선 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곤양 , 인명>문사>유학
-
박국이(朴國耳) - 박광우(朴光佑)@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遠接使)를 수행하였고,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洞仙驛)에서 죽음.
149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귀인(朴貴人) - 경빈박씨(敬嬪朴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가 아버지 김안로(金安老)의 사주를 받아 왕세자를 저주하는 작서(灼鼠)의 변(變)을 일으키자, 이에 연루되어 아들인 복성군(福城君)과 함께 폐출된 후 사사됨.
?~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박규(朴圭) - 박준(朴峻)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흥(義興).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를 지낸 박한(朴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박남계(朴南溪) - 박세채(朴世采)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성리학자. 김상헌(金尙憲)ㆍ김집(金集)에게 수학하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묘배향을 주장함. 예송논쟁(禮訟論爭) 때 기년설(朞年說)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
1631~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남곽(朴南郭) - 박동열(朴東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이항복(李恒福)과 교유했고,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이를 적극 반대했음. 시문(詩文)에 능하였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 및 국조의 고사에 두루 통하였음.
1564~16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대수(朴大受) - 박수(朴受)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이며,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교유하였음. 역학(易學)에 정통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박대제(朴大濟) - 박제(朴濟)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1583년(선조 16)에 상소를 올려 동인(東人) 김효원(金孝元)ㆍ김응남(金應南) 등을 탄핵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덕응(朴德凝) - 박성(朴惺)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의사(義士). 본관은 밀양(密陽). 박사눌(朴思訥)의 아들이고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 때는 김성일(金誠一)의 참모로, 정유재란 때는 이원익(李元翼)의 참모로 크게 활약함.
1549~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돈지(朴敦之) - 박돈지(朴惇之)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일본(日本)에 사신으로 가서 연해(沿海)에 침입하는 왜구(倭寇)에 대한 일을 해결함.
1341~142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박동보(朴東甫) - 박항(朴恒)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춘천박씨(春川朴氏)의 시조로, 박광정(朴光挺)의 아버지.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ㆍ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27~128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박량(朴樑) - 박려(朴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 초명은 박량(朴樑)이었으나 이황이 고쳐 주었으며,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을 지냈음.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박륙(博陸) - 곽광(霍光)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표기장군(驃騎將軍) 곽거병(霍去病)의 이복 동생으로, 무제ㆍ소제(昭帝)ㆍ선제를 섬기며 대장군(大將軍) 등을 지냄. 특히 소제가 어려서 즉위하자 잘 보좌하여 나라를 안정시킴.
?~B.C.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박륙후(博陸侯) - 곽광(霍光)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표기장군(驃騎將軍) 곽거병(霍去病)의 이복 동생으로, 무제ㆍ소제(昭帝)ㆍ선제를 섬기며 대장군(大將軍) 등을 지냄. 특히 소제가 어려서 즉위하자 잘 보좌하여 나라를 안정시킴.
?~B.C.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박릉(博陵) - 박천(博川)
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태종(太宗) 때 이름을 박천(博川)으로 고치고, 세조(世祖) 때 일시 폐하였다가 복구함.
평안도>박천 , 지명>행정지명
-
박망(博望) - 장건(張騫)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 벼슬은 중랑장(中郞將)에 오르고 박망후(博望侯)에 봉해짐. 남방 월지국(月氏國)에 사신으로 가서 넓힌 견문은 무제(武帝)의 서역(西域) 경영에 많은 도움을 줌.
?~B.C.11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박망후(博望侯) - 장건(張騫)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 벼슬은 중랑장(中郞將)에 오르고 박망후(博望侯)에 봉해짐. 남방 월지국(月氏國)에 사신으로 가서 넓힌 견문은 무제(武帝)의 서역(西域) 경영에 많은 도움을 줌.
?~B.C.11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박목(搏木) - 부상(扶桑)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나무 또는 지명. 동쪽 바다 속 해가 뜨는 곳에 있는 신목(神木)으로, 전(轉)하여 해가 뜨는 곳을 지칭함. 일본(日本)을 가리키기도 함.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박문강(朴文康)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박문순(朴文純) - 박세채(朴世采)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성리학자. 김상헌(金尙憲)ㆍ김집(金集)에게 수학하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묘배향을 주장함. 예송논쟁(禮訟論爭) 때 기년설(朞年說)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
1631~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박(朴朴) - 달달박박(怛怛朴朴)
통일신라 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노힐부득(弩肹夫得)과 함께 백월산(白月山)에서 수도하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이 되었다는 기록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있음.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창원 , 인명>종교인>승려
-
박백윤(朴伯胤) - 박승원(朴承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박건(朴乾)의 아들이며 박하담(朴河淡)ㆍ박하청(朴河淸)ㆍ박하징(朴河澄)의 아버지로, 충순위 부사직(忠順衛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박봉산(朴鳳山) - 박동언(朴東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박응순(朴應順)의 아들이고, 선조의 비(妃)인 의인왕후(懿仁王后)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강원도 소모사(江原道召募使)로 활약하였고, 봉산 군수(鳳山郡守) 등을 지냄.
1553~160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빈(朴嬪) - 경빈박씨(敬嬪朴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가 아버지 김안로(金安老)의 사주를 받아 왕세자를 저주하는 작서(灼鼠)의 변(變)을 일으키자, 이에 연루되어 아들인 복성군(福城君)과 함께 폐출된 후 사사됨.
?~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박사상(朴使相) - 박점(朴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박세정(朴世貞)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쟁(黨爭)에 휘말려 삭탈관직 된 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사수(朴士秀) - 박운(朴蕓)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제자로,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3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박상(搏桑)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박상(搏桑)@부상 - 부상(扶桑)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나무 또는 지명. 동쪽 바다 속 해가 뜨는 곳에 있는 신목(神木)으로, 전(轉)하여 해가 뜨는 곳을 지칭함. 일본(日本)을 가리키기도 함.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박상초(朴尙初) - 박숭원(朴崇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寶劍)을 하사받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올랐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수종(朴秀宗) - 신덕왕(神德王)
신라 제53대 왕. 재위 912~917.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의 후손으로, 대아찬(大阿飡) 예겸(乂兼)과 정화부인(貞和夫人)의 아들.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으나, 당시 경주 지역을 제외한 국토의 대부분을 궁예(弓裔)와 견훤(甄萱) 세력에게 상실함.
?~91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박승영(朴昇英) - 경명왕(景明王)
신라 제54대 왕. 재위 917~924. 신덕왕(神德王)의 아들로, 후삼국(後三國)이 정립(鼎立)하여 패권을 다투던 때에 즉위해 기울어져 가는 국운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함.
?~924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박시무(朴時茂) - 박시용(朴時庸)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박흥생(朴興生)의 조부(祖父)로,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지냈으며, 운문관 대제학(右文館大提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실(朴實) - 박의중(朴宜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음. 철령위(鐵嶺衛) 철폐를 이룩하고 추성보조공신(推誠補祚功臣)에 책록됨.
1337~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씨(薄氏) - 박태후(薄太后)
중국 전한(前漢) 때 고조(高祖)의 계비(繼妃). 문제(文帝)의 어머니.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박양백(朴養伯) - 박수검(朴守儉)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흥(義興). 박경심(朴景諶)의 아들이고, 조석윤(趙錫胤)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냄.
1629~16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양숙(朴養叔) - 박난(朴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량(朴元亮)의 아들이고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양후(博陽侯) - 병길(丙吉)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위태자(衛太子) 사건으로 투옥당한 선제를 구출한 뒤 황제로 세움. 승상(丞相)으로서 위상(魏相)과 함께 국정을 보좌한 공으로, 기린각(麒麟閣)에 초상이 모셔짐.
?~B.C.5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언이(朴彦而) - 박영준(朴永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진위 현령(振威縣令)을 지낸 무숙(茂叔) 박조(朴稠)의 아들.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번갈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오름.
1510~157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여경(朴汝敬) - 박문효(朴文孝)
조선 전기의 유학. 임운(林芸)이 지은 시가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연(朴然) - 박연(朴堧)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음률가(音律家). 세종 때 율관(律管)을 만들어 편경(編磬)을 제작하는 등 조선 초기 음악 정비에 많은 공헌을 함. 왕산악(王山岳)ㆍ우륵(于勒)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으로 일컬어짐.
1378~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박영준(朴英俊) - 박영준(朴永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진위 현령(振威縣令)을 지낸 무숙(茂叔) 박조(朴稠)의 아들.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번갈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오름.
1510~157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예숙(朴豫叔) - 박소립(朴素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1563년(명종 18)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척신 이량(李樑)과 사이가 나빠 대사헌 이감(李戡)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나 심의겸(沈義謙)의 도움으로 복직됨. 선조 즉위에 공을 세워 대사성(大司成)ㆍ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1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우졸(朴迂拙) - 박한주(朴漢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당함.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과 함께 필문삼현(畢門三賢)으로 불림.
1459~150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벽동 , 인명>관인>문신
-
박우졸자(朴迂拙子) - 박한주(朴漢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당함.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과 함께 필문삼현(畢門三賢)으로 불림.
1459~150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벽동 , 인명>관인>문신
-
박원굉(朴元宏) - 박광정(朴光挺)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춘천(春川)으로, 찬성사(贊成事) 박항(朴恒)의 아들. 중국 원(元) 나라 황실에서 숙위(宿衛)하여 소신교위(昭信校尉)ㆍ부만호(副萬戶)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박원생(朴元生) - 박언침(朴彦忱)
통일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첫째 왕자. 밀양박씨(密陽朴氏)의 중조(中祖).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밀양 , 인명>왕실>왕자
-
박위응(朴魏膺) - 경애왕(敬哀王)
신라 제55대 왕. 재위 924~927. 포석정(鮑石亭)에서 견훤(甄萱)의 공격을 받아 견훤의 강요에 의해 자살함.
?~92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박유동(朴惟東) - 박유동(朴惟棟)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사삼(朴事三)의 아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친교(親交)가 있었으며,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박윤신(朴允愼) - 박윤신(朴允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장(茂長).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낸 박성번(朴成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당진 , 인명>문사>유학
-
박인지(朴麟趾) - 박인적(朴麟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해수(李海壽)ㆍ이제신(李濟臣)과 교유했으며, 둔전 판관(屯田判官) 등을 지냈음. 《우계집(牛溪集)》과 《약포유고(藥圃遺稿)》에 성혼ㆍ이해수의 편지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박재(璞齋) - 김뉴(金紐)@1527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손자. 민구령(閔九齡)의 문인(門人)으로 별제(別提)를 지냈으며, 합천(陜川)의 신천서원(新川書院)에 배향됨.
1527~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전(薄田) - 안계송(安繼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음직(蔭職)으로 돈녕부 직장(敦寧府直長)을 지냄. 남효온(南孝溫)의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에 행적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박정(朴旌) - 박수림(朴秀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의 조부(祖父)로, 교하 현감(交河縣監) 등을 역임함.
1419~14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정(朴正) - 박공량(朴公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 때 사형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박은(朴誾)의 아들. 글씨에 능하여 많은 금석문(金石文)을 남겼고,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도 참여함.
1494~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박조(朴祖) -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
신라의 시조. 재위 B.C.57~A.D.4. 양산(楊山) 아래 나정(蘿井)에서 난생(卵生)하여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거서간(居西干)에 올랐으며, 재위 중 전국을 순행하며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
B.C.69~A.D.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박좌수(朴座首) - 박덕옹(朴德翁)
조선 전기의 유학. 문장공(文莊公) 신응시(辛應時)와 교유했는데, 괴산(槐山)에서 만나 주고받은 시가 《백록유고(白麓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주(博州) - 박천(博川)
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태종(太宗) 때 이름을 박천(博川)으로 고치고, 세조(世祖) 때 일시 폐하였다가 복구함.
평안도>박천 , 지명>행정지명
-
박주(朴洲) - 박형(朴泂)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노수신(盧守愼)ㆍ허엽(許葉) 등과 교유함. 천거로 동몽 교관(童蒙敎官)이 되었고, 군직에 올라 종신록(終身祿)을 받음.
?~160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박죽천(朴竹川)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박지소(朴之沼) - 박이온(朴而溫)@고려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를 역임하였음.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천서(朴天瑞) - 박인적(朴麟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해수(李海壽)ㆍ이제신(李濟臣)과 교유했으며, 둔전 판관(屯田判官) 등을 지냈음. 《우계집(牛溪集)》과 《약포유고(藥圃遺稿)》에 성혼ㆍ이해수의 편지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박천익(朴天翊) - 박익(朴翊)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고려 때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와 여진(女眞) 토벌에 전공을 세웠으나, 조선 개국 후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밀양(密陽)의 송계(松溪)에 은거하여 저술에 전념함.
133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파주(朴坡州) - 박희립(朴希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돈녕부 부정(敦寧府副正) 박세영(朴世榮)의 아들로,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ㆍ길주 목사(吉州牧使)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평(博平) - 영흥(永興)@지명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평(定平), 남쪽으로 고원(高原)ㆍ문천(文川)과 접해 있으며, 동쪽은 동해의 영흥만에 면해 있음. 조선 태조(太祖)가 태어난 선원전(璿源殿)이 있음.
함경도>영흥 , 지명>행정지명
-
박평숙(朴平叔) - 박사화(朴師和)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증시(贈詩)와 차운시(次韻詩) 등이 실려 있고, 노진(盧禛)의 《옥계집(玉溪集)》에 만시(輓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평후(博平侯) - 화흠(華歆)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병원(邴原)ㆍ관녕(管寧) 등과 절친하여, 당시 사람들이 화흠을 용의 머리, 병원을 용의 배, 관녕을 용의 꼬리라 칭함. 동한(東漢) 환제(桓帝) 때 상서령(尙書令)에 이르고 위 나라에서는 태위(太尉)에 이름.
157~231 중국>후한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박폭(朴瀑) - 박연폭포(朴淵瀑布)
개성 북쪽의 천마산과 성거산 사이의 화강암 암벽에 걸쳐 있는 폭포 이름.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박표도인(朴瓢道人) - 박광우(朴光佑)@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遠接使)를 수행하였고,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洞仙驛)에서 죽음.
149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학유(朴學諭) - 박경선(朴慶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장령(掌令) 박사공(朴思恭)의 아들. 장령(掌令)을 거쳐 이조 참의(吏曹參議)가 되고 광해군(光海君)의 학업을 지도하는 필선(弼善)을 겸하였음.
155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혁(朴赫) -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
신라의 시조. 재위 B.C.57~A.D.4. 양산(楊山) 아래 나정(蘿井)에서 난생(卵生)하여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거서간(居西干)에 올랐으며, 재위 중 전국을 순행하며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
B.C.69~A.D.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박혁거세(朴赫居世) -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
신라의 시조. 재위 B.C.57~A.D.4. 양산(楊山) 아래 나정(蘿井)에서 난생(卵生)하여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거서간(居西干)에 올랐으며, 재위 중 전국을 순행하며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
B.C.69~A.D.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박현석(朴玄石) - 박세채(朴世采)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성리학자. 김상헌(金尙憲)ㆍ김집(金集)에게 수학하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묘배향을 주장함. 예송논쟁(禮訟論爭) 때 기년설(朞年說)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
1631~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호(朴壕) - 박용(朴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인종(仁宗)의 장인. 딸이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자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이 되었고, 후에 금성부원군(錦城府院君)에 추봉됨.
1468~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박화숙(朴和叔) - 박세채(朴世采)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성리학자. 김상헌(金尙憲)ㆍ김집(金集)에게 수학하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묘배향을 주장함. 예송논쟁(禮訟論爭) 때 기년설(朞年說)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
1631~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황암(朴篁巖) - 박제인(朴齊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최영경(崔永慶)ㆍ하항(河沆)ㆍ김면(金沔) 등과 함께 수학함.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제용감 판관(濟用監判官)을 지냄.
1536~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박효백(朴孝伯) - 박승종(朴承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선교랑(宣敎郞) 박안세(朴安世)의 아들. 윤인(尹訒)ㆍ이인경(李寅卿)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죽이려 할 때 인목대비를 보호하였고,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함.
1562~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휴(博休) - 부융(苻融)
중국 남북조시대 전진(前秦)의 대신. 부견(苻堅)의 막내아우로, 비수(淝水)에서 진(晉) 나라 군사와 싸우다가 죽음.
?~3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박희종(朴熙宗) - 박희중(朴熙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구례 감무(求禮監務)를 지낸 박온(朴溫)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巖郡守)ㆍ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등을 지냄. 문장과 서도에 탁월하여 《해동필원(海東筆苑)》에 이름이 오름.
1364~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반(攀)@심반 - 심반(沈攀)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7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