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비(魯丕)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화제(和帝) 때의 문신․학자. 노공(魯恭)의 아우로, 좌중랑장(左中郞將) 등을 지냈으며, 오경(五經)에 정통하고, 《노시(魯詩)》ㆍ《상서(尙書)》를 가르쳐 명유(名儒)로 일컬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사신(盧思愼)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자광(柳子光)이 사림파를 제거하는데 반대하다 사옥(史獄)이 진행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427~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사예(盧士豫)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豐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손자이며, 진사 노희(盧禧)의 아들이자,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조카.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문사>유학
-
노사집(蘆沙集)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성리학자인 기정진(奇正鎭)의 시문집. 목판본. 주리파(主理派)로서 일원론(一元論)을 주장한 작자의 독창적인 이(理)의 철학 체계를 담고 있음.
1890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노삼(魯參)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판관(判官)을 역임했고 《홍무정운(洪武正韻)》을 수정하는데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노상(盧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1504~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노서유고(魯西遺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선거(尹宣擧)의 시문집(詩文集). 목판본. 26권 13책. 저자의 아들 윤증(尹拯)이 정리하고 편차하여 1712년(숙종 38)에 이산(尼山)의 노강서원(魯岡書院)에서 간행함.
171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이산 , 문헌>서명
-
노석령(盧石齡)
조선 전기의 유학. 신응시(辛應時)의 《백록유고(白麓遺稿)》에 〈방노자고석령(訪盧子固石齡)〉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선경(盧善卿)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도염서 승(都染署丞) 노갑생(盧甲生)의 아들. 함양 군수(咸陽郡守)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학문 연구와 후진 교육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송재유집(盧松齋遺集)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노숙동(盧叔仝)의 문집. 병란(兵亂)에 유실된 작자의 글들을 1766년(영조 42)에 후손 노정원(盧廷元)이 여러 서책에서 수집하여 편찬하였으며, 묘문(墓文) 1편과 시(詩) 40편이 실려 있음.
176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노수(盧穗)
중국 당(唐) 나라 말기의 문신.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으며, 당 나라 말의 난리를 피해 아홉 아들 및 팔학사(八學士)와 함께 신라(新羅)에 귀화하였다 함. 우리나라 노씨(盧氏)의 도시조(都始祖).
중국>당ㅣ한국>통일신라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수(盧遂)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노응세(盧應世)의 아들로, 김대유(金大有)에게 수학하고 이황(李滉)을 사사하였으며, 김응생(金應生)ㆍ정윤량(鄭允良) 등과 함께 영천(永川)에 임고서원(臨皐書院)을 창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노수민(盧秀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지만 벼슬은 하지 않음.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노군묘명(盧君墓銘)〉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노수성(盧守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수함(盧守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노숙동(盧叔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노언(盧焉)의 아들.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ㆍ《치평요람(治平要覽)》편찬에 참여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냄.
1403~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노숭(盧嵩)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고,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거쳐 검교우의정(檢校右議政)에 이르렀음.
1337~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노식(盧植)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정현(鄭玄)과 함께 마융(馬融)의 제자로, 동탁(董卓)이 소제(少帝)를 폐할 때 홀로 항론(抗論)함. 대장군 두무(竇武)가 영제(靈帝)를 세우고 정권을 잡고 그에게 봉작(封爵)을 가하려 할 때 포의(布衣)로서 충고함.
159?~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노애손(盧愛孫)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의 조카. 《소재집(蘇齋集)》에 노수신이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진도(珍島)로 유배되어 있을 때 동생 노극신(盧克愼)과 어린 조카를 생각하며 지은 시(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노애집(蘆厓集)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유도원(柳道源)의 시문집(詩文集). 10권 5책. 목판본. 순조(純祖) 때에 아들 유범휴(柳範休)와 종제 유장원(柳長源) 등이 유문을 정리하여 간행한 것으로 추측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노양(盧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인. 《서정기(西征記)》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노언(盧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풍천(豐川). 노흥길(盧興吉)의 아들로, 사정(司正)을 지냈으며, 아들 노숙동(盧叔仝)의 존귀함으로 인해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무신
-
노언경(盧彦卿)
조선 전기의 유학. 승려 설옥(雪玉)이 그를 통해 고경명(高敬命)에게 시축(詩軸)에 제(題)를 써 줄 것을 부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연령(魯延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노인산(魯仁山)의 아들로, 경성 교수(鏡城敎授)를 역임했고 임형수(林亨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노영(盧瑛)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충목왕(忠穆王) 때 좌정승(左政丞)을 지낸 노책(盧頙)의 아들이며, 서원군(瑞原君) 노제(盧濟)의 동생.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영손(盧永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중종반정(中宗反正)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어 모반을 기도한 대사성 이과(李顆) 등을 밀고하여 광원군(光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노오(盧敖)
중국 진(秦) 나라 때의 은자. 진시황(秦始皇)이 박사(博士)로 삼아 신선(神仙)을 구해오게 하였는데, 한번 가서 돌아오지 않고 노산(盧山)에 은거하다가 선인(仙人) 약사(若士)를 만나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노우량(盧友良)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예문관 교리(藝文館校理)를 지낸 노분(盧昐)의 아들. 함양(咸陽)에서 부모의 상(喪)을 지키다 병으로 사망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노우명(盧友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음운학(音韻學)에 조예가 깊고 해서(楷書)에 능함.
1471~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원(盧垣)
통일신라~고려 전기의 문신. 노수(盧穗)의 아홉째 아들로, 곡산노씨(谷山盧氏)의 득관조(得貫祖). 본래 중국 당(唐)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를 따라 신라(新羅)에 귀화하였으며, 고려 초기에 벼슬하여 곡산백(谷山伯)에 봉해짐.
중국>당ㅣ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중국ㅣ황해도>곡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유(盧裕)
고려시대의 유학. 풍천백(豊川伯) 노지(盧址)의 후손으로, 풍천노씨(豊川盧氏)의 일세조(一世祖). 국자 진사(國子進士)를 지냈으며, 풍천(豊川)에 세거(世居)함.
한국>고려시대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노은서원(魯恩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홍주(洪州)에 세운 사액서원(賜額書院). 박팽년(朴彭年)ㆍ성삼문(成三問)ㆍ이개(李塏)ㆍ유성원(柳誠源)ㆍ하위지(河緯地)ㆍ유응부(兪應孚)ㆍ성승(成勝) 등을 배향함.
167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노응(路應)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등을 지냈으며, 양양군왕(襄陽郡王)에 봉해짐. 한유(韓愈)의 《한창려집(韓昌黎集)》에 그에 대한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실려 있음.
741~81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인(盧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노진(盧禛)의 종제(從弟)이며, 민인백(閔仁伯)의 외조부. 《하서집(河西集)》에 〈제노경이나암(題盧敬而懶庵)〉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노인산(魯仁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평(咸平). 노연령(魯延齡)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유학
-
노자장(盧自璋)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부호군(副護軍) 노정(盧禎)의 아들이며, 좌통례(左通禮) 노한문(盧漢文)의 아버지로, 사정(司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노자주(老子註)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인 왕필(王弼)이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경문(經文)을 풀이한 주석서(註釋書). 2권. 왕필의 또 다른 주석서인 《주역주(周易註)》와 함께 육조(六朝)ㆍ수(隋)ㆍ당(唐) 시대에 성행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노자지귀(老子指歸)
중국 전한(前漢) 말기의 학자인 엄준(嚴遵)이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을 주해(註解)한 철학서. 《경전석문(經典釋文)》 등에는 14권으로 되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노저게로도(蘆渚憩鷺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인 윤엄(尹儼)의 그림. 갈대 우거진 물가에 한가로이 쉬고 있는 백로 그림이란 뜻으로, 현재 서울 성북동(城北洞)의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에 소장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노적(盧適)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으로, 《하서집(河西集)》에 〈증노달부(贈盧達夫)〉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전(盧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광주 목사(廣州牧使) 노한문(盧漢文)의 아들이고, 호조 참의(戶曹參議) 노준(盧埈)의 형으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정언(正言)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정(盧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예문관 응교(藝文館應敎) 노분(盧昐)의 손자이며, 대사헌(大司憲)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양희(梁喜)ㆍ이후백(李後白)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의 삼걸(三傑)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노제(盧濟)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부친 노책(盧頙)이 기철(奇轍)의 반란사건에 연루되어 주살된 후 체포되어 사형되었음.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조(盧兆)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곡산노씨(谷山盧氏)의 일세조(一世祖)이며, 노인철(盧仁哲)의 조부로, 영동정(令同正)ㆍ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노조(盧肇)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 흡주 자사(歙州刺史) 등을 역임했으며, 저서로 《문표집(文標集)》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조린(盧照鄰)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익주 신도위(益州新都尉)를 지내고,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초당사걸(初唐四傑)로 불림.
636~69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종(盧宗)
조선 전기의 유학. 승려 지인(志仁)이 그를 통해 김인후(金麟厚)에게 시(詩)를 지어 줄 것을 부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준(盧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좌통례(左通禮)를 지낸 노한문(盧漢文)의 아들. 선조 때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준경(盧俊卿)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우위 대호군(左右衛大護軍) 노단(盧亶)의 아들이며, 우의정(右議政) 노숭(盧嵩)의 아버지로, 감찰 지평(監察持平)을 지냄. 1343년(충혜왕 4) 원(元) 나라 사신에게 피살됨.
?~134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중련(魯仲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언변이 뛰어났으며 명예와 부를 경시하고 명예를 높이 여겨 의를 추구한 선비의 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노지(盧址)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한림학사(翰林學士)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셋째 아들로, 고려 초에 풍천백(豊川伯)에 봉해짐. 풍천노씨(豊川盧氏)의 득관조(得貫祖)ㆍ시조(始祖).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노직(盧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로, 남평 현감(南平縣監) 노홍우(盧弘祐)의 아들.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내고, 이원익(李元翼)ㆍ유성룡(柳成龍)ㆍ강서(姜緖) 등과 친교(親交)함.
1536~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직(盧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남평 현감(南平縣監) 노홍우(盧弘祐)의 아들로, 1584년(선조 17)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냈고, 서화에 능함.
1545~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노집(盧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으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노미수(盧尾壽)의 아들. 단성 현감(丹城縣監)ㆍ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를 지냈음.
1489~153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책(盧頙)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딸이 원(元) 나라의 태자비가 되어 권세를 누렸으나, 기철(奇轍)ㆍ권겸(權謙) 등과의 역모가 탄로나 주살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척(盧脊)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노사흔(盧士訢)의 아들이며, 대군사부(大君師傅) 노형필(盧亨弼)의 아버지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노첨(盧簽)
조선 전기의 문신.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유감(柳堪)과 춘성부정(春城副正) 이위(李偉)의 장인으로, 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포집(老圃集)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홍추(洪芻)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노필(盧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64~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하(潞河)
중국 북경(北京) 근처의 통주(通州)를 흐르는 강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노한(盧閈)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좌의정을 지낸 민제(閔霽)의 사위로, 태종(太宗)과 동서간. 처남 민무구(閔無咎) 형제의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세종(世宗) 때 무죄가 밝혀져 복직됨.
1376~14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노한문(盧漢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노자장(盧自璋)의 아들로, 사관(史官)의 조보(朝報) 작성과 이를 재상(宰相)에 전송(傳送)하는 일을 혁파했으며,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해(盧垓)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한림학사(翰林學士)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첫째 아들로, 광산백(光山伯)에 봉해짐. 광주노씨(光州盧氏)의 득관조(得貫祖)ㆍ시조(始祖).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형(盧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노대성(盧大成)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노형필(盧亨弼)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노척(盧脊)의 아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규합함. 학행(學行)으로 효릉 참봉(孝陵參奉)ㆍ사부(師傅)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운제(雲堤)에서 한적한 생활을 즐김.
1605~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노홍(盧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조(宣祖)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노수신(盧守愼)의 아버지로, 활인서 별제(活人署別提)를 지냈음.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노홍우(盧弘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선조(宣祖)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노직(盧稙)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남평 현감(南平縣監) 등을 지냈음.
1552~160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노회신(盧懷愼)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재상. 검소하고 근면했으나 재상으로서의 능력이 부족해 사람들로부터 반식재상(伴食宰相)이라 불렸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효번(盧孝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시정(寺正)을 지낸 노경린(盧慶麟)의 아들로,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노효손(盧孝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진사에 급제하여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역임하고, 말년에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에 매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후(盧珝)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참봉(參奉) 노경장(盧敬長)의 아들로, 풍저창 수(豐儲倉守)ㆍ간성 군수(杆城郡守)를 지냄.
1475~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흠(盧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別提)ㆍ찰방(察訪)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527~16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희(盧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노우명(盧友明)의 아들.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노희식(盧希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충좌위 중부장(忠佐衛中部將) 노관(盧綰)의 아들이며, 진사(進士) 노수함(盧守諴)의 아버지로, 동래 교수(東萊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노힐부득(弩肹夫得)
통일신라 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월장(月藏)의 아들. 달달박박(怛怛朴朴)과 함께 백월산(白月山)에서 수도하다 미륵불(彌勒佛)이 되었다는 기록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있음.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창원 , 인명>종교인>승려
-
녹동서원(鹿洞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영암(靈岩)에 건립한 서원. 1713년(숙종 39)에 사액되었으며, 최덕지(崔德之)ㆍ최충성(崔忠成)ㆍ김수항(金壽恒)ㆍ김창협(金昌協) 등을 배향함.
163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녹야원(鹿野苑)
고대 중인도(中印度)의 바라나국(波羅奈國)에 있었던 동산 이름. 불교의 사대성지(四大聖地) 중 하나로, 석가(釋迦)가 성도(成道)한 후 최초로 다섯 비구에게 설법하였던 장소.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
-
논^맹(論^孟)
사서(四書)의 하나인 《논어(論語)》와 《맹자(孟子)》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儒敎)의 경전(經典)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논개(論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기(義妓). 전라북도 장수(長水) 출신. 성은 주씨(朱氏). 진주목(晉州牧)의 관기(官妓)로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 중 진주성이 일본군에게 함락될 때 촉석루(矗石樓)에서 왜장 모곡촌문조(毛谷村文助)를 유인하여 껴안고 남강(南江)에 뛰어들어 순국함.
?~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수ㅣ경상도>진주 , 인명>기술인>기생
-
논난(論難)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자인 가규(賈逵)의 저서.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논맹기문(論孟紀聞)
중국 남송(南宋) 때의 학자인 요로(饒魯)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논맹문의통고(論孟問義通攷)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이 주자(朱子)가 지은 《논맹정의(論孟精義)》에서 긴요한 대목을 뽑아 엮은 책. 14권 10책. 목판본. 제자 권상하(權尙夏)가 보완ㆍ교정하고, 외손 권이진(權以鎭)이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논맹집소(論孟集疏)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채모(蔡模)가 《논어(論語)》와 《맹자(孟子)》에 대해 주석(註釋)한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논불골표(論佛骨表)
중국 당(唐) 나라의 대학자인 한유(韓愈)가 부처의 사리(舍利)를 궁중으로 들여오려는 헌종(憲宗)에게 이의 부당함을 극간(極諫)하며 지어 올린 글.
819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논어(論語)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언행과 제자들과의 문답 내용을 기록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논어상설(論語詳說)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호인(胡寅)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논어석소(論語釋疏)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의 저서. 현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논어주의(論語註義)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진복(陳宓)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논어집주(論語集註)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논어(論語)》를 집주(集註)한 책. 《사서집주(四書集註)》 중의 하나.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논어해(論語解)@사양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양좌(謝良佐)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논어해(論語解)@윤돈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인 윤돈(尹焞)의 저서. 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논어혹문(論語或問)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논어(論語)》의 각 장을 문답식으로 논변(論辯)한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논육가요지(論六家要旨)
중국 한(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ㆍ학자인 사마담(司馬談)이 육가(六家)의 요지를 논한 책. 음(陰)ㆍ양(陽)ㆍ유(儒)ㆍ묵(墨)ㆍ명(名)ㆍ법(法)ㆍ도(道) 등 육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계통적으로 연구함.
B.C.139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논형(論衡)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인 왕충(王充)의 저서. 총 30권 85편. 유교의 제설(諸說), 전국시대 제자(諸子)의 설 등 당시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해 실증적이고 합리적인 비판을 가함.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논화(論畵)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인 고개지(顧愷之)의 화론서(畵論書).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농사직설(農事直說)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정초(鄭招)ㆍ변효문(卞孝文) 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농법서(農法書). 1책. 목판본. 1429년(세종 11) 관찬(官撰)으로 간행되었으며, 우리 나라 풍토에 맞는 농법으로 편찬된 책의 효시가 됨.
14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농산(隴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농현(隴縣) 서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옛날에 행역(行役) 나간 사람들이 이 산에 올라 고향을 생각하며 슬퍼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