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벽산(碧山)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벽산(碧山)@임제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벽산청은(碧山淸隱)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벽상삼중대광아부공신(壁上三重大匡亞父功臣) - 아부공신(亞父功臣)
고려 태조(太祖) 13년에 태조를 도와 고창(古昌) 전투에서 공을 세운 안동(安東)의 호족인 김선평(金宣平)ㆍ권행(權幸)ㆍ장길(張吉)에게 내린 공신 칭호.
930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벽서옥(壁書獄) - 정미사화(丁未士禍)
조선 명종(明宗) 2년에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 문정왕후(文定王后)와 이기(李芑) 등을 비난하는 전라도 양재역(良才驛)의 벽서(壁書)가 발단이 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벽서지변(壁書之變) - 정미사화(丁未士禍)
조선 명종(明宗) 2년에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 문정왕후(文定王后)와 이기(李芑) 등을 비난하는 전라도 양재역(良才驛)의 벽서(壁書)가 발단이 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벽서지옥(壁書之獄) - 정미사화(丁未士禍)
조선 명종(明宗) 2년에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 문정왕후(文定王后)와 이기(李芑) 등을 비난하는 전라도 양재역(良才驛)의 벽서(壁書)가 발단이 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벽서지화(壁書之禍) - 정미사화(丁未士禍)
조선 명종(明宗) 2년에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 문정왕후(文定王后)와 이기(李芑) 등을 비난하는 전라도 양재역(良才驛)의 벽서(壁書)가 발단이 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벽성(璧星) - 벽성(壁星)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열넷째 별자리에 있는 별들. 문서(文書)를 주관하는 별로서 문장(文章)을 주관하는 규성(奎星)과 함께 문운(文運)을 관장하는 별로 알려짐.
자연물>천체
-
벽성(碧城)@해주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벽성(碧城) - 김제(金堤)
전라북도 서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김제와 만경평야를 끼고 있는 제1의 곡창지대로 삼한(三韓)시대부터 한국 농경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함.
전라도>김제 , 지명>행정지명
-
벽송거사(碧松居士) - 윤위(尹威)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윤관(尹瓘)의 증손이며, 남원윤씨(南原尹氏)의 시조로, 신종(神宗) 때 남원에서 반란을 일으킨 복기남(卜奇男)을 평정하고 남원백(南原伯)에 봉해졌으며, 서경 유수(西京留守)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벽송당(碧松堂) - 지엄(智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승려. 1491년(성종 22) 여진(女眞)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출가하여 불도를 닦아 불교계의 종사(宗師)가 됨. 문인 영관(靈觀)ㆍ원오(圓悟) 등에게 대승경론(大乘經論) 등을 강의하였음.
1464~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종교인>승려
-
벽암(碧巖) - 원오(圜悟)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임제종(臨濟宗)의 승려. 종고(宗杲)에게 법을 전수함. 저서에 《벽암록(碧巖錄)》이 있음.
1063~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벽양상(辟陽相) - 심이기(審食其)
중국 한(漢) 나라 혜제(惠帝) 때의 문신. 여후(呂后)가 정권을 장악하자 총애를 받아 당시 정권을 독단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벽양후(辟陽侯) - 심이기(審食其)
중국 한(漢) 나라 혜제(惠帝) 때의 문신. 여후(呂后)가 정권을 장악하자 총애를 받아 당시 정권을 독단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벽오(碧梧)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벽오(碧梧)@정선 - 정선(丁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정세명(丁世明)의 아들로 교감(校勘)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고, 이후 향리로 퇴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벽오(碧梧)@이시발 - 이시발(李時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임진왜란 때 접반관(接伴官) 등으로 활약하고.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에 반대함.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우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1569~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벽오당(碧梧堂) - 정선(丁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정세명(丁世明)의 아들로 교감(校勘)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고, 이후 향리로 퇴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벽오선생유고(碧梧先生遺稿) - 벽오유고(碧梧遺稿)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시발(李時發)의 문집. 8권 4책. 저자의 시문 및 남구만(南九萬)이 지은 시장(諡狀), 송시열(宋時烈)이 지은 신도비명(神道碑銘) 등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벽오헌(碧梧軒)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벽온방(辟瘟方)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조선 중종(中宗) 20년에 의관 김순몽(金順蒙)ㆍ유영정(劉永貞)ㆍ박세거(朴世擧) 등이 왕명에 의해 온역(瘟疫)의 치료에 필요한 방문(方文)을 모아 엮은 의서(醫書). 1권 1책. 활자본.
1525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벽옹문선왕전(壁雍文宣王殿) - 대성전(大成殿)
문묘(文廟)의 정전(正殿)에 해당하는, 공자(孔子)의 위패(位牌)를 모시는 전각(殿閣). 공자를 중앙에 모시고 안자(顔子)ㆍ증자(曾子)ㆍ자사(子思)ㆍ맹자(孟子) 등 네 성인(聖人)을 좌우에 모셔 합사(合祀)함.
유적>건물>사당
-
벽은(碧隱) - 유구(柳玽)@고려후기
고려 말의 충신. 조선의 개창에 반대해 두문동(杜門洞)에서 끝까지 고려에 충성을 바치며 지조를 지킨 72명의 고려 유신(遺臣) 가운데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벽은(薜隱) - 정종명(鄭宗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문인ㆍ문신인 정철(鄭澈)의 아들로, 선조 재위 시 아버지의 죄를 추론받아 삭출되었다가 인조 즉위 후 관직이 복구되어 강릉 부사(江陵府使)를 지냄.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벽정(碧亭) - 벽파정(碧波亭)@진도
전라도 진도(珍島)에 있는 누정.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이 명량대첩(鳴梁大捷)을 거둔 곳으로 유명하고, 진도에서 귀양살이한 노수신(盧守愼)이 시(詩) 여러 수를 남김.
전라도>진도 , 유적>건물>누정
-
벽진(碧珍) - 성주(星州)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성주 , 지명>행정지명
-
벽진가야국신안(碧珍伽倻國新安) - 성주(星州)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성주 , 지명>행정지명
-
벽진서원(碧津書院) - 의열사(義烈祠)@광산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광산(光山)에 건립한 사우. 1681년(숙종 7) 사액되었으며, 박광옥(朴光玉)ㆍ김덕령(金德齡)ㆍ오두인(吳斗寅)ㆍ김덕홍(金德弘)ㆍ김덕보(金德普) 등을 배향함.
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당
-
벽천(碧泉) - 의천(義天)@조선
조선시대의 승려. 시(詩)와 초서(草書)에 능하였으며, 휴정(休靜)ㆍ유정(惟政)과 교유함.
한국>조선시대 , 인명>종교인>승려
-
변(忭)@이변 - 전성군(全城君)
조선 제11대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 귀인권씨(貴人權氏)의 소생으로, 어려서 죽어 소생이 없으므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아들인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麒)가 후사를 이음.
1490~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변(忭)@윤변 - 윤변(尹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의 무죄를 호소함.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변(忭)@오변 - 오변(吳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어의(御醫). 선조의 명을 받고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진료를 위해 가던 중 고봉이 별세하여 임무를 완수하지 못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의원
-
변(忭) - 구변(具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이 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변(忭)@남변 - 남변(南忭)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남이(南儞)의 아들.
1454~149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변(抃) - 이변(李抃)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신원됨.
?~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변(抃)@민변 - 민변(閔抃)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을 지낸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급암(及菴) 민사평(閔思平)의 동생.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변(抃)@신변 - 신변(申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동생 신철(申哲)이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
1470~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변(汴) - 김변(金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김세광(金世光)의 아들. 1535년(중종 30) 급제하여 훈련 참군(訓鍊參軍)ㆍ서산 군수(瑞山郡守) 등을 지냄.
1501~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변(汴)@허변 - 허변(許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허회(許淮)의 형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해 지어준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변(汴)@윤변 - 윤변(尹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무송(茂松). 윤강(尹江)의 아들이며, 방헌(庬軒) 윤자영(尹子濚)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유학
-
변(賆) - 김변(金賆)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충렬왕이 세자로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예부 낭중(禮部郞中)으로 4년간 보좌하여 이등공신(二等功臣)에 녹훈됨.
1248~130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변각(辨覺) - 혜원(慧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結社)인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한 뒤 산문(山門)을 나서지 않고 도중(徒衆)과 정토 수행(淨土修行)에 전념하였으며,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
334~41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변길보살(遍吉菩薩) - 보현(普賢)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왼쪽의 문수(文殊)와 함께 협시보살(脇侍菩薩)로서 석가의 중생 제도(衆生濟度)를 도움.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변덕옹(邊德顒) - 현덕옹(玄德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무랑(宣務郞)을 지낸 현기(玄琦)의 아들이자, 영천 군수(永川郡守) 현덕량(玄德良)의 동생으로, 보은 현감(報恩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변동호(邊東湖) - 변영청(邊永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주부원군(原州府院君) 변광(邊廣)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남원 부사(南原府使)ㆍ대구 부사(大丘府使)ㆍ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1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변명(變溟) - 윤변명(尹變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무송(茂松). 최항(崔恒)의 《태허정집(太虛亭集)》에 그의 이름과 자(字)에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유학
-
변무(辨誣) - 종계변무(宗系辨誣)
조선 태조(太祖) 때부터 선조(宣祖) 때까지 명(明) 나라 사책(史冊)에 잘못 기록된 태조의 종계(宗系)를 바로잡아 줄 것을 주청한 사건. 1394년(태조 3) 태조가 이인임(李仁任)의 아들로 잘못 기록된 것을 인식한 이래 개록을 요구하여 1588년(선조 21) 관철됨.
한국>조선전기 , 사건>기타사건
-
변범(邊氾) - 변사(邊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모반자. 정여립(鄭汝立)과 모반하여 기축옥사(己丑獄死)를 일으켰으나 동모자의 고변으로 사실이 발각되어 토포군에게 포위되자 정여립과 함께 자결함.
?~15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기타인명>역적
-
변봉산(邊鳳山) - 변익부(邊益夫)
조선 전기의 유학. 이해수(李海壽)의 《약포유고(藥圃遺稿)》에 그에 대한 만사(輓詞)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변사(邊汜) - 변사(邊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모반자. 정여립(鄭汝立)과 모반하여 기축옥사(己丑獄死)를 일으켰으나 동모자의 고변으로 사실이 발각되어 토포군에게 포위되자 정여립과 함께 자결함.
?~15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기타인명>역적
-
변산(卞山) - 변산(邊山)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있는 산 이름.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八景)의 하나로 꼽혀왔으며,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
전라도>부안 , 지명>자연지명
-
변성양(卞成陽) - 변곤(卞壼)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충신. 상서령(尙書令) 등을 지냈으며, 소준(蘇峻)의 난 때 반란군과 싸우다 두 아들 변진(卞眕)ㆍ변우(卞盱)와 함께 죽은 ‘변문충효(卞門忠孝)’의 고사가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변숭복(邊崇福) - 변사(邊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모반자. 정여립(鄭汝立)과 모반하여 기축옥사(己丑獄死)를 일으켰으나 동모자의 고변으로 사실이 발각되어 토포군에게 포위되자 정여립과 함께 자결함.
?~15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기타인명>역적
-
변암(弁巖)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변암초수(弁巖樵叟)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변옹(變雍) - 조변옹(曺變雍)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리학자 조한보(曺漢輔)의 아버지로, 사용(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변중정(邊仲靜) - 변이녕(邊以寧)
조선 전기의 유학. 권문해(權文海)의 《초간집(草澗集)》에 그에 대한 만사(輓詞)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변진(弁辰) - 변한(弁韓)
삼한(三韓)의 하나. 기원전부터 기원후 4세기경까지 지금의 경상도 지역에 분포한 여러 정치집단 가운데 가야연맹체(伽倻聯盟體)의 모태가 된 세력들의 통칭(統稱).
고대 , 경상도>창원ㅣ경상도>김해 , 시간>국명
-
변춘정(卞春亭) - 변계량(卞季良)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ㆍ권근(權近)ㆍ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조선 초기 관인문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주로 조선 건국을 찬양하는 글을 씀. 오랜 기간 대제학(大提學)을 맡아 외교문서를 작성하여 명문장가로 이름을 떨침.
1369~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변한(卞韓) - 변한(弁韓)
삼한(三韓)의 하나. 기원전부터 기원후 4세기경까지 지금의 경상도 지역에 분포한 여러 정치집단 가운데 가야연맹체(伽倻聯盟體)의 모태가 된 세력들의 통칭(統稱).
고대 , 경상도>창원ㅣ경상도>김해 , 시간>국명
-
변한공(卞韓公) - 성녕대군(誠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넷째 아들.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大匡輔國)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
1405~141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변한국공(卞韓國公) - 성녕대군(誠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넷째 아들.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大匡輔國)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
1405~141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변한소경공(卞韓昭頃公) - 성녕대군(誠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넷째 아들.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大匡輔國)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
1405~141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변한후(卞韓侯) - 왕음(王愔)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아들. 어머니는 인예태후(仁睿太后) 이씨(李氏)이며, 순종(順宗)ㆍ선종(宣宗)ㆍ숙종(肅宗)ㆍ대각국사(大覺國師)의 동생.
?~108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별(鱉) - 이별(李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1513년(중종 8)에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했으며, 우정(憂亭) 김극성(金克成)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별(鼈) - 권별(權鼈)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예천(禮泉)으로, 사간(司諫)을 지낸 권문해(權文海)의 아들. 왕실의 사적(事蹟)과 인물열전(人物列傳)을 집대성한 《해동잡록(海東雜錄)》을 편술함.
1589~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
-
별(鼈)@이별 - 이별(李鼈)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공린(李公麟)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형 이원(李黿)이 처형되자 황해도 평산(平山)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별동(別洞) - 윤상(尹祥)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인 조용(趙庸)에게 수학하였으며, 세종(世宗) 때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으로 세손(世孫)이던 단종을 가르침. 경학(經學)에 밝고 문장에도 매우 능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씀.
1373~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별유(別宥) - 노직(盧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로, 남평 현감(南平縣監) 노홍우(盧弘祐)의 아들.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내고, 이원익(李元翼)ㆍ유성룡(柳成龍)ㆍ강서(姜緖) 등과 친교(親交)함.
1536~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병(昞) - 엄병(嚴昞)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의 아우.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병(柄) - 임병(任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ㆍ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내고, 글씨에도 뛰어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병경(秉卿) - 이균(李勻)@조선전기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철성(鐵城). 청도 군수(淸道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병계(屛溪) - 윤봉구(尹鳳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의 문인(門人).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1681~176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병균(秉鈞) - 박병균(朴秉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의정을 지낸 박은(朴訔)의 손자이며, 형조 참판을 지낸 박규(朴葵)의 아들. 음보(蔭補)로 관직에 올라 사온서 령(司醞署令)ㆍ홍주 판관(洪州判官) 등을 지냄.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증조.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병기(秉璣) - 권병기(權秉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권보(權堡)의 아들. 서거정(徐居正)ㆍ성삼문(成三問)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병단(邴丹) - 병만용(邴曼容)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청렴하고 검소하여 녹(祿)이 육백 석을 넘기 전에 벼슬에서 물러났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병담(屛潭) - 심귀령(沈龜齡)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산(豊山).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봉해졌으며,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를 역임함.
1349~14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병록(丙鹿) - 고려(高麗)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추방하고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태조(太祖)에서 공양왕(恭讓王)까지 34대 475년간 존속.
918~1392 한국>고려시대 , 시간>국명
-
병만(邴曼) - 병만용(邴曼容)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청렴하고 검소하여 녹(祿)이 육백 석을 넘기 전에 벼슬에서 물러났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병문(炳文) - 호병문(胡炳文)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주희(朱熹)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저서에 《주역본의통석(周易本義通釋)》ㆍ《사서통(四書通)》ㆍ《운봉집(雲峰集)》이 있음.
1250~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병백당(病柏堂) - 박운(朴蕓)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제자로,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3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병보(屛甫) - 이계전(李季甸)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4~145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병사봉(兵使峰) - 장군봉(將軍峰)
함경도(咸鏡道)에 위치한 백두산(白頭山)의 최고봉(最高峰). 영조(英祖) 때 함경도 절도사(咸鏡道節度使) 윤광신(尹光莘)이 백두산에 올라가 천지(天池)에서 창을 들고 춤을 추었다 하여 이름함.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병산(屛山)@웅천 - 웅천(熊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 제포(薺浦)와 왜관(倭館)을 통하여 대일(對日)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짐. 현재는 경상남도 진해시(鎭海市)ㆍ창원시(昌原市) 등에 편입됨.
경상도>웅천 , 지명>행정지명
-
병산(屛山)@구병산 - 구병산(九屛山)
충청북도 보은군(報恩郡) 내속리면(內俗離面)과 마로면(馬老面) 경계에 있는 산 이름. 보은 지방에서는 속리산(俗離山)의 천황봉(天皇峰), 금적산(金積山)과 함께 삼산(三山)이라 일컬어짐.
충청도>보은 , 지명>자연지명
-
병산(屛山)@유자우 - 유자우(劉子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강지변(靖康之變) 때 자결한 유갑(劉韐)의 아들로, 진강지부(鎭江知府)ㆍ참의사(參議事) 등을 지냈음. 주희(朱熹)의 스승.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병산(屛山)@유자휘 - 유자휘(劉子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스승으로, 저서에는 《병산집(屛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병산(屛山) - 비안(比安)
경상도 의성(義城)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비안 , 지명>행정지명
-
병산(幷山) - 비안(比安)
경상도 의성(義城)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비안 , 지명>행정지명
-
병산(甁山) - 김난상(金鸞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도(淸道). 이황(李滉)ㆍ정황(丁熿) 등과 교유하고, 1545년(인종 1) 을사사화(乙巳士禍)와 1547년(명종 2)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유배되었으나, 선조 때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냄.
1507~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병산로(屛山老) - 유자휘(劉子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스승으로, 저서에는 《병산집(屛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병산선생(屛山先生) - 유자휘(劉子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스승으로, 저서에는 《병산집(屛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병선(秉璿) - 송병선(宋秉璿)
조선 후기~근대의 문인ㆍ순국지사.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이며, 송병순(宋秉珣)의 형. 을사조약(乙巳條約)에 반대하는 운동을 하였고, 국권 피탈에 통분하여 자결함. 저서로 《근사속록(近思續錄)》ㆍ《무계만집(武溪謾輯)》ㆍ《연재집(淵齋集)》 등이 있음.
1836~1905 한국>근대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문인
-
병순(秉珣) - 송병순(宋秉珣)
조선 고종(高宗)~근대의 문신ㆍ순국지사. 본관은 은진(恩津).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토오적문(討五賊文)〉을 지어 민족정기의 앙양과 국권회복을 호소하고, 경술국치(庚戌國恥) 후에 일제의 회유책에 맞서 음독 자결함.
1839~1912 한국>근대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병암(屛嵒)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병암(屛巖)@구수복 - 구수복(具壽福)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 후에 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역임함. 김정(金淨)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491~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병암(屛巖) - 소세량(蘇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내고,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다는 평을 들음.
1476~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병암(屛菴)@김응기 - 김응기(金應箕)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의 신임이 두터워 10여 년 동안 강연(講筵)을 맡음.
1457~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