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병암(屛菴) - 구수복(具壽福)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 후에 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역임함. 김정(金淨)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491~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병요산(甁要山) - 금오산(金鰲山)@곤양
경상도 곤양(昆陽)에 있는 산 이름. 곤양 서쪽 20리 되는 곳에 있는 산으로 이곳에서 시인들이 시를 읊고 풍류를 즐겼다 하며, 현재는 하동(河東)에 속함.
경상도>곤양 , 지명>자연지명
-
병인개옥(丙寅改玉) - 중종반정(中宗反正)
조선 연산군(燕山君) 12년(1506)에 박원종(朴元宗) 등이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진성대군(晉城大君)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
1506 한국>조선전기 , 사건>기타사건
-
병인반정(丙寅反正) - 중종반정(中宗反正)
조선 연산군(燕山君) 12년(1506)에 박원종(朴元宗) 등이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진성대군(晉城大君)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
1506 한국>조선전기 , 사건>기타사건
-
병자삼학사(丙子三學士) - 삼학사(三學士)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청(淸) 나라와의 결사 항전을 주장한 세 학사. 홍익한(洪翼漢)ㆍ윤집(尹集)ㆍ오달제(吳達濟)를 일컫는 말로, 이들은 끝까지 화의(和議)를 반대하다가 1637년(인조 15) 중국 심양(瀋陽)에 잡혀가 처형당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병재(甁齋) - 박하징(朴河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충순위 부사직(忠順衛副司直) 박승원(朴承元)의 아들이며, 박하담(朴河淡)과 예조 정랑(禮曹正郞) 박하청(朴河淸)의 아우.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하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148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병정록(丙丁錄) - 병진정사록(丙辰丁巳錄)
조선 명종(明宗) 11년부터 이듬해까지 문신 임보신(任輔臣)이 지은 사화집(史話集). 황희(黃喜)ㆍ허주(許稠) 등 20여 명의 재상ㆍ문호들의 언행ㆍ일화 등을 듣고 본 대로 간략하게 기록함.
1556~15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병표(炳彪) - 호(虎)
호랑이. 민속(民俗)에서 잡귀(雜鬼)를 물리치고 효(孝)와 보은(報恩)의 동물로 묘사되는 등 신수(神獸)로 일컬어짐.
자연물>동물
-
보(俌)@이보 - 능원대군(綾原大君)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동생. 원종(元宗)의 아들로, 백부인 의안군(義安君) 이성(李珹)에게 출계함. 병자호란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였으며, 곧고 온후한 성품으로 종실의 모범이 됨.
1592~16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보(俌) - 이보(李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며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장남.
1537~15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보(保) - 기보(祁保)
중국 명(明) 성조(成祖) 때의 문신. 조선 태조(太祖)가 승하(昇遐)하자 제문(祭文)ㆍ시호(諡號)ㆍ부의(賻儀)를 가지고 사신으로 왔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보(保)@정보 - 정보(鄭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손자로, 사육신(死六臣)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연일(延日)로 유배된 뒤 단성(丹城)으로 이배(移配)되어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보(保)@연보 - 연보(延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장령(掌令)을 지낸 연구령(延九齡)의 아버지로, 낙안 군수(樂安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보(保)@이보 - 이보(李保)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완산(完山). 지삼기현사(知三岐縣事) 이나(李那)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보(保)@김보 - 김보(金保)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김전(金佺)의 아들이며, 문하시중(門下侍中) 김취려(金就礪)의 손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문사>유학
-
보(堡)@한보 - 한보(韓堡)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명회(韓明澮)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47~152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보(堡) - 권보(權堡)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과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내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에 추증됨.
?~14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보(寶)@김보 - 김보(金寶)
조선 전기의 유학. 이삼택(李三宅)ㆍ오건(吳健)과 교유함. 《덕계집(德溪集)》의 〈덕계선생연보(德溪先生年譜)〉에 환아정(換鵝亭)에서 놀면서 시(詩)를 주고받은 기록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보(寶) - 간보(干寶)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인ㆍ학자. 역사(歷史)ㆍ음양(陰陽)ㆍ산수(算數)를 연구하고 역사찬집(歷史撰集)에 종사하였으며 저작랑(著作郞)을 지냄. 저서에 《수신기(搜神記)》 등이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보(寶)@윤보 - 윤보(尹寶)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해평군(海平君) 윤지표(尹之彪)의 아들로, 응양위 대호군(鷹揚衛大護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보(普) - 김보(金普)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판도판서(版圖判書)로서 공민왕이 세자로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오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보(溥) - 권보(權溥)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ㆍ학자. 안향(安珦)의 문인. 국로(國老)로서 대원(對元)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 《사서집주(四書集註)》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
1262~134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보(溥)@유보 - 유보(柳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호조(戶曹)와 공조(工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을 역임함.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사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보(珤) - 윤보(尹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순(尹純)의 아들로, 수첨의찬성사(守僉議贊成事) 등을 지내고,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에 봉해짐.
?~132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보(輔)@금보 - 금보(琴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서화가. 본관은 봉화(奉化)로, 이황(李滉)의 문인. 글씨에 뛰어나 이숙량(李叔樑)ㆍ오수영(吳守盈)과 더불어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렸으며, 퇴계묘비(退溪墓碑)ㆍ도산신판(陶山神版) 등을 씀.
152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ㅣ경상도>예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보(輔)@허보 - 허보(許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도사(都事)를 지낸 허량(許亮)의 아버지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보(輔)@조선후기 - 이보(李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주로 외직에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음.
1545~1608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보(輔) - 안보(安輔)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안축(安軸)의 동생.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합격하여 벼슬하다가 귀국한 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동경 유수(東京留守) 등을 지냄.
1302~135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보(輔)@조선전기 - 이보(李輔)@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증손으로, 자암(自菴) 김구(金絿)와 사돈 관계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보(𤣰) - 순화군(順和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여섯 번째 서자. 순빈김씨(順嬪金氏)의 소생으로, 임진왜란 때 왜군에게 포로로 붙잡혔다 풀려났으며, 사람을 함부로 죽이고 재물을 약탈하는 등 불법을 저질러 양사(兩司)의 탄핵을 받음.
1580~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보(𥙷) - 효령대군(孝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의 소생으로,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고, 세종ㆍ문종ㆍ단종ㆍ세조ㆍ예종ㆍ성종으로부터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으며, 많은 불사(佛事)를 주관하여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공헌함.
1396~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보각(普覺) - 혼수(混脩)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대선사인 계송(繼松)에게 가서 출가하고, 선교(禪敎)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 경관(慶觀)ㆍ담원(湛圓)ㆍ소안(紹安)ㆍ만우(萬雨) 등의 제자를 배출함.
1320~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ㅣ충청도>충주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보각(普覺)@일연 - 일연(一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고종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구산문 사선(九山門四選)의 으뜸되어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고, 충렬왕 때 국존(國尊)으로 책봉됨. 제자로 혼구(混丘)ㆍ죽허(竹虛)가 있고, 대표적 저서로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유명함.
1206~128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보각국사(普覺國師) - 혼수(混脩)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대선사인 계송(繼松)에게 가서 출가하고, 선교(禪敎)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 경관(慶觀)ㆍ담원(湛圓)ㆍ소안(紹安)ㆍ만우(萬雨) 등의 제자를 배출함.
1320~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ㅣ충청도>충주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보각대혜선사(普覺大慧禪師) - 종고(宗杲)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속성은 해씨(奚氏). 임제종(臨濟宗) 승려로 동산(東山) 혜운사(慧雲寺)의 혜제(慧齊)에게서 득도(得道)하여 구족계를 받고, 원오선사(圓悟禪師)의 법을 전해 받음.
?~1163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보각대혜선자(普覺大慧禪者) - 종고(宗杲)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속성은 해씨(奚氏). 임제종(臨濟宗) 승려로 동산(東山) 혜운사(慧雲寺)의 혜제(慧齊)에게서 득도(得道)하여 구족계를 받고, 원오선사(圓悟禪師)의 법을 전해 받음.
?~1163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보각원명(寶覺圓明) - 혜홍(惠洪)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승려. 임제종(臨濟宗) 황룡파(黃龍派)에 속하며 시승(詩僧)으로 유명함. 저서로 《임간록(林間錄)》ㆍ《선림승보전(禪林僧寶傳)》ㆍ《냉재야화(冷齋夜話)》등이 있음.
1071~1128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보간(輔幹) - 이보간(李輔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청백리(淸白吏) 이명(李蓂)과 이훤(李萱)의 아버지로, 연산 현감(連山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보감(寶鑑)@국조보감 - 국조보감(國朝寶鑑)
조선 역대 국왕의 치적 중에서 선정(善政)만을 모아 수록한 편년체(編年體)의 역사책. 조선 세종(世宗) 때 편찬을 시작하여 순종(純宗) 때 완성됨. 90권 28책. 활자본.
한국>조선후기ㅣ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보감(寶鑑) - 혼구(混丘)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일연(一然)의 제자로, 충숙왕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가송잡저(歌頌雜著)》 등을 저술함.
1251~132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종교인>승려
-
보감국사(寶鑑國師) - 혼구(混丘)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일연(一然)의 제자로, 충숙왕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가송잡저(歌頌雜著)》 등을 저술함.
1251~132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종교인>승려
-
보경(輔卿) - 이빙(李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송재(松齋) 이우(李堣)의 손자로, 직장(直長)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보고(保皐) - 장보고(張保皐)
통일신라시대 흥덕왕(興德王)~문성왕(文王聖) 때의 장군. 당(唐) 나라에 들어가 무령군 소장(武寧軍小將)을 지내고 돌아와, 청해진 대사(淸海鎭大使)가 되어 세력을 떨침. 신무왕(神武王) 즉위에 공을 세웠으나, 부하였던 염장(閻長)에게 암살당함.
?~84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무신
-
보고독(普顧篤) - 인종(仁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1311~1320. 문예정책에 힘을 기울이고, 중국인과 몽골인 간의 관직을 평등하게 분배함.
1286~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보곤(輔坤) - 황보곤(黃輔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해(平海). 진용교위(進勇校尉) 황옥숭(黃玉崇)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문사>유학
-
보광(普光) - 혼원(混元)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승려. 조계종(曹溪宗)의 제4대 종사(宗師)로, 수선사(修禪社)의 선풍(禪風)을 전라도에서 중앙까지 파급시키고, 수선사ㆍ선원사(禪源社)ㆍ단속사(斷俗社)를 융합시켜 공인된 수도원을 세움.
1191~1271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보광(普光)@이부광 - 이부광(李溥光)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가 주방(酒坊)에 쓴 그의 글씨를 보고 추천하여 세조(世祖) 때 소문관 태학사(昭文館太學士)에 봉해짐. 한때 궁성(宮城) 전각의 편액(扁額)에 그의 작품이 많았다고 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예술인>서화가
-
보광(葆光) - 최세명(崔世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진사.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보국(輔國) - 온길(溫佶)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낸 온조(溫造)의 아버지로, 태상승(太常丞)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보국고흥백(輔國高興伯) - 유탁(柳濯)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고 장사성(張士誠)의 토벌에 참전하는 등 공을 세워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11~1371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보굴(寶窟) - 보덕굴(寶德窟)
금강산(金剛山) 법기봉(法起峰) 중턱 만폭동(萬瀑洞)에 있는 사찰. 고구려 영류왕(榮留王) 때 보덕(普德) 화상이 자연 동굴을 이용하여 창건함.
627 한국>고구려 , 강원도>회양 , 유적>건물>사찰
-
보권(寶卷) - 동혼후(東昏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498~501. 총희(寵姬) 반비(潘妃)에게 미혹되어 국정을 문란하게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보궐장(補闕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보덕(輔德) - 설순(偰循)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설경수(偰慶壽)의 아들로, 1431년(세종 13)에 왕명으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수했으며, 저서에 윤회(尹淮)와 함께 저술한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가 있음.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보덕굴(普德窟) - 보덕굴(寶德窟)
금강산(金剛山) 법기봉(法起峰) 중턱 만폭동(萬瀑洞)에 있는 사찰. 고구려 영류왕(榮留王) 때 보덕(普德) 화상이 자연 동굴을 이용하여 창건함.
627 한국>고구려 , 강원도>회양 , 유적>건물>사찰
-
보덕암(普德庵)@화계사 - 화계사(華溪寺)
조선 중종(中宗) 때 삼각산(三角山)에 건립한 사찰. 고려 광종(光宗) 때 창건한 보덕암(普德庵)을 1522년(중종 17) 신월(信月)이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여 개창함. 1619년(광해군 11) 도월(道月)이 중건하고, 1866년(고종 3) 용선(龍船)과 범운(梵雲)이 중수함.
15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사찰
-
보덕암(普德庵) - 보덕굴(寶德窟)
금강산(金剛山) 법기봉(法起峰) 중턱 만폭동(萬瀑洞)에 있는 사찰. 고구려 영류왕(榮留王) 때 보덕(普德) 화상이 자연 동굴을 이용하여 창건함.
627 한국>고구려 , 강원도>회양 , 유적>건물>사찰
-
보령군(保寧君) - 왕증(王証)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손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보로(普老) - 윤보로(尹普老)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판도 판서(版圖判書) 윤승례(尹承禮)의 아들로, 인수부 윤(仁壽府尹) 등을 지냄.
?~14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보로(普老)@박보로 - 박보로(朴普老)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무신. 심왕(瀋王) 탈탈불화(脫脫不和)의 왕위 등극 음모를 저지하였으며, 상원수(上元帥)가 되어 왜구를 물리침.
?~1380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보리(甫里) - 육귀몽(陸龜蒙)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학자. 육경(六經)과 《춘추(春秋)》에 통달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강(松江)의 보리(甫里)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함. 시재(詩才)가 뛰어나 피일휴(皮一休)와 더불어 ‘피육(皮陸)’으로 일컬어짐.
?~88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보리달마(菩提達磨) - 달마(達磨)
중국 남북조시대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禪宗)의 창시자. 달마(達磨)는 부처로부터는 28번째의 조사(祖師)로 여겨지고, 중국 선종에서는 초조(初祖)로 간주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보리라(寶利羅) - 사리(舍利)
참된 불도(佛道)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 양산(梁山) 통도사(通度寺)와 오대산(五臺山) 상원사(上院寺) 등에 석가(釋迦)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사상>현상>신체증상
-
보리선생(甫里先生) - 육귀몽(陸龜蒙)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학자. 육경(六經)과 《춘추(春秋)》에 통달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강(松江)의 보리(甫里)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함. 시재(詩才)가 뛰어나 피일휴(皮一休)와 더불어 ‘피육(皮陸)’으로 일컬어짐.
?~88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보림(寶林) - 이보림(李寶林)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제현(李齊賢)의 손자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보만당(保晩堂) - 강극성(姜克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좌찬성 강희맹(姜希孟)의 현손(玄孫). 군자감 정(軍資監正)ㆍ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보만당(保晩堂)@이정귀 - 이정귀(李廷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 이계(李𡹘)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명(明) 나라에 원병을 청하고, 대제학(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신흠(申欽)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4대 문장가로 불림.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보만재(保晩齋) - 서명응(徐命膺)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의 형으로, 대제학을 거쳐 상신(相臣)에 오르고 봉조하(奉朝賀)에 이름. 역학(易學)에 정통한 실학(實學)의 대가로 북학파(北學派)의 비조(鼻祖)로 일컬어짐.
1716~17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보망장(補亡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보문(普文) - 안보문(安普文)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동궁 시직(東宮侍直)을 지낸 안숙량(安叔良)의 아들로,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 등을 지냄.
1427~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보문사(普門寺) - 독정사(獨亭寺)
황해도 봉산(鳳山) 자비산(慈悲山)에 있는 사찰. 정방산(政方山) 성불사(成佛寺)의 말사였음. 창건 당시 보문사(普門寺)라 하였다가 조선 초 독정사(獨亭寺)로 개명함.
황해도>봉산 , 유적>건물>사찰
-
보민(保民) - 곽보민(郭保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곽정동(郭貞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함께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안 , 인명>문사>유학
-
보발(甫發) - 유보발(柳甫發)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화군(文化君) 유인기(柳仁奇)의 아들로, 문음(門蔭)으로 흥왕도감 판관(興王都監判官)에 제수되고, 통례문 부사(通禮門副使)ㆍ밀직사 우부대언(密直司右副代言) 등을 지냄. 《가정집(稼亭集)》에 묘지명이 전함.
1304~134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보병(步兵)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보병위(步兵尉)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보빙사(報聘使)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보사(寶師) - 옥보(玉寶)
조선 전기의 승려. 금강산(金剛山)에서 수행하였으며, 이산해(李山海)의 《아계유고(鵝溪遺稿)》에 그에게 준 서문(序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보사(輔嗣) - 왕필(王弼)@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 어려서부터 지혜로 명성을 떨치고 상서랑(尙書郞)을 지냈으며, 하안(何晏)ㆍ하후현(夏侯玄) 등과 함께 현학(玄學)의 청담기풍(淸談氣風)을 창시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226~24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보살제(菩薩帝) - 무제(武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02~549. 경릉팔우(竟陵八友) 중 한 사람이며,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
464~5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보상인(寶上人) - 옥보(玉寶)
조선 전기의 승려. 금강산(金剛山)에서 수행하였으며, 이산해(李山海)의 《아계유고(鵝溪遺稿)》에 그에게 준 서문(序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보석(保奭) - 소공(召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은(殷) 왕조의 후손 무경(武庚)의 반란을 진압하고 성왕(成王)을 옹립한 뒤 형 주공(周公)과 함께 성왕을 보필하여 왕조의 기반을 확립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보성군(寶城君)@왕희 - 왕희(王熙)
고려 후기의 종친. 신종(神宗)의 5대손으로 보성군(寶城君)에 봉해짐. 영흥군(永興君) 왕환(王環)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보성군(寶城君) - 이합(李㝓)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남이(南怡)를 국문하던 중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군호(君號)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고신(告身)을 환급받음.
14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보성윤(寶城尹) - 이합(李㝓)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남이(南怡)를 국문하던 중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군호(君號)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고신(告身)을 환급받음.
14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보성정(寶城正) - 이합(李㝓)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남이(南怡)를 국문하던 중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군호(君號)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고신(告身)을 환급받음.
14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보세(寶世) - 조양기(趙良琪)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 충렬왕의 명을 받고 원(元) 나라 세조(世祖)가 일본을 정벌할 때 김방경(金方慶)과 함께 참가하여 공을 세움. 쌍성총관(雙城摠管)을 지냄.
1261~?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보세(輔世) - 노보세(盧輔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역임함. 《호음잡고(湖陰雜稿)》에 정사룡(鄭士龍)의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보순(甫淳) - 최보순(崔甫淳)
고려 희종(熙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를 지낸 최균(崔均)의 아들. 감수국사(監修國史)가 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을 찬수하고, 수태사 판이부사(守太師判吏部事)에 오름.
1162~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보신(寶臣) - 최응현(崔應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중종(中宗) 때의 인물인 최세도(崔世道)ㆍ최세절(崔世節)ㆍ최세충(崔世忠) 형제의 아버지로,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양친(養親) 등을 이유로 대부분 사임함.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428~150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보신(輔臣) - 임보신(任輔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내고, 저서로 《병진정사록(丙辰丁巳錄)》이 있음.
?~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보신자(葆眞子) - 김담(金譚)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김광복(金光輻)의 아들. 효자로 유명하여 양사언(楊士彦)에 의해 추천되어 포상을 받았고, 그의 효도를 노래한 시가 《봉래시집(蓬萊詩集)》에 남아 있음.
1522~160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보안(保安) - 부안(扶安)
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16년(태종 16)에 부령(扶寧)과 보안(保安)이 합해짐.
전라도>부안 , 지명>행정지명
-
보안정(保安正) - 이수남(李壽男)@이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호산군(湖山君) 이현(李鉉)의 아들로, 노사신(盧思愼)의 손녀사위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보암(保庵) - 심연원(沈連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녹훈되고,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로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491~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보암(寶巖) - 진상인(珍上人)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승려. 오품(五品) 벼슬을 지냈으나 공민왕의 승하 후, 부도(浮圖)의 법에 입문하여 승려가 되었고, 권근(權近)이 〈보암기(寶巖記)〉를 지어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관인>문신
-
보왕(寶王)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보월승공(寶月昇空) - 보우(普愚)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선승(禪僧). 본관은 홍주(洪州). 중국 원(元) 나라 청공(淸珙)의 법을 계승하고 임제종(臨濟宗)을 열어 그 시조가 되었으며, 선교일체론(禪敎一體論)을 주장하고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강조함. 공민왕(恭愍王)과 우왕 때 국사(國師)로 봉해짐.
1301~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종교인>승려
-
보위승교종(普爲乘敎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보은사(報恩寺) - 신륵사(神勒寺)
경기도 여주(驪州) 북내면(北內面)의 봉미산(鳳尾山)에 있는 사찰.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조선 성종(成宗)때 영릉(英陵)의 원찰(願刹)이 되면서 보은사(報恩寺)로 불림.
한국>신라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사찰
-
보익(輔翼) - 민보익(閔輔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