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방기(邦奇) - 한방기(韓邦奇)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남병부상서(南兵部尙書) 등을 지냄.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병법(兵法) 등에 능통하였으며, 저서로 《홍범도해(洪範圖解)》ㆍ《역학계몽의견(易學啓蒙意見)》 등이 있음
1479~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기(邦畿) - 경기(京畿)
한반도 중앙의 서쪽에 위치한,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기도 , 지명>행정지명
-
방득(枋得) - 사방득(謝枋得)
중국 송(宋) 나라 말의 학자. 국운이 기운 송 나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원(元) 나라에 잡혀가 출사(出仕)를 거부하며 단식하다가 죽음. 저서로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있음.
1226~12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방득주(方得珠) - 방순(方恂)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방언휘(方彦暉)의 아들로, 관찰사(觀察使)와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방량(邦良) - 김덕민(金德民)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산 현감(尼山縣監) 김가기(金可幾)의 아들. 1603년(선조 36) 김가기가 수집하여 간행하고자 했던 성운(成運)의 문집인 《대곡집(大谷集)》을 간행함.
157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보은 , 인명>문사>유학
-
방려(方礪) - 김방려(金方礪)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이첨(李詹)ㆍ전녹생(田祿生)ㆍ몽주(鄭夢周) 등과 이인임(李仁任)의 친원정책을 배척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방릉(房陵) - 중종(中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683~684, 705~710. 고종(高宗)의 제7자로 어머니는 측천무후(則天武后). 제위(帝位)에 있는 동안 어머니와 황후인 위후(韋后)에게 휘둘려 이름뿐인 황제였음.
656~71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방릉왕(房陵王) - 양용(楊勇)
중국 수(隋) 나라의 태자. 문제(文帝)의 아들로, 황태자에 봉해졌으나, 후에 양제(煬帝)가 된 아우 양광(楊廣)의 방해로 폐서인(廢庶人)이 되었으며, 문제의 병이 위독할 때 양광의 조서(詔書) 위조로 인해 사사됨.
?~604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방만리(方萬里) - 방회(方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규율수(瀛奎律髓)》 등을 편찬함.
1227~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방미서객(厖眉書客) - 안사(顔駟)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 등 3세(世)를 섬겼으나 관운(官運)이 트이지 않아 평생 낭서(郞署)에 머물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방번(芳蕃) - 무안대군(撫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세자 이방석(李芳碩)과 함께 피살당함.
138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방보(邦寶) - 김개(金鎧)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조광조(趙光祖) 등을 현자로 추대할 때 조광조 일파를 비방한 이유로 삭탈관직됨.
1504~15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방보(邦輔) - 김광우(金光佑)@조선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소개로 이이(李珥)의 밑에서 수학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방빈왕(方賓王) - 방의(方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주고받은 문답이 《주희집(朱熹集)》 〈답방빈왕서(答方賓王書)〉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방사(房駟) - 방성(房星)
28수(宿)의 하나. 동남방(東南方)에 있는 창룡칠수(蒼龍七宿)의 네 번째 별로, 이 별의 정기가 땅에 내려와 준마(駿馬)가 된다고 하여 거마(車馬)를 주관하는 별로 알려짐.
자연물>천체
-
방사운(房士雲) - 방덕기(房德驥)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遊軒集)》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방삭(方朔) - 동방삭(東方朔)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ㆍ문신. 기언 기행(奇言奇行)으로 무제(武帝)의 총애를 받음.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선도(仙桃)를 훔쳐 먹고 장수하여 삼천갑자(三千甲子)를 살았다 하여 삼천갑자동방삭(三千甲子東方朔)으로 일컬어짐.
B.C.154~B.C.9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방산(方山) - 두지인(杜知仁)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학자. 어릴 때부터 시문(詩文)을 지었고, 자라서는 육경(六經)과 《논어(論語)》ㆍ《맹자(孟子)》를 공부했음. 저서로는 《시문십오권(詩文十五卷)》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방산수(方山守) - 이난(李瀾)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두 번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여섯째 아들로, 방산수(方山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방삼배(方三拜) - 방간(方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추한 외모를 가졌으나 요합(姚合) 등에게 재능을 인정받았으며, 만나는 사람마다 삼배(三拜)를 하여 ‘방삼배(方三拜)’라 불림. 죽은 후 장문울(張文蔚)에 의해 추존되고 ‘현영선생(玄英先生)’이라 사시(私諡)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방석(方石) - 사탁(謝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 등을 지냈으며, 경술(經術)과 문장(文章)이 뛰어나 《이락연원속록(伊洛淵源續錄)》ㆍ《적성신지(赤城新志)》 등을 저술함.
1435~151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석(芳碩) - 의안대군(宜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배극렴(裵克廉)ㆍ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의 요청으로 세자(世子)로 책봉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피살됨.
138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방선(方善) - 유방선(柳方善)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변계량(卞季良)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고 이보흠(李甫欽) 등을 키워내 영남 성리학을 계승하는 역할을 담당함. 서거정(徐居正) 등 많은 인재를 배출하고 시문에도 뛰어남.
1388~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ㅣ경기도>개성ㅣ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방성(放成)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성(方城) - 종신(宗臣)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복건 참의(福建參議)ㆍ제학 부사(提學副使) 등을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25~156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방숙(方叔)@심의겸 - 심의겸(沈義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1575년(선조 8)에 그를 지지하는 서인(西人)과, 김효원(金孝元)을 지지하는 동인(東人)이 서로 논쟁하기 시작해 동서분당(東西分黨)의 시초가 됨.
1535~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방시옹(放詩翁) - 육유(陸游)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냄. 조국을 침략한 금(金) 나라에 대한 철저한 항쟁을 주장하고, 시를 통해 그 분노를 표출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자적함을 동시에 표현함.
1125~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방신(方信) - 한방신(韓方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악(韓渥)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냈으나, 후에 아들 한안(韓安)의 시역(弑逆)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피살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방씨(方氏) - 방각(方慤)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예기해의(禮記解義)》20권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방씨각(方氏慤) - 방각(方慤)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예기해의(禮記解義)》20권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방언(邦彥) - 주방언(周邦彥)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 북송 말기의 대표적 사인(詞人)으로, 사대사인(四大詞人)의 한 사람.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사(詞) 작품을 남기고, 대성부 제거(大晟府提舉) 등을 지냄.
1056~11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방언(邦彦) - 성방언(成邦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 때 진사(進士)에 입격한 성구령(成九齡)의 아버지로, 부사과(副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방언육전(方言六典) - 경제육전(經濟六典)
조선 태조(太祖) 때 편찬된 법전(法典).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에서 정도전(鄭道傳)ㆍ조준(趙浚) 등이 고려 우왕(禑王) 때부터 당시까지 발표된 조례(條例)를 육전(六典)의 형식을 갖추어 만듦.
139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방옹(厖翁) - 황희(黃喜)
고려 우왕(禑王)~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8년간 영의정(領議政)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 예법의 개정, 서얼(庶孼)의 천역(賤役)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世宗)에게 신임을 받고,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
1376~145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방옹(放翁)@이탕 - 이탕(李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병조 참판(兵曹參判) 이정암(李廷馣)의 아버지. 1534년 (중종 2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사직서 영(社稷署令)을 지냄.
150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방옹(放翁)@이륙 - 이륙(李陸)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지(李墀)의 아들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438~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방옹(放翁)@육유 - 육유(陸游)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냄. 조국을 침략한 금(金) 나라에 대한 철저한 항쟁을 주장하고, 시를 통해 그 분노를 표출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자적함을 동시에 표현함.
1125~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방옹(放翁)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우(芳雨) - 진안대군(鎭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첫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고려 창왕(昌王)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로서 강회백(姜淮伯)과 함께 명 나라에 파견되어 창왕의 친조(親朝)를 청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진안군(鎭安君)에 봉해짐.
1354~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방위원도(方位圓圖) - 육십사괘방위도(六十四卦方位圖)
《주역(周易)》에서 모든 천지만물을 상징하기 위해 64개의 괘(卦)로 설정한 방위도.
중국 , 문헌>작품명
-
방은(方隱) - 조광보(趙廣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중종 때 박원종(朴元宗) 등을 모해하였다는 죄목으로 국문을 받았으나, 당시의 폐단에 대해 거침없이 직언(直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방의(芳毅) - 익안대군(益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이방원(李芳遠)을 보좌하여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중립을 지킴.
?~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방인(方歅) - 구방고(九方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목공(穆公) 때의 상마인(相馬人). 백락(伯樂)의 추천으로 목공에게 양마(良馬)를 구해주었는데 말의 내실만을 취했지 외모는 중요시하지 않아 목공의 오해를 샀다는 고사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방자(方子) - 이방자(李方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통판진주(通判辰州) 등을 역임하였으며, 탄핵을 당하자 낙향하여 학문을 강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장(方丈) - 방장산(方丈山)
중국 고대 전설 속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 발해(渤海)의 동쪽에 있다는 오도(五島) 중의 하나.
고대 ,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방장구선(方丈癯仙) - 정광보(鄭光輔)
조선 전기의 유학. 김효원(金孝元)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방장노자(方丈老子)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방장산(方丈山)@지리산 - 지리산(智異山)
전라도 남원(南原)ㆍ구례(求禮), 경상도 산청(山淸)ㆍ함양(咸陽)ㆍ하동(河東)에 걸쳐 있는 산.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ㅣ경상도>함양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방장산인(方丈山人)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방전(方甸) - 방순(方恂)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방언휘(方彦暉)의 아들로, 관찰사(觀察使)와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방정학(方正學) - 방효유(方孝孺)
중국 명(明) 태조(太祖)~혜제(惠帝) 때의 학자. 석학인 송렴(宋濂)에게 수학하고, 혜제(惠帝)를 섬겨 시강학사(侍講學士)로서 신임을 받았으나, 영락제(永樂帝) 때 등극 조서 작성을 거부하다가 죽임을 당하였음.
135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방조(邦祚) - 송방조(宋邦祚)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진왜란 때 충청도 영동(永同)에서 의병을 모집함. 평안도 병마평사(平安道兵馬評事)로 있을 때 용천관(龍川館)에서 급사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방좌(邦佐) - 조방좌(趙邦佐)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조사수(趙士秀)의 아버지로 돈녕부 참봉(敦寧府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방주(方洲) - 장녕(張寧)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조선 세조(世祖) 때에 우리나라에서 야인(野人)을 함부로 죽인 일을 문책하러 사신으로 왔었으며, 서호(西湖)의 달구경을 읊은 시가 유명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방주(邦柱) - 이방주(李邦柱)
조선 전기의 유학.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하였으며, 유희춘이 그에게 준 시가 《미암집(眉巖集)》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방주룡(房州龍) - 중종(中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683~684, 705~710. 고종(高宗)의 제7자로 어머니는 측천무후(則天武后). 제위(帝位)에 있는 동안 어머니와 황후인 위후(韋后)에게 휘둘려 이름뿐인 황제였음.
656~71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방준(邦俊) - 안방준(安邦俊)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켜 항쟁함. 관직을 여러 번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보성(寶城) 우산(牛山)에 들어가 후진 양성에 전념함.
1573~165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직(邦直) - 이방직(李邦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시문(詩文)에 능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자(字)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이색(李穡)이 지은 자찬(字讚)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방진(方震) - 양렴(楊廉)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양숭(楊崇)의 아들로, 성력(星曆)과 산수(算數)에 능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촌(厖村)@황희 - 황희(黃喜)
고려 우왕(禑王)~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8년간 영의정(領議政)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 예법의 개정, 서얼(庶孼)의 천역(賤役)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世宗)에게 신임을 받고,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
1376~145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방촌(厖村) - 윤자영(尹子濚)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역임하고,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세종실록(世宗實錄)》ㆍ《문종실록(文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방촌문집(厖村文集) - 방촌집(厖村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황희(黃喜)의 문집. 원집ㆍ별집ㆍ외집ㆍ연보ㆍ부록을 합쳐 14권 7책. 1935년 황의창(黃義昌)이 편집ㆍ교열해 간행함. 이건방(李建芳)이 서문을, 이승규(李昇圭)가 발문을 씀.
1935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방택(方澤) - 유방택(柳方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판서운관사(判書雲觀事)를 지내고, 송곡서원(松谷書院)에 제향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방편(方平)@왕원 - 왕원(王遠)
중국 한(漢) 나라 환제(桓帝) 때의 선인(仙人). 그가 채경(蔡經)의 집에 내려와 선녀 마고(麻姑)를 불러왔는데, 마고가 그를 섬긴 이래 동해가 세 번 뽕밭으로 변하는 천지의 변화가 있었다고 설명한 데서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말이 유래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방평(方平)@호방평 - 호방평(胡方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동몽정(董夢程)에게 역학(易學)을 전수받고 심귀요(沈貴瑤)를 스승으로 섬겨 《주역(周易)》에 정통하였으며, 저서에 《역학계몽통석(易學啓蒙通釋)》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방평(方平) - 이각(李覺)
중국 송(宋) 나라의 서화가. 글씨와 거문고에 능하였으며, 특히 산수화(山水畫)에 뛰어났음.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방평(方平)@장방평 - 장방평(張方平)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벼슬을 그만두고 남경(南京)에 있을 때에 소식(蘇軾)이 옥에 갇혔다는 소식을 듣고 구원(救援)하기 위해 상서(上書)하였음. 저서에는 《낙전집(樂全集)》ㆍ《옥당집(玉堂集)》 등이 있음.
1007~109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방평구우(方平九友) - 이각(李覺)
중국 송(宋) 나라의 서화가. 글씨와 거문고에 능하였으며, 특히 산수화(山水畫)에 뛰어났음.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방한(方閒) - 윤시동(尹蓍東)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득민(尹得敏)의 아들이며, 유척기(兪拓基)의 사위. 소신이 뚜렷하여 당론(黨論)을 논하다가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내직과 외직을 여러 번 거친 후 우의정 등을 지냄.
1729~17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방향후(防鄉侯) - 평안(平晏)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평당(平當)의 아들로, 대사도(大司徒) 등을 지냈으며, 부자(父子)가 모두 재상을 지낸 것으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방헌(厖軒) - 윤자영(尹子濚)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역임하고,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세종실록(世宗實錄)》ㆍ《문종실록(文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방현(邦賢) - 송방현(宋邦賢)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야로(冶爐). 송소(宋紹)의 아들이며, 집의(執義) 송희규(宋希奎)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무신
-
방형(邦亨) - 양방형(楊邦亨)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1595년(선조 28) 흠차책봉일본정사(欽差冊封日本正使) 이종성(李宗城)을 따라 부사(副使)로 조선에 나왔으며, 도중에 이종성이 도망치자 정사가 되어 일본에 가서 풍신수길(豐臣秀吉)과 협상하였으나 실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방형(邦炯) - 안방형(安邦炯)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耼)의 손자이자,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籖) 안종전(安從㙉)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방형(邦衡)@호전 - 호전(胡銓)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으로 금(金) 나라와의 강화를 반대하여, 간신 진회(秦檜)ㆍ왕륜(王倫) 등을 처단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됨. 효종 즉위 후 자정전 학사(資政殿學士) 등을 지냄.
1102~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방형(邦衡) - 이극균(李克均)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역임하였으며, 연산군의 황음(荒淫)을 바로잡으려다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된 후 사사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방호(方壺) - 방장산(方丈山)
중국 고대 전설 속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 발해(渤海)의 동쪽에 있다는 오도(五島) 중의 하나.
고대 ,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방회(方回)@치음 - 치음(郗愔)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치초(郗超)의 아버지로, 한때 자부(姊夫)인 왕희지(王羲之)와 함께 황로(黃老)의 학술을 익히기도 함. 회계내사(會稽內史)ㆍ도독 절강 동오군 군사(都督浙江東五郡軍事) 등을 지냄.
313~38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방회재(放晦齋) - 최충(崔冲)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로, 구재학당(九齋學堂)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文敎) 진흥과 사학(私學) 발전에 크게 공헌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984~1068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후(房侯) - 장량(張良)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공신. 유방(劉邦)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項羽)를 제압하고 한(漢)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猜疑心)을 알아채고 적송자(赤松子)처럼 은거함.
?~B.C.168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방훈(放勳) - 요(堯)
중국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 요(堯) 임금. 순(舜)과 아울러 '요순(堯舜)의 치(治)'라 하여,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天子像)으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배(培) - 이배(李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읍 감무(井邑監務)를 지낸 이자성(李自成)의 아들로, 사의서 승(司議署丞)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배가(倍價) - 이시보(李時珤)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이예장(李禮長)의 아들.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방관을 두루 거치고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등을 지냄.
1433~14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배건(配乾) - 황보곤(黃輔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해(平海). 진용교위(進勇校尉) 황옥숭(黃玉崇)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문사>유학
-
배걸(倍傑) - 정배걸(鄭倍傑)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 곽원(郭元)의 문인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사학십이도(私學十二徒) 중 하나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끌며 후학 양성에 힘씀.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배근(培根) - 이배근(李培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이종식(李宗軾)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배달(培達) - 이배달(李培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ㆍ문신. 숭선군(崇善君) 이총(李𤄓)의 증손으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교유하였으며 군수(郡守)를 지냄.
155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ㅣ인명>관인>문신
-
배록절사(排祿節士) - 신안(申晏)
고려 말~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종부령(宗簿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녹(祿)을 거절하고 평산의 황의산(黃衣山)에 들어가 충절을 지킴.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배명서(裵明瑞) - 배용길(裵龍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홍문관 부교리(弘文館副校理) 배삼익(裵三益)의 아들로,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義兵)으로 활약하였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의(和議)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림.
155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배상상(裵上庠) - 배임(裵任)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전의감 겸교수(典醫監兼敎授)를 지낸 배순(裵珣)의 아들로,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유학
-
배선(拜善) - 양배선(楊拜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양희지(楊熙止)의 아들. 몸가짐을 삼가며 문예(文藝)에 뛰어나 김안국(金安國)의 천거를 받았으며, 이황(李滉)ㆍ최연(崔演)ㆍ안관(安瓘) 등 당대 명사들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배원(培源) - 박배원(朴培源)
조선 전기의 문인.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배인검(裵仁儉) - 배영지(裵榮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관직은 판전리(判典理), 상호군(上護軍), 평양 윤(平壤尹)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배전(裴佺) - 배전(裵詮)
고려 후기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흥해(興海). 복천부원군(福川府院君) 손홍량(孫洪亮)의 사위이며, 사복시 판사(司僕寺判事) 배상지(裵尙志)의 아버지로,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 첨의평리(僉議評理) 흥해군(興海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배중물(杯中物)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배지(培之) - 이윤번(李允藩)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가 얻은 그림에 대한 설(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배천(白川)@강응황 - 강응황(姜應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ㆍ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한 일로 유성룡의 추천을 받아, 병조 좌랑(兵曹佐郞)ㆍ예산 현감(禮山縣監)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71~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伯) - 허백(許伯)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외척ㆍ문신. 선제 황후(皇后)의 아버지로, 태자소(太子少) 등을 지내며 거기장군(車騎將軍) 사고(史高)와 함께 권력을 독점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백(伯)@왕백 - 왕백(王伯)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후손으로, 왕씨는 사성(賜姓).
1277~135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ㅣ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백(柏) - 이백(李柏)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둘째 아들이며, 이즙(李楫)의 아우이고, 이건(李楗)ㆍ이역(李櫟)ㆍ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