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백^보(白^甫) - 보^백(甫^白)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와 이백(李白)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백^종(伯^鍾) - 종^백(鍾^伯)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공인 백아(伯牙)와 그 친구 종자기(鍾子期)를 함께 부르는 말. 마음이 통하는 절친한 교우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백각(栢各) - 정예(鄭藝)
고려 전기의 문신. 벽상삼한공신 광록대부 문하시중평장사(壁上三韓功臣光祿大夫門下侍中平章事)에 봉해진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진주정씨(晉州鄭氏) 충장공파(忠莊公派)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백간(伯諫) - 이종사(李宗思)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건안(建安) 사람으로 불학(佛學)에 심취했으나 개변하여 정주학(程朱學)에 매진하여 《예범(禮範)》 등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강(伯剛) - 김천일(金千鎰)@1622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중기(金重器)의 아들이고 정온(鄭蘊)의 문인으로, 춘추관(春秋官)ㆍ편수관(編修官) 등을 지냄. 저서에 《송천집(松川集)》이 있음.
1622~16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백강(伯剛)@이백강 - 이백강(李伯剛)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거이(李居易)의 아들이며, 태종(太宗)의 부마(駙馬)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아버지와 함께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태종의 맏딸인 정순공주(貞順公主)과 혼인함.
1381~145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백강(伯剛)@이정 - 이정(李鋥)
조선 후기의 종친. 종종(中宗)의 여덟 째 아들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장남이며, 선조(宣祖)의 형. 임진왜란 때 분의복수군(奮義復讐軍)에 가담하여 적극 활약하였음.
1545~159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백강(伯剛)@이옥정 - 이옥정(李玉貞)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4대손으로,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의 아들. 정의대부(正義大夫)에 오르고, 1550년(명종 5)에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으로 동생 이옥곤(李玉崑)과 함께 국문을 받음.
1513~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백강(伯康) - 사마단(司馬旦)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사마지(司馬池)의 아들이며, 사마광(司馬光)의 형. 정현 주부(鄭縣主簿) 등을 역임함.
1006~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강(伯强) - 이면도(李勉道)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이황(李滉)의 종인(宗人)으로, 《퇴계집(退溪集)》에 그의 방문을 기뻐하여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백강(白江)@이경여 - 이경여(李敬輿)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仁祖)를 호종하고, 1642년(인조 20) 배청친명파(背淸親明派)로 청 나라 연호를 쓰지 않았다는 밀고를 받고 심양(瀋陽)에 끌려가 억류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5~16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강(白江) - 백마강(白馬江)
충청남도 부여(夫餘) 부근을 흐르는 금강(錦江)의 하류(下流). 강의 왼쪽과 부소산(扶蘇山)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는 낙화암(落花巖)ㆍ조룡대(釣龍臺)ㆍ고란사(皐蘭寺) 등 백제(百濟)의 유적이 있음.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백강(白江)@사자하 - 사자하(泗泚河)
충청남도 부여(扶餘)를 지나는 백마강의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백강(白江)@기벌포 - 기벌포(伎伐浦)
금강(錦江) 하구인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 장항읍(長項邑) 일대로 추정되는 백제 때의 지명. 백제의 국방상 요충지로, 사비성(泗沘城)을 지키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함.
한국>백제 , 충청도>서천 , 지명>자연지명
-
백강선생집(白江先生集) - 백강집(白江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이경여(李敬輿)의 시문집. 15권 7책. 목판본. 아들 이민서(李敏叙)가 정리ㆍ편찬하여 1684년(숙종 10) 손자 이사명(李師命)과 함께 간행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의 서문이 실려 있음.
168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백개(伯喈) - 채옹(蔡邕)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헌제(獻帝) 때의 문신ㆍ서예가ㆍ학자. 여류 문인 채염(蔡琰)의 아버지이자 완우(阮瑀)의 스승으로, 좌중랑장(左中郞將) 등을 지냄. 비자체(飛自體)를 창시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저서로 《채중랑집(蔡中郞集)》 등이 있음.
132~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거(伯居) - 남극관(南克寬)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남구만(南九萬)의 손자이자 수락산(水洛山)에서 은거한 남학명(南鶴鳴)의 아들. 문집으로《몽예집(夢囈集)》이 있음.
1689~17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문인
-
백거(伯車) - 양기(梁冀)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의 무신. 양황후(梁皇后)의 오빠로, 권력을 남용하여 절제(節帝)를 옹립하고 독살하였으나 환제(桓帝) 때에 실각하여 자살함.
?~15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결(伯潔) - 김기(金器)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이 지어준 자설(字說)이 《모재집(慕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백겸(伯謙)@신유 - 신유(申愈)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송시열(宋時烈)ㆍ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문장이 뛰어났음.
1673~170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잠ㅣ충청도>예산 , 인명>문사>학자
-
백겸(伯謙)@이백겸 - 이백겸(李伯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예조 판서(禮曹判書) 이보정(李補丁)과 예빈시 소윤(禮賓寺少尹) 이말정(李末丁)의 아버지로, 감정(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백겸(伯謙)@김백겸 - 김백겸(金伯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광성군(光城君) 김혁(金革)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의 군관으로 출정하여 공을 세움.
1429~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백겸(伯謙) - 강세창(姜世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강희맹(姜希孟)이 지은 자설(字說)이 《사숙재집(私淑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백겸(百謙) - 한백겸(韓百謙)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역학(易學)에 밝아 《주역전의(周易傳義)》를 교정하였고,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를 저술하여 실학(實學)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
1552~161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백경(伯卿)@김백경 - 김백경(金伯卿)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김순(金詢)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백경(伯卿) - 최치운(崔致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술을 지나치게 좋아하여 왕이 친서(親書)로 절제하게 하자, 그 글을 벽에 걸어 놓고 출입할 때마다 바라보았다고 함.
1390~144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백경(伯敬) - 노흠(盧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別提)ㆍ찰방(察訪)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527~16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계(柏溪) - 은정화(殷鼎和)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관곡(寬谷) 최서림(崔瑞琳)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에 능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였음.
1650~17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백계(栢溪) - 은정화(殷鼎和)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관곡(寬谷) 최서림(崔瑞琳)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에 능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였음.
1650~17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백고(伯固) - 신대왕(新大王)
고구려 제8대 국왕. 재위 165~179. 태조왕(太祖王)의 동생으로, 귀족 세력을 통제하여 중앙 집권적 지배체재를 정비하고, 176년 왕자 남무(男武)를 태자로 책봉하여 왕위 부자 상속제의 기틀을 마련함.
89~17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백고(伯顧) - 기효간(奇孝諫)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고흥군(高興君) 기대유(奇大有)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항(李恒)의 문인(門人). 학문과 후진양성에 주력하여 호남의 은덕군자(隱德君子)로 불렸음.
1530~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백고(伯高)@김종후 - 김종후(金鍾厚)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김치만(金致萬)의 아들이며, 민우수(閔遇洙)의 문인(門人). 어려서부터 사부(詞賦)에 능하여 문명이 있었으나, 정치적 전변을 거듭하여 비난받음.
1721~178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고(伯高) - 고숭걸(高崇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성(高城)으로, 정여창(鄭汝昌)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종성 , 인명>문사>학자
-
백고(伯高)@장욱 - 장욱(張旭)
중국 당(唐) 나라의 서예가. 술을 몹시 좋아하고 취흥이 오르면 필묵을 잡아 초서를 잘 썼으며, 필법을 안진경(顔眞卿)과 이백(李白)에게 전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백고(伯高)@이개 - 이개(李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계주(李季疇)의 아들.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 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백고(伯高)@용술 - 용술(龍述)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마원(馬援)이 조카들에게 용백고(龍伯高)를 본받으라고 할 정도로 청렴ㆍ근검했음. 광무제(光武帝)가 마원의 글을 보고 용백고를 영릉 태수(零陵太守)로 삼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고(伯高)@덕양군 - 덕양군(德陽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으로, 음률(音律)에 밝았음.
1524~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자
-
백고(伯高)@조언수 - 조언수(趙彦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이자 조사수(趙士秀)의 형으로, 명종(明宗) 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으로 책록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백곡(栢谷)@정탁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백곡(栢谷)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백곡선생집(栢谷先生集) - 백곡집(栢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곤수(鄭崐壽)의 문집. 4권 4책. 목판본. 현손 정건(鄭鍵)과 외현손 심정희(沈廷熙)가 편차하여 예조 판서(禮曹判書) 김우항(金宇杭)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홍만조(洪萬朝)의 도움으로 간행함.
171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백곤(伯鯀) - 곤(鯀)
중국 전설상의 인물. 하(夏) 나라 시조(始祖)인 우(禹) 임금의 아버지로, 홍수를 다스리다가 실패하고 우산(羽山)으로 추방당했다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백공(伯公) - 허주(許周)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귀룡(許貴龍)의 아들이며 허조(許稠)의 형.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 등 신진세력의 전제(田制) 개혁에 동조하고, 조선 개국 후에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등을 지냄.
1359~144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백공(伯恭)@공부 - 공부(孔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소격전 제조(昭格殿提調)로서 중국에 가서 도교 의식을 배워오고, 검교 한성부 윤(檢校漢城府尹) 등을 지냈으나, 천추사(千秋使)로 중국에 갔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죽음.
?~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백공(伯恭)@장우겸 - 장우겸(張友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구례(求禮). 의흥위 부사맹(義興衛副司猛)을 지낸 장한생(張漢生)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문사>유학
-
백공(伯恭) - 고윤(高允)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태무제(太武帝) 때의 문신. 청렴결백하여 국사필화사건(國史筆禍事件) 때 죽음을 면함.
390~4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공(伯恭)@남효온 - 남효온(南孝溫)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함.
145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백공(伯恭)@여조겸 - 여조겸(呂祖謙)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주희(朱熹)와 함께 북송(北宋)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근사록(近思錄)》을 찬함.
113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공(伯鞏) - 서고(徐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서거정(徐居正)의 손자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으나, 사절(使節)을 받들고 명(明) 나라에 갔다가 도중에 죽음.
?~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백공(白公) - 백생(白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원왕(元王)이 목생(穆生)ㆍ신공(申公)과 함께 대부로 삼아 예우하였으나, 훗날 신공과 함께 죄에 연루되어 붉은 죄수복을 입고 저자에서 절구질을 하게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백과목(白果木) - 은행(銀杏)
한국ㆍ중국ㆍ일본에만 분포하는 나무로, 씨가 살구처럼 생기고 은빛이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 유학(儒學)의 전래와 관계가 깊으며 유학을 상징함.
자연물>식물
-
백광선생(白光先生) - 백광훈(白光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미(海美). 박순(朴淳)ㆍ양응정(梁應鼎)ㆍ노수신(盧守愼)에게서 수학함. 당시(唐詩)의 시풍(詩風)을 주장하여 최경창(崔慶昌)ㆍ이달(李達)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 불리고, 이산해(李山海)ㆍ최립(崔笠) 등과 더불어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7~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
-
백구(伯句) - 신대왕(新大王)
고구려 제8대 국왕. 재위 165~179. 태조왕(太祖王)의 동생으로, 귀족 세력을 통제하여 중앙 집권적 지배체재를 정비하고, 176년 왕자 남무(男武)를 태자로 책봉하여 왕위 부자 상속제의 기틀을 마련함.
89~17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백구(伯懼)@심희수 - 심희수(沈喜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종제이자 노수신(盧守愼)의 문인.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자 은거함. 저서로 《일송집(一松集)》이 있음.
1548~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백구(伯懼) - 권의(權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형.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1475~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백규(伯圭)@송맹경 - 송맹경(宋孟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인명>관인>문신
-
백규(伯圭)@이청 - 이청(李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덕윤(李德潤)의 아들로, 1511년(중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냄.
1483~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백규(伯圭) - 강우(姜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낸 강세응(姜世應)의 아들. 효행으로 정려각(旌閭閣)이 세워짐.
1495~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백규(伯規) - 채제공(蔡濟恭)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오광운(吳光運)ㆍ강박(姜樸)의 문인. 남인(南人) 중 청남(淸南) 계열의 지도자로서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옹호하고 탕평책(蕩平策)을 추진하는 등 영조와 정조에게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 영의정 등을 지냄.
1720~179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백규(白圭) - 이괄(李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ㆍ역적. 본관은 고성(固城). 인조 반정(仁祖反正) 때 큰 공을 세웠으나 논공에 대해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킴. 서울을 무혈점령했으나 안현(鞍峴) 싸움에 참패한 뒤 부하에게 죽임을 당함.
1587~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백기(伯奇) - 윤백기(尹伯奇)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효자. 윤길보(尹吉甫)의 아들로, 계모의 온갖 학대를 극복하고 끝까지 효도를 다한 고사가 전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백기(伯機) - 선우추(鮮于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상시 전부(太常寺典簿)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과 서화(書畫)에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草書)에 능하였음.
1246~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백기(伯琦) - 허백기(許伯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명종 때 진위사(陳慰使)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백기(伯紀)@이원강 - 이원강(李元綱)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에 《성문사업도(聖門事業圖)》ㆍ《후덕록(厚德錄)》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기(伯紀) - 이강(李綱)@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금(金) 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한 주전론자(主戰論者)로서 송 나라의 국력을 신장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금 나라 군대를 공격하다가 화친 조약을 어겼다는 죄목으로 파직당함.
1083~114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기(伯起)@윤흥 - 윤흥(尹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해평(海平).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노인을 우대하는 은전(恩典)을 입어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백기(伯起)@양진 - 양진(楊震)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 때의 문신. 아들 양병(楊秉), 손자 양사(楊賜), 증손자 양표(楊彪) 등 4세(世)에 걸쳐 태위(太尉)가 배출된 집안으로 유명함.
54~12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기(伯起)@나흥 - 나흥(羅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학생(學生) 나종손(羅終孫)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유학
-
백기(伯起) - 김양진(金楊震)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역학(易學)ㆍ음양(陰陽) 및 복서(卜筮)에 통달하였으며, 이행(李荇)ㆍ정희량(鄭希良)ㆍ권달수(權達手) 등과 교유가 깊었음.
1467~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길(伯吉)@박경선 - 박경선(朴慶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장령(掌令) 박사공(朴思恭)의 아들. 장령(掌令)을 거쳐 이조 참의(吏曹參議)가 되고 광해군(光海君)의 학업을 지도하는 필선(弼善)을 겸하였음.
155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백길(伯吉) - 이사명(李師命)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대사헌(大司憲) 이민적(李敏迪)의 큰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가담한 공으로 보사공신(保社功臣)에 책록되었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사사됨.
1647~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백길보(伯吉父) - 윤길보(尹吉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태사(太師). 호경(鎬京)에 침입한 험윤(玁狁)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召穆公)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 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백길보(伯吉甫) - 윤길보(尹吉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태사(太師). 호경(鎬京)에 침입한 험윤(玁狁)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召穆公)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 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백눌(伯訥)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백단(伯亶) - 사공실(司空實)
고려 후기의 유학.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동년지기로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백달(伯達) - 범여규(范如圭)
중국 송(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 범염조(范念祖)와 범염덕(范念德)의 아버지로, 비서랑(秘書郞)을 지냈음.
1102~116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담(栢潭) - 구봉령(具鳳齡)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
152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담선생집(栢潭先生集) - 백담집(栢潭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구봉령(具鳳齡)의 시문집. 10권 4책. 목판본. 손주 사위인 이준(李埈)이 편차를 세우고, 1670년(현종 11) 후학 김계광(金啓光)이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있을 때 홍여하(洪汝河)의 서문을 받아 연보(年譜)와 함께 간행함.
167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문헌>서명
-
백담주인(栢潭主人) - 구봉령(具鳳齡)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
152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당(柏堂)@김도 - 김도(金燾)
조선시대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후릉 참봉(厚陵參奉) 김취빈(金就彬)의 아들.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백당(柏堂)@정등만 - 정등만(丁等滿)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유학. 《쌍매당협장집(雙梅堂篋藏集)》에 〈송백당정공등만여경(送柏堂丁公等滿如京)〉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백당(柏堂) - 박준(朴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음률(音律)에 밝아 《악장가사(樂章歌詞)》를 지었다고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백당(栢堂) - 배상지(裵尙志)
고려 후기의 문신. 고려 말에 정국(政局)이 혼란해지자 안동(安東)의 금계(金溪)에 은거하였으며, 조선 초에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1351~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백대(柏臺)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백도(伯度)@두도 - 두도(杜度)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 때의 재상ㆍ서예가. 초서(草書)에 능통하여 장제의 총애를 받았는데, 그 법을 최원(崔瑗)ㆍ최식(崔寔) 부자가 이어받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백도(伯度) - 두헌(竇憲)
중국 후한(後漢) 때의 외척ㆍ문신. 후한 제3대 장제(章帝)의 황후인 두씨의 오빠로, 정치를 전횡하고, 화제(和帝)를 죽이려다 발각된 뒤 자살함.
?~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백도(伯道)@등유 - 등유(鄧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난리를 만나 자식을 버리고 조카를 보존하였으나 끝내 후사를 두지 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도(伯道) - 권홍(權弘)@1360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균(權鈞)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문학에 뛰어났으며, 전서ㆍ예서에 능하여 헌릉(獻陵)ㆍ문묘(文廟)ㆍ기자사(箕子祠)의 비문을 씀.
1360~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백두거악(白頭巨嶽)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백두봉(白頭峰) - 장군봉(將軍峰)
함경도(咸鏡道)에 위치한 백두산(白頭山)의 최고봉(最高峰). 영조(英祖) 때 함경도 절도사(咸鏡道節度使) 윤광신(尹光莘)이 백두산에 올라가 천지(天池)에서 창을 들고 춤을 추었다 하여 이름함.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백두옹(白頭翁) - 합관요(蓋寬饒)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성격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간대부(諫大夫)를 거쳐 사예교위(司隸校尉) 등을 지내다가, 황제의 뜻을 거스르는 상주(上奏)를 하여 자결함.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락고(伯樂顧) - 백락일고(伯樂一顧)
명마(名馬)도 백락(伯樂)을 만나야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말(馬)을 잘 알아보는 백락의 고사에서 유래함. 재능 있는 사람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야 빛을 발한다는 뜻으로, 밝은 임금과 어진 신하가 만난 것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락지고(伯樂之顧) - 백락일고(伯樂一顧)
명마(名馬)도 백락(伯樂)을 만나야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말(馬)을 잘 알아보는 백락의 고사에서 유래함. 재능 있는 사람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야 빛을 발한다는 뜻으로, 밝은 임금과 어진 신하가 만난 것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란(伯鸞) - 노홍(盧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조(宣祖)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노수신(盧守愼)의 아버지로, 활인서 별제(活人署別提)를 지냈음.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백란(伯鸞)@양홍 - 양홍(梁鴻)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 때의 은사. 아내 맹광(孟光)과 함께 패릉산(覇陵山)에 은거하였는데, 장제가 그를 찾자 성명을 바꾸고 오(吳) 나라로 떠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백랑(伯郞) - 맹타(孟他)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영제(靈帝) 때의 환관인 장양(張讓)에게 포도주 1말을 바쳐 양주 자사(涼州刺史)가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량(伯量) - 호영(胡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로부터 학문이 견실하고 굳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저서에 《논어연설(論語衍說)》이 있으나, 세상에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련(白蓮) - 혜원(慧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結社)인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한 뒤 산문(山門)을 나서지 않고 도중(徒衆)과 정토 수행(淨土修行)에 전념하였으며,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
334~41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백련거사(白蓮居士) - 송영구(宋英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으로, 성혼(成渾)의 문인. 광해군 때 《선조실록(宣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으로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파직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백련당(白蓮堂) - 민재문(閔在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낸 민천부(閔天符)의 아들.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