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백련당(白蓮堂)@문익주 - 문익주(文益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효렴(孝廉)으로 이후백(李後白)의 천거를 받아 낭천 현감(狼川縣監)ㆍ태인 현감(泰仁縣監)을 지냈으며, 청렴한 목민관으로 칭송받았음.
1535~160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백련사(白連社) - 백련사(白蓮寺)
통일신라 흥덕왕(興王德) 때 국사(國師) 무염(無染)이 전라도 무주(茂朱) 덕유산 안에 창건한 사찰. 1820년(순조 2)에 혜언(慧彦)이 백련사에서 화엄회(華嚴會)를 개설하고, 1900년(광무 4) 무주 부사(茂朱府使) 이하섭(李夏燮)이 가람을 중수함.
83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무주 , 유적>건물>사찰
-
백련진은(百鍊眞隱) - 이원강(李元綱)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에 《성문사업도(聖門事業圖)》ㆍ《후덕록(厚德錄)》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련채(白蓮菜) - 백련사(白蓮社)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혜원(慧遠)이 여러 승도(僧徒) 및 명유(名儒)들과 함께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신행결사(信行結社). 동림사 안에 백련(白蓮)을 많이 심었었으므로 백련사라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백련화사(白蓮華社) - 백련사(白蓮社)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혜원(慧遠)이 여러 승도(僧徒) 및 명유(名儒)들과 함께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신행결사(信行結社). 동림사 안에 백련(白蓮)을 많이 심었었으므로 백련사라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백령(伯齡) - 윤백령(尹伯齡)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필상(尹弼商)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빙고 별제(氷庫別提)를 지냈으며, 연산군 때 회인(懷仁)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475~150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백령(百齡) - 오백령(吳百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사옹원 직장(司饔院直長)을 지낸 오세현(吳世賢)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 때 폐모론을 반대하여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560~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백령(百齡)@임백령 - 임백령(林百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상(朴祥)의 문인이며, 임억령(林億齡)의 동생.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공으로 정난위사공신(定難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숭선군(崇善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백로(伯魯) - 기효증(奇孝曾)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이끌고 전라도 각지에서 왜군을 물리치고 의주(義州)의 행재소에 나아가 시위(侍衛)한 공으로 형조 정랑에 발탁됨.
1550~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백로(栢老) - 김륵(金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安集使)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로(白老) - 백인걸(白仁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수원(水原).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등을 지내고, 동서분당(東西分黨)의 폐단을 논하며 중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함. 훈구 세력에 맞서 사림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로(白老)@백거이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로(白路)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록(伯麓) - 신응시(辛應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와 교유하고,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음.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백록(白鹿)@백록동서원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여산(廬山) 오로봉(五老峯) 밑에 있었던 서원. 송(宋) 나라 때 건립되고, 주희(朱熹)가 남강군(南康軍)의 지사(知事)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講學)하던 장소임.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록(白鹿)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록(白麓) - 신응시(辛應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와 교유하고,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음.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백록규해(白鹿規解) - 백록동규해(白鹿洞規解)
조선 전기의 학자 박영(朴英)이 중국 송(宋) 나라 주희(朱熹)가 세운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에 대하여 자세하게 풀이한 글.
151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백록동(白鹿洞)@백록동서원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여산(廬山) 오로봉(五老峯) 밑에 있었던 서원. 송(宋) 나라 때 건립되고, 주희(朱熹)가 남강군(南康軍)의 지사(知事)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講學)하던 장소임.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록동규집해(白鹿洞規集解) - 백록동규해(白鹿洞規解)
조선 전기의 학자 박영(朴英)이 중국 송(宋) 나라 주희(朱熹)가 세운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에 대하여 자세하게 풀이한 글.
151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백록동서원(白麓洞書院)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황주
조선 선조(宣祖) 때 황해도 황주(黃州)에 건립한 서원. 1721년(경종 1)에 사액받았고, 주자(朱子)ㆍ김굉필(金宏弼)ㆍ이이(李珥)를 배향함.
158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황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록동서원학규(白鹿洞書院學規) - 백록동규(白鹿洞規)
중국 송(宋) 나라 때 남강군(南康軍)에 있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 주희(朱熹)가 황폐해진 서원을 복구하고 학문을 강론하며 정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기타의례
-
백록동원(白鹿洞院)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여산(廬山) 오로봉(五老峯) 밑에 있었던 서원. 송(宋) 나라 때 건립되고, 주희(朱熹)가 남강군(南康軍)의 지사(知事)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講學)하던 장소임.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록리사(栢麓里祠) - 백록사(栢麓社)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내성(柰城)에 있었던 사당. 이종준(李宗準)ㆍ이홍준(李弘準)ㆍ김성구(金聲久)를 배향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백록서원(白鹿書院)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여산(廬山) 오로봉(五老峯) 밑에 있었던 서원. 송(宋) 나라 때 건립되고, 주희(朱熹)가 남강군(南康軍)의 지사(知事)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講學)하던 장소임.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록원(白鹿院)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여산(廬山) 오로봉(五老峯) 밑에 있었던 서원. 송(宋) 나라 때 건립되고, 주희(朱熹)가 남강군(南康軍)의 지사(知事)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講學)하던 장소임.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론석실소은집(百論石室小隱集) - 석실소은집(石室小隱集)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인 육유지(陸維之)가 지은 책. 3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백륙(百六) - 한식(寒食)
우리나라 사대(四大) 명절의 하나.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의 개자추(介子推)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
사건>풍속
-
백륜(伯倫)@한백륜 - 한백륜(韓伯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의 국구(國舅). 본관은 청주(淸州)로, 안순왕후(安順王后)와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한순(韓恂)의 아버지. 남이(南怡)의 옥사를 처리한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27~14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백륜(伯倫)@최백륜 - 최백륜(崔伯倫)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낸 최해(崔瀣)의 아버지로, 민부 의랑(民部議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백륜(伯倫) - 유령(劉伶)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술을 좋아하여 항상 술을 지니고 다녔으며, 〈주덕송(酒德頌)〉을 지어 술을 예찬함. 세속을 초월한 애주가(愛酒家)의 전형으로 일컬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백륜칠배(伯倫七輩) - 죽림칠현(竹林七賢)
중국 위(魏)ㆍ진(晉)의 교체기에 세상을 등지고 죽림(竹林)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백률당(柏栗堂) - 금보(琴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서화가. 본관은 봉화(奉化)로, 이황(李滉)의 문인. 글씨에 뛰어나 이숙량(李叔樑)ㆍ오수영(吳守盈)과 더불어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렸으며, 퇴계묘비(退溪墓碑)ㆍ도산신판(陶山神版) 등을 씀.
152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ㅣ경상도>예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백륭(伯隆) - 양여창(梁汝昌)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별시위(別侍衛)를 지낸 양덕부(梁德符)의 아들.
1434~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백리맹명시(百里孟明視) - 백리시(百里視)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목공(穆公) 때의 무신. 백리해(百里奚)의 아들.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리해(百里傒) - 백리해(百里奚)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목공(穆公) 때의 대부. 목공을 패주(霸主)의 지위로 이끄는 데 지대한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백린(伯鱗) - 심반(沈攀)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7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백림(伯林) - 이백림(李伯林)
조선 전기의 유학. 1414년(태종 14) 생원시(生員試)에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아버지인 김숙자(金叔滋)와 동년(同年)으로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백마강(白馬江)@사자하 - 사자하(泗泚河)
충청남도 부여(扶餘)를 지나는 백마강의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백마랑(白馬郞) - 장담(張湛)@후한
중국 후한(後漢) 때의 사람. 사람됨이 예를 좋아하여 행동거지에 법도가 있었고, 광무제(光武帝) 때 조정에 들어가 황제가 나태한 모습을 보이면 곧바로 간하였으며, 항상 백마를 타고 다녔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마장군(白馬將軍) - 방덕(龐德)
중국 삼국시대 위(衛) 나라의 장수. 조조(曹操)에게 귀부하여 장수가 되어 싸우다가 관우(關羽)에게 죽임을 당함.
?~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마탄(白馬灘) - 백마강(白馬江)
충청남도 부여(夫餘) 부근을 흐르는 금강(錦江)의 하류(下流). 강의 왼쪽과 부소산(扶蘇山)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는 낙화암(落花巖)ㆍ조룡대(釣龍臺)ㆍ고란사(皐蘭寺) 등 백제(百濟)의 유적이 있음.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백면랑(白面郞) - 백면서생(白面書生)
글만 읽어 얼굴이 창백한 사람이라는 뜻.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武臣)인 심경지(沈慶之)가 문신을 얼굴이 검은 무관(武官)과 대비해서 한 말로, 《송서(宋書)》〈심경지전(沈慶之傳)〉에 전함. 글만 알고 세상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을 말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무(伯武) - 권호신(權虎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인(權寅)의 아들로, 1582년(선조 1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부모의 봉양을 이유로 사양함.
1558~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백미랑(白眉郞) - 마량(馬良)
중국 삼국(三國時代) 촉(蜀) 나라의 장군. 제갈량(諸葛亮)과 친교를 맺었음. 오형제 중에서 재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백미(白眉)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인물.
187~22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미량(白眉良)@마량 - 마량(馬良)
중국 삼국(三國時代) 촉(蜀) 나라의 장군. 제갈량(諸葛亮)과 친교를 맺었음. 오형제 중에서 재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백미(白眉)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인물.
187~22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발옹(白髮翁)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백방(伯方) - 허주(許周)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귀룡(許貴龍)의 아들이며 허조(許稠)의 형.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 등 신진세력의 전제(田制) 개혁에 동조하고, 조선 개국 후에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등을 지냄.
1359~144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백봉(伯逢) - 호대원(胡大原)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인(胡寅)의 아들이며, 호굉(胡宏)의 조카로, 호굉의 학설을 계승하여 주희(朱熹)ㆍ장식(張栻)과 논쟁하였으며, 《백봉문답(伯逢問答)》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부(伯扶) - 이명신(李明晨)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양(李揚)의 아들로, 판홍주목사(判洪州牧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정(善政)을 베풀어 명관(名官)으로 칭송되었고, 《세조실록(世祖實錄)》에 그의 졸기(卒記)가 실려 있음.
1392~145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백부(伯符) - 문광서(文光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성(江城). 문선동(文善仝)의 아들로, 문화 현령(文化縣令)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백부(帛否) - 백비(伯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태재(太宰). 월(越) 나라의 뇌물을 받고 오자서(伍子胥)를 모함하여 죽게 하였으나, 월 나라에 투항한 후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백부(柏府)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백부(白傅)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분당(白賁堂) - 조인수(趙仁壽)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양(豊壤). 분무공신(奮武功臣) 조현명(趙顯命)의 아버지로, 박세채(朴世采)의 문하에서 수학함.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 등을 지냈으나, 인현왕후(仁顯王后) 폐위 이후 두문불출하고 학문에 전념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붕(百朋) - 정백붕(鄭百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정탁(鄭鐸)의 아들이며, 우의정 정순붕(鄭順朋)의 형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사(栢社) - 백록사(栢麓社)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내성(柰城)에 있었던 사당. 이종준(李宗準)ㆍ이홍준(李弘準)ㆍ김성구(金聲久)를 배향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백사(白沙)@윤훤 - 윤훤(尹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넷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정묘호란 때 부체찰사(副體察使)로 적과 싸우다 안주(安州)와 평양(平壤) 일대를 빼앗긴 죄로 체포되어 강화도(江華島)에서 효수됨.
1573~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백사(白沙)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백사(白沙)@진헌장 - 진헌장(陳獻章)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오여필(吳與弼)에게 사사하고, 송대(宋代) 육상산(陸象山)의 학풍을 계승함. 유교경전의 자질구레한 해석에 몰두하는 명대(明代)의 주자학에 반발하고 실천성을 강조함.
1428~150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사(白社) - 백련사(白蓮社)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혜원(慧遠)이 여러 승도(僧徒) 및 명유(名儒)들과 함께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신행결사(信行結社). 동림사 안에 백련(白蓮)을 많이 심었었으므로 백련사라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백사노인(白沙老人)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백사문집(白沙文集) - 백사집(白沙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항복(李恒福)의 시문집. 원집 6권, 별집 6권, 부록 도합 10책.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이현영(李顯英)이 강릉 부사(江陵府使) 이명준(李命俊)과 함께 강릉에서 간행함.
1629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문헌>서명
-
백사북천일록(白沙北遷日錄) - 북천일록(北遷日錄)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인 정충신(鄭忠信)의 저서. 목판본. 1권. 이항복(李恒福)이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廢母)에 반대하여 함경도 북청(北靑)으로 귀양갔을 때의 일기를 기록함. 숙종(肅宗) 때 정내상(鄭來祥)과 이수언(李秀彦)이 간행함.
1686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함흥 , 문헌>서명
-
백사선생집(白沙先生集) - 백사집(白沙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항복(李恒福)의 시문집. 원집 6권, 별집 6권, 부록 도합 10책.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이현영(李顯英)이 강릉 부사(江陵府使) 이명준(李命俊)과 함께 강릉에서 간행함.
1629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문헌>서명
-
백사잡기(白沙雜記) - 백사집(白沙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항복(李恒福)의 시문집. 원집 6권, 별집 6권, 부록 도합 10책.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이현영(李顯英)이 강릉 부사(江陵府使) 이명준(李命俊)과 함께 강릉에서 간행함.
1629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문헌>서명
-
백산(白山)@구신경 - 구신경(具信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세조(世祖)의 조카사위인 구수영(具壽永)의 아들이며, 중종(中宗)의 사위인 능창위(綾昌尉) 구한(具澣)의 아버지. 춘천 부사(春川府事)ㆍ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 등을 지냄.
1494~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백산(白山)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백상(伯常)@최원도 - 최원도(崔元道)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판전의시사(判典醫寺事) 최유진(崔有珍)의 아들. 대사간(大司諫)을 지냈으나, 고려가 기울어가는 것을 보고, 고향 영천(永川)으로 돌아와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백상(伯常) - 심세경(沈世經)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6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백상(伯常)@윤시동 - 윤시동(尹蓍東)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득민(尹得敏)의 아들이며, 유척기(兪拓基)의 사위. 소신이 뚜렷하여 당론(黨論)을 논하다가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내직과 외직을 여러 번 거친 후 우의정 등을 지냄.
1729~17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백생(伯生)@이순인 - 이순인(李純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이이(李珥) 등과 교유하였으며,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림. 광해군(光海君)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백생(伯生) - 우집(虞集)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ㆍ학자. 당시(唐詩)를 연구 계승하여,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게혜사(揭傒斯)와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로,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게혜사와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만권당(萬卷堂)에 초치(招致)되어 이제현(李齊賢) 등과 교류함.
1272~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백서(伯嶼) - 염백서(閻伯嶼)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홍주 목사(洪州牧使)를 지낼 때 등왕각(滕王閣)을 수리한 뒤 연회를 열고 사위인 오자장(吳子長)에게 서문을 짓게 하여 자랑하려다가, 마침 그곳을 지나던 왕발(王勃)이 단숨에 써내려가자 글을 보고 감탄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석(白石)@강기(姜夔) - 강기(姜夔)
중국 송(宋) 나라 시인ㆍ음악가. 북송의 유영(柳永)ㆍ주방언(周邦彦), 남송의 신기질(辛棄疾) 등과 함께 사대사인(四大詞人)이라 일컬어짐.
1155~1221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문인
-
백석(白石) - 강제(姜霽)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의(引儀) 강응청(姜應淸)의 아들로, 영덕 현감(盈德縣監)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냄.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백석옹(白石翁) - 심주(沈周)
중국 명(明) 나라의 화가ㆍ문인. 산수화에 뛰어나 남북의 화풍을 융합한 장중한 구성과 풍운(風韻)이 깃든 필치의 수묵담채화(水墨淡彩畵)를 많이 그림. 문벽(文璧)ㆍ당인(唐寅) 등에게 영향을 미쳐 오파(吳派)의 계통을 이룸.
1427~150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백선(伯善)@김복억 - 김복억(金福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김약묵(金若默)의 맏아들.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 등을 지냄.
15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선(伯善) - 박진원(朴震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56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백선(伯璿) - 사백선(史伯璿)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사서(四書)에 뛰어났고 주희(朱熹)의 뜻을 이어받아 《사서관규(四書管窺)》 및 《외편행세(外篇行世)》를 저술함.
1299~135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설부(白雪賦) - 백설곡(白雪曲)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 송옥(宋玉)이 지은 곡명(曲名). 양춘곡(陽春曲)과 함께 초 나라의 2대 명곡으로, 내용이 너무도 고상하여 창화(唱和)하기 어려운 곡으로 알려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백성(伯聖)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백성(伯誠) - 부백성(傅伯誠)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부백수(傅伯壽)의 아우로, 어릴 때부터 주자(朱子)에게서 배움. 이종(理宗)이 즉위했을 때 현모각 학사(顯謨閣學士)로 삼으려 했으나 나아가지 않음.
1143~122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성(白城) - 직산(稷山)
충청도 천안(天安) 직산면(稷山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충청도>직산 , 지명>행정지명
-
백성군(栢城君) - 이원(李源)@1448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손자이며, 진례군(進禮君) 이형(李衡)의 맏아들로, 효행과 우애가 돈독하였음.
1448~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백성수(栢城守) - 이원(李源)@1448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손자이며, 진례군(進禮君) 이형(李衡)의 맏아들로, 효행과 우애가 돈독하였음.
1448~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백성지(白誠之) - 백승종(白承宗)
조선 전기의 유학.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여 편지를 주고받음. 그 내용이 《죽천집(竹集)》에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백소(伯昭) - 윤경(尹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선철(尹先哲)의 아들로, 1569년(선조 22)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역임함.
154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백소(伯昭)@경감 - 경감(耿弇)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 장보(張步)와 소무(蘇茂)를 평정하고, 3백 개의 성을 도륙(屠戮)함. 건위대장(建威大將)을 지내고, 호치후(好畤侯)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소(白小) - 백어(白魚)
뱅어. 몸의 길이는 10cm 정도이고 가늘며, 반투명한 흰색이고 배에는 작은 흰색 점이 있음.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백어(白魚),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서는 빙어(氷魚)로 표기됨. 죽었을 때 몸 색깔이 하얗게 변한다 하여 한자어로 백어(白魚)라고 하였음.
자연물>동물
-
백손(伯孫) - 유백손(柳伯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난공신(靖難功臣)으로 녹훈된 유수(柳洙)의 아들로, 상주 목사(尙州牧使)ㆍ장흥도호부사(長興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백송(伯松) - 장송(張竦)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단양 태수(丹陽太守)를 지내고, 왕망(王莽)에게 숙덕후(淑德侯)의 봉작을 받았다가 후에 피살됨. 근신하며 법도가 있는 선비였기 때문에 술을 좋아한 친구 진준(陳遵)의 핀잔을 받음.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수(伯修) - 윤극신(尹克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서천 군수(舒川郡守) 윤엽(尹曄)의 아버지로, 1576년(선조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백수(伯修)@만세덕 - 만세덕(萬世德)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양호(楊鎬)를 대신하여 파견된 명 나라 장수.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수(伯受) - 정순우(鄭純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강서 현령(江西縣令)을 지낸 정한룡(鄭漢龍)의 아들.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天安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수(伯壽) - 부백수(傅伯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으로, 주자가 자기를 천거해 주지 않자 불만을 품고 비난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수(伯秀) - 여송걸(余宋傑)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경(易經)》을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수(伯綏) - 권복(權福)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료(權憭)의 아들로,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냈으며, 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ㆍ김안로(金安老) 등과 교유함.
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백수(伯脩)@소천작 - 소천작(蘇天爵)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문인. 이부 상서(吏部尙書)ㆍ강절행성참지정사(江浙行省參知政事) 등을 지냈으나, 홍건적(紅巾賊)을 진압하다가 군중에서 사망함.
1294~1352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백수(伯脩) - 범염조(范念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관료. 범여규(范如圭)의 아들로, 경술(經術)을 연구하고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