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백수(白守) - 백수소(白守素)
중국 송(宋) 태종(太宗)~진종(眞宗) 때의 무신. 개봉(開封) 출신으로 활쏘기에 능하였으며, 수차례에 걸쳐 거란(契丹)의 침입을 막는 데 공을 세움.
?~101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수(白水)@광무제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백수(白水) - 유면지(劉勉之)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헌(胡憲)ㆍ유자휘(劉子翬)와 깊이 교유함. 주희(朱熹)의 아버지 주송(朱松)의 친우로, 주희가 사부(師父)로 섬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수재상(白鬚宰相) - 김륜(金倫)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렬왕ㆍ충혜왕(忠惠王) 등을 시종해 원(元) 나라에 가 외교문제를 해결함.
127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백수진인(白水眞人)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백수하(白遂河) - 백하(白河)
중국 북부, 하북성(河北省)을 흐르는 강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백순(伯循) - 조광(趙匡)
중국 당(唐) 나라의 학자. 담조(啖助)의 문인(門人)으로, 《춘추(春秋)》에 조예가 깊어 《춘추집전찬례(春秋集傳纂例)》를 짓고, 《오경정의(五經正義)》에 이의를 제기했으며, 학풍은 송(宋) 나라 유학(儒學)에 영향을 미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순(伯淳)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순(伯淳)@유백순 - 유백순(柳伯淳)
고려 말~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정숙공(靖肅公) 유방택(柳方澤)의 차남. 경사(經史)에 통달하여 오랫동안 대사성(大司成)을 역임하며 많은 인재를 양성했음.
?~142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백순(伯純)@김극일 - 김극일(金克一)@1522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진(金璡)의 아들이고 김성일(金誠一)의 형.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1522~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백순(伯純) - 이맹전(李孟專)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자 고향인 선산(善山)으로 내려가 평생 두문불출하며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킴.
1392~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백순(伯醇) - 유호(兪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관(兪綰)의 아들로, 단성 현감(丹城縣監) 등을 역임함.
1522~15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백순(伯醇)@김백순 - 김백순(金伯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희천(熙川). 경학에 밝아 정사룡(鄭士龍)ㆍ박세호(朴世豪) 등과 함께 사유(師儒)에 뽑힘.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희천 , 인명>관인>문신
-
백순(伯順) - 남세건(南世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사성(大司成)ㆍ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냄.
1484~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백순(百順)@안정복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순(百順) - 이복로(李福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택(李澤)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1469~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백숭(伯崇) - 범염덕(范念德)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유학자. 주자(朱子)의 문인. 범여규(范如圭)의 아들.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승(伯勝) - 이감(李堪)@이길안의아들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본관은 경주(慶州). 이길안(李吉安)의 아들로, 전주 부윤(全州府尹) 등을 지내고, 이륙(李陸)ㆍ홍귀달(洪貴達)ㆍ성현(成俔)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백승(伯升)@홍익한 - 홍익한(洪翼漢)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이정귀(李廷龜)의 문인이며,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척화론(斥和論)을 폈으나 왕이 화의하자 오달제(吳達濟)ㆍ윤집(尹集)과 함께 심양(瀋陽)으로 잡혀가 죽음을 당함.
1586~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백승(伯升) - 유연(劉縯)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큰 형.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는데 공로가 있었으나, 경시제(更始帝) 유현(劉玄)에게 죽임을 당함.
?~23 중국>신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백승(伯承) - 강종윤(姜宗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동생 강덕윤(姜德胤)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錄勳)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백승(伯昇) - 윤현(尹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담수(尹聃壽)의 아들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냈으며, 서인(西人)의 거두인 윤두수(尹斗壽)ㆍ윤근수(尹根壽)와 함께 ‘삼윤(三尹)’으로 일컬어짐.
1536~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백시(伯始) - 호광(胡廣)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태부(太傅) 등을 지내고, 여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나라의 원로(元老)로서 모든 정무(政務)를 잘 처리하여 ‘중용(中庸)의 재상’으로 일컬어짐.
91~17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시(伯施) - 우세남(虞世南)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 고야왕(顧野王)에게 수학하고, 왕희지(王羲之)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歐陽詢) 등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렸으며, 특히 해서(楷書)에 뛰어남. 태종의 신임을 받아 자주 담론을 나눔.
558~638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시(伯時)@정사중 - 정사중(鄭思中)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아버지이자, 백곡(栢谷) 정곤수(鄭崐壽)의 생부(生父).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내고, 이조 판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백시(伯時) - 이공린(李公麟)@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龍眠山)에 은거함.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
1049~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백신(伯伸) - 권교(權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낸 권적(權勣)의 아버지로, 진주 판관(晋州判官)ㆍ양근 군수(楊根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백실(伯實)@강극성 - 강극성(姜克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좌찬성 강희맹(姜希孟)의 현손(玄孫). 군자감 정(軍資監正)ㆍ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백실(伯實) - 유세화(柳世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유팽성(柳彭成)의 아들로, 김제 군수(金堤郡守)ㆍ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냄. 시부(詩賦)를 잘 지었음.
1504~15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백실(伯實)@이분 - 이분(李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중(李中)의 아버지로, 한성 판관(漢城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백심(伯審) - 요찰(姚察)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수(隋) 나라의 문신ㆍ학자. 관직이 비서감(秘書監)에 이르렀으며, 《한서훈찬(漢書訓纂)》ㆍ《설림(說林)》 등을 저술함.
533~606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심(伯心) - 이기경(李基敬)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익렬(李翊烈)의 아들로, 참판(參判) 등을 지냄. 정조를 배척한 홍지해(洪趾海) 집안과 친밀하다 하여 죄안(罪案)에 올랐다가 아들 이덕감(李德鑑)의 호소로 인해 삭제됨.
17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백심(伯深) - 송해관(宋海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송순(宋純)의 아들로, 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백씨육첩(白氏六帖) - 백씨육첩사류집(白氏六帖事類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백거이(白居易)의 어휘집. 고금(古今)의 문학(文學)에 나타난 어휘를 천지(天地)ㆍ산천(山川)ㆍ인사(人事)ㆍ조수(鳥獸)ㆍ초목(草木)에 이르기까지 1870개 부문으로 분류하여 수록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백아(伯雅) - 이유온(李有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전관(宣傳官)을 지낸 이승원(李承元)의 아들로, 이천 도호부사(利川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백아파금(伯牙破琴) - 백아절현(伯牙絶絃)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음악가인 백아(伯牙)가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정확하게 이해해 주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거문고 줄을 끊어 버리고 다시는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자기를 알아주는 절친한 벗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뜻.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악종(白岳鍾)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백안(伯安) - 왕수인(王守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문신.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 심성론(心性論)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침.
1472~152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안불화(伯顔不花)@기철 - 기철(奇轍)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권신(權臣). 본관은 행주(幸州). 누이동생인 기황후(奇皇后)로 인해 덕성부원군(德城府院君)에 봉해졌으나 반란을 꾀하다가 주살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백안첩목아(伯顔帖木兒) - 공민왕(恭愍王)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
1330~13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백암(栢巖) - 김륵(金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安集使)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암(白巖)@이행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백암(白巖)@김대명 - 김대명(金大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찰방(察訪) 김추(金樞)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의 도소모장(都召募將)이 되어 고성(固城) 의병들과 함께 왜적을 토벌하여 공을 세움.
1536~15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ㅣ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백암(白巖) - 김제(金濟)
고려 후기의 문신.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출사(出仕)하지 않고 충절을 지킨 두문동(杜門洞) 칠십이현(七十二賢) 중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백암(白菴) - 배숙후(裵叔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로, 이조 정랑(吏曹正郎)ㆍ오수 찰방(鰲樹察訪)을 지냄.
?~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백암거사(白巖居士)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백암선생문집(栢巖先生文集) - 백암집(栢巖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륵(金玏)의 시문집. 6권 4책. 가장초본(家藏草本)에 저자의 외손 김휴(金烋) 및 종손 김선(金鍌)이 편차한 연보와 부록을 합쳐 6대손 김위(金㙔)가 목판으로 간행함. 권두에 이상정(李象靖)의 서문이, 권말에 김위의 발문이 있음.
177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백야(伯野) - 손부(孫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휘종(徽宗) 때 소식(蘇軾)과 언론(言論)이 같다는 이유로 기주(蘄州)에 안치되기도 하였으며, 상서우승(尙書右丞)과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등을 역임함.
1078~112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야(白也)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백약(白藥)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백양(伯陽)@이이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양(伯陽)@위백양 - 위백양(魏伯陽)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ㆍ도사. 진단(陳摶)에게 태극도(太極圖)를 전수하고, 《주역(周易)》에 나오는 효상(爻象)의 원리를 그대로 빌려와 신단(神丹)을 만드는 방법과 과정을 논함. 저서로 《참동계(參同契)》ㆍ《오상류(五相類)》가 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백양(伯陽) - 조성(趙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음악이론가ㆍ학자ㆍ의원. 본관은 평양(平壤). 정주 판관(定州判官) 조수함(趙守諴)의 아들이며, 조욱(趙昱)의 형.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았고, 군직(軍職)에 나가 의술을 가르쳤으며 편종ㆍ편경을 이정(釐正)함.
1492~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ㅣ서울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
-
백어(伯魚)@공리 - 공리(孔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아들이며, 공급(孔伋)의 아버지. 송(宋) 나라 때 문묘(文廟)에 종사됨.
B.C.532~B.C.48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어(伯魚) - 이오(李鰲)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공린(李公麟)의 아들로, 1486년(성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어(伯魚)@제오륜 - 제오륜(第五倫)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명신(名臣)으로 언변(言辯)이 뛰어났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언(伯彦)@왕백언 - 왕백언(汪伯彦)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냈으나, 금군(金軍)이 남침했을 때 황잠선(黃潛善)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
1069~11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언(伯彦) - 고응성(高應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봉화 훈도(奉化訓導)를 지낸 고익겸(高益謙)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백언(伯彦)@이세좌 - 이세좌(李世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극감(李克堪)의 아들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金宗直)을 극형에 처하도록 주장함.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尹氏) 폐위에 극간하지 않고 사약을 전하였다는 죄목으로 갑자사화 때 자살의 명을 받음.
1445~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백언(伯言) - 육손(陸遜)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대제(大帝)의 도독(都督)으로서 형주(荊州)를 쳐 빼앗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함. 유비(劉備)를 이릉(夷陵)에서 패퇴시키고, 조휴(曹休)의 군대를 무찌르는 등 많은 전공을 세움.
183~24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여(伯輿)@유헌 - 유헌(柳軒)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유세린(柳世麟)의 아버지.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연산군 때 만언소(萬言疏)를 올리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제주도(濟州道)로 귀양감.
1462~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백여(伯輿) - 요로(饒魯)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으로, 성학(聖學)에 뜻을 두고 치지역행(致知力行)을 근본으로 삼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연(伯涓)@홍백연 - 홍백연(洪伯涓)
조선 전기의 무신. 절도사(節度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부임지로 떠나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1420~?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백연(伯涓)@윤백연 - 윤백연(尹伯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의영고 사(義盈庫使) 한가구(韓可久)의 사위이며, 훈련원 부정(訓鍊院副正) 윤상손(尹祥孫)의 아버지로, 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백연(伯涓) - 홍익생(洪益生)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공조 전서(工曹典書) 홍자경(洪子儆)의 아들.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지내고 좌익원종훈(左翼原從勳)에 책록되었으며, 정주 목사(定州牧使)에 제수되어 서변(西邊) 방어에 큰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백연(伯淵)@최준 - 최준(崔濬)@고려후기
고려 후기의 문신. 원(元) 나라에서 요양행성 참지정사(遼陽行省參知政事) 등을 역임했고, 어사(御史)로서 고려에 사는 부모를 근성(覲省)하러 온 내용의 시가 정포(鄭誧)의 《설곡집(雪谷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백연(伯淵)@양백연 - 양백연(楊伯淵)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흥왕사(興王寺)의 변(變)을 평정한 공으로 추성익위공신(推誠翊衛功臣)에 책록되고, 여러 차례 왜구(倭寇)를 격퇴하였으나, 후에 이인임(李仁任) 등의 미움을 받아 합주(陜州)로 귀양 갔다가 살해됨.
?~137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백연(伯淵)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백열(伯說) - 윤기(尹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윤강원(尹剛元)의 아들. 성균관 유생(儒生)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 공신호(功臣號)의 삭훈(削勳)을 상소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에는 세자를 시종함.
1535~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영(伯榮) - 김부인(金富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ㆍ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낙안 군수(樂安郡守)ㆍ정주 목사(定州牧使)ㆍ경상도 병마절도사(慶尙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관직에서 물러난 뒤 경학(經學)에 힘쓰면서 근본원리를 종합적으로 통찰함을 학문연구의 토대로 삼음.
1512~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백영(伯瑛) - 허백영(許伯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첨정(僉正)을 지낸 허눌(許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백영(伯英)@정백영 - 정백영(鄭伯英)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형인 정백웅(鄭伯熊)과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 수주 판관(秀州判官)을 지냈으나 그만두고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 저서에 《귀우옹집(歸愚翁集)》이 있음.
1130~119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영(伯英)@장지 - 장지(張芝)
중국 후한(後漢)의 서예가. 장초(章草)에 뛰어나 초성(草聖)이라고 일컬어짐. 연못가에서 글씨를 쓰고서는 물로 씻기를 수없이 되풀이하여 마침내 연못의 물이 먹물로 까맣게 변하였다는 일화가 전함.
?~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백영(伯英) - 양지손(梁芝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정수강(丁壽崗)의 《월헌집(月軒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백영(百英) - 김백영(金百英)
조선 후기의 유학. 선조(宣祖) 때의 직장(直長) 김태명(金泰溟)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천일(金千鎰)의 의병(義兵)에 형제인 김천영(金千英)과 함께 참가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백영(百英)@임백영 - 임백영(任百英)
조선 전기의 유학.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이 그를 위해 쓴 만시(挽詩)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백오(百五) - 한식(寒食)
우리나라 사대(四大) 명절의 하나.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의 개자추(介子推)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
사건>풍속
-
백옥(伯玉)@강관(姜琯) - 강관(姜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부사(府使)를 지낸 강응태(姜應台)의 아버지로,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백옥(伯玉) - 김이음(金爾音)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함창(咸昌). 권근(權近)의 《입학도설(入學圖說)》을 진양(晉陽)에서 처음 간행하고, 효행이 뛰어나 정문(旌門)을 하사받음.
?~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옥(伯玉)@문관 - 문관(文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낸 문걸(文傑)의 아들로, 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을 지냈음.
1475~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백옥(伯玉)@성석용 - 성석용(成石瑢)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자 성석린(成石璘)의 아우로, 고려 때 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에 공이 있어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백옥(伯玉)@위관 - 위관(衛瓘)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ㆍ서예가. 여류 서예가 위삭(衛鑠)의 아버지로, 태보(太保) 등을 지내고, 장지(張芝)의 서체를 이어 받음. 혜제(惠帝) 때 혜가황후(惠賈皇后)에게 주살됨.
220~29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무신
-
백옥(伯玉)@김원 - 김원(金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허의(金許義)의 아들이고, 김세헌(金世憲)의 아버지.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백옥(伯玉)@이순인 - 이순인(李純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이이(李珥) 등과 교유하였으며,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림. 광해군(光海君)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백옥(伯玉)@거백옥 - 거원(蘧瑗)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50세가 되도록 항상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면서 언행을 고쳐 나갔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백옥(伯玉)@왕도곤 - 왕도곤(汪道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의오 현령(義烏縣令) 때 척계광(戚繼光)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倭寇)를 격파하고, 병부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李攀龍)ㆍ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
1525~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옥(伯玉)@윤순 - 윤순(尹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계겸(尹繼謙)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백옥(伯玉)@이석형 - 이석형(李石亨)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회림(李懷林)의 아들이며, 김반(金泮)의 문인.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역대병요(歷代兵要)》ㆍ《치평요람(治平要覽)》등을 편찬함.
1415~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백옥(伯玉)@조원 - 조원(趙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조응공(趙應恭)의 아들로, 조응관(趙應寬)에게 출계함.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삼척 부사(三陟府使)ㆍ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냄.
1544~15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옥(伯玉)@조세침 - 조세침(趙世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전력부위(展力副尉) 조지원(趙之瑗)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백옥(白玉) - 이개(李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계주(李季疇)의 아들.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 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백옥동서원(白玉洞書院) - 옥동서원(玉洞書院)@상주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상주(尙州)에 건립한 서원. 처음 이름은 백화서원(白華書院)이었으나, 1789년(정조 13)에 옥동서원(玉洞書院)으로 사액되었고, 황효헌(黃孝獻)ㆍ황희(黃喜) 등을 배향함.
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옥삼(白玉三) - 배현경(裵玄慶)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경주배씨(慶州裵氏)의 시조. 홍유(洪儒)ㆍ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유금필(庾黔弼)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으며,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움.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백옥삼(白玉衫) - 배현경(裵玄慶)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경주배씨(慶州裵氏)의 시조. 홍유(洪儒)ㆍ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유금필(庾黔弼)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으며,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움.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백옥헌(白玉軒) - 이개(李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계주(李季疇)의 아들.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 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백온(伯溫)@신후 - 신후(申煦)
조선 명종(明宗) 때의 효자. 본관은 평산(平山). 예로써 행동하고,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상을 당해서는 정성을 다함. 《율곡전서(栗谷全書)》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528~15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효자
-
백온(伯溫) - 유기(劉基)
중국 원(元)~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주원장(朱元璋)의 모사(謀士)가 되어 중국을 통일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명 건국 후에는 역법(曆法) 제정과 군정체제 건립에 공헌함. 원 나라 말기의 사회 모순을 풍자하는 글을 많이 남김.
1311~1375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온(伯溫)@정향 - 정향(程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정호(程顥)ㆍ정이(程頤)형제의 아버지로 태중대부(太中大夫)를 지냄.
1006~109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온(伯溫)@김진옥 - 김진옥(金鎭玉)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승지(承旨)를 지낸 김만균(金萬均)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음보(蔭補)로 기용된 뒤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대보단(大報壇)을 건의(建議)하여 설치됨.
1659~17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백온(伯溫)@소백온 - 소백온(邵伯溫)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소옹(邵雍)의 아들로, 정이(程頤)에게 수학하고 《역변혹(易辨惑)》ㆍ《견문록(見聞錄)》 등을 저술함. 태평관 제거(太平觀提舉) 등을 지냄.
1057~113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