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가^단(軻^丹)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태자단(太子丹)과 자객(刺客) 형가(荊軻)를 함께 부르는 말. 태자단(太子丹)이 형가(荊軻)를 시켜 시황(始皇)을 암살하려다 실패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가^동(賈^董)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학자인 가의(賈誼)와, 경제(景帝)ㆍ무제(武帝) 때의 문신ㆍ유학자(儒學者)인 동중서(董仲舒)를 함께 부르는 말. 전한의 뛰어난 유학자를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가^목(稼^牧)
고려 후기의 학자인 가정(稼亭) 이곡(李穀)과 그의 아들인 목은(牧隱) 이색(李穡)을 함께 부르는 말. 부자(夫子)가 문장과 학문으로 명성을 떨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사상>술어>관용어
-
가^서(柯^徐)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가한(柯翰)과 서원빙(徐元聘)을 함께 부르는 말. 주자학(朱子學)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가^한(賈^韓)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인 가의(賈誼)와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학자인 한비(韓非)를 함께 부르는 말. 가의의 작품은 한비 등의 영향을 많이 받음.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가공암(架空菴)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의 고산구곡(高山九曲)에 지어진 암자. 1571년(선조 4)에 이이(李珥)가 갈공사(葛公寺)에서 고친 이름. 1699년(숙종 25)에 이희조(李喜朝)에 의해 중창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사찰
-
가규(賈逵)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자. 유흠(劉歆)에게 배웠으며,《좌씨전(左氏傳)》 및 오경(五經)에 해박하고 《경전의고(經傳義詁)》를 저술하는 등 통유(通儒)로 일컬어짐.
30~10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가도(賈島)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시인.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하였음. 벼슬은 장강 주부(長江主簿)에 이르렀고, 시집으로는 《가장강집(賈長江集)》이 있음.
779~84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가등청정(加藤淸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무장(武將). 풍신수길(豊臣秀吉)과 덕천가강(德川家康)을 도와 일본 전국 통일에 기여함. 독실한 불교신자여서 기독교 박해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함.
1562~1611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가락국기(駕洛國記)
고려 문종 때 편찬된 가야(伽倻)에 관한 역사책. 김양감(金良監)이 편찬했다고 추정됨. 가야에 대한 현전(現傳)하는 유일한 문헌사료.
한국>고려전기 , 문헌>서명
-
가례(家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유가(儒家)의 예법 의장(禮法儀章)에 관하여 상술한 책. 8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가례보주(家禮補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한교(韓嶠)가 《가례(家禮)》에 관하여 저술한 책.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가례언해(家禮諺解)
조선 광해군(光海君)때 신식(申湜)이 주희(朱熹)가 지은《가례(家禮)》를 번역한 책. 1632년(인조 10)에 아들 신득연(申得淵)이 간행함.
163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문헌>서명
-
가례원류(家禮源流)
조선 현종(顯宗) 때 유계(兪棨)가《가례(家禮)》에 관한 주석과 사례를 분류 정리한 책. 숙종(肅宗) 때 책의 발간과 관련하여 노론과 소론의 갈등이 심화되는 요인이 되기도 함.
17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용담 , 문헌>서명
-
가례의절(家禮儀節)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구준(丘濬)이 편찬한 책. 주희(朱憙)의 《가례(家禮)》에 대한 해설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가례잡설부주(家禮雜說附注)
중국 송(宋) 나라 학자였던 양복(楊復)이 《가례(家禮)》에 대해 주해를 붙힌 책. 2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가례집고(家禮集考)
조선 영조(英祖) 때 김종후(金鐘厚)가 《가례(家禮)》를 본문으로 삼고, 삼례(三禮:儀禮ㆍ周禮ㆍ禮記)와 경전 및 여러 서적에서 가례와 관계되는 사항을 모아 놓은 책. 1801년(순조 1)에 제자 임육(任焴)이 간행함.
180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가례집람(家禮輯覽)
조선 후기 학자인 김장생(金長生)이 《가례(家禮)》를 증보 해설한 책. 김장생이 생전에 《가례(家禮)》에 관한 여러 사람들의 설을 엮어 놓았던 것을 1685년(숙종 11에 간행한 책으로, 11권 6책이며 목판본이다.
168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가례집설(家禮集說)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풍선(馮善)이 편찬한 책. 5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가례집해(家禮輯解)
조선 후기 학자 유치명(柳致明)이 지은 가례(家禮)에 관한 책. 그의 문집인《정재집(定齋集)》에 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가례통해(家禮通解)
조선 후기의 학자 이천상(李天相)이 저술한 《가례(家禮)》에 관한 해설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가례회성(家禮會成)
중국 명(明) 나라 학자인 위당(魏堂)이 지은 가례(家禮)에 관한 책.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가리이씨(加利李氏)
고려 후기 《제왕운기(帝王韻紀)》의 저자 이승휴(李承休)를 시조로 하여 세워진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집단>성씨
-
가배량(加背梁)
경상남도 거제(巨濟)에 속한 마을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경상우수영(慶尙右水營)이 있었던 요새지.
경상도>거제 , 지명>자연지명
-
가배량진(加背梁鎭)
경상남도 거제(巨濟) 오아포(烏兒浦) 우수영에 있었던 진(鎭) 이름. 수군만호(水軍萬戶) 1명을 둠.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거제 , 유적>시설>성,진,책
-
가복(賈復)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 등우(鄧禹)ㆍ경감(耿弇) 등과 함께 광무제를 보좌하여 후한을 건립하는 데 공훈을 세움. 도호장군(都護將軍)이 되고 교동후(膠東侯)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가비마라(迦毘摩羅)
2세기경 인도 마갈타국(摩竭陀國) 승려. 남인도에서 설법하였으며, 《무아론(無我論)》100게송을 지음. 대승불교를 일으킨 용수(龍樹)의 스승.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가사도(賈似道)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 이종의 비(妃)인 귀비(貴妃)의 아우로, 우승상(右丞相)을 지내고 조정 정사를 농단함. 원병(元兵)에게 대패하여 귀양 가는 도중 정호신(鄭虎臣)에게 살해됨.
1213~12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가산(嘉山)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박천(博川)ㆍ정주(定州)ㆍ태천(泰川)과 접해 있으며, 1811년(순조 11) 이곳에서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남.
평안도>가산 , 지명>행정지명
-
가선대부(嘉善大夫)
조선시대 문산계(文散階)의 종2품 품계(品階). 가정대부(嘉靖大夫)의 아래 등급으로, 1392년(태조 1)에 설치됨. 1865년(고종 2)부터 문무관, 의빈(儀賓)의 품계로도 쓰임.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직
-
가섭(賈涉)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가사도(賈似道)의 아버지로 관직은 경동하북로 진무대사(京東河北路鎭撫大使)에 이름.
1178~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가섭(迦葉)
고대 인도의 승려. 석가(釋迦)의 십대(十大) 제자 중 한 사람. 본래 바라문으로, 석가가 성도(成道)한 지 3년쯤 뒤에 귀의하여 부처의 심인(心印)을 전해 받은 사람.
고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가섭마등(迦葉摩騰)
고대 인도의 승려. 후한(後漢) 때 중국에 불법을 최초로 전하고 불경을 번역하였으며, 낙양(洛陽)에서 죽었음.
중국>후한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가송잡저(歌頌雜著)
고려 후기 일연(一然)의 제자인 보감국사(寶鑑國師) 혼구(混丘)의 저서. 현재 전하지는 않고 이제현(李齊賢)이 지은 혼구의 〈비명〉에 제목만 남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야금(伽倻琴)
우리나라 대표적 고유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우륵(于勒)이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 오동나무 공명통(共鳴筒) 위에 열두 줄의 명주실을 매고 손가락으로 뜯어 연주함.
한국>가야 , 물품>기타용품>악기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가우집(嘉祐集)
중국 송(宋) 나라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소순(蘇洵)의 문집. 16권과 부록 2권으로 구성되었는데, 정치와 역사에 대한 평론이 들어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가은(嘉恩)
경상북도 문경 지역의 옛 이름. 소백산맥의 회유치(回踰峙)를 넘어 보은(報恩)과 이어지는 산간도로가 발달함.
경상도>문경 , 지명>행정지명
-
가은성(可隱城)
충청북도 제천(堤川)과 단양(丹陽) 사이에 있는 가은암산(加隱巖山)에 소재한 산성(山城)으로, 고려 말기에 단양ㆍ청풍(淸風)ㆍ제천 사람들이 왜구를 피해 이곳으로 피난하기도 함.
충청도>제천ㅣ충청도>단양 , 유적>시설>성,진,책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일(可逸)
고려 후기의 승려. 임춘(林椿)이 법명(法名)과 자(字)를 지어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가장강집(賈長江集)
중국 당(唐) 나라 학자 가도(賈島)가 지은 문집. 10권으로 구성되었는데, 시(詩) 379수가 들어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가정(嘉靖)
중국 명(明) 세종(世宗)의 연호. 해당 연한은 1522~1566.
1522~1566 중국>명 , 중국 , 시간>연호
-
가정대부(嘉靖大夫)
조선시대 종2품 문관의 품계(品階). 고려시대 영록대부(榮祿大夫)에 해당. 1522년(중종 17) 가의대부(嘉義大夫)로 개칭.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제자들에게 가혹한 정치를 경계한 말.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가정진강지(嘉定鎭江志)
중국 송(宋) 나라 노헌(盧憲)이 편찬한 지리서. 진(鎭)과 강(江)에 대한 자세한 기록과 풍토ㆍ인구ㆍ구획정리 등이 빠짐없이 기록된, 중국의 현전하는 지리서 중 가장 오래된 책. 소상(蘇庠)에 관한 내용이 들어있음. 22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가정집(稼亭集)
고려 후기 학자 이곡(李穀)의 시문집. 20권 4책. 그 중 〈죽부인전(竹夫人傳)〉은 가전체문학의 발달을 보여주며, 원(元) 나라에서 쓴 저술은 당시 원 나라와의 사회문화적 교류를 보여줌.
136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금산 , 문헌>서명
-
가제의(家祭儀)
중국 당(唐) 나라의 학자인 맹선(孟詵)의 저서. 1권. 각종 제사와 관련된 내용이 수록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가지동(可芝洞)
전라도 나주(羅州)에 속했던 마을 이름.
전라도>나주 , 지명>자연지명
-
가천(伽川)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에 걸쳐 있는 가야산(伽倻山)의 동남쪽에서 발원하여, 성주의 서남쪽을 지나 고령(高靈)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가충(賈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예주 자사(豫州刺史)를 지낸 가규(賈逵)의 아들. 무제(武帝) 때 상서복야(尙書僕射)로 《진율령(晉律令)》을 편찬함. 두 딸이 태자비(太子妃)와 제왕비(齊王妃)가 되었는데, 태자비는 후에 혜가황후(惠賈皇后)가 되어 횡포를 부려 팔왕(八王)의 난을 초래함.
217~2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가평(加平)
경기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한강을 이용한 수로(水路)가 발달하였으며, 조종암(朝宗岩)ㆍ대보단(大報壇)ㆍ현등사(懸燈寺) 등이 유명함.
경기도>가평 , 지명>행정지명
-
가한(柯翰)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가 도(道)를 지키면서 세속의 흐름에 영합하지 않은 점을 칭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각^누(角^婁)
별자리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첫 번째 자리의 각성(角星)과 열여섯 번째 자리의 누성(婁星)을 함께 부르는 말.
자연물>기타자연물
-
각겸(覺謙)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나암 유공(懶庵游公)과 함께 오대산(五臺山)의 수정암(水精菴)을 중수함.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ㆍ정도전(鄭道傳) 등과 시(詩)로써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홍천 , 인명>종교인>승려
-
각굉(覺宏)
고려 말기의 승려. 나옹화상(懶翁和尙) 혜근(惠勤)의 제자로, 스승의 어록인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을 문인들과 함께 찬집하여 간행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각명(覺明)
고대 인도의 승려. 407년 중국 장안(長安)에 들어왔으며,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비파사론(毗婆沙論)〉을 좋아하였으므로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라고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각성(角星)
별자리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로 동쪽에 있는 제1수(宿). 수성(壽星)의 자리.
자연물>천체
-
각연(覺演)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독곡(獨谷) 성석린(成石璘)과 교유하였고, 《독곡집(獨谷集)》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각우(覺牛)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나옹(懶翁)의 대표적인 제자로, 동문인 각웅(覺雄)과 중국에 들어가 구법활동을 함. 그의 저서 《자경문(自警文)》은 승려가 반드시 공부해야 하는 필독서가 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각운(覺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남원 출신으로, 속성은 유(柳). 졸암(拙菴) 연온(衍昷)의 조카ㆍ제자. 《전등록(傳燈錄)》에 심취하여 연구하고, 중간(重刊)함. 공민왕이 그의 도행(道行)을 숭상하여 그림을 그려주고, ‘구곡각운(龜谷覺雲)’이라는 4자의 친필을 하사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종교인>승려
-
각웅(覺雄)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나옹(懶翁) 혜근(惠勤)의 제자. 스승이 입적한 뒤 동문인 야운(野雲) 각우(覺牛)와 함께 중국에서 법을 구하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여러 곳의 스승을 찾아다니며 도를 묻고 깨달음을 얻음. 이색(李穡)이 그의 도를 위하여 〈중영설(仲英說)〉을 지어 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종교인>승려
-
각이(覺怡)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각이사권(書覺怡師卷)〉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각재집(覺齋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하항(河沆)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1813년(순조 13)에 후손 하경현(河景賢)이 정종로(鄭宗魯)의 서문을 받아 진주(晉州)의 대각서원(大覺書院)에서 간행함.
18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각주구검(刻舟求劍)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 사람이 강에 빠뜨린 칼을 뱃전에 표시해 두었다가 나중에 찾으려 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각천(覺天)
고려 후기의 승려. 임춘(林椿)이 각천(覺天)의 시에 차운(次韻)한 시가 《서하집(西河集)》에 남아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각해(覺海)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검교시중(檢校侍中)을 지낸 이진(李瑱)의 둘째 아들이며,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형. 공주 반룡사(盤龍社)에 주석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각훈(覺訓)
고려 후기의 승려. 개경의 화엄대찰인 흥왕사(興王寺)와 영통사(靈通寺)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이인로(李仁老)ㆍ이규보(李奎報) 등과 교유함. 1215년(고종 2)을 전후하여 영통사에 주석(駐錫)하며 왕명으로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을 저술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간문제(簡文帝)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 제2대 왕. 재위 549~551년. 548년 후경(侯景)의 난으로 아버지인 무제(武帝)가 죽자 후경에 의해 즉위함. 중국 역대 제왕 중 뛰어난 문재(文才)를 지님.
503~55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간보(干寶)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인ㆍ학자. 역사(歷史)ㆍ음양(陰陽)ㆍ산수(算數)를 연구하고 역사찬집(歷史撰集)에 종사하였으며 저작랑(著作郞)을 지냄. 저서에 《수신기(搜神記)》 등이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간성(杆城)
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인 청간정(淸磵亭)이 있음.
강원도>간성 , 지명>행정지명
-
간송집(澗松集)
조선 후기 학자인 조임도(趙任道)가 저술한 시문집. 7권 4책. 권두에 이광정(李光庭)의 서문이 실려 있음.
17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문헌>서명
-
간옹집(艮翁集)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헌경(李獻慶)이 저술한 문집. 원집 23권과 부록 1권으로 구성된 총 24권 12책. 권두에 정범조(丁範祖)가 쓴 서문이 실려 있음.
17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문헌>서명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조선 중종(中宗) 20년에 의관 김순몽(金順蒙)ㆍ유영정(劉永貞)ㆍ박세거(朴世擧) 등이 왕명에 의해 온역(瘟疫)의 치료에 필요한 방문(方文)을 모아 엮은 의서(醫書). 1권 1책. 활자본.
1525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간이집(簡易集)
조선 후기 학자인 최립(崔岦)의 문집. 9권 9책. 저자가 임진왜란을 전후로 외교문서를 맡았던 경력을 반영하여 주자(奏咨) 등 사대문자(事大文字)가 문집 앞에 편차된 것이 특징이며, 권수에 1631년(인조 9) 장유(張維)가 쓴 서문이 있음.
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간장(干將)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에서 명검(名劍)을 만들었다는 인물. 그의 부인이 막야(莫耶)임. 자웅 한 쌍의 간장검(干將劍)과 막야검(莫耶劍)을 만듦.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간장검(干將劍)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살던 간장(干將)이 만들었다는 명검(名劍). 막야검(莫耶劍)과 자웅 한 쌍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간재집(簡齋集)
중국 송(宋) 나라 학자인 진여의(陳與義)가 찬술한 서적. 16권으로 구성됨. 간결하되 엄정하고 웅장한 저자의 시풍을 엿볼 수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간재집(艮齋集)
조선 후기 문인 이덕홍(李德弘)의 문집. 원집 8권 속집 5권 총7책으로 구성. 상소(上疏) 2편에서 임진왜란을 당해 전술상의 대책과 거북선의 적극적 이용을 이야기함으로써 전쟁에 대한 대처방식을 보여주고 있음.
175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갈^악(葛^岳)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인 제갈량(諸葛亮)과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학자인 악비(岳飛)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송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갈석산(碣石山)
중국에 있는 산이름. 소재지에 대해서는 하북(河北)ㆍ열하(熱河)ㆍ산동(山東)ㆍ요동(遼東) 등 여러 설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갈수례(葛守禮)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좌도어사(左都御史)를 지내면서 당시 양박(楊博)과 함께 깨끗한 절조와 두터운 신망을 지닌 명신(名臣)으로 알려짐.
?~157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갈인봉(葛仁峰)
평안남도 개천(价川)과 덕천(德川) 사이에 있는 높이 1088미터의 산으로, 묘향산맥(妙香山脈)에 속함.
평안도>덕천ㅣ평안도>개천 , 지명>자연지명
-
갈천(葛川)
경상남도 고성군(固城郡) 대가면(大可面)에 있는 하천 이름. 갈천을 따라 외갈(外葛)ㆍ내갈(內葛)ㆍ종생(宗生) 마을이 자리하고 있음.
경상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갈천서원(葛川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남도 고성(固城)에 세워진 서원. 이암(李嵒)ㆍ어득강(魚得江)ㆍ노필(盧㻫)을 배향함.
17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갈천집(葛川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임훈(林薰)의 문집. 4권 2책으로 구성. 송시열(宋時烈)이 서문을 썼고, 정여창(鄭汝昌)의 사당을 건립한 경위를 적은 사당기(祠堂記)가 있음.
16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갈현(葛玄)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도사. 정은(鄭隱)에게 《구정단경(九鼎丹經)》ㆍ《금액단경(金液丹經)》ㆍ《태청단경(太淸丹經)》등을 전수함.
164~24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갈홍(葛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 정은(鄭隱)에게 선도(仙道)를 배움. 관내후(關內侯)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煉丹)에 전념함. 저서에 《포박자(抱朴子)》ㆍ《신선전(神仙傳)》이 있음.
283~3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감군은(感君恩)
조선 전기 문신ㆍ학자인 상진(尙震)의 문집 《범허정집(泛虛亭集)》권5에 들어있는 가장(歌章). 임금의 은혜를 가사체로 표현한 것으로 국문학과 가사연구에 도움을 줌.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감반(甘盤)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고종이 즉위하기 전 글을 가르친 인연으로, 부열(傅說)과 함께 고종의 치세(治世)를 도움.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감악산(紺岳山)
경기도 파주(坡州)와 양주(楊州) 사이에 있는 산 이름. 예부터 바위 사이로 검은빛과 푸른빛이 동시에 흘러나온다 하여 감색바위라고 함. 이 일대는 광활한 평야지대로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임.
경기도>파주ㅣ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감절(甘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임천(臨川) 사람으로 주자(朱子)의 고제(高弟)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감천궁(甘泉宮)
중국 진(秦) 나라의 시황제(始皇帝)가 B.C.220년에 짓기 시작하여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완성한 궁전. 섬서성(陝西省) 감천산(甘泉山)에 고광궁(高光宮)ㆍ영풍관(迎風館)ㆍ통천대(通川臺) 등을 증축하여 12궁(宮)ㆍ11대(臺) 등으로 이루어졌는데, 양웅(楊雄)의 《감천부(甘泉賦)》에 그 위용이 묘사되어 있음.
B.C.135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감파집(紺坡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최유해(崔有海)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감호(鑑湖)
강원도 고성(高城)에 있는 호수 이름.
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갑고(甲藁)
조선 후기 문신 이돈우(李敦宇)의 시문집. 필사본. 6권 6책으로 구성되었는데 〈금일설(今日說)〉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오늘의 개념을 논한 필자의 철학이 엿보임.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갑산(甲山)
함경도 북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군사요충지로서 1356년(공민왕 5)에 고려 땅으로 수복됨. 산간벽지여서 유배지로 알려져 있음.
함경도>갑산 , 지명>행정지명
-
갑술환국(甲戌換局)
조선 숙종(肅宗) 20년에 당시 집권층인 남인(南人)이 인현왕후(仁顯王后)의 복위를 꾀하던 서인(西人)을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실각한 사건. 이 사건을 계기로 남인은 와해되고 서인이 집권하게 되었으며,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왕비가 된 장씨(張氏)는 다시 희빈(禧嬪)으로 강등됨.
1694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갑인예송(甲寅禮訟)
조선 현종(顯宗) 14년 인선왕후(仁宣王后)에 대한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服喪期間)을 둘러싸고 벌어진 서인(西人)과 남인(南人) 간의 논쟁. 남인의 기년설(朞年說)이 채택되어 서인 정권이 몰락하고 남인 정권이 성립하는 계기가 됨.
1673 한국>조선후기 , 사건>기타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