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백온(伯溫)@황린 - 황린(黃璘)@황순경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 자산 군수(慈山郡守)를 지낸 황순경(黃舜卿)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백옹(栢翁) - 구봉령(具鳳齡)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
152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완(伯完) - 이맹전(李孟全)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거제도(巨濟島)로 귀양 온 이행(李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제 , 인명>문사>유학
-
백요손(伯遼孫) - 설손(偰孫)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시인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사람으로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고려에 귀화하여 경주설씨(慶州偰氏)의 시조가 됨. 고려 대표시인의 한 사람.
?~1360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용(伯庸) - 마조상(馬祖常)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권신 철목질아(鐵木迭兒)를 규탄한 연고로 좌천되어 불우하였으나, 철목질아의 사후에는 예부 상서(禮部商書)와 섬서 행대중승(陝西行臺中丞)을 역임함. 시문에도 능함.
1278~133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우(伯愚) - 김상묵(金尙默)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감(縣監) 김성채(金聖采)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김종수(金鍾秀)와 교유함.
17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우(伯牛)@염경 - 염경(冉耕)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덕행(德行)에 뛰어났으며, 그가 불치병에 걸리자 공자가 와서 위문하고 탄식함.
B.C.55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우(伯牛) - 박경(朴耕)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서예가. 정붕(鄭鵬)ㆍ박영(朴英)의 문인으로 교수청(校讐廳)의 사자생(寫字生)으로 있었는데, 유자광(柳子光)ㆍ박원종(朴元宗) 등 왕의 측근을 제거하려 한다는 밀고로 인해 참형(斬刑)에 처해짐.
?~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백우(伯禹)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백우(伯羽) - 동백우(童伯羽)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스승과 주고받은 문답이 전함. 《효경연의(孝經衍義)》ㆍ《오경훈해(五經訓解)》 등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우(伯雨) - 김춘택(金春澤)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종조부 김만중(金萬重)에게 수학하고, 노론(老論) 집안의 자손으로 상대 당파의 공격을 자주 받음. 시문(詩文)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구운몽(九雲夢)》 등을 한문으로 번역함.
1670~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욱(伯勗)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운(伯雲)@김준손 - 김준손(金駿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일손(金馹孫)의 맏형. 무오사화(戊午士禍) 로 유배되어 있던 호남(湖南)에서 연산군(燕山君)의 난정(亂政)을 규탄하는 천위사(遷位事)를 조야에 전격(傳檄)함.
1454~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백운(伯雲) - 김기손(金驥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중형(仲兄).
1455~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백운(白雲)@소수서원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운(白雲) - 사마승정(司馬承禎)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ㆍ학자. 반사정(潘師正)에게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전수받았으며, 《도덕경(道德經)》의 정본(定本)을 만듦.
647~735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백운(白雲)@허겸 - 허겸(許謙)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김이상(金履祥)의 제자로, 사서(四書) 등을 깊이 연구하여 주소(註疏)를 내었으며, 《모시명물초(毛詩名物鈔)》 등의 저서가 있음.
1270~133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백운(白雲)@이규보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운(白雲)@우탁 - 우탁(禹倬)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학자. 영해 사록(寧海司錄)이 되어 요신(妖神)의 사당(祠堂)을 철폐하고, 충선왕(忠宣王)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
1263~134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운거사(白雲居士)@황한충 - 황한충(黃漢忠)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훈도(訓導)를 지낸 황석(黃錫)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순흥(順興)의 우수동(愚叟洞)에 은거함.
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백운거사(白雲居士)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운노인(白雲老人)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운동주(白雲洞主)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운사(白雲祠)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운산인(白雲山人)@허겸 - 허겸(許謙)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김이상(金履祥)의 제자로, 사서(四書) 등을 깊이 연구하여 주소(註疏)를 내었으며, 《모시명물초(毛詩名物鈔)》 등의 저서가 있음.
1270~133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보진(葆眞)@조욱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보진(葆眞) - 이행(李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폐비윤씨(廢妃尹氏)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중종의 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반대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찬진함.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보진거사(葆眞居士) - 노사신(盧思愼)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자광(柳子光)이 사림파를 제거하는데 반대하다 사옥(史獄)이 진행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427~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보진암(葆眞庵)@조욱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보진암(葆眞庵) - 노사신(盧思愼)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자광(柳子光)이 사림파를 제거하는데 반대하다 사옥(史獄)이 진행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427~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보진암(葆眞菴)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보진암고(葆眞庵藁) - 용문집(龍門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욱(趙昱)의 시문집(詩文集). 6권 3책. 활자본.
177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보진재(葆眞齋)@조욱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보진재(葆眞齋) - 노사신(盧思愼)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자광(柳子光)이 사림파를 제거하는데 반대하다 사옥(史獄)이 진행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427~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보천(普天) - 정보천(鄭普天)
고려시대의 문신. 온양정씨(溫陽鄭氏)의 시조(始祖).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에 오르고, 호부 상서(戶部尙書)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보탑실련(寶塔實憐) -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비(妃). 중국 원(元) 나라의 진왕(晉王) 감마랄(甘麻剌)의 딸. 충선왕이 세자로 원 나라에 있을 때 혼인하였으며, 투기가 심하여 조인규(趙仁規)의 딸 조비(趙妃)를 무고(誣告)한 사건을 일으킴.
?~1315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보탑실련왕(寶塔實憐王) - 충혜왕(忠惠王)
고려 제28대 왕. 재위 1330~1332, 1339~1344. 충숙왕(忠肅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명덕태후(明德太后). 재리(財利)에 밝아 여러 가지 경제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탐음부도(貪淫不道)하여 대신들의 탄핵을 받아 원(元) 나라로 귀양가다가 중도에 죽음
1315~134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보탑실리(寶塔實里) -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정비(正妃). 원(元) 나라의 황족(皇族)인 위왕(魏王)의 딸.
?~1365 한국>고려후기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보탑실리왕(寶塔實里王) - 충혜왕(忠惠王)
고려 제28대 왕. 재위 1330~1332, 1339~1344. 충숙왕(忠肅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명덕태후(明德太后). 재리(財利)에 밝아 여러 가지 경제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탐음부도(貪淫不道)하여 대신들의 탄핵을 받아 원(元) 나라로 귀양가다가 중도에 죽음
1315~134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보한(保閑)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보한(普漢) - 이숭문(李崇文)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원구(李元具)의 아들이며,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아우로, 흥위위 대호군(興威衛大護軍)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보한(輔漢) - 장도릉(張道陵)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도사(道士). 오두미도(五斗米道)로 알려진 최초의 도교(道敎) 교단 천사도(天師道)의 창시자. 천인(天人)이 내리는 도(道)를 받고 사람들의 병을 잘 고쳤으므로, 많은 신자를 얻어 천사(天師)라 불림.
?~15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보한(輔漢)@최보한 - 최보한(崔輔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최윤명(崔潤明)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무리를 제거하는 데 앞장서서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수산군(隨山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보한경(輔漢卿) - 보광(輔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어류(朱子語類)》에 사단(四端)ㆍ칠정(七情)을 나누어 이(理)와 기(氣)에 배속시켜 기록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보한재(保閑齋)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보허(普虛) - 보우(普愚)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선승(禪僧). 본관은 홍주(洪州). 중국 원(元) 나라 청공(淸珙)의 법을 계승하고 임제종(臨濟宗)을 열어 그 시조가 되었으며, 선교일체론(禪敎一體論)을 주장하고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강조함. 공민왕(恭愍王)과 우왕 때 국사(國師)로 봉해짐.
1301~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종교인>승려
-
보현보살(普賢菩薩) - 보현(普賢)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왼쪽의 문수(文殊)와 함께 협시보살(脇侍菩薩)로서 석가의 중생 제도(衆生濟度)를 도움.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보현연명보살(普賢延命菩薩) - 보현(普賢)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왼쪽의 문수(文殊)와 함께 협시보살(脇侍菩薩)로서 석가의 중생 제도(衆生濟度)를 도움.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보형(保衡)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보화(葆和) - 수간(守侃)
조선 중종(中宗) 때의 승려. 고봉(孤峯) 김정(金淨)과 동년생(同年生)으로 금강산 유점사(楡岾寺)에 있을 때 서로 교유하였음.
148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보흠(甫欽) - 이보흠(李甫欽)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玄寶)의 아들로, 지대구군사(知大丘郡事)를 지낼 때 성공적으로 사창법(社倉法)을 실시함. 세조 때 단종복위(端宗復位)를 모의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유배된 뒤 교살(絞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복(復)@김복 - 김복(金復)
조선 전기의 유학. 양사언(楊士彥)의 《봉래시집(蓬萊詩集)》에 차운한 시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복(復)@임복 - 임복(林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1546년(명종 1) 증광 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에 등용되었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삭주(朔州)에 유배되었다가 고향에 은거함.
1521~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복(復)@윤복 - 윤복(尹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명종(明宗) 때 낙안 군수(樂安郡守)가 되어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고,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로 시절 이황(李滉)과 교유함.
1512~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복(復) - 곽복(郭復)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비서승(秘書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복(福)@민복 - 민복(閔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평부원군(驪平府院君) 민효증(閔孝曾)의 손자로,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한 뒤 풍저창 수(豊儲倉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복(福) - 권복(權福)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료(權憭)의 아들로,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냈으며, 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ㆍ김안로(金安老) 등과 교유함.
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복^상(濮^桑) - 상^복(桑^濮)
망국의 음조가 나온 상간(桑間)과 복수(濮水)를 함께 부르는 말. 상간은 복수 근처에 있는 지명이며, 후에 망국(亡國)의 음악이 나온 곳으로 일컬어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복가(鵩賈)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복건(福建) - 복건성(福建省)
중국 남동부 해안을 따라 위치한 성(省)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복건자(福建子) - 여혜경(呂惠卿)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왕안석(王安石)과 더불어 신법(新法)을 추진했으나 왕안석이 실각하자 그를 방해하다가 외방(外方)으로 쫓겨나고, 휘종 때 다시 폄척(貶斥)을 받고 죽음. 태자 중윤(太子中允) 등을 지냄.
1032~111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복견(福堅) - 송복견(宋福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진천(鎭川). 문과에 급제한 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ㆍ만포 첨사(滿浦僉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복겸(福謙) - 정복겸(鄭福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아들로, 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냄.
150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복경(復卿) - 박복경(朴復卿)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울산 군수(蔚山郡守)를 지낼 때 선정을 베풀고 태화루(太和樓)를 중수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복경(復慶) - 김복경(金復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서산 군수(瑞山郡守)를 지낸 김변(金汴)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과 싸우다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복경(福慶) - 서복경(徐福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서거정(徐居正)의 서자(庶子)로 이현보(李賢輔)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유학
-
복고(復古)@금복고 - 금복고(琴復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인(琴軔)의 아들이며,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문인. 유림의 추천으로 강릉 참봉(康陵參奉)에 제수되었고, 임진왜란 때 원종훈(原從勳)으로 호군(護軍)에 오름.
1549~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복고(復古)@대복고 - 대복고(戴復古)
중국 송(宋) 효종(孝宗)~이종(理宗) 때의 시인. 강호파(江湖派)의 대표적 시인으로서 유명하며, 한때 대시인(大詩人) 육유(陸游)에게서 시를 배움.
116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복고(復古)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복고(腹藁) - 이인로(李仁老)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원(慶源).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교유하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등을 지냄.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도 능함.
1152~122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복공(福公) - 진준경(陳俊卿)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재상. 진복(陳宓)의 아버지.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을 거쳐 소사(少師)ㆍ위국공(魏國公)으로 치사함. 치란(治亂)과 안위(安危)에 관해 직언을 잘함.
1113~118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복구(復丘) - 복구(復邱)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13세 국사(國師)로, 도영(道英)에게 공부하고 백암사ㆍ월남사ㆍ송광사 등에서 수행함. 1352년(공민왕 1)에 왕사(王師)가 됨.
1270~135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광산ㅣ경상도>하동 , 인명>종교인>승려
-
복국공(濮國公) - 조종의(趙宗懿)
중국 송(宋) 영종(英宗)의 아들. 복국공(濮國公)으로 봉하여 영종의 생부인 복왕(濮王)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복국대왕(濮國大王) - 조윤양(趙允讓)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의 생부(生父). 영종이 즉위하여 복안의왕(濮安懿王)으로 추숭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복국왕(濮國王) - 조윤양(趙允讓)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의 생부(生父). 영종이 즉위하여 복안의왕(濮安懿王)으로 추숭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복규(復圭) - 윤복규(尹復圭)
고려 후기의 문신. 학정(學正)을 지냈으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에게 화답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복규고제(復圭高弟) - 남궁괄(南宮括)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조카사위.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許與)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복근(福根) - 이복근(李福根)
조선 전기의 종실. 태조(太祖)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방우(李芳雨)의 첫째 아들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복기(復基) - 유복기(兪復基)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기계(杞溪).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임한 유언술(兪彦述)의 아버지로, 1696년(숙종 2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6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복기(福基) - 송복기(宋福基)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야성(冶城). 충순위(忠順衛) 송의(宋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추천으로 소촌도 찰방(召村道察訪)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평생 명사(名士)들과 시주(詩酒)로 교유하며 일생을 마침.
1541~160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양양 , 인명>관인>문신
-
복남(福男)@최복남 - 최복남(崔福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성균진사(成均進士)를 지낸 최언린(崔彥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45~160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복남(福男) - 윤현(尹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함. 행정수완이 탁월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복남(福男)@이복남 - 이복남(李福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우계(羽溪).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냈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명장(明將) 이여송(李如松)ㆍ양원(楊元) 등과 함께 싸우다가 전사함.
?~159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복담(福聃) - 신복담(辛福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첨정(僉正)을 지낸 신희정(辛熙貞)의 아버지로, 연기 현감(燕岐縣監)을 지냄.
?~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복렵시랑(伏獵侍郞) - 소경(蕭炅)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임보(李林甫)의 천거로 호부 시랑(戶部侍郞)이 됨. 무식하여 ‘증상복랍(蒸嘗伏臘)’을 ‘증상복렵(蒸嘗伏獵)’으로 잘못 읽은 일로 인하여 엄정지(嚴挺之)로부터 ‘복렵시랑(伏獵侍郞)’이라는 조롱을 당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복로(服老)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복로(福老) - 이복로(李福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택(李澤)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1469~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복룡(伏龍)@우복룡 - 우복룡(禹伏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용궁 현감(龍宮縣監)으로서 고을을 사수한 뒤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승진하였으며, 홍주 목사(洪州牧使) 시절에 선정을 베풀어 선조의 신임을 얻음.
1547~16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복룡(伏龍)@유복룡 - 유복룡(柳伏龍)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역임한 유희림(柳希霖)의 아버지로,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장수 현감(長水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복룡(伏龍)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복리군(福利君)@징공 - 징공(澄公)
고려 후기의 승려. 백암사(白巖寺) 쌍계루(雙溪樓)를 중수(重修)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종교인>승려
-
복리군(福利君) - 나잔자(懶殘子)
고려 후기의 승려. 《목은시고(牧隱詩稿)》에 복리군(福利君)에 봉해진 나잔자(懶殘子)를 축하하는 내용의 시(詩)가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복린(福麟) - 정복린(鄭福麟)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학 정창(鄭敞)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복명(復命) - 조복명(趙復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제(金堤). 교동(喬桐)ㆍ부안(扶安)ㆍ사천(泗川) 등의 현감(縣監)을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복부(福夫) - 홍경창(洪慶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계강(洪係江)의 아들로, 안동 부사(安東府使)ㆍ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복부(鵩賦) - 복조부(鵩鳥賦)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文人)인 가의(賈誼)가 지은 부(賦) 이름. 가의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되었을 때, 복조(鵩鳥)가 날아들자 불길하게 여겨 스스로 애도한 내용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복비(虙妃) - 복비(宓妃)
고대 전설상의 낙수(洛水)의 여신(女神) 이름. 황하(黃河)의 수신(水神)인 하백(河伯)의 아내라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복비(鶝鴀)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복사괴(卜砂瑰) - 복지겸(卜智謙)
고려의 개국공신(開國功臣). 태봉(泰封)의 마군장군(馬軍將軍)으로 있다가 궁예(弓裔)가 민심을 잃자, 918년에 배현경(裵玄慶)ㆍ신숭겸(申崇謙) 등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움. 면천복씨(沔川卜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충청도>면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