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본말장(本末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본암(本庵) - 김종후(金鍾厚)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김치만(金致萬)의 아들이며, 민우수(閔遇洙)의 문인(門人). 어려서부터 사부(詞賦)에 능하여 문명이 있었으나, 정치적 전변을 거듭하여 비난받음.
1721~178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본연(本然) - 김방경(金方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효인(金孝印)의 아들로,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평정하고 원(元) 나라가 일본을 정벌할 때 참여함.
1212~130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본적(本寂) - 달공(達空)
고려 말의 선승(禪僧). 이색(李穡)이 발문(跋文)을, 권근(權近)이 서(序)를 쓴 선문답(禪問答)에 관한 《법어집(法語集)》을 남겼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본중(本中) - 여본중(呂本中)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 황정견(黃庭堅)과 진사도(陳師道)의 시풍을 계승했으며, 그가 작성한 〈강서시사종파도(江西詩社宗派圖)〉는 강서파(江西派)에 영향을 미쳐 송 나라 시의 새 기원을 열었음.
1084~114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본초(本初) - 원소(袁紹)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헌제(獻帝) 때의 무신. 영제가 죽자 환관들을 일소하려다가 실패한 뒤 동탁(董卓)을 낙양(洛陽)에서 몰아내고 강력한 세력을 구축하였으나, 조조(曹操)와 결전을 벌였다가 대패하고 병사함.
?~20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본초(本草) - 본초강목(本草綱目)
중국 명(明)나라의 학자인 이시진(李時珍)이 지은 약학서(藥學書). 52권. 전편을 부(部)ㆍ강(綱)ㆍ목(目)의 체제로 나누어 총 1,892종의 약재를 망라해 놓음.
159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본향산(本香山) - 광성산(廣城山)
평안도 영원(寧遠)에 있는 산. 묘향산(妙香山)의 조종산(祖宗山)으로, 석룡굴(石龍窟)이 유명함.
평안도>영원 , 지명>자연지명
-
봉(封) - 이봉(李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이자, 이파(李坡)의 아우로, 진위 겸 진향사(陳慰兼進香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441~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봉(崶) - 김봉(金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김륜(金崙)의 동생.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다가 중종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1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봉(熢) - 봉안군(鳳安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여섯번째 아들. 어머니는 귀인정씨(貴人鄭氏).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이천(伊川)으로 귀양갔다가 다음해 사사(賜死)됨.
?~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봉(篈) - 허봉(許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沈義謙) 등 서인(西人)들과 대립하고, 이이(李珥)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됨.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病死)함.
155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봉(逢)@이봉 - 이봉(李逢)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조헌(趙憲)ㆍ정경세(鄭經世) 등과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공적을 세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냈으나 난이 진압된 뒤에는 귀향하여 여생을 보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봉(逢)@윤봉 - 윤봉(尹逢)
고려 전기의 문신. 태조(太祖) 왕건(王建)을 도운 공으로 삼한공신(三韓功臣)에 책록되고, 내사령(內史令)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봉(逢) - 소봉(蘇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세량(蘇世良)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09~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봉(鋒) - 이봉(李鋒)
조선 전기의 종친. 내섬시 정(內贍寺正)을 지낸 신거이(愼居易)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봉(鳳) - 왕봉(王鳳)
중국 전한(前漢)의 외척. 원제(元帝)의 비인 왕황후(王皇后)의 동생이며, 성제(成帝)의 외삼촌으로, 성제 즉위 후 정권을 장악하고 전횡함.
?~B.C.2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봉각(鳳閣) - 상서성(尙書省)
고려시대 삼성(三省)의 하나로, 행정의 실무를 담당한 집행기구. 2품 이상으로 구성된 상서도성(尙書都省)과 3품 이하로 조직된 상서육부(尙書六部)로 구성됨.
995~1275, 1356~136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봉계처사(鳳溪處士)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봉구(鳳九) - 윤봉구(尹鳳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의 문인(門人).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1681~176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봉국군(奉國軍)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봉녕군(奉寧君) - 이복근(李福根)
조선 전기의 종실. 태조(太祖)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방우(李芳雨)의 첫째 아들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봉녕부원군(奉寧府院君) - 이복근(李福根)
조선 전기의 종실. 태조(太祖)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방우(李芳雨)의 첫째 아들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봉덕이(封德彛) - 봉륜(封倫)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원래 수(隋)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당에 귀화함. 태종(太宗)이 치세(治世)의 방법을 묻자 시무(時務)에 입각한 형법설(刑法說)을 주장함.
568~627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봉도(蓬島) - 봉래산(蓬萊山)
중국 전설에 나오는 산 이름. 선인(仙人)이 산다는 삼신산(三神山)의 하나.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봉도정씨(蓬島鄭氏) - 동래정씨(東萊鄭氏)
신라 말 안일 호장(安逸戶長)을 지낸 정회문(鄭繪文)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동래 , 인명>집단>성씨
-
봉두(蓬頭) - 왕휘지(王徽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녔고 대나무 그림에 능했음.
?~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봉람(鳳覽) - 옥동(玉洞)
경상도 진성현(眞城縣)의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이황(李滉)을 배향한 옥동서원(玉洞書院)이 있음.
경상도>진보 , 지명>행정지명
-
봉람서원(鳳覽書院) - 옥동서원(玉洞書院)@진보
조선 선조(宣祖) 때 이황(李滉)의 문인인 이정회(李庭檜)가 경상도 진보(眞寶)에 세운 서원. 이황(李滉)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양(英陽)에 그 터가 있음.
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유적>건물>서원,향교
-
봉래(蓬萊)@봉래산 - 봉래산(蓬萊山)
중국 전설에 나오는 산 이름. 선인(仙人)이 산다는 삼신산(三神山)의 하나.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봉래(蓬萊)@금강산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봉래(蓬萊)@동래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봉래(蓬萊) - 정창연(鄭昌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유길(鄭惟吉)의 아들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14년(광해군 6)에 영창대군(永昌大君)에 대한 상소로 위험에 처한 정온(鄭蘊)을 변호하고, 폐모(廢母) 논의가 일자 두문불출하다가 인조반정 이후 복직함.
1552~163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봉래(蓬萊)@지리산 - 지리산(智異山)
전라도 남원(南原)ㆍ구례(求禮), 경상도 산청(山淸)ㆍ함양(咸陽)ㆍ하동(河東)에 걸쳐 있는 산.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ㅣ경상도>함양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봉래(蓬萊)@양사언 - 양사언(楊士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 회양(淮陽)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 시(詩)ㆍ서(書)에 능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ㆍ김구(金絿)ㆍ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림.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봉래객(蓬萊客) - 양사언(楊士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 회양(淮陽)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 시(詩)ㆍ서(書)에 능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ㆍ김구(金絿)ㆍ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림.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봉래군(逢萊君) - 이형윤(李炯胤)
조선 후기의 무신ㆍ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이후(李垕)의 아버지로, 봉래군(逢萊君)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 등을 지냄.
1593~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봉래산(蓬萊山)@변산 - 변산(邊山)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있는 산 이름.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八景)의 하나로 꼽혀왔으며,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
전라도>부안 , 지명>자연지명
-
봉래산(蓬萊山)@금강산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봉래산수인(蓬萊山水人) - 양사언(楊士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 회양(淮陽)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 시(詩)ㆍ서(書)에 능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ㆍ김구(金絿)ㆍ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림.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봉래선사(蓬萊仙史) - 양사언(楊士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 회양(淮陽)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 시(詩)ㆍ서(書)에 능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ㆍ김구(金絿)ㆍ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림.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봉래천일옹(蓬萊天逸翁) - 양사언(楊士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 회양(淮陽)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 시(詩)ㆍ서(書)에 능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ㆍ김구(金絿)ㆍ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림.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봉령(鳳齡) - 구봉령(具鳳齡)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
152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봉례(奉禮) - 윤통(尹統)
조선 전기의 문신. 유방선(柳方善)의 《태재집(泰齋集)》에 부모를 모시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봉릉부수(鳳陵副守) - 이만년(李萬年)
조선 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인 연산수(連山守) 이사창(李嗣昌)의 넷째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파산(坡山)에서 죽음.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봉림대군(鳳林大君) - 효종(孝宗)@조선
조선 제17대 왕. 재위 1649~1659. 병자호란(丙子胡亂) 직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 대동법(大同法) 시행과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
1619~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봉림수(鳳林守) - 이수인(李守仁)@이옥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옥천군(玉泉君) 이옥(李沃)의 아들로, 봉림수(鳳林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봉림수(鳳林守)@이상윤 - 이상윤(李祥胤)
조선 후기의 종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손자이자, 원성군(原城君) 이탁(李倬)의 첫째 아들. 봉림수(鳳林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봉복군(奉福君) - 신조(神照)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천태종(天台宗) 승려. 공민왕의 총애를 받았고, 요동정벌 때 이성계(李成桂)를 따라 종군하여 회군(回軍)에 기여한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ㅣ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종교인>승려
-
봉사(鳳寺) - 봉정사(鳳停寺)
통일신라시대에 경상도 안동(安東)에 창건한 사찰. 672년(문무왕 12) 의상(義湘) 대사가 창건하여 지금에 이르렀으며, 극락전(極樂殿) 등의 국보와 보물이 전함.
67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찰
-
봉산(蓬山)@봉래산 - 봉래산(蓬萊山)
중국 전설에 나오는 산 이름. 선인(仙人)이 산다는 삼신산(三神山)의 하나.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봉산(蓬山)@이윤보 - 이윤보(李允甫)
고려 후기의 문신ㆍ문인. 이규보(李奎報)ㆍ이인로(李仁老)ㆍ최자(崔滋) 등과 교유하였으며, 학식이 매우 정박(精博)하고 시문은 간결하고 고아(古雅)하며 정교하고 빼어났다는 평을 받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봉산(蓬山)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봉산(蓬山)@금강산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봉산(鳳山)@손조서 - 손조서(孫肇瑞)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 학문과 시문의 대가로 김종직(金宗直)과 친교를 맺고,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을 제자로 두었으며, 사육신(死六臣)의 옥사가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은둔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봉산거사(鳳山居士)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봉산군(鳳山君)@하유종 - 하유종(河有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부사(府使)를 역임하였으며, 정도전(鄭道傳)의 《삼봉집(三峰集)》에 그의 고결한 인품을 매화에 비유하여 읊은 〈매천부(梅川賦)〉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봉산군(鳳山君) - 강군보(姜君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계림 판관(鷄林判官)을 지낸 강창귀(姜昌貴)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함.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봉산군(鳳山君)@이돈 - 이돈(李敦)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정양군(定陽君) 이순(李淳)의 아들로,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역임함.
?~151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봉산부원군(鳳山府院君) - 강창귀(姜昌貴)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음직으로 판도정랑(版圖正郞)에 오르고, 아들 군보(君寶)의 공적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 진원부원군(晉原府院君)에 증직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봉상(鳳祥) - 김봉상(金鳳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청도(淸道). 김현(金俔)의 아들로, 영릉 참봉(英陵參奉)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보련산(寶蓮山)에 은거함.
1496~154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봉서(鳳瑞) - 금봉서(琴鳳瑞)
조선 전기의 문신. 시문에 능하여 퇴계 이황(李滉)의 문집을 교열했으며,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봉서(鳳瑞)@김봉서 - 김봉서(金鳳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김경근(金敬近)의 아들로, 40세에 벼슬하여 내외직을 두루 거친 뒤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냄.
1454~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봉선의(奉先儀) - 봉선잡의(奉先雜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이언적(李彦迪)이 지은 제례서. 목판본. 2권 1책. 《주자가례(朱子家禮)》및 선현들의 글에서 취사를 가려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봉성(峯城)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봉성(鳳城)@구례 - 구례(求禮)
전라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진주(晉州)ㆍ순천(順天)ㆍ남원(南原)과 접하며, 섬진강(蟾津江) 수로의 종착지임.
전라도>구례 , 지명>행정지명
-
봉성(鳳城) - 장안성(長安城)
중국 섬서성(陝西省) 장안(長安)에 있는 성(城) 이름. 지금의 서안시(西安市)에 해당함.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봉성(鳳城)@삼가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봉성(鳳城)@봉성군 - 봉성군(鳳城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여섯 번째 서자. 희빈홍씨(熙嬪洪氏)의 소생. 인종(仁宗) 때 경기 관찰사 김명윤(金明胤)의 무고로, 계림군(桂林君) 이유(李瑠)와 함께 반역을 꾀한다 하여 유배되었다가 명종(明宗) 때 사사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봉성(鳳城)@봉화 - 봉화(奉化)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관이 빼어난 고산준령으로 이루어졌으며, 안동문화권에 속하는 문향(文鄕).
경상도>봉화 , 지명>행정지명
-
봉성(鳳城)@봉산 - 봉산(鳳山)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원래 고구려의 휴암군(携巖郡)인데, 고려 때에는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가 조선 태종(太宗) 때 봉산군(鳳山郡)이 됨.
황해도>봉산 , 지명>행정지명
-
봉성군(蓬城君) - 이항(李恒)@이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로, 봉성군(蓬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봉성군(鳳城君)@이이 - 이이(李𢓡)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봉성금씨(鳳城琴氏) - 봉화금씨(奉化琴氏)
고려 초의 삼한공신(三韓功臣)인 태사(太師) 금용식(琴容式)을 시조로 하는 성씨. 기자(箕子)와 함께 우리나라에 온 금응(琴應)을 원조(遠祖)로 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집단>성씨
-
봉성부수(蓬城副守) - 이항(李恒)@이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로, 봉성군(蓬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봉성위(奉城尉) - 정원준(鄭元俊)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봉화(奉化). 성종의 여섯 번째 딸인 정순옹주(靜順翁主)와 혼인함.
?~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왕실>인척
-
봉성정(蓬城正) - 이항(李恒)@이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로, 봉성군(蓬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봉세(奉世) - 홍봉세(洪奉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림(洪景霖)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성수침(成守琛) 등과 친교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벼슬을 단념하였다가, 선조 때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등을 역임함.
1498~157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봉소(鳳韶) - 소소(簫韶)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음악 이름. 아홉 곡조를 연주하자 봉황새가 날아와 춤을 추었다 함.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봉손(奉孫) - 이봉손(李奉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조 정랑(吏曹正郞) 이효언(李孝彦)의 아버지로, 임피 현령(臨陂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봉수(峯叟) - 이민각(李民覺)@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약빙(李若氷)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봉시(鳳時) - 정봉시(鄭鳳時)
조선 고종(高宗)~근대(近代)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경학원 대제학(經學院大提學) 등을 지냈고, 문장을 잘 하여 《간재집(艮齋集)》ㆍ《동원집(東園集)》 등의 서문을 지음.
1855~?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봉신(逢辰) - 방봉신(方逢辰)
중국 송(宋)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방봉진(方逢振)의 형으로, 《교봉선생문집(蛟峰先生文集)》을 저술함.
1221~12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봉암(蓬庵) - 황보기(皇甫琦)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고종 때 대장군으로 몽고에 사신으로 다녀왔고, 원종(元宗)이 원 나라에서 환국할 때 어가(御駕)를 제때 봉영(奉迎)하지 않았다가 힐책을 당함.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로 치사(致仕)함.
?~128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봉암(鳳巖) - 홍상민(洪相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여하(洪汝河)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봉암(鳳巖)@이경여 - 이경여(李敬輿)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仁祖)를 호종하고, 1642년(인조 20) 배청친명파(背淸親明派)로 청 나라 연호를 쓰지 않았다는 밀고를 받고 심양(瀋陽)에 끌려가 억류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5~16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봉암사우(鳳巖祠宇) - 봉암사(鳳巖祠)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진도(珍島)에 건립한 사당. 노수신(盧守愼)ㆍ이경여(李敬輿)ㆍ정홍익(鄭弘翼)ㆍ남이성(南二星)ㆍ김수항(金壽恒) 등을 배향함.
168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도 , 유적>건물>사당
-
봉암처사(鳳巖處士)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봉양(鳳陽) - 봉산(鳳山)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원래 고구려의 휴암군(携巖郡)인데, 고려 때에는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가 조선 태종(太宗) 때 봉산군(鳳山郡)이 됨.
황해도>봉산 , 지명>행정지명
-
봉오(鳳五) - 윤봉오(尹鳳五)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윤명운(尹明運)의 아들이며, 윤봉구(尹鳳九)의 아우로, 연잉군(延礽君) 시절의 영조를 측근에서 보필하였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88~176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봉옹(峯翁) - 이민각(李民覺)@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약빙(李若氷)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봉원(蓬原)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봉원(逢原) - 이안도(李安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장손(長孫)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이황 문하의 명유(名儒)들과 교유하였으며,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 등을 지냄.
154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봉원(逢源) - 심봉원(沈逢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영의정 심연원(沈連源)과 좌의정 심통원(沈通源)의 동생.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등 청요직을 두루 지내고, 음률(音律)ㆍ의술(醫術)ㆍ서법(書法)에도 통달함.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봉원군(蓬原君)@정창손 - 정창손(鄭昌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로, 《고려사(高麗史)》ㆍ《세종실록(世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02~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봉원군(蓬原君) - 정양생(鄭良生)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사위로, 청주(淸州)에서 《관동와주(關東瓦注)》을 간행함.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39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봉원부원군(蓬原府院君) - 정창손(鄭昌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로, 《고려사(高麗史)》ㆍ《세종실록(世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02~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봉원부원군(蓬原府院君)@정양생 - 정양생(鄭良生)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사위로, 청주(淸州)에서 《관동와주(關東瓦注)》을 간행함.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39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봉원정씨(蓬原鄭氏) - 동래정씨(東萊鄭氏)
신라 말 안일 호장(安逸戶長)을 지낸 정회문(鄭繪文)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동래 , 인명>집단>성씨
-
봉음(峯陰) - 유희량(柳希亮)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이며, 광해군의 처남.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5~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