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봉익(奉翊) - 이봉익(李奉翊)
고려 후기의 유학. 척약재(惕若齋) 김구용(金九容)과 교유하여 김구용이 이봉익에게 준 시가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에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봉익대부(奉翊大夫) - 영록대부(榮祿大夫)
고려 후기 종2품 문관의 품계(品階). 1356년(공민왕 5) 종2품 하계(下階)인 봉익대부(奉翊大夫)를 영록대부(榮祿大夫)로 개칭했다가, 1362년 종2품 상ㆍ하를 합쳐 봉익대부로 고쳤으며, 1369년에는 다시 종2품 상계(上階)를 영록대부로 개칭함.
1356 한국>고려후기 , 법제>관직
-
봉일(峯日) - 신산(信山)
고려 후기의 승려.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와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봉전(奉全) - 신봉전(申奉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를 지낸 신직(申直)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봉조(奉祖)@안봉조 - 안봉조(安奉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안계담(安季耼)의 아들이자 동부 주부(東部主簿) 안세희(安世熙)의 아버지로, 예빈시 참봉(禮賓寺參奉)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봉조(奉祖)@김봉조 - 김봉조(金奉祖)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산음 현감(山陰縣監) 김대현(金大賢)의 아들로,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냈으며, 아우 김영조(金榮祖)와 함께 영남에서 문명을 떨침.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봉조(奉祖) - 성봉조(成奉祖)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이며, 세조(世祖)의 동서(同壻)로, 성종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역임함.
1401~14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봉조(鳳朝) - 윤봉조(尹鳳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명원(尹明遠)의 아들로, 《경종실록(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소차(疏箚)에 뛰어남.
1680~176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봉주(鳳州) - 봉산(鳳山)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원래 고구려의 휴암군(携巖郡)인데, 고려 때에는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가 조선 태종(太宗) 때 봉산군(鳳山郡)이 됨.
황해도>봉산 , 지명>행정지명
-
봉주(鳳洲)@왕세정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봉주(鳳洲) - 박동량(朴東亮)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유훈을 받든 유교칠신(遺敎七臣)의 한 사람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보호함. 중국어에 능통하여 대중외교에도 기여함.
156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봉진(逢振) - 방봉진(方逢振)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방봉신(方逢辰)의 동생으로, 1262년(경정 3)에 진사로 입격하여 태부시 주부(太府寺主簿) 등을 지내다가 송 나라가 망하자 은거하며 석협서원(石峽書院)에서 강학함. 저서로 《산방집(山房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봉촌(鳳村) - 박동열(朴東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이항복(李恒福)과 교유했고,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이를 적극 반대했음. 시문(詩文)에 능하였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 및 국조의 고사에 두루 통하였음.
1564~16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봉추(鳳雛)@환온 - 환온(桓溫)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장군. 명제(明帝)의 딸인 남강공주(南康公主)와 혼인하여 부마도위(駙馬都尉)를 제수받음. 혁(奕)을 황제에서 폐하고 간문제(簡文帝)를 세우는 등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간문제가 죽은 이듬해에 병사함.
312~37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봉추(鳳雛) - 방통(龐統)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모사(謀士). 제갈량(諸葛亮)에 버금가는 지략가로, 유비(劉備)의 를 도와 활약하다가 낙성(洛城) 전투 때 낙봉파(落鳳坡)에서 전사함.
179~21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봉춘(奉春) - 유경(劉敬)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공신. 본명은 누경(婁敬). 고조(高祖)가 천하를 통일한 뒤 낙양(洛陽)에 수도를 정하려 할 때, 관중(關中)으로 갈 것을 주장하여 장안(長安)을 수도로 정하고 유(劉)씨 성을 하사받아 유경(劉敬)이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봉춘(逢春) - 이봉춘(李逢春)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76년(선조 9)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뒤 직강(直講) 등을 지냄.
1542~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봉춘군(奉春君) - 유경(劉敬)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공신. 본명은 누경(婁敬). 고조(高祖)가 천하를 통일한 뒤 낙양(洛陽)에 수도를 정하려 할 때, 관중(關中)으로 갈 것을 주장하여 장안(長安)을 수도로 정하고 유(劉)씨 성을 하사받아 유경(劉敬)이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봉하(鳳下) - 신유(申瀏)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장현광(張顯光)의 문인. 효종(孝宗) 때 나선정벌(羅禪征伐)에 참여해 전공(戰功)을 세우고, 포도대장(捕盜大將)을 지냄.
1619~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무신
-
봉호(蓬壺) - 봉래산(蓬萊山)
중국 전설에 나오는 산 이름. 선인(仙人)이 산다는 삼신산(三神山)의 하나.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봉화군(奉化君)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봉화백(奉化伯)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봉화현충의군(奉化縣忠義君)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봉황대(鳳凰臺)@명암 - 명암(鳴巖)
전라도 남원부(南原府) 대곡리(大谷里)에 있는 바위 이름. 바위가 울면 마을에 경사가 난다고 믿었으며,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집(河西集)》에 이 명암(鳴巖)을 차운한 시가 있음.
전라도>남원 , 지명>자연지명
-
봉흔(奉昕) - 봉흔(奉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평안도 병마우후(平安道兵馬虞候)ㆍ충청 수사(忠淸水使)ㆍ전라 수사(全羅水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부(俯) - 공부(孔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소격전 제조(昭格殿提調)로서 중국에 가서 도교 의식을 배워오고, 검교 한성부 윤(檢校漢城府尹) 등을 지냈으나, 천추사(千秋使)로 중국에 갔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죽음.
?~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부(傅)@원부 - 원부(元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충(元忠)의 할아버지. 충렬왕 때 유경(柳璥)ㆍ김구(金坵) 등과 함께 《고종실록(高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함. 《고금록(古今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오름.
1219~128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부(傅) - 경순왕(敬順王)
신라 제56대 왕. 재위 927~935. 927년 후백제 견훤(甄萱)에 의해 옹립되었으며, 935년 고려 태조(太祖)에게 항복함. 낙랑공주(樂浪公主)를 아내로 맞고 정승공(政承公)에 봉해졌으며, 경주(慶州)의 사심관(事審官)에 임명됨으로써 고려시대 사심관제도의 시초가 됨.
?~97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부(富) - 김부(金富)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취려(金就礪)의 아버지. 1186년(명종 16) 예부 시랑(禮部侍郞)을 겸함으로써 무신으로서 문한(文翰)을 관장하는 유관직(儒官職)까지 겸한 최초의 인물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무신
-
부(富)@나부 - 나부(羅富)
고려 전기의 무신. 중국에서 귀화하여 나주나씨(羅州羅氏)의 시조가 됨. 감문위 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무신
-
부(暊) - 순회세자(順懷世子)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외아들.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소생으로, 7살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3살의 나이로 요절함.
1551~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부(溥)@최부 - 최부(崔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진사(進士) 최택(崔澤)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죽임을 당함. 저서에 《금남표해록(錦南漂海錄)》이 있음.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부(溥)@홍부 - 홍부(洪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홍신(洪愼)의 아들로, 사재감 정(司宰監正)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부(溥)@손부 - 손부(孫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손순효(孫舜孝)의 아들이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손주(孫澍)의 아우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부(溥)@노부 - 노부(盧溥)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선교랑(宣敎郞) 노형필(盧亨弼)의 아들로, 1660년(현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이문헌(李文獻)의 딸과 혼인함.
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부(溥)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부(溥)@신부 - 신부(申溥)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의 아들. 영산(靈山)과 고령(高靈)의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부(溥)@한부 - 한부(韓溥)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부(符) - 정부(鄭符)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고려 말에 교주도 안렴사(交州道按廉使)를 지내고, 1408년(태종 8) 고부청시사(告訃請諡使)의 부사(副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한성부 윤(漢城府尹) 등을 지냄.
?~141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부(郛) - 곽부(郭郛)
고려 후기의 문신. 곽원진(郭元振)의 손자. 본관은 현풍(玄風). 추충익대공신(推忠翊戴功臣)으로, 벼슬이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부(釜) - 윤부(尹釜)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함.
151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부(阜) - 이부(李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금(李嶔)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사림파(士林派)로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벼슬을 떠나 있어 화를 면함.
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부^동(釜^東) - 부^래(釜^萊)
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부산(釜山)과 동래(東萊)를 함께 부르는 말.
경상도>동래 , 지명>기타지명
-
부^한(富^韓) - 한^부(韓^富)
중국 송(宋) 나라의 명재상인 한기(韓琦)와 부필(富弼)을 함께 부르는 말.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부건(不騫) - 진암수(陳巖壽)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삼척(三陟). 어려서부터 무예에 능하여 일찍이 무과에 급제한 후 성종의 총애를 받아 선전관(宣傳官)을 지내고, 내자 판관(內資判官)ㆍ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냄.
1457~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부건(苻健) - 고조(高祖)@남북조(전진)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의 제1대 황제. 재위 351~355.
317~35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부견(符堅) - 세조(世祖)@남북조(전진)
중국 남북조시대 전진(前秦)의 제3대 황제. 재위 357~385. 태학(太學)을 정비하고 학문을 장려하며 전연(前燕)과 전량(前凉)을 멸하고 강북(江北) 지방을 통일하였으나, 동진(東晉) 공략 때 비수(淝水) 전투에서 대패하고, 후진(後秦)의 요장(姚萇)에게 살해됨.
338~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부견(苻堅) - 세조(世祖)@남북조(전진)
중국 남북조시대 전진(前秦)의 제3대 황제. 재위 357~385. 태학(太學)을 정비하고 학문을 장려하며 전연(前燕)과 전량(前凉)을 멸하고 강북(江北) 지방을 통일하였으나, 동진(東晉) 공략 때 비수(淝水) 전투에서 대패하고, 후진(後秦)의 요장(姚萇)에게 살해됨.
338~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부광(溥光) - 이부광(李溥光)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가 주방(酒坊)에 쓴 그의 글씨를 보고 추천하여 세조(世祖) 때 소문관 태학사(昭文館太學士)에 봉해짐. 한때 궁성(宮城) 전각의 편액(扁額)에 그의 작품이 많았다고 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예술인>서화가
-
부국(富國) - 구부국(丘富國)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에게서 수학하고 단양 첨판(端陽僉判)을 지냈으나, 나라가 망하자 벼슬하지 않고 《주역집해(周易輯解)》ㆍ《경세보유(經世補遺)》를 저술함.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부군산(府君山) - 공동산(崆峒山)
중국 감숙성(甘肅省) 평량(平凉)에 있는 산 이름. 도교(道敎) 발상지의 하나. 황제(黃帝)가 이곳의 신선인 광성자(廣成子)를 찾아가 도를 물었다는 말이 전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부궁(夫躬) - 식부궁(息夫躬)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제후 유운(劉雲)을 무고(誣告)하여 자살하게 만들고, 애제에게 거짓 진언을 하다가 왕가(王嘉)에 의해 저지 당함.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부귀화(富貴花)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부기(涪記) - 부계기문(涪溪記聞)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김시양(金時讓)의 수필록. 1권 1책. 부계(涪溪)는 종성(鍾城)의 다른 명칭으로, 저자가 함경도 종성에 귀양갔을 때 견문을 기록함.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종성 , 문헌>서명
-
부도징(浮圖澄) - 불도징(佛圖澄)
중국 남북조시대 후조(後趙)의 고조(高祖) 때 활동한 서역(西域)의 승려. 한인(漢人)의 출가를 허락하도록 하였고, 북방 민족을 불교문화로 교화하는 등 중국 초기 불교 발전에 공헌함.
232~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부득(夫得) - 노힐부득(弩肹夫得)
통일신라 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월장(月藏)의 아들. 달달박박(怛怛朴朴)과 함께 백월산(白月山)에서 수도하다 미륵불(彌勒佛)이 되었다는 기록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있음.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창원 , 인명>종교인>승려
-
부량(傅良) - 진부량(陳傅良)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백웅(鄭伯熊)의 문인으로, 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냄. 설계선(薛季宣)ㆍ섭적(葉適) 등과 함께 영가학파(永嘉學派)의 대표적 인물로 실용과 경제를 주장함.
1137~12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부려(浮盧)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부령(扶寧) - 부안(扶安)
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16년(태종 16)에 부령(扶寧)과 보안(保安)이 합해짐.
전라도>부안 , 지명>행정지명
-
부령공(富寧公) - 우예손(禹禮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부령 부사(富寧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외손인 이제신(李濟臣)이 지은 지문(誌文)이 《청강집(淸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부령군(扶寧君) - 김작신(金作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고종(高宗)ㆍ원종(元宗) 때의 문장가인 지포(止浦) 김구(金坵)의 조부로, 우복야(右僕射)ㆍ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부령김씨(扶寧金氏) - 부안김씨(扶安金氏)
전라도 부안(扶安)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 통일신라의 마지막 임금 경순왕(敬順王)의 첫째 아들인 마의태자(麻衣太子) 김일(金鎰)을 시조로 하고, 김일의 5세손인 김경수(金景修)를 일세조로 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부안 , 인명>집단>성씨
-
부령부원군(扶寧府院君) - 김춘(金春)@고려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부령부원군(扶寧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부로(富老) - 부필(富弼)
중국 송(宋) 나라의 정치가.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벼슬길에 올랐으며, 요(遼) 나라와의 국경 문제를 원만히 해결한 후 재상이 되었으나,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 실행에 반대하다가 축출됨.
1004~108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부륜(富倫) - 김부륜(金富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이발(李潑)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 만년에 설월당(雪月堂)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1531~15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부릉(涪陵) - 부주(涪州)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지명. 송(宋) 나라 때 정이(程頤)와 황정견(黃庭堅)이 이곳에 유배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부릉거사(涪陵居士) - 초정(譙定)
중국 송(宋) 나라 흠종(欽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에게 《역(易)》을 배워 호헌(胡憲)ㆍ유면지(劉勉之) 등을 가르치고, 《초자역전(譙子易傳)》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부릉선생(涪陵先生) - 초정(譙定)
중국 송(宋) 나라 흠종(欽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에게 《역(易)》을 배워 호헌(胡憲)ㆍ유면지(劉勉之) 등을 가르치고, 《초자역전(譙子易傳)》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부릉처사(涪陵處士) - 초정(譙定)
중국 송(宋) 나라 흠종(欽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에게 《역(易)》을 배워 호헌(胡憲)ㆍ유면지(劉勉之) 등을 가르치고, 《초자역전(譙子易傳)》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부리촌(富利村) - 불이촌(不二村)
전라도 금산(錦山)에 있던 마을 이름. 길재(吉再)의 영정과 위패를 봉안한 청풍사(淸風祠)가 있음. 지금은 충청남도 금산군(錦山郡)에 속함.
전라도>금산 , 지명>자연지명
-
부림(傅霖) - 함부림(咸傅霖)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검교 중추원학사(檢校中樞院學士) 함승경(咸承慶)의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360~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부림(富林) - 과천(果川)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부림(缶林) - 이건(李建)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부림군(富林君) - 이식(李湜)
조선 전기의 종친ㆍ시인.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셋째 아들로, 시(詩)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김.
1458~14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종친
-
부림도정(富林都正) - 이식(李湜)
조선 전기의 종친ㆍ시인.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셋째 아들로, 시(詩)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김.
1458~14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종친
-
부림부수(缶林副守) - 이건(李建)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부림부정(富林副正) - 이옥곤(李玉崑)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고손(高孫)으로,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의 아들이며 진천군(晉川君) 이옥정(李玉貞)의 동생. 1550년(명종 5)에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으로 형과 함께 국문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부림수(缶林守) - 이표(李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손자이며,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부림홍씨(缶林洪氏) - 부계홍씨(缶溪洪氏)
고려시대 직장동정(直長同正)을 지낸 홍좌(洪佐)를 시조로 하는 성씨. 시중(侍中)을 지낸 홍난(洪鸞)의 후손이라 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흥 , 인명>집단>성씨
-
부무(副武) - 탁순창(卓順昌)
조선 선조(宣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맏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수직(壽職)으로 훈련대장(訓鍊大將)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부민후(富民侯) - 공방(孔方)
고려 후기의 문인인 임춘(林椿)이 지은 가전체(假傳體) 소설 《공방전(孔方傳)》의 주인공. 엽전을 의인화한 인물로, 중국 한(漢) 나라 때 천(泉)의 아들로 태어나 홍려경(鴻臚卿) 등을 지냈으나, 재물만 중하게 여기다가 탄핵을 받아 쫓겨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부백성(傅伯成) - 부백성(傅伯誠)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부백수(傅伯壽)의 아우로, 어릴 때부터 주자(朱子)에게서 배움. 이종(理宗)이 즉위했을 때 현모각 학사(顯謨閣學士)로 삼으려 했으나 나아가지 않음.
1143~122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부복인(賦鵩人)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부부고(覆瓿稿)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인 허균(許筠)의 시문집. 필사본. 8권 1책. 저자가 가장 불우했던 시기에 쓴 시와 산문들을 모아 엮은 것으로, 시부(詩部)ㆍ부부(賦部)ㆍ문부(文部)ㆍ설부(說部) 등 4부로 구성됨.
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열 , 문헌>서명
-
부사(桴槎) - 성여신(成汝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일찍부터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저서에 《부사집(浮査集)》이 있음.
1546~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부사(浮査) - 성여신(成汝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일찍부터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저서에 《부사집(浮査集)》이 있음.
1546~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부사(浮槎) - 낙안(樂安)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順天市) 낙안면(樂安面)ㆍ외서면(外西面)과 보성군(寶城郡) 벌교읍(筏橋邑) 일대에 해당함.
전라도>낙안 , 지명>행정지명
-
부사(父師)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부사선생문집(浮査先生文集) - 부사집(浮査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인 성여신(成汝信)의 문집. 목판본. 현손(玄孫)인 성처회(成處會)가 유문(遺文)을 수습하였고, 1785년(정조 9)에 성동익(成東益)과 성사렴(成師濂)이 간행함.
17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부사야로(浮査野老) - 성여신(成汝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일찍부터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저서에 《부사집(浮査集)》이 있음.
1546~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부산(富山) - 부산(釜山)
경상남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가마솥 모양의 산인 부산(釜山)에서 지명이 유래됨. 지금은 부산광역시에 속하며, 우리나라 최대의 무역항.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부산(浮山) - 나부산(羅浮山)
중국 광동성(廣東省) 혜주(惠州)에 있는 산 이름. 중국 10대 명산(名山)의 하나로 도교(道敎)의 명산으로 일컬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부산(釜山)@김지 - 김지(金漬)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치화(金致和)의 아들로, 1456년(세조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임천 군수(林川郡守)을 지냄. 시를 잘 짓고 음율(音律)에도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부상(富相) - 부필(富弼)
중국 송(宋) 나라의 정치가.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벼슬길에 올랐으며, 요(遼) 나라와의 국경 문제를 원만히 해결한 후 재상이 되었으나,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 실행에 반대하다가 축출됨.
1004~108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부상(扶桑)@일본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부상(榑桑) - 부상(扶桑)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나무 또는 지명. 동쪽 바다 속 해가 뜨는 곳에 있는 신목(神木)으로, 전(轉)하여 해가 뜨는 곳을 지칭함. 일본(日本)을 가리키기도 함.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부상국(富相國) - 부필(富弼)
중국 송(宋) 나라의 정치가.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벼슬길에 올랐으며, 요(遼) 나라와의 국경 문제를 원만히 해결한 후 재상이 되었으나,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 실행에 반대하다가 축출됨.
1004~108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부상국(扶桑國)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부생(苻生) - 여왕(厲王)@남북조(전진)
중국 남북조시대 전진(前秦)의 제2대 황제. 재위 355~356. 성격이 포악하여 아우 부견(苻堅)에 의해 폐위된 후 살해당함.
335~35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부선(孚先) - 이기준(李耆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첫째 아들. 1580년(선조 1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 등을 지냄.
1555~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