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북빈성(北濱城)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북산(北山)@진호 - 진호(陳澔)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 남강군(南康郡) 도창(都昌) 사람으로, 진대유(陳大猷)의 아들. 송(宋) 나라가 망한 뒤 은거하여 벼슬을 하지 않고 고향에서 유생을 가르침.
1261~1341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북산(北山)@하기 - 하기(何基)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門人)으로, 주희(朱熹)의 학문을 전수받았으며, 왕백(王柏)ㆍ김이상(金履祥)ㆍ허겸(許謙) 등과 함께 ‘금화사선생(金華四先生)’으로 일컬어짐.
1188~126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북산(北山) - 종산(鍾山)
중국 강소성(江蘇省) 강녕현(江寧縣) 동북쪽에 있는 산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북산(北山)@진문울 - 진문울(陳文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고풍스럽고 우아한 절조로 나라와 향리에서 모두 우러러보았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북산(北山)@진공석 - 진공석(陳孔碩)
중국 송(宋)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관직으로 비각 수찬(秘閣修撰)을 지냄. 주희(朱熹)와 함께 경학(經學)을 강마(講磨)했으며 《용학강록(庸學講錄)》 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북산(北山) - 이발(李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중호(李仲虎)의 아들. 동인(東人)의 거두로서 정철(鄭澈)의 처벌문제에 강경파를 이끌어 북인(北人)의 수령이 되었으며,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44~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북산공(北山公) - 우공(愚公)
중국 고대 전설상의 인물. 나이 90에 자기가 살던 북산(北山)을 가로막고 있는 태항산(太行山)과 왕옥산(王屋山)을 옮기기로 맹세하고 흙을 퍼 나르자 천제(天帝)가 감동하여 두 산을 옮겨 주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북산문(北山文) - 북산이문(北山移文)
중국 남제(南齊)의 문인 공치규(孔稚珪)가 약속을 저버리고 벼슬길에 나선 벗 주옹(周顒)의 변절(變節)을 기롱하여 지은 글. 변려문(騈儷文)의 대표적 작품 중 하나.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북산우공(北山愚公) - 우공(愚公)
중국 고대 전설상의 인물. 나이 90에 자기가 살던 북산(北山)을 가로막고 있는 태항산(太行山)과 왕옥산(王屋山)을 옮기기로 맹세하고 흙을 퍼 나르자 천제(天帝)가 감동하여 두 산을 옮겨 주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북성(北省) - 상서성(尙書省)
고려시대 삼성(三省)의 하나로, 행정의 실무를 담당한 집행기구. 2품 이상으로 구성된 상서도성(尙書都省)과 3품 이하로 조직된 상서육부(尙書六部)로 구성됨.
995~1275, 1356~136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북성(北星) - 북극성(北極星)
천구상의 북극 가까이에서 빛나는, 작은곰자리의 가장 밝은 별.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아 방위나 위도의 지침이 됨. 예로부터 사계(四季)를 바로잡고 기후변화를 주관하는 신으로 섬겨졌으며, 때로는 천자(天子)를 가리키기도 함.
자연물>천체
-
북신(北辰) - 북극성(北極星)
천구상의 북극 가까이에서 빛나는, 작은곰자리의 가장 밝은 별.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아 방위나 위도의 지침이 됨. 예로부터 사계(四季)를 바로잡고 기후변화를 주관하는 신으로 섬겨졌으며, 때로는 천자(天子)를 가리키기도 함.
자연물>천체
-
북악(北岳)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북애(北厓) - 김기(金圻)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했으며,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산장(山長)으로 《퇴계집(退溪集)》을 간행함.
1547~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북애(北崖) - 우제(禹磾)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우천계(禹天啓)의 아들. 홍건적(紅巾賊)의 침입과 김용(金鏞)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 등과 함께 최유(崔濡)를 격퇴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북애(北崖)@이증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북애시고(北崖詩稿) - 북애집(北崖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증(李增)의 문집. 1권. 1659년(효종 10)에 간행했으며, 정두경(鄭斗卿)이 발문을 씀.
165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북애집(北厓集) - 북애문집(北厓文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기(金圻)의 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788년(정조 12) 김섭(金燮)에 의해 편집ㆍ간행됨.
178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북원(北元)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북원경(北原京)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북원소경(北原小京)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북일(北逸) - 김익(金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 김양준(金良俊)의 아들로, 김양보(金良輔)에게 출계(出系)함.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북저(北渚) - 김류(金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으로, 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였고, 이귀(李貴) 등과 함께 인조반정(仁祖反正)을 주도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시문(詩文)과 서법(書法)에 뛰어남.
1571~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북저선생집(北渚先生集) - 북저집(北渚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류(金鎏)의 문집. 9권 3책. 1658년(효종 9)에 김진표(金震標)가 편집ㆍ간행함.
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문헌>서명
-
북정(北汀) - 홍처량(洪處亮)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낸 홍명현(洪命顯)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내고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함.
1607~168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무안군(撫安君) - 무안대군(撫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세자 이방석(李芳碩)과 함께 피살당함.
138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무안군(武安君) - 소진(蘇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경대부. 낙양(洛陽) 출신으로 귀곡자(鬼谷子) 왕허(王詡)의 문하생이며, 각국에 진(秦) 나라에 대항하는 합종론(合縱論)을 유세하여 육국(六國)의 재상이 됨.
?~B.C.3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무안군(武安郡) - 백기(白起)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秦) 나라의 명장. 한(韓)ㆍ월(越) 연합군을 격파하는 등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으며, 조(趙) 나라 조괄(趙括)의 군사를 대파하고 항졸(降卒) 40여만 명을 생매장함.
?~B.C.25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무안왕(武安王) - 관우(關羽)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무장. 후한(後漢) 말에 유비(劉備)ㆍ장비(張飛)와 함께 의형제를 맺고, 208년 적벽전(赤壁戰) 때 수군(水軍)을 통솔하여 큰 공을 세움.
?~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무안후(武安侯) - 조상(曹爽)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 명제(明帝)~제왕(齊王) 때의 문신. 하후현(夏侯玄)의 외사촌 형으로, 시중(侍中) 등을 지냄. 명제의 유자(幼子) 제왕(齊王) 방(芳)을 애써 보호하다가, 사마의(司馬懿)에게 복주됨.
?~24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안후(武安候) - 전분(田蚡)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외척. 효경제(孝景帝)의 황후(皇后) 전씨(田氏)의 동생으로 무제 때 승상(丞相)에까지 올랐는데, 자신이 황제의 외숙임을 믿고 권력을 남용하여 온갖 불의를 자행함.
?~B.C.13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무암(霧巖) - 운사(雲師)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문집《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를 읊은 시가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무양(巫陽) - 무산(巫山)@중국
중국 사천성(四川省)과 호북성(湖北省) 경계에 위치한 산 이름. 태양신 염제(炎帝)의 딸인 요희(瑤姬)가 죽어 무산에서 운우(雲雨)의 신이 되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무양(武襄)@양홍 - 양홍(楊洪)@명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대종(代宗) 때의 무신. 활쏘기와 말타기를 잘하고, 성조를 따라 북정(北征)에 참가하였으며, 선부총병(宣府摠兵) 등을 역임함.
1381~145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양(武襄) - 적청(狄靑)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무신. 서하(西夏) 변경을 수호한 공으로 인종의 총애를 받아 송군(宋軍) 전체를 이끄는 추밀사(樞密使)에 오름.
1008~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무양(武襄)@남치근 - 남치근(南致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구(南俅)의 아들로, 여러 차례 호남에 출몰하는 왜구(倭寇)를 토벌하였고, 경기ㆍ황해ㆍ평안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 시절에 황해도 재령(載寧)에서 암약하던 임꺽정을 잡아 효수(梟首)함.
?~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무양(舞陽) - 번쾌(樊噲)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무신. 항우(項羽)가 초청한 홍문(鴻門)의 연회에서 유방(劉邦)을 구출하였으며, 한 나라가 천하를 통일한 후에 좌승상에 이르고 무양후(舞陽侯)가 됨.
?~B.C.18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무양후(舞陽侯) - 번쾌(樊噲)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무신. 항우(項羽)가 초청한 홍문(鴻門)의 연회에서 유방(劉邦)을 구출하였으며, 한 나라가 천하를 통일한 후에 좌승상에 이르고 무양후(舞陽侯)가 됨.
?~B.C.18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무언수(無言叟) - 복구(復邱)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13세 국사(國師)로, 도영(道英)에게 공부하고 백암사ㆍ월남사ㆍ송광사 등에서 수행함. 1352년(공민왕 1)에 왕사(王師)가 됨.
1270~135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광산ㅣ경상도>하동 , 인명>종교인>승려
-
무언승(無言僧) - 계수(戒水)
조선 전기의 승려. 임운(林芸)의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증별산승계수(贈別山僧戒水)〉라는 칠언절구(七言絶句)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무업(茂業) - 김언겸(金彦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병절교위(秉節校尉) 김인손(金仁孫)의 아들. 아들 김현성(金玄成)까지 2대에 걸쳐 대과에 급제함. 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무열(武烈)@문탁 - 문탁(文倬)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문다성(文多省)의 아들로, 문하시랑 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ㆍ태사(太師)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무열(武烈) - 박원종(朴元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令議政) 등을 지냄.
1467~15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무열(武烈)@태종무열왕 -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신라 제29대 왕. 재위 654~661. 신라 최초의 진골(眞骨) 출신 왕으로, 당(唐) 나라와 연합하여 백제(百濟)를 멸망시킴으로써 삼국통일(三國統一)의 기틀을 마련함.
604~661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무열(武烈) - 배현경(裵玄慶)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경주배씨(慶州裵氏)의 시조. 홍유(洪儒)ㆍ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유금필(庾黔弼)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으며,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움.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무열왕(武烈王) -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신라 제29대 왕. 재위 654~661. 신라 최초의 진골(眞骨) 출신 왕으로, 당(唐) 나라와 연합하여 백제(百濟)를 멸망시킴으로써 삼국통일(三國統一)의 기틀을 마련함.
604~661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무열황제(武烈皇帝) - 손견(孫堅)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무장(武將). 손책(孫策)ㆍ손권(孫權: 오(吳) 대제(大帝))의 아버지. 지방의 호족(豪族) 출신으로, 황건(黃巾)의 난(亂)과 동탁(董卓)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유표(劉表)와의 전투에서 황조(黃祖)에게 사살됨.
156~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무염(無鹽) - 종리춘(鍾離春)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선왕(宣王)의 부인. 어진 덕의 소유자였으나 단지 모습이 추했다는 이유로 황제(黃帝)의 왕비였던 모모(嫫母)와 더불어 세인들의 비난과 조롱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무오사화(戊午士禍) - 무오사화(戊午史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4년에 사초(史草)에 실린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498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무오옥(戊午獄) - 무오사화(戊午史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4년에 사초(史草)에 실린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498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무오옥사(戊午獄事) - 무오사화(戊午史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4년에 사초(史草)에 실린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498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무오지변(戊午之變) - 무오사화(戊午史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4년에 사초(史草)에 실린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498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무오지옥(戊午之獄) - 무오사화(戊午史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4년에 사초(史草)에 실린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498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무오지화(戊午之禍) - 무오사화(戊午史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4년에 사초(史草)에 실린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498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무오화(戊午禍) - 무오사화(戊午史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4년에 사초(史草)에 실린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498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무옥(茂沃) - 김개(金漑)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김이상(金履祥)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평(持平)을 지냄.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화답시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무왕(武王)@측천무후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무왕(武王) - 문무왕(文武王)
신라 제30대 왕. 재위 661~681.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과 문명왕후(文明王后)의 맏아들. 나당(羅唐) 연합군을 결성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통일의 대업을 완수함.
?~681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무외국사(無畏國師) - 무외(無畏)
고려 후기 천태종(天台宗)의 승려. 1302년(충렬왕 28) 묘련사(妙蓮社)의 제3세 법주(法主)가 되고, 1313년(충선왕 5) 국통(國統)으로 책봉됨. 원혜 경의(圓慧景宜)ㆍ순암 의선(順菴義璇)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 .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무외국통(無畏國統) - 무외(無畏)
고려 후기 천태종(天台宗)의 승려. 1302년(충렬왕 28) 묘련사(妙蓮社)의 제3세 법주(法主)가 되고, 1313년(충선왕 5) 국통(國統)으로 책봉됨. 원혜 경의(圓慧景宜)ㆍ순암 의선(順菴義璇)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 .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무우선생(無憂先生)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무원(婺源)@송무원 - 송무원(宋婺源)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증손이며, 통덕랑(通德郞) 송회석(宋晦錫)의 아들. 숙종이 황단(皇壇)에 친사(親祀)할 때 최석정(崔錫鼎)의 수상(首相) 임명을 반대하여 유배됨. 왕명으로 《송자대전(宋子大全)》의 간행을 주관함.
1677~17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무원제(武元帝) - 양충(楊忠)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와 북주(北周)의 장군. 12대장군(十二大將軍)의 한 사람이며, 수(隋) 나라 문제(文帝)의 아버지로, 무원황제(武元皇帝)로 추존됨.
507~56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무원황제(武元皇帝) - 양충(楊忠)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와 북주(北周)의 장군. 12대장군(十二大將軍)의 한 사람이며, 수(隋) 나라 문제(文帝)의 아버지로, 무원황제(武元皇帝)로 추존됨.
507~56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무위당(無違堂) - 박대립(朴大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돈녕부 정(敦寧府正) 박세영(朴世榮)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수십 년 묵은 송사(訟事)를 판서(判書)에게 항변하여 종결지어 명성을 얻음.
1512~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무위자(無爲子)@강희맹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위자(無爲子) - 양걸(楊傑)
중국 송(宋)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고려 의천(義天)이 송 나라에 갔을 때 주객원외랑(主客員外郞)의 신분으로 의천 일행을 관반(館伴)하여 강남 일원까지 수종(隨從)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의(武毅)@유극량 - 유극량(劉克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연안 유씨(延安劉氏)의 시조. 노비 신분이었으나 홍섬(洪暹)의 배려로 면천(免賤)하고 무과(武科)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방어사(防禦使) 신할(申硈)의 부장(副將)이 되어 임진강(臨津江)을 방어하다가 전사함.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
-
무의(武毅) - 문지원(文智遠)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양간공(讓簡公) 문인걸(文仁傑)의 아들로, 서북면 대장군(西北面大將軍行)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무의(武毅)@박의장 - 박의장(朴毅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무안(務安). 박세렴(朴世廉)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으로 경사(經史)에 밝음. 임진왜란 때 많은 공적을 세웠으며 경상수사(慶尙水使)에 이름. 정충사(貞忠祠)ㆍ구봉정사(九峯精舍)에 제향됨.
1555~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무신
-
무의(茂漪) - 위삭(衛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여류 서예가. 여음 태수(汝陰太守) 이구(李矩)의 아내로, 종요(鐘繇)에게 사사하고 예서(隸書)와 정서(正書)에 뛰어났으며, 왕희지(王羲之)에게 서법을 가르침.
272~3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무의자(無依子)@계전 - 계전(戒全)
조선 전기의 승려.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제무의자계전권(題無依子戒全卷)〉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무의자(無依子) - 혜심(惠諶)
고려 희종(熙宗)~고종(高宗) 때의 고승(高僧). 지눌(知訥)의 제자로, 대선사(大禪師)에 올라 수선사(修禪寺)ㆍ단속사(斷俗寺) 주지를 겸임하였으며, 고려 선종(禪宗)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
1178~123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종교인>승려
-
무이(武夷)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무이가(武夷歌) - 무이도가(武夷櫂歌)
중국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 주희(朱熹)가 복건성(福建省)의 명산인 무이산(武夷山) 아홉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詩). 10수(首).
1184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 - 무이도가(武夷櫂歌)
중국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 주희(朱熹)가 복건성(福建省)의 명산인 무이산(武夷山) 아홉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詩). 10수(首).
1184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무이구곡시(武夷九曲詩) - 무이도가(武夷櫂歌)
중국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 주희(朱熹)가 복건성(福建省)의 명산인 무이산(武夷山) 아홉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詩). 10수(首).
1184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무이산주(武夷山主)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무이선생(武夷先生) - 호안국(胡安國)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이(程頤)를 사숙하고 정문(程門)의 학문을 규명하여 무이학파(武夷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춘추(春秋)》를 20년 동안 연구하여 《춘추호씨전(春秋胡氏傳)》을 저술함.
1074~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이채씨(武夷蔡氏) - 채침(蔡沈)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주희(朱熹)의 제자로, 구봉(九峯)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였으며, 아버지와 스승의 뜻을 받들어 《서경집전(書經集傳)》을 완성함.
1167~123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무이호씨(武夷胡氏) - 호안국(胡安國)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이(程頤)를 사숙하고 정문(程門)의 학문을 규명하여 무이학파(武夷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춘추(春秋)》를 20년 동안 연구하여 《춘추호씨전(春秋胡氏傳)》을 저술함.
1074~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인정변(武人政變) - 무신정변(武臣政變)
고려 의종(毅宗)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
117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ㅣ경기도>개성 , 사건>역모
-
무일(無逸)@채무일 - 채무일(蔡無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인천(仁川).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채윤권(蔡胤權)의 아들.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을 지내고, 그림뿐만 아니라 경사(經史)ㆍ주역(周易)ㆍ음률(音律)ㆍ의학(醫學)ㆍ복서(卜筮)에도 정통함.
1496~15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무일(無逸) - 사일(謝逸)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인. 사매(謝邁)의 종형(從兄)으로,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한 사람. 여희철(呂希哲)에게 수학하였고, 박학(博學)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나 황정견(黃庭堅)으로부터 칭탄을 받았으며, 많은 저술을 남김.
?~111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무자(武子)@왕제 - 왕제(王濟)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부마(駙馬). 왕혼(王渾)의 아들로,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고 용력(勇力)이 뛰어났으며, 상산공주(尙山公主)와 혼인하여 극도의 호사를 누림.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무자(武子) - 영유(甯兪)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 성공(成公) 때의 대부. 나라에 도(道)가 있을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 나라가 무도할 때는 어리석게 행동하여 공자(孔子)의 칭송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무자(武子)@차윤 - 차윤(車胤)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문신.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냄. 반딧불을 잡아 사낭(紗囊)에 담고 그 빛으로 독서했다는 '낭형(囊螢)'의 고사(故事)가 전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작(無作) - 혼수(混脩)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대선사인 계송(繼松)에게 가서 출가하고, 선교(禪敎)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 경관(慶觀)ㆍ담원(湛圓)ㆍ소안(紹安)ㆍ만우(萬雨) 등의 제자를 배출함.
1320~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ㅣ충청도>충주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무잠(茂潛) - 유원강(留元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사원 편수관(國史院編修官)ㆍ실록원 검토관(實錄院檢討官)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운록집(雲麓集)》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장(武壯) - 신호(申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견내량(見乃梁)ㆍ안골포(安骨浦) 등의 해전에서 공을 세워 통정대부가 되었고,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전사함.
1539~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관인>무신
-
무쟁거사(無諍居士) - 육수성(陸樹聲)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에 《장수일초(長水日鈔)》ㆍ《육문정공집(陸文定公集)》ㆍ《다요기(茶寮記)》등이 있음.
1509~160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적(無敵) - 채무적(蔡無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채윤권(蔡胤權)의 아들로, 무주 현감(茂朱縣監)을 지냄.
1500~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무절(武節) - 신유정(辛有定)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 1386년(우왕 12) 남해에서 왜구를 격퇴시키고, 이성계(李成桂)의 휘하에서 무공을 세움. 조선 건국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으며, 평안도 도안무사(平安道都安撫使) 등을 지냄.
134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무정(武丁) - 고종(高宗)@은
중국 은(殷) 나라의 제23대 왕. 부열(傅說)과 감반(甘盤)을 등용하여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은 나라 최대 번영기를 누림.
B.C.1254~?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효무제 - 효무제(孝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9대 황제. 재위 372~396. 간문제(簡文帝)의 셋째 아들로 안제(安帝)와 공제(恭帝)의 아버지. 재임 중에 수세(收稅)를 개혁하고 왕권의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 탐주(貪酒)로 인한 실언으로 후궁에게 살해당함.
361~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 - 도무제(道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초대 황제. 재위 386~409. 중국적 국가 체제를 채용하고 한인(漢人) 명사를 임용하는 등 북위(北魏)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나, 아들 탁발소(拓跋紹)에게 살해됨.
371~4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무종 - 무종(武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840~846. 목종(穆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동생. 도교(道敎)를 신봉해 불교ㆍ경교(景敎)ㆍ마니교(摩尼敎) 등을 탄압함.
814~84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조(武朝)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무조(武瞾)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