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무조무후(武瞾武后)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무주(武州)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무주(無住) - 홍호(洪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덕록(洪德祿)의 아들.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냄. 문신이면서도 용병에 관한 지식이 많아 국책에 반영시키려고 노력함.
1586~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무주(無住)@무염 - 무염(無染)
통일신라 헌덕왕(憲德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승려. 중국에 유학하여 마곡 보철(麻谷寶徹)에게 남종선(南宗禪)을 인가받고, 847년(문성왕 7) 귀국하여 공주(公州) 성주사(聖住寺)에 머물며 성주산문(聖住山門)을 열고 교화함.
801~888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무주처사(婺州處士) - 하기(何基)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門人)으로, 주희(朱熹)의 학문을 전수받았으며, 왕백(王柏)ㆍ김이상(金履祥)ㆍ허겸(許謙) 등과 함께 ‘금화사선생(金華四先生)’으로 일컬어짐.
1188~126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무준(無準)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무중(武仲)@허유 - 허유(許由)
중국 하(夏) 나라의 은자. 청렴하고 덕이 높아 요(堯) 임금이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箕山)에 숨었으며, 또 그를 불러 구주(九州)의 장(長)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潁水)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고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무중(武仲)@이환 - 이환(李桓)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이성신(李省身)의 아들로, 이치신(李致身)에게 출계(出系)함.
1629~16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무중(武仲) - 유계(兪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기계(杞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여 예학과 사학에 정통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짐.
1607~166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중(茂仲) - 이수함(李秀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으로, 이달(李達)의 아버지.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서관 교리(校書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무진(武珍)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무진(無盡) - 권반(權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찬성(贊成) 권제(權踶)의 아들. 1453년(단종 1) 형 권람(權攬)과 함께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좌익공신(左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개성 부윤(開城府尹) 등을 지냄.
1419~14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무진(茂珍)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무진(茂秦) - 사진(謝榛)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인. 시가(詩歌)에 능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ㆍ서중행(徐中行)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495~157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무진김씨(武珍金氏) - 광산김씨(光山金氏)
신라 신무왕(神武王)의 셋째 아들 김흥광(金興光)을 시조로 하는 성씨. 고려 때 8명의 평장사(平章事), 조선 때 7명의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하는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무진백(武珍伯) - 탁영(卓英)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종성(卓宗成)의 아들로, 고종 때 사마시(司馬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무진악(武珍岳) - 무등산(無等山)
전라남도 담양(潭陽)ㆍ화순(和順)과 광주(光州) 사이에 있는 산 이름. 백제 때는 무진악(武珍岳), 신라 때는 무악(武岳), 고려 때는 서석산(瑞石山)으로 불림.
전라도>화순ㅣ전라도>담양ㅣ전라도>광산 , 지명>자연지명
-
무진주(武珍州)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무진주(茂珍州)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무질(無疾) - 민무질(閔無疾)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봉해졌으나, 형 민무구(閔無咎)와 연루된 옥사로 공신녹권(功臣錄券)이 환수되고 유배감.
?~141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무착(無着) - 원오(圜悟)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임제종(臨濟宗)의 승려. 종고(宗杲)에게 법을 전수함. 저서에 《벽암록(碧巖錄)》이 있음.
1063~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무첨(無忝) - 손효조(孫孝祖)
조선 전기의 유학.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김용석(金用石) 등과 함께 주희(朱熹)의 고사에 의거하여 향약(鄕約)을 만들고 《소학(小學)》을 강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무춘(茂春) - 나무춘(羅茂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출소(廢黜疏)를 올린 이위경(李偉卿)을 탄핵하다 관직을 삭탈당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무택(無擇) - 채무택(蔡無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김안로(金安老)에게 빌붙어 많은 사람을 무고하고 신하들을 이간시켜 김안로ㆍ허항(許沆)과 함께 ‘정유삼흉(丁酉三兇)’으로 불렸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모의하다가 유배되어 사사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무평성(武平城) - 무성(武城)
중국 화주(華州) 정현(鄭縣) 동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유(子游)가 예악(禮樂)으로 이 고을을 다스렸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무풍군(茂豊君) - 이총(李摠)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이며, 남효온(南孝溫)의 사위.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무풍부정(茂豊副正) - 이총(李摠)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이며, 남효온(南孝溫)의 사위.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무풍정(茂豊正) - 이총(李摠)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이며, 남효온(南孝溫)의 사위.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무하옹(無何翁) - 박인로(朴仁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ㆍ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무공을 세우고 수문장(守門將) 등을 지냄. 가사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정철(鄭澈)ㆍ윤선도(尹善道)와 함께 조선의 3대 시가인(詩歌人)으로 불림.
1561~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무하옹(無何翁)@이원손 - 이원손(李元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수에 참여하였으며, 대간(臺諫)으로서 윤원형(尹元衡)을 탄핵하여 외직으로 밀려났다가 뒤에 참의(參議)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무학(無學) - 자초(自超)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고승. 소지선사(小止禪師)의 제자로 구족계를 받고, 혜명국사(慧明國師)에게서 불법을 배움. 나옹(懶翁) 혜근(惠勤)의 수제자로 조선 개국 후 왕사(王師)가 됨.
1327~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무항(霧巷) - 원호(元昊)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세조가 집권하자 원주(原州)에 은거하였으며 단종(端宗)이 죽자 삼년상을 치른 후 칩거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무향(婺鄕) - 무원(婺源)
중국 안휘성(安徽省)에 속하는 고을 이름.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는 신안군(新安郡)에 속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무형자(無形子)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무혜비(武惠妃) - 정순황후(貞順皇后)
중국 당(唐) 현종(玄宗)의 왕비. 현종(玄宗)의 제18왕자 수왕(壽王) 이모(李瑁)의 어머니.
?~73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무홍(茂弘)@왕도 - 왕도(王導)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재상(宰相). 원제(元帝)의 총애로 정승에 오르고, 명제(明帝)와 성제(成帝)를 보좌하여 동진의 기초를 다짐.
276~3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홍(茂弘) - 양산해(梁山海)
조선 후기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아들로,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 학행(學行)으로 호조 참판(戶曺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화(茂和) - 김극개(金克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참의(參議)를 지낸 김헌윤(金憲胤)의 아버지. 형조 참판(刑曹參判)으로 있을 때 작서사건(灼鼠事件)에 연루되어 탄핵을 받고 관직이 삭탈됨.
14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무화(茂和)@황잠선 - 황잠선(黃潛善)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호부 시랑(戶部侍郞)ㆍ우상(右相) 등을 지냈으나, 금군(金軍)이 남침했을 때 왕백언(汪伯彦)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
?~11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환(武桓) - 문정(文挺)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서북면 대장군(西北面大將軍行) 문지원(文智遠)의 아들로, 대도독(大都督)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무환(無患) - 박대립(朴大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돈녕부 정(敦寧府正) 박세영(朴世榮)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수십 년 묵은 송사(訟事)를 판서(判書)에게 항변하여 종결지어 명성을 얻음.
1512~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무황(武皇)@현종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황(武皇)@무종(원) - 무종(武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307~1311. 해도(海都)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阿難荅)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
1281~131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황(武皇)@무종(명) - 무종(武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505~1521. 홍치제(弘治帝)의 맏아들로, 학문을 좋아했지만 즉위한 후 유희에 빠져서 방탕한 생활로 국력을 낭비함.
1491~1521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황(武皇)@무종(당) - 무종(武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840~846. 목종(穆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동생. 도교(道敎)를 신봉해 불교ㆍ경교(景敎)ㆍ마니교(摩尼敎) 등을 탄압함.
814~84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황(武皇)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황제(武皇帝)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무회(無悔) - 노극신(盧克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형 노수신(盧守愼)이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진도(珍島)에 유배되었을 때 그도 금고처분(禁錮處分)을 당했으나 명종 말에 풀려나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을 지냄.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무회보(無悔甫) - 노극신(盧克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형 노수신(盧守愼)이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진도(珍島)에 유배되었을 때 그도 금고처분(禁錮處分)을 당했으나 명종 말에 풀려나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을 지냄.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무효(茂孝) - 양경지(楊敬之)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검교 공부상서(檢校工部尙書) 등을 지내고, 두 아들 양융(楊戎)ㆍ양대(楊戴)와 함께 문명(文名)을 떨침. 일찍이 〈화산부(華山賦)〉를 지어 한유(韓愈)ㆍ이덕유(李德裕) 등으로부터 칭탄을 받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후(武侯)@장화 - 장화(張華)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ㆍ문신. 무제(武帝) 때 오(吳) 나라 토벌에 공을 세워 무후(武侯)에 봉해짐. 천상(天象)을 잘 보는 뇌환(雷煥)을 천거하여 용천검(龍泉劍)ㆍ태아검(太阿劍)을 찾아냈으며, 장재(張載)ㆍ장협(張協)과 함께 삼장(三張)으로 문명을 날림.
232~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후(武侯)@왕맹 - 왕맹(王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의 승상(丞相). 화산(華山)에 은거해 있다가 전진(前秦)의 세조(世祖) 부견(符堅)의 승상으로 일하면서 국력을 크게 중흥시킴.
325~37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후(武侯)@제갈량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후(無詬) - 우신행(于愼行)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상중(喪中)에 출사한 장거정(張居正)의 행위를 논하다가 미움을 받아 낙향하고, 후에 복직하여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지냄. 풍기(馮琦)와 함께 문학(文學)으로 명성을 떨침.
1545~160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후(茂侯) - 장화(張華)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ㆍ문신. 무제(武帝) 때 오(吳) 나라 토벌에 공을 세워 무후(武侯)에 봉해짐. 천상(天象)을 잘 보는 뇌환(雷煥)을 천거하여 용천검(龍泉劍)ㆍ태아검(太阿劍)을 찾아냈으며, 장재(張載)ㆍ장협(張協)과 함께 삼장(三張)으로 문명을 날림.
232~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후서(武侯書) - 무후전서(武侯全書)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사기(王士騏)가 제갈량(諸葛亮)의 사적(事跡) 및 후인들의 평론(評論)ㆍ시부(詩賦) 등을 모아 편찬한 책. 20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무휼(無恤) - 대무신왕(大武神王)
고구려의 제3대 왕. 재위 18~44. 유리왕(瑠璃王)의 셋째 아들. 동부여(東扶餘)를 공격하여 대소왕(帶素王)를 죽이고 고구려에 병합하였고, 국토를 살수(薩水) 이북까지 확대하였으며, 왕자 호동(好童)을 시켜 낙랑군(樂浪郡)을 정벌하는 등 많은 나라를 공략하여 무공을 세움.
4~44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무휼(無恤)@조양자 - 조양자(趙襄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정경(正卿). 조간자(趙簡子)의 아들로, 지(智)를 멸하고 한(韓)ㆍ위(魏)와 함께 진 나라의 영토를 삼분한 이른바 삼가분진(三家分晉)을 이룸.
?~B.C.42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묵(默) - 강묵(江默)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선조인 강지(江贄)가 편찬한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를 주희에게 질정받아 1237년(이종 1)에 출간함. 건녕현 지사(建寧縣知事)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묵경(墨卿) - 단문창(段文昌)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목종(穆宗) 때의 재상(宰相). 한유(韓愈)가 쓴 〈평회서비(平淮西碑)〉를 다시 지어 세웠는데 졸문이라는 평가를 받음.
773~83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묵곡(墨谷) - 이계맹(李繼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일손(金馹孫)ㆍ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영광(靈光)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묵로(默老)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묵사(黙師) - 사묵(思黙)
조선 전기의 승려. 노수신(盧守愼)의 《소재집(穌齋集)》에 관련된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묵소(默所)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묵수(墨守) - 묵수성규(墨守成規)
묵적(墨翟)의 수비가 규례를 이룸.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묵적이 공수반(公輸班)의 운제(雲梯)를 이용한 모의 공격 시험에서 아홉 번 모두 수성(守城)에 성공한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후대에는 융통성 없이 낡은 규례를 고수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묵수당(默守堂) - 최유해(崔有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1624년(인조 2) 안변 부사(安邊府使) 시절 명(明) 나라의 모문룡(毛文龍)에게 군량을 공급함.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頌德碑)가 세워지고,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
1587~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묵수성법(墨守成法) - 묵수성규(墨守成規)
묵적(墨翟)의 수비가 규례를 이룸.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묵적이 공수반(公輸班)의 운제(雲梯)를 이용한 모의 공격 시험에서 아홉 번 모두 수성(守城)에 성공한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후대에는 융통성 없이 낡은 규례를 고수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묵씨(墨氏) - 묵적(墨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사상가. 묵가(墨家)의 창시자. 전국(戰國) 초기에 상현(尙賢)ㆍ상동(尙同)ㆍ겸애(兼愛) 등을 주장하여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지향함.
B.C.480?~B.C.3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묵암(墨巖) - 이계맹(李繼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일손(金馹孫)ㆍ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영광(靈光)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묵암(默巖) - 권응정(權應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인수(宋麟壽)ㆍ이언적(李彦迪)ㆍ노수신(盧守愼) 등과 함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의 배후로 지목되어 유배됨.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묵암(默庵)@송부필 - 송부필(宋富弼)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동생 송익필(宋翼弼)ㆍ송한필(宋翰弼)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언론에 능했으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친교(親交)함.
?~159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문사>유학
-
묵암(默庵)@성혼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묵암(默庵) - 권추(權推)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인.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하였고, 당호인 묵암(默庵)에 대한 기문(記文)이《허백정집(虛白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진위 , 인명>문사>문인
-
묵암(默庵)@권응정 - 권응정(權應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인수(宋麟壽)ㆍ이언적(李彦迪)ㆍ노수신(盧守愼) 등과 함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의 배후로 지목되어 유배됨.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묵암병부(默庵病夫)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묵암병사(默菴病士)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묵암자(墨巖子)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묵암재(墨巖齋)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묵언(默言) - 굉상인(宏上人)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상원사(上院寺) 주변에 무주암(無住菴)을 짓고 원천석(元天錫)과 시를 수창(酬唱)하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창 , 인명>종교인>승려
-
묵은(默隱)@수도군 - 수도군(守道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일곱 번째 서자. 숙의윤씨(淑儀尹氏)의 소생으로, 관직을 삭존(削尊)당한 뒤 사후에 신원되어 영종정경(領宗正卿)의 벼슬과 군(君)에 추봉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묵은(默隱) - 정희량(鄭熙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직제학(直提學)을 지냄. 조선 건국 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 등을 탄핵하다가 유배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묵이(默台) - 이봉(怡峯)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의 무신. 뛰어난 용맹으로 훗날 북주(北周)의 태조(太祖)가 된 우문태(宇文泰)의 신임을 얻어 어지러운 정국을 돌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묵자(墨子)@묵적 - 묵적(墨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사상가. 묵가(墨家)의 창시자. 전국(戰國) 초기에 상현(尙賢)ㆍ상동(尙同)ㆍ겸애(兼愛) 등을 주장하여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지향함.
B.C.480?~B.C.3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묵재(墨齋) - 노필(盧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64~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묵재(默齋)@이심원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묵재(默齋)@이문량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묵재(默齋)@이문건 - 이문건(李文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성주(星州)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94~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묵재(默齋)@이귀 - 이귀(李貴)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정화(李廷華)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함. 임진왜란 때 난후 수습에 힘쓰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성공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1557~16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묵재(默齋)@심사순 - 심사순(沈思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화천군(花川君) 심정(沈貞)의 아들로, 부제학(副提學)을 역임함.
1496~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묵재(默齋)@우제 - 우제(于濟)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칠언절구(七言絶句)의 작시법(作詩法)을 실제적으로 제시한 《연주시격(聯珠詩格)》을 편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묵재(默齋)@유구언 - 유구언(游九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초명은 구사(九思). 장식(張栻)의 문인으로, 저서에 《묵재유고(默齋遺稿)》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묵재(默齋) - 박사희(朴士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훈도(訓導) 박형(朴馨)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에만 전념함.
1508~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묵재(默齋)@오백령 - 오백령(吳百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사옹원 직장(司饔院直長)을 지낸 오세현(吳世賢)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 때 폐모론을 반대하여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560~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묵재(默齋)@허적 - 허적(許積)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남인(南人)으로 제1ㆍ2차 예송(禮訟)에서 서인(西人)과 대결했으며, 제2차 예송에서 승리하여 집권한 뒤 탁남(濁南)의 영수가 됨. 아들 허견(許堅)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사사되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신원됨.
1610~168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묵재(默齋)@양우 - 양우(梁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양준(梁俊)의 아들이며, 대방군(帶方君) 양천룡(梁天龍)의 아버지. 판도 판서(版圖判書)로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겸하였으나,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함.
1306~139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묵재(默齋)@홍언필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묵재(黙齋)@유염 - 유염(柳琰)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하평리(門下評理) 유혜손(柳惠蓀)의 아들. 조선 개국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내고, 세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묵재(黙齋) - 박중손(朴仲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함.
1412~14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묵재상공(默齋相公)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묵재선생일고(默齋先生逸稿) - 묵재일고(黙齋逸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박사희(朴士熹)의 시문집(詩文集). 2권. 1935년 후손인 박세기(朴世基)가 편집, 간행함.
1935 한국>근대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