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묵재일기(默齋日記) - 노랄수사(老辣瀡辭)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이,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생애와 행적을 주제별로 편집한 책. 8편.
165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묵적지수(墨翟之守) - 묵수성규(墨守成規)
묵적(墨翟)의 수비가 규례를 이룸.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묵적이 공수반(公輸班)의 운제(雲梯)를 이용한 모의 공격 시험에서 아홉 번 모두 수성(守城)에 성공한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후대에는 융통성 없이 낡은 규례를 고수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묵존암병사(默存庵病士)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묵태(墨胎) - 숙제(叔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를 치려할 때 형 백이(伯夷)와 함께 말리다가 듣지 않자, 주에서 나는 곡식을 먹는 것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묵태두(墨胎頭)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묵태씨(墨胎氏)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묵태윤(墨胎允)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묵태초(墨胎初) - 고죽군(孤竹君)
중국 은(殷) 나라 고죽국(孤竹國)의 군주.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의 아버지.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묵헌(默軒)@봉여해 - 봉여해(奉汝諧)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음(河陰). 뛰어난 학문과 덕으로 사옹원 별좌(司饔院別座) 등을 지냈으나, 1456년(세조 2)에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모의한 죄로 처형됨.
1419~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문신
-
묵헌(默軒) - 민지(閔漬)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66년(원종 7)에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었고,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음.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음.
1248~13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묵호(墨豪) - 전충효(全忠孝)
조선 후기의 서화가.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인 조속(趙涑)의 제자로, 스승의 사의적(寫意的)인 수묵화조화풍(水墨花鳥畵風)을 따른〈수작도(水鵲圖)〉등이 전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묵호(默好) - 이경휘(李慶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시발(李時發)의 아들.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617~166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묵호자(默好子) - 유몽인(柳夢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유탱(柳樘)의 아들. 한때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를 담당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인조 때 무고로 인해 반역죄로 처형됨.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 등이 있음.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묵후(默侯) - 석허중(石虛中)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에 나오는 벼루의 의인화된 명칭.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문(問) - 김문(金問)
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대사헌(大司憲) 김약채(金若采)의 아들로, 1392년(태조 1) 을과(乙科)에 합격하여 예문관 검열(藝文官檢閱)에 보임(補任)되었으나, 다음 해 죽음.
1373~13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문(文)@정문 - 정문(鄭文)
고려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인 정배걸(鄭倍傑)의 아들로, 10여 년 동안 형조(刑曹)를 맡아 일을 잘 처리함. 송(宋)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110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文) - 요수(姚燧)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ㆍ문신. 문장에 능하여 서한(西漢)의 기풍이 있었고, 태자빈객(太子賓客)ㆍ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 등을 지냄.
1239~131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文)@최융 - 최융(崔融)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종(中宗)이 태자로 있을 때 시독(侍讀)을 담당하고, 국자사업(國子司業) 등을 지냄. 두심언(杜審言)ㆍ이교(李嶠)ㆍ소미도(蘇味道) 등과 함께 ‘초당(初唐)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탕(文^湯) - 탕^문(湯^文)
중국 은(殷) 나라를 세운 탕(湯)과 주(周) 나라의 기틀을 마련한 문왕(文王)을 함께 부르는 말. 유교에서 성군(聖君)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문^환(文^桓) - 환^문(桓^文)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인 환공(桓公)과 진(晉) 나라의 제후인 문공(文公)을 함께 부르는 말. 제후국들 중 부국강병을 이룩해 패자(覇者)가 된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문각(文恪)@송눌 - 송눌(宋訥)
중국 원(元) 말 명(明) 초의 문신ㆍ학자. 학문에 해박하여 명조(明朝)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함. 저서로 《서은집(西隱集)》이 있음.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각(文恪)@오눌 - 오눌(吳訥)
중국 명(明) 나라 인종(仁宗)~영종(英宗) 때의 문신. 벼슬은 우부도어사(右副都御史)를 역임하였고, 저서로는 《소학집해(小學集解)》가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각(文恪) - 양렴(楊廉)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양숭(楊崇)의 아들로, 성력(星曆)과 산수(算數)에 능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幹) - 이경온(李景蘊)
조선 전기의 유학. 유헌(游軒) 정황(丁熿)과 교유하여, 《유헌집(游軒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문간(文幹)@박문간 - 박문간(朴文幹)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1480년(성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교리(校理)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김창협 - 김창협(金昌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집(金昌集)의 동생.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내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이후 은거함.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이기론(理氣論)을 절충한 학설을 주장하고, 《농암집(農巖集)》을 남김.
1651~17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경기도>과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이간 - 이간(李衎)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화가. 절강행성평장정사(浙江行省平章政事) 등을 지내고, 대나무ㆍ돌ㆍ나무 등을 잘 그려 당대에 이름을 떨침.
1245~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이서 - 이서(李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홍주(洪州). 고려 우왕(禑王) 때 6년간의 여묘살이로 정문(旌門)을 받았으며,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332~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정온 - 정온(鄭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다가 유배됨.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사직한 후 덕유산(德裕山)에 들어가 은거함.
1569~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이수광 - 이수광(李睟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내고, 사신으로 여러 차례 명(明) 나라에 왕래하면서 천주교 지식과 서양 문물을 소개하여 실학(實學) 발전의 선구자가 됨.
1563~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조경 - 조경(趙絅)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익남(趙翼男)의 아들이며 윤근수(尹根壽)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고, 대제학(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86~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임덕유 - 임덕유(任德裕)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서하부원군(西河府院君) 임자송(任子松)의 아들.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내고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연천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유성간 - 유성간(柳成澗)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문신. 한림학사(翰林學士) 유순(柳淳)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서산유씨(瑞山柳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이무방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안위 - 안위(安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명종 때 병조 판서가 되어 국방을 주관하면서 병학(兵學)에 재능을 나타내고, 양계(兩界)에 대한 국방을 강화하고자 진보(鎭堡)의 설치를 장려함.
1491~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안종원 - 안종원(安宗源)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했음.
1325~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우무 - 우무(尤袤)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문신. 태상소경(太常少卿) 등의 벼슬을 역임했고, 범성대(范成大)ㆍ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 등과 남송사가(南宋四家)라 칭송됨.
1127~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유공권 - 유공권(柳公權)@고려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ㆍ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예서(隸書)와 초서(草書)를 잘 씀.
1132~119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유약 - 유약(劉爚)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에게 학문을 전수 받고,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유관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이정 - 이정(李挺)@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중대광(重大匡) 이계함(李季瑊)의 아들로, 성균관 좨주(成均館祭酒)ㆍ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냈고, 공민왕의 총애를 받아 내불당(內佛堂)을 감역함.
1297~136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이승소 - 이승소(李承召)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함.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禮樂)ㆍ음양(陰陽)ㆍ율력(律曆)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
1422~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이준 - 이준(李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남인(南人) 세력을 결집하고 여론을 주도함.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미를 조달함.
1560~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정추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기정진 - 기정진(奇正鎭)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이학(理學) 6대가의 한 사람이며,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정신적 지주.
1798~187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전라도>순창 , 인명>문사>학자
-
문간(文簡)@김취문 - 김취문(金就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좌(金匡佐)의 아들로, 형 취성(就成)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 됨.
1509~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박시용 - 박시용(朴時庸)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박흥생(朴興生)의 조부(祖父)로,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지냈으며, 운문관 대제학(右文館大提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김안국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박광전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성혼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김종직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노수신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백양신 - 백양신(白良臣)
고려 후기의 무신. 백문보(白文寶)의 조부. 직산백씨(稷山白氏) 시조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무신
-
문간(文簡)@박상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백문절 - 백문절(白文節)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포(藍浦). 이부 시랑(吏部侍郞) 등을 지내고, 문사(文詞)와 글씨에 뛰어남.
?~12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백문보 - 백문보(白文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직산(稷山). 문장이 뛰어나 예종(睿宗)과 인종(仁宗) 양조(兩朝)의 국사를 초(草)하였으며, 불교(佛敎)를 배척하였음.
1303~137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신광한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 - 김광재(金光載)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효성이 지극해 공민왕(恭愍王)이 그가 사는 마을을 영창방 효자리(靈昌坊孝子里)로 정표(旌表)함.
1294~136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이민서 - 이민서(李敏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로, 이후여(李厚輿)에게 출계함.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서하집(西河集)》등이 있음.
1633~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이희조 - 이희조(李喜朝)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당파싸움에 여러 차례 휘말렸으나 의리 있고 공정한 자세로 번번히 재임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저서로 《지촌집(芝村集)》이 있음.
1655~172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조호익 - 조호익(曺好益)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칭병으로 관직을 거절하다가 유배되었으나 유배지에서 학문 및 후학 양성에 힘써 학풍을 크게 진작시킴.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워 여러 관직을 제수받지만 대부분 사직함.
1545~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송치규 - 송치규(宋稚圭)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정묵(金正默)의 제자로, 일생을 벼슬을 사양하다가 말년에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강재집(剛齋集)》이 있음.
1759~183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이의현 - 이의현(李宜顯)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으로,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의 아들. 정미환국(丁未換局) 때 파직되었으나 이인좌(李麟佐)의 무신란(戊申亂) 때 다시 기용되어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냄. 노론(老論)의 영수로 추대되고, 저서로 《도곡집(陶谷集)》이 있음.
166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김부일 - 김부일(金富佾)
고려 예종(叡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국자좨주 좌간의대부(國子祭酒左諫議大夫) 김근(金覲)의 둘째 아들로, 수태위 개부의동삼사 비서성사 주국(守太尉開府儀同三司祕書省事柱國)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여 송(宋) 나라에까지 이름이 알려짐.
1071~1132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최성지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한상경 - 한상경(韓尙敬)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셋째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추대하는 모의에 가담하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360~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황호 - 황호(黃灝)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자가 그의 강론(講論)이 정밀하다고 칭찬하였고 이 칭찬으로 인해 명망(名望)이 높아짐. 관직은 광동 제형(廣東提刑)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민우수 - 민우수(閔遇洙)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충문공(忠文公) 민진후(閔鎭厚)의 아들. 김창협(金昌協)ㆍ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신임사화(辛壬士禍)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학업에 전념함.
1694~17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유염 - 유염(柳琰)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하평리(門下評理) 유혜손(柳惠蓀)의 아들. 조선 개국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내고, 세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김양행 - 김양행(金亮行)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민우수(閔愚洙)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고, 이우신(李友信)ㆍ민치복(閔致福)ㆍ박준원(朴準源) 등을 배출함.
1715~177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강혼 - 강혼(姜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김세필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간(文簡)@김정 - 김정(金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인해 사사(賜死)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문감(文鑑) - 경제문감(經濟文鑑)
조선 전기의 문신인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조선 왕조의 정치 조직에 대한 초안(草案)을 적은 책. 2권 1책. 활자본(活字本).
1395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문강(文剛)@한충 - 한충(韓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주부(主簿) 한창유(韓昌愈)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 주청사(奏請使) 남곤(南袞)의 서장관(書狀官)이었으나 남곤의 미움을 받게 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죽음.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剛) - 박세희(朴世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강계(江界)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4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剛)@이사균 - 이사균(李思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폐비(廢妃) 윤씨(尹氏)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報恩)으로 유배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71~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剛)@조말생 - 조말생(趙末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로, 태종(太宗)의 부마인 조선(趙璿)의 아버지. 조용(趙庸)의 문인으로,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 등을 지냄.
1370~14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문강(文康)@서경덕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문강(文康)@김세렴 - 김세렴(金世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군수 김극건(金克鍵)의 아들로,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는 자를 탄핵하다가 유배됨.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재기용되어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내며 《근사록(近思錄)》ㆍ《소학(小學)》등을 간행함.
1593~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康)@김창흡 - 김창흡(金昌翕)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 김수항(金壽恒)의 셋째 아들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산수를 즐기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아버지가 사사되자 영평(永平)에 은거하면서 유학에 전념하여 학자로 이름을 떨침.
1653~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문강(文康)@권근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康)@박소 - 박소(朴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조광조 등 신진사류(新進士類)와 더불어 왕도정치(王道政治) 구현을 위하여 힘씀.
149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康)@이지함 - 이지함(李之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아산 현감(牙山縣監) 등을 지내고,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康)@이석형 - 이석형(李石亨)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회림(李懷林)의 아들이며, 김반(金泮)의 문인.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역대병요(歷代兵要)》ㆍ《치평요람(治平要覽)》등을 편찬함.
1415~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康)@장현광 - 장현광(張顯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1576년(선조 9)에 재능과 행실이 드러나 조정에 천거된 이후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대부분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에 몰두하여 경학(經學)에 일가를 이룸.
1554~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康)@유량 - 유량(庾亮)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명제(明帝)의 비(妃)인 명목유황후(明穆庾皇后)의 오빠로, 조카인 성제(成帝) 때 권력을 휘둘러 비난을 받음.
289~34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문강(文康)@염복 - 염복(閻復)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강엽(康曄)의 문인으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절서도 숙정염방사(浙西道肅政廉訪使) 등을 지냄.
1236~1312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康)@우성전 - 우성전(禹性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이었다가 이발(李潑)과의 갈등으로 인해 남인(南人)의 거두가 됨.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 해염(海鹽)과 식량을 조달하여 난민을 구제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康) - 김숙자(金叔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스승인 길재(吉再)로부터 정몽주(鄭夢周)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를 아들 김종직(金宗直)에게 잇게 함으로써 주자학을 발전시킴.
1389~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康)@박광전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康)@안방준 - 안방준(安邦俊)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켜 항쟁함. 관직을 여러 번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보성(寶城) 우산(牛山)에 들어가 후진 양성에 전념함.
1573~165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강(文康)@조욱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문강(文强) - 황향(黃香)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화제(和帝) 때의 문신. 많은 전적(典籍)을 읽었고 문장을 잘 지었으므로 사람들이 ‘천하무쌍 강하황동(天下無雙江夏黃童)’이라 일컬었으며, 뒤에는 황동이 사관(史官)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개(文介)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개(文凱) - 안문개(安文凱)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안향(安珦)의 재종질(再從姪).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억류되어 있을 때 충절을 바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에 봉해짐.
1273~133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거(文擧)@강세륜 - 강세륜(姜世綸)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1783년(정조 7)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종성 부사(鍾城府使)ㆍ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761~18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문거(文擧) - 공융(孔融)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ㆍ학자.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으로, 헌제(獻帝) 때 북해(北海)의 재상(宰相)이 되어 학교를 세우고 유학(儒學)을 가르침. 한조(漢朝)의 세력 회복에 힘썼으나 조조(曹操) 등의 미움을 받아 일족과 함께 피살됨.
153~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건(文楗) - 이문건(李文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성주(星州)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94~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문견록(聞見錄) - 문견전록(聞見前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邵伯溫)의 저서. 20권. 소흥(紹興) 연간 이전까지의 송 나라 왕조의 여러 가지 일을 기록함.
113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