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강^관(絳^灌)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문제(文帝) 때의 문신ㆍ공신인 강후(絳侯) 주발(周勃)과 무신인 영음후(潁陰侯) 관영(灌嬰)을 함께 부르는 말. 외척을 몰아내고 왕실의 기반을 다진 충신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강^양(鋼^樑)
조선 명종(明宗)의 장인인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과 그의 처남인 이량(李樑)을 함께 부르는 말. 이량은 윤원형(尹元衡)을 견제하기 위해 등용되었으나 전횡을 일삼자 심강의 견제를 받아 유배지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강^위(江^渭)
중국 양자강(揚子江)의 남쪽에 있는 강동(江東)과, 산서성(山西省) 서안(西安) 위수(渭水)의 북쪽에 있는 위북(渭北)을 함께 부르는 말. 붕우간에 오랫동안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서로 그리워하는 정을 가리킴.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강^하(江^河)
중국에서 가장 긴 강인 양자강(揚子江)과 두 번째로 긴 황하(黃河)를 함께 부르는 말.
지명>기타지명
-
강^회(江^淮)
중국 안휘성(安徽省)에 있는 양자강(揚子江)과 회수(淮水) 지역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강감찬(姜邯贊)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흥화진(興化鎭)ㆍ귀주(龜州)에서 크게 격파함. 이부 상서(吏部尙書)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948~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거문답(江居問答)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계(兪棨)가 지은 글. 율곡(栗谷)의 〈동호문답(東湖問答)〉을 모방하여 지은 것으로, 주객(主客)을 나누어 문답식으로 정치의 요체를 논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강거충(姜居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강세창(姜世昌)의 아버지로 충익부 도사(忠翊府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견(姜涀)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강항(姜沆)의 형이고 이이(李珥)의 문인. 정여립(鄭汝立) 사건 때 최영경(崔永慶)을 유령의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하여 옥사(獄死)하게 함.
1554~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강결(姜結)
조선 전기의 문신. 참판(參判)을 지낸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했지만 급제하지 못하고 음보(蔭補)로 찰방(察訪)이 됨. 권벽(權擘)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강겸(姜謙)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강자평(姜子平)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유배된 후 능지처참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경서(姜景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남효온(南孝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더불어 사장(詞章)ㆍ정사(政事)ㆍ절의(節義)ㆍ효행(孝行) 등으로 명성이 높음.
1443~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경선(康景善)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천(信川). 창원도호부사(昌原都護府使) 강의(康顗)의 아들이고 강유선(康惟善)의 형. 이홍남(李洪男)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평민(平民)으로 강등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문사>유학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계강(姜季江)
중국 후한(後漢)의 은자(隱者). 강굉(姜肱)ㆍ강중해(姜仲海)와 형제간의 우애로 이름이 높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강곤(康袞)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고, 남이(南怡)의 옥사(獄事)에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1411~14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강공망(姜公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晋州).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강욱(姜昱)과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강섬(姜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강관(姜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부사(府使)를 지낸 강응태(姜應台)의 아버지로,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굉(姜肱)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은사(隱士). 동생 강중해(姜仲海)ㆍ강계강(姜季江)과 함께 효행(孝行)과 우애(友愛)로 이름이 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은자
-
강구만(姜九萬)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946년(광종 15)에 문과에 급제한 후 서경 유수(西京留守) 등을 지냈으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구요(康衢謠)
중국 고대(古代) 요(堯) 임금 때의 가요(歌謠) 이름. 요 임금의 은덕(恩德)으로 천하가 절로 다스려지자 백성들이 이를 칭송하며 거리에서 부르던 노래.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강군보(姜君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계림 판관(鷄林判官)을 지낸 강창귀(姜昌貴)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함.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궁진(姜弓珍)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본관은 금천(衿川). 강감찬(姜邯贊)의 아버지. 왕건(王建)을 도운 공으로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강권(康錈)
조선 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신천(信川). 참의(參議)를 지낸 강수학(康邃學)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문사>유학
-
강귀손(姜龜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강희맹(姜希孟)의 아들.
1450~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귀형(康貴亨)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절충장군(折衝將軍)을 지낸 강희철(康希哲)의 아버지로, 충순위 전력부위(忠順衛展力副尉)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강극성(姜克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좌찬성 강희맹(姜希孟)의 현손(玄孫). 군자감 정(軍資監正)ㆍ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기(姜夔)
중국 송(宋) 나라 시인ㆍ음악가. 북송의 유영(柳永)ㆍ주방언(周邦彦), 남송의 신기질(辛棄疾) 등과 함께 사대사인(四大詞人)이라 일컬어짐.
1155~1221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문인
-
강남기행시고(江南紀行詩稿)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정공권(鄭公權)이 중국 강남(江南) 일대를 여행하면서 기행문 형식으로 쓴 시집(詩集).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발문을 씀.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강남소집(江南小集)
중국 송(宋) 나라 문신이었던 충방(种放)의 문집. 2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강노(姜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담(姜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정황(丁熿)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강대수(姜大遂)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1612년(광해군 4)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승지(右承旨)ㆍ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646년(인조 24)에 영국공신(寧國功臣)에 녹훈되고, 합천(陜川)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91~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덕룡(姜德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심(姜深)의 아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과 정기룡(鄭起龍)을 도와 공을 세워 함창 현령(咸昌縣令) 등을 지내고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60~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강덕서(姜德瑞)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한산 군수(韓山郡守)로 있을 때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토벌함. 덕원 부사(德源府使)ㆍ제용감 정(濟用監正)을 지냄.
1540~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덕윤(姜德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형 강종윤(姜宗胤)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錄勳)됨.
15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동(江東)
평안도 중남부의 대동강(大同江)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태조(太祖)의 북진정책의 거점이었으며, 조선시대 조공의 영송(迎送) 및 교역을 담당함.
평안도>강동 , 지명>행정지명
-
강동(江東)@중국
중국 양자강(揚子江)의 남쪽 지역을 일컫는 지명. 두보(杜甫)의 〈춘일억이백(春日憶李白)〉이란 시로 인해 위북(渭北)과 강동(江東)이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한 시어로 많이 사용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강동육주(江東六州)
고려 성종(成宗) 때 서북면에 설치한 행정구역. 거란의 1차 침입 후 고려가 압록강변에 설치한 흥화(興化)ㆍ용주(龍州)ㆍ통주(通州)ㆍ철주(鐵州)ㆍ귀주(龜州)ㆍ곽주(郭州)를 가리킴.
994 한국>고려전기 , 평안도>철산ㅣ평안도>의주ㅣ평안도>용천ㅣ평안도>선천ㅣ평안도>곽산 , 지명>행정지명
-
강륜(姜綸)
조선 중종(中宗) 때 남해(南海)의 유학. 대유(大柔) 김구(金絿)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남해에 유배되었을 때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문사>유학
-
강륜(康崙)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천(信川). 절충장군(折衝將軍) 강희철(康希哲)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 때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강릉김씨(江陵金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5세손으로 시중(侍中)을 지내고 명주군왕(溟州郡王)에 봉해진 김주원(金周元)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강릉 , 인명>집단>성씨
-
강릉최씨(江陵崔氏)
고려 전기 경흥부원군(慶興府院君)에 봉해진 최필달(崔必達) 계통과, 고려 태조(太祖)의 부마(駙馬)인 최흔봉(崔欣奉) 계통과,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부마인 최문한(崔文漢) 계통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집단>성씨
-
강린(姜潾)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부사맹(副司猛) 강이행(姜利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글씨에 능하여 중종의 총애를 받았던 강징(姜澂)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강맹경(姜孟卿)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였으며,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짐. 1459년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410~14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면(姜愐)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남평 현감(南平縣監)을 지낸 강종윤(姜宗胤)의 아들로, 함경도 도사(咸鏡道都事)를 지냄.
156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대흥 , 인명>관인>문신
-
강묵(江默)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선조인 강지(江贄)가 편찬한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를 주희에게 질정받아 1237년(이종 1)에 출간함. 건녕현 지사(建寧縣知事)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문우(姜文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교서관 교리(校書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문회(姜文會)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성종 때에는 사표(師表)로 추앙되었으나, 연산군(燕山君)의 폭정으로 관직을 버리고 단성(丹城)으로 낙향하여 후진양성에 힘씀. 저서로 《소요당기(逍遙堂記)》가 있음.
1433~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강민첨(姜民瞻)
고려 목종(穆宗)~현종(玄宗) 때의 문신. 현종 때 안찰사(按察使)로서 동여진(東女眞)을 격퇴하였으며, 1018년(현종 9) 거란(契丹)의 소배압(蕭排押)이 침략했을 때 강감찬(姜邯贊)의 부장(副將)으로 출전하여 격파하고, 개경(開京)까지 추격하여 크게 무찌름.
?~102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백진(康伯珍)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귀양 가서 1504년(연산군 10)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강복성(康復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에서 전공을 세우고, 광해군(光海君)의 사부로 가자(加資)되었으나 난정(亂政)을 행하자 사직함.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호위하여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저서로 《죽간집(竹磵集)》이 있음.
1550~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강사미(姜士美)
고려 정종(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추밀원사(樞密院使)ㆍ국자 좨주(國子祭酒)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사상(姜士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1568년(선조 1) 조광조(趙光祖)의 신원과 추숭을 건의했으며, 이조 판서ㆍ한성부 판윤ㆍ우의정 등을 지냄.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사안(姜士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로, 강호(姜滸)에게 출계(出系)함.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ㆍ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사진(姜思進)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918년(태조 1) 문과에 급제한 후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에 이르렀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사필(姜士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조욱(趙昱)의 문인으로, 충청 감사(忠淸監司)ㆍ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강산취우도(江山驟雨圖)
중국 명(明) 나라 화가였던 당인(唐寅)의 대표적인 그림. 당인은 남종화(南宗畵)와 북종화(北宗畵)를 융합한 산수화를 그렸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작품명
-
강삼(姜參)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암 군수(靈岩郡守)ㆍ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 등을 지냈음.
1452~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강서(姜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낸 강세응(姜世應)의 아들. 효행으로 정려각(旌閭閣)이 세워짐.
1510~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강서(姜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지감(知鑑)이 있어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와 임진왜란이 일어날 것을 예고함.
1538~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서시파(江西詩派)
중국 북송 말기에서 남송 초기에 유행한 시(詩)의 유파. 황정견(黃庭堅)을 시종(詩宗)으로 하며, 여본중(呂本中)이 처음으로 이름한 데서 유래함.
중국>송 , 중국 , 사상>기타사상
-
강석기(姜碩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으로,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인 강빈(姜嬪)의 아버지. 강빈 사건으로 관작을 추탈당했다가 숙종(肅宗) 때 복관(復官)됨.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1580~164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석덕(姜碩德)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 심온(沈溫)의 사위이며,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의 아버지. 청렴과 효우(孝友)로 명망이 높았음. 인수부 소윤(仁壽府少尹)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395~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선루(降仙樓)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 평안도 성천(成川)에 건립한 누각. 성천 객사의 부속건물로서 관서팔경(關西八景) 중의 하나. 한국전쟁 때 소실됨.
1343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성천 , 유적>건물>누정
-
강섬(姜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공망(姜公望)의 아들. 1546년(명종 1)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성서원(江城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장흥(長興)에 건립된 서원. 옛 이름은 월천사(月川祠)였는데, 1785년(정조 9)에 사액되었으며, 문익점(文益漸)ㆍ문위세(文緯世) 등을 배향함.
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유적>건물>서원,향교
-
강세륜(姜世綸)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1783년(정조 7)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종성 부사(鍾城府使)ㆍ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761~18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강세응(姜世應)
조선 종종(中宗) 때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서(姜瑞)와 강우(姜瑀)의 아버지로,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냄.
1475~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강세창(姜世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강희맹(姜希孟)이 지은 자설(字說)이 《사숙재집(私淑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강수(强首)
통일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문무왕(文武王) 때의 학자ㆍ문인. 유교 관료적 소양을 지닌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서 외교문서인 〈청방인문표(請放仁問表)〉ㆍ〈답설인귀서(答薛仁貴書)〉가 전함. 외교문서로써 삼국통일에 공을 세웠다 하여 사찬(沙飡)의 관등을 받음.
?~692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강수경(姜壽卿)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임득번(林得蕃)의 장인으로,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수학(康邃學)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승의랑(承議郞) 강권(康錈)의 아들로, 안동 부사(安東府使)ㆍ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16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강숙경(姜叔卿)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강맹경(姜孟卿)의 동생.
1428~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순(姜焞)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의 아버지 강석기(姜碩期)의 양부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강승(姜昇)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봉서사(鳳棲祠)에 배향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학자
-
강시(姜蓍)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조선이 건국될 때 직첩(職牒)을 회수당하고 유배됨.
1339~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신(姜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을 지낸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강사안(姜士安)에게 출계(出系)함. 선조 때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43~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심(姜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오른 아들 강덕룡(姜德龍)의 공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강억(姜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중종실록(中宗實錄)》기주관(記注官)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엄(江淹)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의 문신ㆍ문인. 송(宋)ㆍ남제(南齊)ㆍ양(梁)의 3왕조를 섬기는 동안 양(梁)에서는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를 지냈으며, 문학을 즐기고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통달함.
444~5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여개(姜汝愷)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사옹원 정(司饔院正) 강윤권(姜允權)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영(姜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구봉령(具鳳齡)과 교유했으며, 안기 찰방(安奇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강온(姜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영숙(姜永叔)의 아들로, 이조 좌랑(吏曺佐郞) 등을 지냄.
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왕(康王)
중국 주(周) 나라의 제3대 왕. 재위 B.C.1020~ B.C.996. 성왕(成王)의 뒤를 이어 주 왕조(周王朝)의 전성기를 이룸.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강왕곡(康王谷)
중국 강서성(江西省) 최북단에 있는 여산(廬山)의 계곡 이름. 당(唐) 나라 육우(陸羽)의 《다경(茶經)》 3편에서 강왕곡의 수렴천(水簾泉)이 차를 끊여 마시기에 가장 좋은 물이라고 평가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강우(姜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낸 강세응(姜世應)의 아들. 효행으로 정려각(旌閭閣)이 세워짐.
1495~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강우덕(姜友德)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강회백(姜淮伯)의 아들.
1385~14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욱(姜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장사랑(將仕郞) 강공망(姜公望)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냄.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운상(姜雲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효성이 지극해 정려(旌閭)를 받았으며, 아들 강첨(姜籤)과 손자 강학년(姜鶴年)이 귀하게 되어 인조(仁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526~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강원(姜嫄)
중국 주(周) 나라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제곡고신(帝嚳高辛)의 원비(元妃). 주 나라를 건국한 후직(后稷)의 어머니로, 거인(巨人)의 발자국을 밟고 임신하여 후직을 낳았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강원도(江原道)
한반도의 중부지방 동쪽에 위치한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강원도 , 지명>행정지명
-
강원범(姜元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군기감 정(軍器監正)을 지낸 강숙경(姜叔卿)의 아들.
144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위(姜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참판(禮曹參判) 강징(姜澂)의 아들로, 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위룡(姜渭龍)
조선 전기의 유학. 유희춘(柳希春)에게 배우고 임운(林芸)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